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정보화 입법화를 위한 제정방향 및 구성에 관한 고찰

        이자성(李子成)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7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0 No.2

        지역정보화가 지방화?정보화의 트랜드로 각광받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지역정보화 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법제도적 기반구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나, 정보화촉진기본법 및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등에 포괄적인 일부 규정이외에 지역정보화 관련 단일 법률이 없다. 자치단체가 이러한 포괄 규정에 의거하여 지역정보화를 추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으므로 지역정보화의 방향, 추진체계, 사업, 예산 등을 규정한 입법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정보화의 입법화를 추진하기 위한 방향으로 종합적 관점, 연계적 추진체계, 예산확보, 지역특성 반영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내용으로 통합적 추진체계, 지역정보화사업의 촉진?지원, 지역정보화서비스의 개발?보급, 예산, 주민참여 등을 검토한다.

      • KCI등재

        정보화 시대의 법제동향

        길준규 한국공법학회 2008 公法硏究 Vol.37 No.1

        우리 사회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정보사회에 진입하였다. 이러한 정보사회로의 진입하기 위한 ‘정보화’는 무수한 정책과 사업에도 불구하고 법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크게 정보처리와 망연결(networking)로 볼 수 있다. 즉 정보처리를 하기 위하여 단말기보급을 비롯하여 국가와 사회의 각 분야에서의 원정보를 정보처리하는 사업과 이를 기반으로 하여 망에 연결하는 망연결사업이 중심이 되었던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정보화’는 우리 사회에서는 근대화의 한 측면으로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국가사회정보화사업에 대한 순기능과 역기능을 포함한 개괄적인 평가를 대표적으로 NEIS사업과 e-Health사업을 중심으로 시도해 보았다. 한편 이러한 정보화는 1994년에 설치된 ‘정보통신부’가 정보화를 지상명제로서 대단위 국가임무로 추진해왔다. 이러한 정보화사업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 기술개발, 연구지원 등에 대한 자금은 기간통신사업자 등이 조성한 정보통신기금(구 정보화촉진기금)을 투입하면서 정보화사업이 빠른 속도로 진전된 것이다. 이러한 정보통신부의 집중적인 정보화에 대한 투자의 성과로서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강국’에다가 ‘정보통신수출국’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IT강국이 우리나라의 새로운 상징으로 자리매김할 즈음에는 수많은 법령이 정보통신법제라는 이름하에 제정되고 개정되었다. 아울러 정보화에 국가의 온 정력을 쏟아 부었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수많은 아이디어와 정책들이 구상되었고, 시도되는 지식정보사회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훌륭한 공적에도 불구하고 지난 해의 대통령선거 하나로, 새 정부가 정부출범초기부터 정보통신부를 해체하면서, 우리나라의 정보사회는 다시 ‘토건국가’로 대표되는 산업사회 내지 공업사회로 회기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가 정보통신부의 설치와 더불어 시작한 정보화정책에 대하여 국가·사회정보화를 비롯하여 분야별 정보화사업을 개관한 후에 이를 둘러 싼 소위 정보화법제가 어떻게 발전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정보화법제를 법학적인 측면에서는 어떻게 법리적으로 구분할 것인가에 대하여 시도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구 정보통신부체제하에서의 정보화 법제와 정책, 그리고 산하기관 등은 새로운 정부하에서는 어떠한 기준과 방법에 의하여 재편될 것인가에 대하여 정부의 행태와 입법동향을 조사·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정보통신관련 행정조직의 재편에 대한 성과도 평가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우후죽순으로 제정된 정보화법제가 ‘정보통신법’이라는 범주에서 새 정부이후에도 각 해당 법영역의 범주에 맞게 어떻게 발전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국내외적인 법제발전을 포함하여 법리적인 차원에서 전망하였다.

