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체중부하 상태의 족관절 검사시 양측 족관절 동시 검사와 편측 족관절 검사의 방사선학적 비교

        차상영(Sangyoung Cha),신재한(Jaehan Shin),최남길(Namgil Choi)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8

        체중부하 상태에서의 족관절 검사 시 양측 족관절을 동시 촬영 했을 때와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각각 촬 영 했을 때, 족관절염의 평가에 해당되는 측정값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양측을 동시촬영 할 때, 다리를 모아 촬영하게 됨으로 Tibia axis축이 기울게 되고, 족관절의 external rotation으로 인해 족관절의 각도와 joint space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과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한 영상을 PACS system 이용하여 족관절 평가에 이용되는 TAS, TT, TMM, JSW, Tibiotalar joint, Fibulotalar joint의 측 정값을 구한 후 통계 분석 하였다. 각도 측정에 있어, 체중부하 양측 족관절 동시 촬영한 검사의 오른쪽 족 관절의 TAS, TT, TMM 측정값은 87.24°, 6.44°, 26.67° 이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의 TA S, TT, TMM은 88.93°, 2.41°, 19.77° 였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의 왼쪽 족관절 TAS, TT, TMM의 측정값은 87.25°, 5.71°, 23.92° 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왼쪽 족관절의 TAS, TT, TMM은 88.75°, 3.19°, 21.45° 였 다. 양측 족관절을 동시촬영한 검사와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족관절과의 비교 시, 양측을 동시 촬영한 검사 에서 족관절 평가의 중증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왜곡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너비 측정에서 JSW, Tibiotalar joint는 검사 자세로 인한 측정값들 간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Fibulotalar joint 의 양측 족관절 동시 검사에서 오른쪽 0.98mm 왼쪽 1.22mm 로 나타났고, 한쪽씩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에 서는 1.6mm 왼쪽 1.22mm로 측정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족관절염 평가를 위 한 체중부하 족관절 검사시 양측을 동시에 검사하기 보다는 각각의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하는 것이 족관 절염 평가값에 왜곡을 최소화 하며,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radiologic parameters compared both leg weight bearing position to single leg weight bearing position in ankle osteoarthritis. Between January 2016 and June 2016, 25 patients (50 ankles) who visited our Hospital to treat ankle pain. In radiographic assessment, We masured tibial anterior surface angle(TAS), tibial medial malleolar angle(TMM), talar tilting angle(TT), joint space width(JSW), tibiotalar joint space, fibulotalar joint space of ankle as radiologic parameters. On the right leg of the both leg weight bearing position, TAS was 87.24°, TT was 6.44°, TMM was 26.76°, fibulotalar joint space was 0.98mm. Right leg of the single leg weight bearing position, TAS was 88.93°, TT was 2.41°, TMM was 19.77°, fibulotalar joint space was 1.6mm. And then, on the left leg of the both leg weight bearing position, TAS was 87.25°, TT was 5.71°, TMM was 23.92°, fibulotalar joint space was 1.22 mm and left leg of the single weight bearing position, TAS was 88.75, TT was 3.19°, TMM 21.45°, fibulotalar joint space was 1.22 mm. There are unsimilarity between measure values of TAS and tibiotalar joint space. As the result of test of weight bearing ankle study, it would be more exact to examine to measure one side in the first time rather than both to conclude on accurate measurement.

