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개입이 영아의 발달과 부모 및조기개입 시행자의 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조윤경,김수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rly intervention based on the main factors(family-centered intervention. natural environment, team approach). 12 infants and toddlers who were judged to be disability eligible, 12 their parents, and 12 early intervention practitioners from 5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early intervention implementation by comparing the evaluation tools of infants, parents, and early intervention practitioner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infant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parenting effica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nd parents' and early intervention's evaluation of family performance index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Third, the strengthening of the execution ability of the early intervention practitioner was evaluated to be increased. The directions of early intervention implementation on the main elements of early intervention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 적격성 판정을 받은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를 대상으로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에 근거한 조기개입 시행의 일 년간의 성과를 양적인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연계하여 조기개입을 시행하고 있는 통합어린이집 2곳, 장애아전문어린이집 2곳, 유아특수학교 1곳의 5개 기관의 장애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 각 12명 씩 총 36명이 참여하였다. 조기개입 시행 전(2017년 3월)과 일년 간 시행 후(2018년 2월)에 장애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 별 평가를 시행하고,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한 기술통계에 근거하여 조기개입 성과에 대한 다면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의 발달 측면에서 영아의 전반적 발달과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양육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가족성과지표에 대한 부모와 조기개입 시행자의 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셋째, 조기개입 시행자의 실행 역량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장애 영아와 부모, 조기개입 시행자 별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조기개입 관련 논의가 진행되었다.

      • KCI등재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의 시행 현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 : 5개 기관 유형 특수교사 면담을 중심으로

        조윤경,김수진,송영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implementation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toddlers by special educators' individual interviewing. Method: A total of five special educators who were working at five different types of early intervention institution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for transcription and analysed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12 themes and 55 sub-themes under three categories. Special educators replied that the diagnosis period was getting earlier, the number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toddlers were increasing, and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early intervention varied by types of facilities. The difficulties of functional assessment, IFSP implementation practices, family-centered approach, parents’ emotional problem and lack of parenting-role recognition, education opportunities of interventionist,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etc. were report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five desirable directions in establishing the implication frame of early intervention for special educators.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제공자인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시행 관련 현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찾아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제공기관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기관마다 특수교사 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총 5명의 특수교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은 질적 분석을 통해 3개의 범주 하에 총 12개의 주제와 55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 면담 내용 분석 결과, 첫째, 특수교사는 조기개입 대상 영아의 진단시기가 빨라지고, 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기개입의 내용과 방법은 각 기관유형별로 조금씩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가족기능 진단의 어려움, IFSP 실행지침의 부재, 가족중심 접근의 부족, 팀협력 체계 부족, 부모의 심리적 불안, 부모역할인식의 부족, IFSP 실행을 위한 전문지식과 사전교육의 부족, 제공인력의 부족, 다영역 전문가와의 협력의 부족 등을 조기개입에서의 주요 어려움으로 보고하였다. 셋째, 조기개입을 위해 부모심리정서지원, 가정 내 양육기술지원, 제공기관 확대, 제공자의 부모 지원 역량 강화, 현직연수, 조기개입 실행지침 제공, 다영역 전문가 배치, 가족중심 강화 등을 요구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가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의 효과적 수행하기 위해 시급히 실현되어야 하는 주요 다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발달지체 및 장애 영아 조기개입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혼합연구

        김예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22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2 No.-

        본 연구는 발달지체 및 장애 영아에게 조기개입 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교사 및 조기개입 서비스 전문가 60명을 대상으로 조기개입 서비스 제공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와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참여자의 특성, 조기개입 서비스 현황, 서비스 저해 요인에 대한 인식, 서비스 촉진 요인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여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온라인 설문조사 문항 결과를 토대로 인식의 다양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6명의 참여자를 무작위 선별하여 추가적인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본 혼합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개입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조기개입 서비스에 대한 교사 및 전문가의 인식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교사 및 조기개입 서비스 전문가들이 담당한 아동의 수에 따라서 조기개입 서비스 제공을 저해시키는 요인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조기개입 서비스 제공을 촉진시키는 요 인은 어떠한 변인에 의해서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조기개입 서비스 제공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와 관련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mixed method study analysis utilized online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o examine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provider perspectives on service delivery including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early intervention service across 60 professionals in South Korea. The online survey consists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early intervention service information, and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early intervention service delivery. We intentionally grouped the participants using the online survey data and randomly selected six participants to ensure the diversity of the providers’ perspectives for the follow-up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early intervention provider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varied across participants. Second, the number of child in the providers’ class or caseload may affect the providers’ perceived barriers to early intervention. Third, there was no variable that had effect on the providers’ perceived facilitators to early intervention. Recommendations and implications are provided to improve the early intervention system in South Korea,