      • KCI등재

        웹 기반의 건설 업종별 정보화 평가 시스템 개발

        김관준,이윤선,손정락,김재준,Kim Gwan-Joon,Lee Yoon-Sun,Sohn Jeong-Rak,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1

        최근 건설업계를 포함한 사회 전반에 걸쳐 기업의 경쟁력 및 국가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제고를 위한 핵심 전략 수단으로 정보화가 가장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정보화 투자와 관련하여 정보화의 실물적 가치를 정할 수 있는 사례가 없으며, 정보시스템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각 기업의 경영자들은 정보화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금, 인력, 설비 등의 모든 경영자원들이 계획, 수립, 집행, 평가의 과정을 거치면서 관리되듯이, 정보화에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과정으로 정보화 평가는 정보화에 대한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정보시스템의 구축과정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투자에 대한 기업의 경제적 효과를 확인하고, 건설 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정보화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건설 기업의 정보화 투자 유도 및 정보화 수준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In recent, Information Technology(IT) is the biggest issue on the social whole includ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recognized as a key strategic means to reinforce competitive power and raise the effectiveness. However, CEOs of each firm have trouble with IT investment decision-making. Because there is neither any case to measure real value of IT nor any confidence to economic effect of information system. IT evaluation is so helpful for most construction firms to make a plan of IT investment. In addition, which will eventually facilitate to achieve their management goal and have the maximum of the firms' val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IT evaluation system for monitoring IT level continually. And this will be enable a construction company to increase IT investment and improve the level of I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

        정보화 자체평가지표의 보완에 대한 논의

        오철호(吳徹虎)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8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1 No.1

        최근 정보화정책이나 사업평가는 자체평가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정부부처가 실시하는 자체평가가 제대로 운영되면 정보화사업의 질이 제고될 것이라는 가정이 가능하다. 이는 평가결과가 제대로 활용될 것이라는 전제가 충족될 때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이 연구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정책평가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좋은 정책평가의 핵심구성요인은 다양하나 이 연구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기존 평가들의 문제점이라 지적된 것 중 하나인 평가지표에 관심을 가졌다. 구체적으로 평가지표의 적합성, 즉 필요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은 평가를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인 평가활용을 제고할 것이고 가정하였다. 즉 이 연구는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관점에서 문제를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가 관심을 갖는 부분은 중앙부처가 스스로 실시하는 정보화사업에 대한 평가가 정보화사업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평가해야할 내용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모형 및 지표 등이 구성되었는지 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분석하려는 사항은 자체평가에 의한 정보화사업평가가 제대로 정보화사업의 추진과정과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지,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어떤 내용을 보완하여 정보화사업의 평가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지 등이다. 궁금증을 풀기위하여 사업담당자들이 필요로 하는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시도행정정보화사업의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결과와 정보화자체평가 항목을 비교함으로써 현행 자체평가항목의 보완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2차 자료 사용에 따른 분석의 한계와 일반적인 측면에서의 자체평가 개선에 관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국책연구원의 정보화 현황과 과제

        윤두섭(Youn Doo Sup),이광훈(Lee Kwang Hoon)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9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2 No.3

        지식조직의 특성을 지니는 연구기관의 정보화는 연구지원 및 행정업무 프로세스의 개선뿐만 아니라 연구성과의 질적 제고, 나아가 생산된 지식정보의 효과적인 활용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경제ㆍ인문사회분야 국책연구원은 현재 국무총리 산하기구인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가 23개 국책연구원을 육성ㆍ관리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기관 정보화사업의 경우 정보화 목표설정과 추진방식 등이 개별기관 차원에서 수립 집행되어 예산의 중복투자 및 일부기관 편중현상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8년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에서 실시한 소관 23개 ‘연구기관 정보화수준 진단’ 조사결과를 요약ㆍ제시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ㆍ인문사회분야 국책연구원의 정보화 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과제를 규명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경제ㆍ인문사회 분야 23개 국책연구원의 정보화 수준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정보화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화의 절대적 수준 제고 및 기관별 상대적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예산 지원과 함께 중장기적인 정보화 추진 전략 수립 및 시행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정보화 전담조직과 전담조직의 예산 비교 분석