      • KCI등재

        족관절 염좌의 보존적 치료

        김학준(Hak J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족관절 염좌는 족관절 스포츠 손상 중에서 가장 흔한 손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외측 족관절 염좌가 족관절 전체 염좌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급성 외측 족관절 염좌의 치료는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다. 수상 후 처음 1-2주는 급성기로 통증 및 부종 감소를 위한 protection, rest, ice, compression, and elevation (PRICE) 요법을 이용하고, 두 번째 단계는 등자형 보조기를 이용하여 족관절 외측 인대의 고정을 하고 관절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며, 세 번째 단계로는 관절의 운동 범위를 증가시키고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시행한다. 이러한 적절한 방법으로 급성 외측 족관절 염좌를 치료하면 만성 외측 족관절 불안정성으로의 이행을 방지할 수 있다. 만성 외측 족관절 불안정성의 경우는 기능적 불안정성과 해부학적 불안정성으로 구분되는데 수술적인 치료를 이전에 고유수용감각 향상 및 비골건 강화를 위한 기능적 운동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조기에 기능적인 운동 치료는 급성 족관절 외측 염좌 후에 족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족관절 염좌의 반복을 예방할 수 있으며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인한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Ankle sprains are the most common sports related lower extremity injuries. Lateral ankle sprains are most common in ankle sprains. The staged treatment is recommended for the acute lateral ankle sprain. First treatment for acute ankle sprains focuses on control of pain and swelling: protection, rest, ice, compression, and elevation (PRICE) is a well-established protocol for treatment of acute ankle injury. The second phase of treatment is allowed ankle range of motion (ROM) with stirrup brace and the third phase is the exercises which increase ROM and muscle strength around the ankle joint. Adequate treatment for acute lateral ankle sprai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The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ies have two categories: function instability and anatomical instability. Functional exercise for improving proprioception and strength of peroneal muscle is the first line treatment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ies instead of early surgery. Early functional exercises could improve the ankle function, protect the repeated ankle after acute lateral ankle sprain, and improve the symptoms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ies.

      • KCI등재

        경골 간부 골절과 동반되는 족관절부 골절

        김지완 ( Ji Wan Kim ),최홍준 ( Hong Joon Choi ),이동현 ( Dong Hyun Lee ),김영창 ( Young Cha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2

        목적: 경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족관절 손상의 발생 빈도와 형태를 파악하고 족관절 손상에 영향을 주는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간부 골절 6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족관절 손상의 빈도 및 종류를 알아보았다. 골절 분류, 골절 위치, 골절 형태에 대한 조사를 하여 족관절 손상과 관련있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족관절 손상이 있는 예는 20예(33%)였고, 외과 골절 4예, 후과 골절 4예, 경비인대 견열골절 2예, 복합 손상 10예였다. 족관절 손상이 있던 20예 중 14예(70%)는 방사선 사진에서, 나머지 6예(30%)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진단하였다. 족관절 손상은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45.1%의 높은 빈도를 보였고, A형에서 41.4%의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지 않았다. 경골 간부 골절 형태가 나선형 골절에서 족관절 손상은 54%에서 관찰되었고, 비나선형 골절 형태 19%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발생하였다. 결론: 경골 간부 골절에서 족관절 손상은 33%에서 발생하였으나 이 중 방사선 사진에서 70%에서만 진단할 수 있었다. 나선형 형태의 골절 양상에서 족관절 손상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므로 이러한 경우 전산화 단층촬영을 실시하여 족관절 손상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ankle injury in ipsilateral tibial shaft fractures and to assess the risk factors for ankle injury associat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ith tibial shaft fractures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ankle injury were evaluated, and fracture classification, fracture site, and fracture pattern of the tibial shaft fractures were analyzed for assessment of the risk factors for ankle injury combined with tibial shaft fractures.Results: Ankle injury occurred in 20 cases (33%). There were four cases of lateral malleolar fracture, four cases of posterior malleolar fracture, two cases of distal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and 10 cases of complex injury. Fourteen cases (70%) of 20 cases of ankle injury were diagnosed from x-ray films, and the other six cases were recognized in ankle computed tomography (CT). Ankle injury occurred in 45.1% of distal tibial shaft fractures and found in 41.4% of A typ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kle injury was observed in 54% of cases of spiral pattern of tibial shaft fracture and the incidenc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19% of cases of non-spiral pattern tibial shaft fracture.Conclusion: Ankle injury was observed in 33% of tibial shaft fractures; however, only 70% could be diagnosed by x-ray. Ankle injury occurred frequently in cases of spiral pattern of tibial shaft fracture, and evaluation of ankle injury with CT is recommended in these cases.