      • KCI등재

        조기개입 실행 개선을 위한 어머니의 조기개입 경험 분석

        김수진(Kim, Soo-Jin),조윤경(Cho, Youn-Ky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영아 조기개입에 대한 어머니의 조기개입 실행 경험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장애 영아 조기개입이 진행되고 있는 유아특수학교,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3개 기관의 11명의 어머니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전사 면담 자료의 연속적 내용 분석을 통해 9개 주제 하에 38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조기개입 시행 전에 진단 과정과 서비스 시작, 양육의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조기개입 실행 과정에서 어려움도 있었지만 목표를 공유하며 가정 내 지도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 셋째, 조기개입을 통해 영아와 어머니 모두 일과 중에 참여와 상호작용이 늘어나게 되었고 장애 영아에 대한 가족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결론: 보고된 장애 영아 어머니의 조기개입 실행 관련 경험을 토대로 장애 영아와 부모에 대한 지원 요구를 반영한 조기개입 실행 방안 제언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other’s early intervention experiences on early intervention of infant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11 mothers at 3 different types of early intervention institutions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o b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9 themes and 38 sub-themes under 3 categories were led out. First, Mothers had difficulties in starting and caring diagnostic procedures before early intervention. Second, although there was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early intervention, it became possible to share goals and acquire strategies of teaching and interacting in the home. Third, through early intervention, both infants and mother’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increased during the day, and the family’s perception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changed positively.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early intervention implement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뇌손상으로 인한 장애위험영아의 Early Steps 조기 개입에 관한 사례연구

        김병건,박유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조기 개입 서비스가 뇌손상으로 인한 장애위험영아의 초기 뇌와 운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조기 개입에 대한 부모의 경험과 인식을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조기 개입 서비스 시스템 개발을 위한 논의를 확장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례연구의 대상은 출생 시 뇌손상으로 인해 ‘장애위험’으로 진단 받은 32개월 영아이며, 연구 자료로는 부모 심층면담 자료, 해당 영아의 의료와 조기 개입 보고서, 비개입 상담 자료가 수집ㆍ분석되었다. 분석된 자료는 아래의 세 주제로 보고하였다: (1) 뇌손상으로 인한 장애위험영아의 상태, (2) 뇌손상으로 인한 장애위험영아에 대한 조기 개입, (3) 조기 개입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경험. 특히, 지역 중심 조기 개입 기관인 Early Steps에서 제공하는 전문가-가족 연계 프로그램과 가정 내 활동을 통한 부모 교육이 조기 개입의 성공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또한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조기 개입 체계의 발전 방향 및 구체적 서비스 전달 체계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 한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 중심으로

        문소영,이소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o do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ndency of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y year and journal. The research conducted network analysis on the keywords that appeared in studies. Results First, 142 studies related to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ere published by 2022 since 1993.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ly,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fants and toddlers’, ‘disabilities’, ‘early intervention’, ‘developmental delays’, ‘young children’, ‘autism spectrum disorder’ in order of high frequency. The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developmental delay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group keywords having high connection centrality. This study’s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journals related to early interven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were examin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의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기개입 관련 검색어를 조합하여 검색 수집한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학술지에 발표된 시기별 및 학술지별 경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선정된 논문에서 제시한 주제어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3년부터 2022년까지 총 142편의 조기개입 관련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학술지는 유아특수교육연구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학술지에서 조기개입 관련 키워드는 ‘영아’, ‘장애’, ‘조기개입’, ‘발달지체’, ‘영유아’, ‘지원’, ‘자폐범주성장애’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키워드 중심성 분석 결과 조기개입 관련 주요 연구 주제는 ‘발달지체’, ‘자폐범주성장애’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거시적 관점에서 연구 주제어 관계를 나타내 보았음에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가 다양한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이고, 다 학문 분야 간의 협력을 위한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관 자문 중심 조기개입 참여 특수교사의 실행 내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

        조윤경,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contents, difficulties and the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at the early intervention via consultation. Method: Th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6 special teachers were conducted. Results: The 9 categories and 31 sub-themes were derived through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Special teachers were carrying out routine, family, and team-based approach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is the main element of early intervention via consultation. The difficulties of early intervention related to institutions, famil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cussed. Conclusion: Based on the contents and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the early intervention and supports early intervention for institutional, family and special teachers were presented. Policy proposals for implementing early intervention were suggested. 연구목적: 기관 자문 형태의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을 일년 간 시행한 통합어린이집과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유아특수학교의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조기개입의 실행 내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조기개입 관련 실증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시행하고 면담 결과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9개 범주와 31개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들은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인 자연적 환경에서 일과, 가족, 팀 접근 중심의 조기개입을 시행하였고, 이 과정에서의 기관․가족․특수교사 관련하여 어려움을 제기하였다. 결론: 조기개입 실행 내용과 어려움을 기반으로 기관․가족․특수교사 관련 조기개입의 지원요구가 제시되었고, 조기개입 실행을 위한 정책적 제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

