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 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후보

        문화음악학의 정립을 위한 소고

        신현남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In his book, How Musical Is Man?, John Blacking defined music as ‘Humanly Organized Sound’(the title of Chapter One), and presented ethnomusicology as a new method to analyze music and music history. However, ethnomusicology has shown its own limitations, and, as an alternative, Cultural Musicology is proposed. Cultural Musicology is defined as ‘a study that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usical activities among human groups, and that delineates the idiosyncrasies of diverse music cultures in the world and stability, transformation,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each culture from humane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To establish itself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Korea, Cultural Musicology has to dispel the notion of being an "alternative" or "integrative" discipline, and to accept its position as "the third academic discipline in music." Whether Western musicology, Korean musicology, or ethnomusicology, musicological discourses are ultimately incorporated into "the study of music" with multi-focal and multi-vocal expressions.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of Cultural Musicology should not be used as they are imported from Western academic circles: rather, they have to be adjusted in relation to the particularity of Korean society. Furthermore, as an "academic discipline," Cultural Musicology has to keep up with academic achievements accomplished by other disciplines in music both in Korea and the West.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previous image of being a non-academic discipline, Cultural Musicology has to be active in accepting the newest academic theories while staying close to the field of musical activities. 존 블래킹은 그의 저서 「인간은 얼마나 음악적인가?」에서 음악이란 인간을 위해서 인간에 의해서 조직화된 소리라고 정의하고, 음악과 음악사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종족음악학을 제시했다. 그러나 종족음악학에도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고, 그 대안으로 문화음악학이 대두된다. 문화음악학이란 ‘인간 그룹들 가운데 행해지는 음악적 행위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들을 연구하고, 세계의 다양한 음악 문화들의 특징 및 이들의 저마다 독특한 안정성․변화 그리고 발전의 과정들을 인간적․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묘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한국의 문화음악학이 진정한 학문분과로 자리매김 하려면, 음악학의 ‘대안’이나 ‘통합’ 등의 수사가 불러일으킨 이물감을 불식하고 ‘제삼의 음악학 분과’로 몸을 낮출 준비가 먼저 되어있어야 한다. 서양음악학이든 한국음악학이든 민족음악학이든, 종족음악학이든, 음악학의 담론들은 결국은 ‘음악의 연구’라는 이름으로 만나게 될 여러 초점(multifocal), 여러 목소리(multivocal)이기 때문이다. 조망과 방법은 수입된 그대로가 아니라 지금, 우리에 맞게 다듬어야 하고, ‘학문’ 분과인 이상 서구와 이 땅에서 축적된 학문적 성과들과의 격차를 따라잡아야 한다. 그리고 기존의 비학문적 교과 과정과 별도로, 현장과 늘 가까이 있되 최신 방법론의 수용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의 음악학, 또 한 번의 진단