      • KCI등재

        혈우병성 족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의 단기 추시 결과

        이재훈(Jae Hoon Lee),정덕환(Duke-Whan Chung),김동희(Dong H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목적: 혈우병성 족관절염을 가진 환자에서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하여 수술 전, 후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혈우병성 족관절염 환자로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받은 총 33명, 35예의 족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2년 6개월로 술 전, 후의 족관절 운동범위, 출혈 빈도, 투여한 항혈우병 인자 양, 미국 족부족관절학회 족관절 및 후족부 점수(미국족관절학회 점수), 주관적 평가 및 방사선학적 분류를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범위는 술 전 족배굴곡 평균 10.1°, 족저굴곡 평균 30.1°였으며 최종 추시 시 각각 11.3°, 28.2°였다(p>0.05). 출혈 빈도는 술 전 평균 4.1회/개월, 술 후 0.6회/개월(p<0.05), 투여한 항혈우병 인자 양은 술 전 평균 5,320 units/개월, 술 후 4,568 units/개월로 감소하였다(p>0.05). 미국족관절학회 점수는 79.8점에서 최종 추시 시 90.0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관절경적 활액막 제거술은 반복적인 출혈을 호소하는 혈우병성 족관절염 환자에서 합병증이 적고 접근하기 쉬운 술식으로 술후 출혈빈도 감소 및 환자의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다. Purpose: This study reports on the results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 of arthroscopic synovectomy in hemophilic ankle arthropath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6 and December 2008, arthroscopic synovectomy was performed on 35 ankle joints in 33 patients with hemophilic ankle arthropath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The range of motion of joint and frequency of intra-articular bleeding and factor dose were evaluated for this stud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 and hind foot scor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used for clinical assessment. Arnolf and Hilgartner classification was used for radiological assessment. Results: The mean dorsiflexion and plantar flexion were 10.1°, 30.1°, respectively, at preoperation and 11.3°, 28.2°, respectively on the final day of follow-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motion. The mean frequency of hemarthrosis decreased significantly to 0.6 times per month postoperative (p<0.05). The mean amount of factor replacement decreased from 5,320 units/mo preoperative to 4,568 units/mo postoperative with no significance difference. AOFAS ankle and hind foot score was improved to 90 points postoperative with significance. On radiologic evaluation, 33 cas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while two cases had progressed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Arthroscopic synovectomy for recurrent hemarthrosis in hemophilic ankle arthropathy is a useful method for familiar procedure, decreasing bleeding episod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 족관절의 골-연골성 골극증 - 족관절 전방 충돌 증후군 -

        이승구,우영균,송석환,권순용,이화성,정진화,오재찬,Rhee Seung-Koo,Woo Young-Kyun,Song Seok-Whan,Kwon Soon-Yong,Lee Wha-Sung,Chung Jin-Wha,Oh Jae-Ch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 No.1

        목적 : 중년기이후의남성에서, 경골 원위 관절면의 전방이나, 거골경부의배부, 또는거골과경골의원위부관절면양측에골극이발생하여족관절배굴장애와통증을호소하는소위,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족관절전방부위골-연골성골극증)의수술경과및방사선학적검사상골극발생부위의특이성을알아보고자한다. 대상및방법 : 1994년3월부터2001년3월까지본대학부속성모병원정형외과에서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으로진단되어수술가료한14명17족관절(양측3예)를대상으로하였다. 14명17족관절(양측이환3예)중우측이13예, 좌측이4예였고, 14명모두남자였고, 평균연령은47세였다. 명백한족관절외상력은없었으나, 족관절통증(특히배굴시)과쪼그려앉기장애가주소로서평균15개월(4개월$\~$3년11개월) 이상증상이계속되었고, 특별한운동기왕력은없었다. 수술전X-선, 배굴및척굴위측방X-선, CT그리고, 술후X-선과임상과정을최단18주에서최장26개월(평균13개월)까지추적하였다. 결과 : 족관절측부X-선상거골골극이10예로가장많았고, 경골골극이5예(유리골편2례), 그리고거골과경골양측골극형성이2예였다. 14예는족관절전측방도달법을이용하여골극및유리골편을절제하였고, 나머지3예는관절경을이용하였다. 술 후 2주경부터는일상생활보행을허용하였으며, 수술후평균13개월추적조사에서골극이나충돌증후군의재발은없었다. 결론: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은운동량이많은중년기남자에빈발하며, 거골경부전방의골극형성이주요원인이었다. 족관절배굴및척굴X-선및CT가진단에도움이되며수술적으로골극을제거하여치료할수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eochondral ridges of talus a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analyzed their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adiologic and CT findings and post-operative results in 17 ankle joints of 14 patients (bilateral in 3), followed them for average 13 months after surgical excision. Results : No definite trauma, but mostly in male after middle age. Their chief complaints are pain on ankle, especially in dorsiflexion or squatting position, and symptom durations are very long, more than average 15 months. Definite diagnosis was made by lateral radiograms of ankle joint. Osteochondral ridges are common in talar neck (10 cases), tibia (4 cases) and both side (3 cases). After excision of osteophytes, all patients gained normal ankle without pain and any limited motion. Conclusions :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s are common in middle aged male, but no definite correlation with sports. Plantar and dorsiflexed lateral radiographs are helpful in definite diagnosis for impingement, and surgical excision is best for treatment.