        이소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research to examine the cause and core deficit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s the result, our knowledge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has been greatly expanded. Autism is conceived a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with a biological basi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can make a positive difference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and related disorders. Moreover,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predictors of outcomes of perso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systematic system for early detection and to claim the development and the practice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e purpose, research related to the early detec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e past 10 years was reviewed. Findings and discussions on early detection were provided in terms of screening and diagnosis.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most efficacious early intervention in autism were also provided. Finall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were discussed. 최근에 들어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원인을 규명하고 핵심적인 결함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자폐 범주성 장애는 태어나면서부터 지니는 생물학적 근거의 신경 발달적 장애임이 규명되었으며, 특히 적절한 중재적 접근을 통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개입이 최상의 예후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일 수 있음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을 위한 진단 체계 구축 및 방법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진단과 연계되는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활성화를 촉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발견과 관련된 연구 동향과 이들 연구에서 밝혀진 영아기 초기 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발달 특성과 연계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기진단 방법론을 알아보고, 더불어 조기발견의 가능성을 전제로 한 조기개입의 최근 동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의 조기탐지와 개입 연구 고찰

        송현주 한국심리치료학회 2009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 No.2

        오랜 세월 동안 정신장애의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어 왔고 최근에는 다른 신체 질환과 마찬가지로 정신장애 분야에서도 조기 진단과 조기 개입과 관련된 연구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고찰에서는 정신분열병의 조기진단과 조기 개입에 대한 연구들 중 인지적 취약 요인에 대한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후 정신분열병의 조기 진단과 조기 개입 분야에서 심리학 분야의 보다 적극적인 기여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신분열병 조기 진단과 개입 연구에서 다학제적인 접근에 기초를 둔 보다 정교화 되고 발전된 기법 적용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전구 증상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개발되어 있는 다양한 심리 사회적 프로그램들의 적극 활용이 제안되었다. 주요어 : 조기 진단, 조기 개입, 예방, 정신분열병, 인지요인, 전구 증상

      • KCI등재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에 관한 실행연구: 일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를 중심으로

        김승현(Kim Seung Hyeun),이병인(Lee Byoung 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을 실행연구로 진행하여,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지원체계를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 조기발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6개소 어린이집 영유아 221명이며, 맞춤형 양육지원의 대상은 조기발견에서 선별된 31명의 영아 중, 부모가 참여를 수락한 4명의 영아와 부모, 담임교사이다. 맞춤형 양육지원은 장애위험 영아의 부모와 교사, 연구자가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계획-실행 및 관찰-반성의 과정을 순환적인 절차로 반복되는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위험 영아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 계획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 예비 실행,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기 발견은 3회기로, 맞춤형 양육지원은 12회기로 지원 절차를 계획하였다. 둘째,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 발견은 모든 영유아의 발달과 양육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셋째, 장애위험 영아를 위한 맞춤형 양육지원은 실행 및 관찰-반성-계획의 나선형 절차가 반복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매회기 일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여 가정과 어린이집을 방문하였다. 양육자와 담임교사는 방문이 없는 일상에서도 실행기록지로 활동-중심 중재를 실천하고, SNS로 소통할 수 있었다. 넷째, 맞춤형 양육지원을 통해, 영아, 부모, 담임교사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대상 영아는 발달이 촉진되었으며 부모와 담임교사는 영아의 일상에서 발달촉진을 위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역량이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는 참여한 대상과 참여하지 않은 대상 모두에게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위험 영아 조기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이 장애위험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거나 장애가 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기 발견은 장애위험 영아를 선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영유아의 발달 및 양육을 지원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장애위험 영아 조기개입으로 영아의 친숙한 성인인 양육자와 담임교사가 주체가 되어 전문가 협력을 실행하는 지원체계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support systems as an implementation study on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Method: early identification targets 221 infants and toddlers at six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targets of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are 4 young children,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among 31 young children selected by early identification. The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was conducted as an implementation study in which parents, teachers, and researchers of young children at risk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the processes of planning-implementation and observation-reflection were repeated in a cyclical procedure. Result: First, the process of reviewing prior research, preliminary implementation, and expert review was conducted for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plans. Through this process, the application process was planned in 3 session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12 sessions for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Second, the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include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and rearing of all children. Thir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for young children at risk was implemented and repeated the spiral procedure of observation-reflection-plan. To this end, the schedule was managed efficiently for each session and visited families and childcare centers. The caregivers and the classroom teachers were able to practice activity-centered mediation with the performance record sheet even in everyday life without visits and communicate through SNS. Fourth, through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infants, parents, and classroom teachers changed positively. Young children’s development was promoted, and parents and classroom teachers were reinforced in their capacity to seek opportunities to promote development in their daily lives. Finally, the social validity of early identification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showed high results in bo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ted subjec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arly identification and customized parenting support for young children at risk’ can contribute to normalizing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t risk or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disability. Early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was an opportunity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rearing of all children as well as screening children at risk.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early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 at risk has suggested a support system that is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experts, led by caregivers and classroom teachers who are familiar adults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