        박미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石堂論叢 Vol.0 No.43

        “Critical Review on Musicology in Korea: A Renewed Attempt” starts with a statement that similar review should be carried regularly and constantly among Korean musicologists and with the question whether Korean musicology is a humanistic discipline. It continues that since the Korean musicology cannot separate it from the scholastic history and achievement of Western musicology, this paper deals the subject in two directions, that is, Western musicology and Korean musicology. After the discussion on the scholastic identity of musicology in the West, this paper reviews its main stream as two-fold direction, one the musicology, the study of Western music history and the other the ethnomusicology, the study of world music. While these two disciplines have independently grown, each producing appropriate theories and methods some of which sometimes exclusive each other, they together contribute to expand the horizon of musical knowledge consistently. Recently these two disciplines show various attempts to unite on the premise that it's necessary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Many graduate universities in USA began to recruit prospective students under an integrated category, titles as such as musicology/ethnomusicology. Comparing to the Western musicology with 100 years' worth of scholastic achievements, Korean musicology has a very poor constitution with the history of 30 years. Under the Korean musicology, there developed two disciplines, one Korean musicology, the study of Korean Music, and the other, Western musicology, the study of Western music history. This dichotomized division appears as similar situation. Scrutinizing it with critical eyes, the such dichotomy as the western and the Korean leaves out in result the great portion of the world, such as Asia, Africa, and the, so-called, New World. Such an ill-balanced system has a problem of not having humanistic disciplinary basics. While Korean musicologists have been struggling to build their scholastic identities through establishing learned societies and academic journal publications, they have not been able to penetrate into the performance oriented setups in universities. Korean musicologists who work painstakingly hard under such poor surrounding, in addition, have to face the stress of producing not only the creative but also th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results. This situation let us to ask such humanistic question what should the musicology be to us. “한국의 음악학, 또 한 번의 진단”은 한국의 음악학 진단이 음악학자들 간에 꾸준히 자주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여기서는 본질적으로 한국의 음악학이 인문학인가를 묻는 글이라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이 글은 한국의 음악학이 서양 음악학의 성장과 유리될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두가지 방향에서의 논의를 즉 서양의 음악학과 한국의 음악학의 논의로 전개한다. 서양에서 확립된 음악학의 학문적 정체성이 논의된 후 이 글은 서양 음악학의 학문적 집적을 크게 서양음악사와 종족음악학이라는 두 줄기의 형성으로 보면서 그 흐름을 논의하였다. 서양예술음악의 역사를 다루는 서양음악사학과 세계음악을 다루는 종족음악학은 서로 다른 핵심연구분야들을 개척하면서 적절한 방법론을 발전시켰다. 두 분야는 많은 그러나 가끔 서로 배타적이기도 한 개념들을 생성하기도 하였지만 인간이 하는 음악에 대한 지평을 지속적으로 넓혀왔다. 최근에 와서 이 두 학문은 다시 만나 통함의 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자 갖는 한계를 넘어서려는 현상이 실제 대학, 특히 미국의 대학의 학위프로그램에서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갖는 서양 음악학에 비할 수 없이 짧은 30년 정도의 기간에 한국에서 전개된 음악학은 서양의 경우처럼 이분법적이지만 그 분류 유형이 다른, 서양음악학과 국악학으로 갈린다. 서양음악과 국악이라는 한국의 이분법은 여러 면에서 서양과 대비된다. 한국에는 서양음악을 자신의 음악으로 인지하는 사대주의적 현상이 있으며 이에 대해 상당히 국수적인 대응으로 국악을 중시하는 현상이 대비되는 형태로 이분화되어 있어서 이 두가지 주요흐름을 배경으로 음악학도 배타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무엇보다도 한국 음악학의 이분법은 서양의 경우와 달리 서양과 한국 이외의 음악은 모두 제외된다는 점에서 인문학적 균형을 갖지 못한다. 한국에서의 음악학은 학회활동과 학술지 발간을 통해서 정체성을 미약하나마 드러내고 있긴 하나 여전히 실기 위주의 음악대학에 전공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약한 기반에서도 학자들의 활동은 치열하지만, 창의적 수준의 작업과 국제적 수준의 작업이라는 도전에는 크게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 현실은 결국 우리에게 음악학은 무엇이어야 하는가라는 인문학적 질문을 던지게 한다.

      • KCI등재

        한국의 음악학, 또 한 번의 진단

        박미경 ( Mi Kyung Park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石堂論叢 Vol.0 No.43