      • KCI등재

        족관절 염좌: 역학, 해부학 및 손상 기전

        성기선(Ki-Sun S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족관절의 염좌는 근골격계 손상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이들 중에 절반 가까이는 스포츠 활동과 관련 있다. 발생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염좌 후 약 40% 내외의 환자에서 통증과 재발성 염좌 등의 잔존 증상이 남는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적절한 초기치료와 재발의 예방 조치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족관절의 안정성은 골구조와 인대에 의해 유지되는데, 부하가 없는 족저굴곡 상태에서는 전방 거비인대가 거골의 내회전 및 내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일차적으로 수행하고, 부하가 가해진 중립 또는 족배굴곡 상태에서는 족관절의 골구조 자체와 종비인대가 거골의 내전을 제한하게 된다. 족관절의 외측 염좌는 대부분 족관절이 족저굴곡-내번 상태에서 발생하는데, 전방 거비인대의 단독 손상이 가장 흔하며, 전방 거비인대 및 종비인대의 복합 손상이 다음으로 흔하다. 인대손상은 파열 정도와 임상 양상에 따라 3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염좌와 동반될 수 있는 손상으로는 비골 건 파열, 족관절의 골연골 골절, 내측 인대 손상, 경비인대결합 손상 및 족관절 주위 신경의 견인 손상이 있다. Ankle sprain is one of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injuries, nearly half of all ankle sprains occur during athletic activity. With a high incidence, as many as 40% of patients may experience residual discomfort including pain and instability,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proper treatment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prevention. The stability of the ankle joint is maintained by both bony structure and ligamentous complex.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s the primary restraint of internal rotation and adduction of the talus with the ankle joint unloaded, while both bony mortise structure and calcaneofibular ligament restrict adduction of the talus with the ankle joint loaded. Plantar flexion and inversion is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ankle sprains, which lead to injury of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followed by calcaneofibular ligament. Ligament inju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grades based on the extent of rupture and the severity of clinical features. Associated injuries with lateral ankle sprain include peroneus tendon rupture, osteochondral fracture, deltoid ligament injury, syndesmosis injury, and nerve traction injuries.