        김구(金求)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방정부의 정보화 전담조직과 예산을 각 지방정부의 인구, 세대수, 공무원, 전체예산 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는 정보화 업무를 정책ㆍ기획ㆍ조정의 대상으로 보고 조직을 편제하고 있다. 둘째, 지방정부는 업무영역을 크게 정보화기획, 행정정보화, 지역정보화, 정보통신, 유시티사업, 지리정보 등으로 구분하여 담당하고 있으며, 대부분 기관의 백오피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도시규모가 클수록 정보화 업무영역을 세분화하고 있어 전문적이고 집중적으로 정보화 업무를 추진하려는 의지를 엿 볼 수 있었다. 넷째, 정보화 전담조직의 인력비율은 도농형 지방정부보다 도시형 지방정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화 전담조직의 인력비율이 높은 시도에서는 정보화 전담조직의 예산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보화 전담조직의 예산은 지방정부의 인구, 세대수, 공무원수와 관련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도농형 지방정부보다 도시형 지방정부에서 정보화 전담조직의 예산 편성이 많은 것으로 알 수 있어 도시형 지방정부에서 정보화사업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is analyzed by compared with information society workers and budget of local government to the population, households, public officials, and the overall budget of each local government of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are organized information society organization to target policy, planning, and coordin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business. Second, local government take charged information society pla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ociety,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telecommunications, u-City business, and geographic information in area of the larger business, and have been identified most of the back-office support for institutions. Third, it could be seen that information society tasks are subdivided into a professional and focused intention to promote it in the larger of city. Fourth, information society workers ratio was higher the urban local governments than town and country local governments. Fifth, the city with a high percentage rate of information business workers was higher in the information society budget. Sixth, the information society budget of local government have been identified as associated with a lower population, households,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 and it was found more the urban local governments than town and country local governments on local government budgeting.

      • KCI등재

        기업 정보화 핵심 성공요인과 정보화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SER-M Framework을 중심으로 -

        최해룡,구자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2

        그동안의 기업 정보화 성공요인 관련 연구들은 정보화 자체의 구축 완성도 및 그 재무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정보화의 방향성이 경영전략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기업의 정보화가 경영전략 이행을 주도할 수 있도록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지, 주요 메커니즘 요인이 정보화 성과에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이는 기존의 정보화 성공요인들을 경영 전략적 패러다임으로 재해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주체, 환경, 자원 및 메커니즘 요인이 정보화 성과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검증하고,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있어 정보화 성공요인이 정보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7개의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기업에 있어 자원 요인의 확보는 정보화 성과에 유의미성이 있다는 것과 메커니즘 관점에서 학습 메커니즘과 조정 메커니즘의 모든 하부 요인들은 기업의 정보화 성과에 유의미하다는 것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 규모에 따른 통제효과 분석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정보화 성과에 대한 차이점을 지원 환경 요인, 선택 메커니즘 요인 및 학습 메커니즘 요인 등에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메커니즘 요인 변수의(학습, 내부 조정, 외부 조정) 정보화 성과에 대한 유의미성이 다른 요인 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정보화 성과에 대한 차이점을 밝혀 중소기업이 중점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정보화 성과 요인을 제시 하였고, 셋째,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정보화 성과 창출 메커니즘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는 메커니즘 요인에 대한 보다 더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사례를 기반으로 타 산업 영역과 기업군에도 적용할 수 있다. Most past studies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Company Informatization focused on the completeness of Informatization and its financial effect, and there have not been enough studies on whether a company's management strategies can be supported by establishing Informatization direction . This implies that there must be verification on the followings; whether Informatization focuses on steering the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strategies, what correlation there are between major mechanism factors and Informatization performance. This also implies that there must be a new study to re-interpret the existing success factors of Informatization into strategic management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of subject, environment, resource, and mechanism factors on informatization achievement,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fluence of informatization success factors on informatization achievement depending on domestic large corporations and SMEs. This study presented the verification results for seven research hypotheses. It wa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securing resource factor was significant in informatization performance and that all sub-factors of learning mechanism and coordination mechanism were also significant in enterprise informatization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effect analysis depending on enterprise size that the differences in informatization performance of large corporations and SMEs are due to support environment factor, learning mechanism, and selection mechanis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mechanism factors such as learning, internal coordination, and external coordination a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factors in informatization achievement. Secondly, informatization success factors that SMEs must focus on achieving a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on informatization achievement of large corporations and SMEs. Third, since empirical research for informatization success mechanism factors not covered empirically in the prior research was directly progressed, it is thought that it could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or mechanism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is thought to provide a practical contribution that can be applied to other industrial areas and enterprises.