        한국의 음악학, 또 한 번의 진단은 한국의 음악학 진단이 음악학자들 간에 꾸준히 자주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여기서는 본질적으로 한국의 음악학이 인문학인가를 묻는 글이라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이 글은 한국의 음악학이 서양 음악학의 성장과 유리될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두가지 방향에서의 논의를 즉 서양의 음악학과 한국의 음악학의 논의로 전개한다. 서양에서 확립된 음악학의 학문적 정체성이 논의된 후 이 글은 서양 음악학의 학문적 집적을 크게 서양음악사와 종족음악학이라는 두 줄기의 형성으로 보면서 그 흐름을 논의하였다. 서양예술음악의 역사를 다루는 서양음악사학과 세계음악을 다루는 종족음악학은 서로 다른 핵심연구분야들을 개척하면서 적절한 방법론을 발전시켰다. 두 분야는 많은 그러나 가끔 서로 배타적이기도 한 개념들을 생성하기도 하였지만 인간이 하는 음악에 대한 지평을 지속적으로 넓혀왔다. 최근에 와서 이 두 학문은 다시 만나 통함의 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자 갖는 한계를 넘어서려는 현상이 실제 대학, 특히 미국의 대학의 학위프로그램에서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갖는 서양 음악학에 비할 수 없이 짧은 30년 정도의 기간에 한국에서 전개된 음악학은 서양의 경우처럼 이분법적이지만 그 분류 유형이 다른, 서양음악학과 국악학으로 갈린다. 서양음악과 국악이라는 한국의 이분법은 여러 면에서 서양과 대비된다. 한국에는 서양음악을 자신의 음악으로 인지하는 사대주의적 현상이 있으며 이에 대해 상당히 국수적인 대응으로 국악을 중시하는 현상이 대비되는 형태로 이분화되어 있어서 이 두가지 주요흐름을 배경으로 음악학도 배타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무엇보다도 한국 음악학의 이분법은 서양의 경우와 달리 서양과 한국 이외의 음악은 모두 제외된다는 점에서 인문학적 균형을 갖지 못한다. 한국에서의 음악학은 학회활동과 학술지 발간을 통해서 정체성을 미약하나마 드러내고 있긴 하나 여전히 실기 위주의 음악대학에 전공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약한 기반에서도 학자들의 활동은 치열하지만, 창의적 수준의 작업과 국제적 수준의 작업이라는 도전에는 크게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 현실은 결국 우리에게 음악학은 무엇이어야 하는가라는 인문학적 질문을 던지게 한다. Critical Review on Musicology in Korea: A Renewed Attempt starts with a statement that similar review should be carried regularly and constantly among Korean musicologists and with the question whether Korean musicology is a humanistic discipline. It continues that since the Korean musicology cannot separate it from the scholastic history and achievement of Western musicology, this paper deals the subject in two directions, that is, Western musicology and Korean musicology. After the discussion on the scholastic identity of musicology in the West, this paper reviews its main stream as two-fold direction, one the musicology, the study of Western music history and the other the ethnomusicology, the study of world music. While these two disciplines have independently grown, each producing appropriate theories and methods some of which sometimes exclusive each other, they together contribute to expand the horizon of musical knowledge consistently. Recently these two disciplines show various attempts to unite on the premise that it`s necessary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Many graduate universities in USA began to recruit prospective students under an integrated category, titles as such as musicology/ethnomusicology. Comparing to the Western musicology with 100 years` worth of scholastic achievements, Korean musicology has a very poor constitution with the history of 30 years. Under the Korean musicology, there developed two disciplines, one Korean musicology, the study of Korean Music, and the other, Western musicology, the study of Western music history. This dichotomized division appears as similar situation. Scrutinizing it with critical eyes, the such dichotomy as the western and the Korean leaves out in result the great portion of the world, such as Asia, Africa, and the, so-called, New World. Such an ill-balanced system has a problem of not having humanistic disciplinary basics. While Korean musicologists have been struggling to build their scholastic identities through establishing learned societies and academic journal publications, they have not been able to penetrate into the performance oriented setups in universities. Korean musicologists who work painstakingly hard under such poor surrounding, in addition, have to face the stress of producing not only the creative but also th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results. This situation let us to ask such humanistic question what should the musicology be to us.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우리 음악연구의 국제적 소통을 지향하며: 종족음악학의 연구 성향과 동향 논의