      • KCI등재

        Mobility 족관절 치환물을 이용한 족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

        정홍근(Hong-Geun Jung),이동오(Dong-Oh Lee),이상헌(Sang-Hun Lee),엄준상(Joon-Sang Eo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목적: 최근 인공관절 치환술은 고무적인 임상 결과로 고정술을 대신해 말기 족관절염의 수술적 치료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Mobility 치환물을 이용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단기 추시 결과 및 동반 수술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말기 족관절염 환자에 대해 Mobility 치환물을 이용한 족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40예,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8개월이었고 수술 시 평균 연령은 63.7세였다. 26예(65%)는 외상 후 관절염이었다. 동반 시행한 술기 및 수술 전, 후 visual analogue scale (VAS) 동통 점수,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기능 평가, 방사선학적 계측과 환자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VAS 동통 점수는 술 전 7.7점에서 2.8점으로 감소하였고, AOFAS 점수는 술 전 46.8점에서 82.4점으로 향상되었다. 만족도는 81%에서 만족 이상이었다. 21예에서 동반 수술을 시행하였고 합병증이 28예, 그 중 12예에서 재수술을 시행였하다. 결론: 본 연구로 족관절 전치환술에 대한 단기 추시상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상당한 경우에서 보조적 동반 수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보다 많은 증례에 대한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Recently, minimally constrained 3-component total ankle systems have been often performed to address painful ankle arthritis. We report early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 of the total ankle arthroplasty with Mobility system for end-stage ankle 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 Total ankle arthroplasty was performed with Mobility total ankle system in 40 ankles (39 patients) from November 2008 to January 2013. The mean age at surgery was 63.7 years (range, 50-78 year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20.8 months (range, 12-56 months). The primary etiology for ankle arthritis was post-traumatic arthritis (26 ankles, 65%). The outcome was assessed based on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function score, patient satisfaction and radiographic measurement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VAS pain score from an initial average of 7.7 points (range, 5-10 points) to 2.8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range, 0-7) (p<0.05). The mean AOFAS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from 46.8 (range, 15-68) preoperatively to postoperatively 82.4 (range, 63-100) (p<0.05). Eighty-one percent of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Combined surgeries, such as Achilles tendon percutaneous lengthening, were performed in twenty-one cases of 40 ankles. Conclusion: The current short term results of Mobility total ankle arthroplasty showed a quite favorable functional and radiographical outcome with few major complications. However, the long term follow-up study with larger number of cases is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족관절 외측 인대 불안정증에 대한 동종 반건양건과 간섭 나사를 이용한 해부학적 재건술

        정홍근(Hong-Geun Jung),박재용(Jae-Yong Park),배의정(Eui-Jung Bae),김태훈(Tae-H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1

        목적: 족관절 외측 인대 불안정증에 대해 동종 빈건양건과 간섭나사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재건술을 시행한 후 단기 추시 결과를 예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관절 외측인대 불안정증 진단 하에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본원에서 동종 반건양건과 간섭나사를 이용하여 전방거비인대 및 종비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술을 시행한 12족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1명, 11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12-22)이었고, 평균 연령은 25.9세(19-57)이었으며, 술 전 재발성 염좌 기간은 평균 31.4개월(2-120)이었다. 평균 두께 4.0㎜ (3.5-4.5)의 동종 반건양건을 사용하였으며, 거골과 종골의 건 고정에는 간섭나사를 사용하였다. 수술 전후의 VAS 통증 지수와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족관절-후족부 기능 점수 및 Karlsson-Peterson 족관절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수술 전 후 스트레스 검사상 거골 경사각 및 전방 전위 정도를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VAS 통증 점수는 술 전 평균 6.0점(3-8점)에서 술 후 1.1점(0-4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AOFPS 점수 또한 술 전 70.4점(41-84점)에서 술 후 90.4점(85-100점)으로, Karlsson-Peterson 족관절 점수는 54.6점(32-77점)에서 술 후 92.4점(85-100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수술에 대해 82%의 환자가 만족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내반 스트레스시 거골 경사각은 술 전 15.7°(10.2-25.0°)에서 3.2°(0.3-13.0°)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술 후 직업 복귀에는 평균 3.7개월이 소요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동종 반건양건과 간섭나사를 이용한 해부학적 외측 인대 재건술은 육체적 활동량이 많거나 심한 족관절 외측 인대 불안정증에 대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of the anatomic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instability using the semitendinosus allograft tendon and the interference screw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12 feet of lateral ankle instability that had been treated with anatomic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TFL) and calcaneofibular ligament (CFL) using the semitendinosus allograft tendon and the interference screws. The majority of patients were young and physically active. We evaluated the patients' VAS pain scores, AOFAS scores and Karlsson-Peterson ankle scores for the 11 feet involved with at least 12 months follow up, both pre- and postoperative. In addition, we evaluated patient satisfaction. We measured the talar tilt angles and the talar anterior translations from ankle stress views. Results: The average age at surgery was 25.9 years old (19-57 years); patients had symptoms of recurrent sprain for average 31.4 months before surgery.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For reconstruction, we used 4.0㎜ thick allograft semitendinosus tendon and interference screws. VAS pain scores decreased from 6.0 to 1.1 (p<0.05) and AOFAS scores improved from 70.4 to 90.4 postoperatively (p<005) Karlsson-Peterson ankl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546 to 92.4 (p<0.05). Radiographic talar tilt decreased from 15.7° to 3.2° postoperatively (p<0.05). Eighy-two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and the patients had returned to their jobs by 3. 7 months after surgery. Conclusion: Anatomic reconstruction of the ATFL and the CFL in the lateral ankle instability patients using the semitendinosus tendon and the interference screws is an ideal surgical option especially for young athletes with high grade instabilities.