      • KCI등재

        정보화사업평가

        임광현(林光鉉)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9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2 No.4

        농어촌지역의 정보격차 해소, 주민의 소득증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2001년부터 정보화마을을 조성하기 시작하여 2009년 11월 현재 현재 전국 15개 광역시도 시군구 기초자치단체에서 358개의 정보화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정보화마을 운영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지역정보화 자체가 안고 있는 문제점, 정보화마을운영에 따른 문제점, 정보화마을 사업 평가가 안고 있는 문제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한 평가는 지난 10여년 동안 두세 차례에 불과하며, 사업에 대한 연구도 미미하다는 점 또한 알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시작된 정보화사업평가와 정보화수준평가를 위해 행정자치부와 정보통신부가 주가 된 정보화사업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2005년, 2006년 만들어진 정보화마을 평가지표를 참조하여 정보화마을에 대한 평가를 정보화사업 평가 차원에서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된 시사점으로는 먼저 방법론적 차원에서 정보화마을 사업 평가도 정보화사업 평가 지표 보완과 개발을 통해 주기적으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으며, 다음으로 정보화마을사업 내용면에서 볼 때 사업 본래 목표에 부합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측면도 있음을 알게 되었다.

      • 학회정보화실태조사 및 보급대책

        박찬모,전승준,이걸삼,조영화,허문열,서영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6 정책연구 Vol.- No.-