        박미경 한국음악사학회 2010 한국음악사학보 Vol.44 No.-

        이 글은 미국에서 주로 성장한 종족음악학(ethnomusicology)의 성향과 동향을 논의하고 그 결과를 우리의 입장에서 재조명하면서 한국음악의 연구현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논하는 글이다. 그 전제적인 논의로 학문의 세계화를 외면할 수 없는 시기에 사는 우리에게 국제적 소통을 지향해야 하는 당위성을 환기시키고, 그 효과적 성취를 위한 한 가지 대안으로 종족음악학의 벤치마킹을 주장하는 글이다. 종족음악학은 방법론의 학문이다. 종족음악학의 가장 독특한 성향은 서양예술음악연구의 확립된 전통에서 독자적 학문성을 부각시킬 만큼의 차별화된 방법론을 추구해야 했던 그 태생적 환경에서 비롯되었다. 이 글에서 선도 종족음악학자인, 네틀(Bruno Nettl)과 웨이드(Bonnie Wade)가 자가진단한 글을 분석해서 1970년 이후 학문적 흐름을 조망하였다. 종족음악학의 동향을 진단한 이 두 논문의 분석 카테고리를 보면 새로운 연구방법론뿐만 아니라, 새로운 연구영역, 새로운 연구대상과 학문의 연구태도와 이념, 자기정체성의 끊임없는 질문, 그 외 여러 가지 다양한 측면을 드러낸다. 특히 종족음악학의 동향진단을 각론으로 항목화한 25개를 제시한 웨이드가 각각에서 관찰한 측면들을 크게 구분해보면 1) 학문과 2) 연구대상 그리고 3) 방법론 세 가지로 묶을 수 있다. 그녀는 그 학문의 정체성과 결과물 축적, 그리고 사회에서의 인정과 위치 등과 관련하여 항목화하였고, 연구대상과 관련해서는 거의가 그 성격과 정체성에 있어서 명료화와 구체화를 향한 움직임을 항목화하였다. 또 방법론의 변화로는 접근법, 조망점, 관점, 초점, 자료수집과 현장연구법, 분석과 기술, 서술방법 등에서 일어난 것으로 제시하였다. 종족음악학의 발전적 흐름은 그러므로 연구 안된 무엇(대상)을 찾는 것만이 아니라 새로운 접근법과 방법론의 지속적 변화를 통한 기존 학문적 지식을 정제하고 확장하는 것까지 이어졌다. 그러한 방향에서의 발전은 선행연구에 대한 철저한 비판 하에서 생성된 문제의식을 도출하고 그 해결을 제시하는 도구인 논문을 통해서 창출된 집적만이 가능하였다. 우리의 학문이 국제적 소통을 지향하려면 종족음악학의 학문적 집적물을 공유하면서, 이러한 소통의 증진을 위한 도구인 논문기재를 세련화시켜 우리 학문환경에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국제적으로도 승부해야만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its and trends of ethnomusicology and using the result sheds the new light on our current state of research. As prior issues, it discusses our urgent need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in this global age, and insists that to accomplish it successively we must benchmark the discipline of ethnomusicology. Ethnomusicology is the discipline of method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traits of ethnomusicology was strengthened by the very necessity to differentiate from historical musicology in terms of methods. This paper analyses the two articles written by the leading American ethnomusicologists, Bruno Nettl and Bonnie Wade, who critically reviewed 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discipline since 1960. The research trends dealt in the two articles pertained following analytical categories: new methods, newly found areas or objects, new attitudes and ideals, and even the social, intellectual,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so forth. The 25 lists of direction they moved from earlier trends can be categorized into following three parameters 1) disciplines 2) research objects, and 3) methodologies. She itemizes the identity of the discipline and its academic accumulation, and social recognition and position, and in terms of research object various efforts toward the concrete shap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substance. As methodological shifts, she numerates the standpoints, approaches, foci, as well as the appropriate skills in various stages of research. The developmental flow of ethnomusicology thus shows that it has pursued not simply have-not-dealt objects but constantly refining the previously dealt materials and concepts extending the disciplinary knowledge through new approaches and methods. Such development has been contrived only through the academic thesis faithfully dealing with an original issue with its appropriate resolution. In order for us to aim for global communication, we need to share all the scholastic accumulation of ethnomusicology, and by refining the thesis tool and its application into our scholarship to compete in the international scholarly world.