      • 족관절 골절 치료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최창혁,권굉우,김신근,이상욱,신동규,엄동환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2

        목적 : 족관절 골절에 있어 초기 손상, 수술후 및 마지막 추시 관찰상 방사선학적인 양상에 따라 치료 후 임상적인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2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족관절골절중 상과 골절을 제외한 외과 및 양과 골절로서 수술적 치료를 한 58례중 1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초기 전위정도, 내과와 외과간의 높이 차이, 족관절 격자 너비, 거골 tilt, 관절 간격을 측정하여 술 후 및 추시 관찰상과 비교하였고, 이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 Olerud Moland ankle score에 따른 임상적 결과는 우수 16례(46%), 양호 9례(26%)의 결과를 보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양호 이상의 그룹에서는 초기 외측전이, 양과의 높이 차이, 족관절 격자의 측정치가 각각 1.64mm, 8.85mm, 0.49 였고, 보통이하 그룹에서는 1.5mm, 10.57mm, 0.48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 족관절 양과 골절 및 외과 골절의 수술적 치료시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결과와의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초기 양과 높이 차가 클수록 불량한 임상결과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며, 향후 더 많은 증례에 대한 장기 추시가 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result after surgical treatment of ankle fracture. We evaluate the radiologic features of initial,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 up ankle anteroposterior view. Materials and Methods : From Feb. 1997 to Jan. 2000, we operated 58 cases of ankle fractures involving bimalleolar and lateral malleolar area. 35 cases which were followed more than one year were enrolled into the study.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radiologic features such as lateral displacement, height difference between both malleoli, mortise width, talar tilt and joint space width. Results : According to Olerud Moland Ankle score, 16 cases(46%) had excellent result and 9 cases(26%) had good result. Radiologically the average initial lateral displacement, height difference, mortise width in the group which had good and excellent results were 1.64㎜, 8.85㎜, 0.49 and that in the group of fair and poor result were 1.5㎜, 10.57㎜, 0.48, respectively.(P>0.05) Conclusion :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result and radiologic features in the ankle bimalleolar and lateral malleolar fractures were not proved statistically. However, the tendency of affecting good clinical results which had malleolar height correction was seen.

      • KCI등재

        탈구된 후경골건에 의해 정복되지 않는 족관절 골절 탈구 - 증례 보고 -

        신승엽,김범수,이지원,윤의선 대한골절학회 2023 대한골절학회지 Vol.36 No.2

        An irreducible ankle dislocation is a rare injury. The cause is a dislocation of the distal fibula anteriorly or posteriorly or the insertion of soft tissue, such as the deltoid ligament or posteromedial tendon. The tibialis posterior tendon can be dislocated through distal tibiofibular diastasis and prevent reduction of the ankle joint. The authors experienced anterolateral ankle fracture dislocation with a diastasis of the distal tibiofibular joint, and reduction was impossible because of impingement of the tibialis posterior tendon dislocated anteriorly through the distal tibiofibular diastasis. This paper reports the treatment of this injury. 탈구된 족관절이 정복되지 않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으로는 원위 비골이 전방이나 후방으로 탈구된 경우, 삼각인대나 내과골 후내측으로 주행하는 건이 내측 관절 내로 삽입된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매우 드물게 후경골건이 내측이 아니라 외측의 원위 경비골 인대 결합 부위로 탈구된 뒤 족관절의 전방 부위를 지나 족부 내측으로 주행하여 족관절의 정복을 방해할 수 있다. 저자들은 족관절이 골절되며 전외측으로 탈구가 되면서 원위 경비골 관절 이개가 발생하였고 후방에 있던 후경골건이 원위 경비골 결합 부위를 지나 족관절 전방으로 탈구하여 족관절의 정복을 방해하였던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