        학회청보화의 현황과 문제점국내학회의 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보면 전체학회의 45-55%가 회원명단과 회비관리퉁 학회운영의 원초적인 부문에는 전산화를 이룩하여 놓고있다. 그러나 정보화의 가장 핵심적부문이라 할 수 있는 논문 등 학술자료에 있어서는 10% 미만의 수준이며 특히 DB구축을 통한 전산망의 활용에 있어서는 4.3 %에 불과한 극히 열악한 상태이다. 교육 및 연구전산망과 연결되어 있는 학회는 13개로서 5.6% 에 불과하며, 국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학회도 17개로서 7.3% 밖에 되지 않는다.학회정보화의 문제점으로서는 재정적인 요소가 첫번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전체학회의 54%가 정보화의 애로사항을 재정이라고 지적하였으며, 정보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재정적인 지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한 학회가 65% 에 달하고 있다.학회정보화의 필수요건을 ①상설사무실, ② 장비,③ 인력,④기술이라고 볼 때 우선 전체학회의 48%가 상설사무실조차 확보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학회의 년간 전체예산이 4,800만원 수준임을 감안할 때 재정지원 없이 정보화를 추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하겠다.학회정보화의 문제점으로서는 이와 같은 재정적인 요인이외에도 기술과 학회의 의지부족, 그리고 통일 또는 표준화되지 못한 정보자료와 수집·유통체계를 들 수 있다. 해외선진학회의 전산화동향학회의 일반 업무와 회원관리는 선진국의 거의 모든 큰 학회가 PC혹은 매킨토시를 사용하고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사무자동화 소프트웨어나 기타 흔히 사용되는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고 독자 개발한 곳은 극히 드물었다. 정보화가 잘된 학회와 아직 초보단계에 있는 학회는 학술지의 출판에서 크게 차이점이 나타나는데 현재는 전자출판이 안되어 있어도 앞으로는 전자출판을 하고 CD-ROM을 활용하겠다는 것이 공통적인 동향으로 나타났다. 정보의 수집, 저장 및 서비스에 있어서는 단연코 Internet의 활용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는 World Wide Web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유럽에서는 아직 활발하지 못하고 계획단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국제협력은 Internet, STN퉁올 통한 정보의 교류와 DB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국제적으로 학회간의 유대관계는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에 투입되는 연간 예산은 학회에 따라 다르나 정보화가 아주 초보단계에 있는 학회를 제외하면 8,000달러에서 8 백만 달러까지 나타나 있고, 영국의 재료 학회같이 비교적 정보화가 많이 안 된 학회도 일 년에 10만 파운드(약 15만7천 달러)를 예산으로 책정하는 퉁 정보화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래 계획으로는 모든 학회가 정보화에 중점을 두겠으며 futernet의 활용과 전자출판, CD-ROM의 활용에 역점을 두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정보화 촉진 및 지원방안앞에서 설문조사를 통한 국내 학회정보화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회가 학회운영에 필요한 회계 관리, 편집, 회원관리 일부 학회관련 업무만이 전산화되어 있고 문헌 및 기술정보의 DB화와 기존 전산망과의 연결 및 활용은 극히 부진한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주요인은 주로 재정부족과 함께 기술부족, 통일되지 못한 학회정보 및 체계의 다양성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단기간의 학회노력에 의해서 해결되기는 어려우며 결국 국가 주도하에 단계적 학회지원과 학회의 적극적인 정보화추진의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추진 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따라서 학회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하여는 효율적 정보자료 수집 및 유통체계 구축, 정보가공 및 DB구축의 체계화, 정보자료의 표준화 및 관리시스템 통일, 학회정보화 추진위원회 설치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또한, 학회정보화를 유도하고 지원할 수 있는 대책방안으로서는 가. 학회정보화 기본방향 및 목표설정 (7개년계획)나. 효율적 추진체계구축 - 정부 부서 내에 한시적인 정보화추진 전담부서설치와 중앙학회 정보화 및 유통센터 설립다. 단계별 선별지원(지원대상 선정 - 매년 10개학회 선정) - 전문학회정보센터설립 및 학회정보화 추진위원회 구성라. 종합지원(재정, 장비, 기술) 퉁을 들을 수 있겠다. 한편 구체적인 지원방법 및 투자규모는 계획기간동안 매년 10개 학회를 선정하여 1개학회당 1억원씩 2년간 지원한다. 1개학회당 2억원의 지원내용은 인건비, 자료가공비, 자료입력비, 인력훈련비, 기기구입비 퉁에 소요되는 비용이다. 전체 투자규모는 계획기간 중 연평균 약20억원이 소요되어 전체금액은 약 150억원에 이른다.

      • KCI등재

        지역정보화의 재개념화

        최영훈(Choi Young ho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지역 없는 지역정보화’와 ‘탈지역정보화’라는 지역정보화실제에서의 문제점을 법률상의 개념의 문제를 통해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하에, 지역정보화를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보다 유용하게 하려는 취지하에 지역정보화의 유형화를 통해서 지역정보화를 재개념화 하고자 하였다. 유형화에 앞서 국가정보화기본법과 전자정부법의 규정에 의한 지역정보화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정보화의 주체, 목적, 공간범위, 내용범위에 대한 기존의 논의가 지역정보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의 지역과 지역정보화의 수요로서 정보화를 통해 포용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정보화의 차원으로 지역과 정보화를 선택하였고, 지역은 ‘전국적’·‘지역적’ 범위로 범주화하고 정보화수요는 ‘공통기반’·‘특정’ 수요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차원을 이용하여 지역정보화의 유형으로서 ‘전국공통정보화’, ‘전국특정정보화’, ‘지역공통정보화’, ‘지역특정정보화’라는 4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형화 및 유형들의 의미와 적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Using a typology method, this study strived to re-conceptualize regional informatization, an important term prescribed in the legal text. The use of a typology was expected to produce a more flexible legal meaning of regional informatization in an ever changing environment, particularly to relieve the term of two serious scholarly and practical criticisms, i.e., “regional information without a region’ and ‘de-regional-informati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of regional informatization and current related laws enabled the author to identify two meaningful dimensions of regional informatization, i.e., the region as a spatial scope and informtization as a needs. Using these two dimensions, a 2x2 matrix was developed. This study explicated and discussed the four types of regional informa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