      • KCI등재

        음악학의 21세기 전개: 각성과 도전을 통한 혁신적 변화의 양상들

        박미경 세계음악학회 2019 음악과 문화 Vol.0 No.40

        This paper asks what is happening in musicology in the 21st century. It is no different than asking how the flow of innovation – the shift of the paradigm based on philosophy and science around the 21st century, the fourth revolution of economy, capital and knowledge - is emerging in musicology. Since 1885, when musicology first entered the European academic world, it had formed a knowledge base of those days, over which the 150 years of activities of scholars have been accumulated. Musicological scholarship has developed eventually into a dichotomized system of disciplines: one is historical musicology focusing on the historical flow of Western art music and the other is ethnomusicology, covering stylistically heterogeneous non-Western music, thus having been struggling to search for common method to deal with all. The system maintained so long as such that, two disciplines became compartmentalized without any common ground competing for hegemonic power. With the reflection, retrospection, and critical discussions on this situation, 21st century musicologists are now setting new disciplinary goals with the spirit of the age of global society seeking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processing accumulated compartmental knowledge. Recognizing the huge gap in the accomplished knowledge, the 21st century musicologists are attempting to crossover the disciplinary boundary. They are also explores research that is relevant to the new age, mobilizes new methods and technologies, and connects and collaborates while working. This innovation movement in 21st century musicology is now calling for a new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for musicologists.

      • KCI등재

        Kognitive Musikwissenschaft: naturalisierte Erforschung musikalischen Geistes

        ( Uwe Seifert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04 音樂論壇 Vol.18 No.-

        In dem vorliegenden Artikel wird ein geisteswissenschaftliches Forschungsprogramm am Beispiel der Kognitiven Musikwissenschaft entworfen, das F or schungsergebnisse, Grundannahmen und Forschungsmethode der Kognitions- und Neurowissenschaften integriert. Als Konsequenz werden Forschungsziele und -fragen musikwissenschaftlicher Forschung, die als Kognitive Musikwissenschaft innerhalb des kognitionswissenschaftlichen Forschungsrahmens erfolgt, reformuliert bzw. neu bestimmt. Dabei wird folgendermaPen vorgegangen. Zunachst wird das Eindringen der Kognitions- und N eur owissenschaf ten in traditionell geisteswissenschaftliche Forschungsbereiche diskutiert. Dann werden Grundannahmen und Methodologie der Kognitionswissenschaft vorgestellt. Da derzeit in den geisteswissenschaftlichen Disziplinen ein kulturwissenschaftliches bzw. medienkulturwissenschaftliches Selbstverstandnis vorherrscht, wird gezeigt, dass sich Musikforschung auch heute noch als Geisteswissenschaft bestimmen lasst. Die geisteswissenschaftliche Musikforschung wird in einem nachsten Schritt in das kognitionswissenschaftliche Paradigma eingebettet. Daraus resultiert dann die Gliederung der Kognitiven Musikwissenschaft in Theoretische Musikologie, Psycho- und Neuromusikologie. Abschlie(3end werden liberlegungen angesprochen, dies es ermoglichen konnten, den vorwiegend individualpsychologisch ausgerichteten Forschungsansatz des kognitionswissenschaftlichen Forschungsrahmens, mit kulturell-historischen Forschungen der Musikethnologie und Historischen Musikwissenschaft zu verbinden, um die Kognitive Musikwissenschaft zu einer zeitgemafen Interpretationswissenschaft zu entwickeln.

      • KCI등재후보

        음악으로 학문하기: 지금 여기에서의 모습

        박미경 한국음악학학회 2007 음악학 Vol.14 No.-

        What is musicology? Are we also 'doing' musicology in Korea? If the musicology is originated in Western world, what is its identity? If we imported the Western discipline to our academic society, does our scholarship exist here and now? How and through what phenomena can we know that any one scholarship exist in one society? If our musicology has a future, what are immediate problems we are to face? These questions attempted I to answer in this paper. Musicological study in Korea has been dichotomized into musicology of Western music history, and musicolog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means that many areas, such as studies of popular music and world musics, are unestablished as subdisciplines of music study yet. It also means that we academics are failing to reflect the drastically changing reality and are seriously retarded in theorizing the present here. Such an unbalanced and lacunal environment mainly has been due to our performance-oriented college education, making any scholastic activities merely subsidiary and even unnecessary. Similarly in this article were the current status of major subdisciplines of musicology in Korea reviewed and problems that Korean musicologists face now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