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ole of Unequal Information Resources Distribution in Health Information Seeking

        Heewon Im,Jaeho Cho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8 No.-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정보 추구 행위와의 관계 여부는 기존 문헌에서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떻게 개인이 건강정보를 추구하도록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제시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참여가 개인의 시간, 자본, 정보습득 기술과 같은 정보자원의 불균등한 분배를 통해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영향을 주는 지를 연구했다. 특히 개인이 가진 정보자원의 양이 어떻게 건강정보를 추구하려는 동기와 정보를 찾는 능력에 영향을 주는 지를 통해 변인들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했다. 개인의 건강관련 이슈에 관한 관련성 여부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참여가 건강 정보를 추구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도 살펴보았다. 2007 년 ANHCS 를 이차자료 분석 결과 사회참여와 일부 건강정보 추구행위 사이의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가진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individuals’ health information seeking has been tested in previous studies, but not many explanations for the relationship have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the role of unequal resources distribution is proposed as a possible mechanism underlying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gagement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The information resources, which are time, money, and information skills, are not equally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SES groups and individuals’ levels of social engagemen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results from individuals’ different abilities and motivations in seeking health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nequal resources distribution is predicted to moderate the effect of personal relevance of health issues on health information seeking, by varying motivation and ability level. The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07 ANHCS. The results show partial support fo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gagement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s’ health.

      • KCI우수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정착단계에 따른 정보추구행위

        윤정원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1

        Despit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residing in Korea,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their Everyday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ccording to the settlement stages (before entry, initial settlement, and present) through Critical Incident Technology (CIT).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reported their daily life-related information needs more frequently than their academic-related information needs. International students used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for seeking information, such as websites, social media, and friends. Compared to websites, international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satisfaction with interactive sources such as social media and friends. It was found that the language barrier is the biggest difficulty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 information seeking process. Unfamiliarity wi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were addressed as another difficul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tudents’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throughout the settlement stages, recommendations for helping international students search for information in their daily life were discussed.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추구행위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정착단계(입국 전, 초기정착단계, 현재)에 따른 정보요구 및 정보탐색행위를 결정적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ology: CIT)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정보요구를 학교생활 또는 학업에 관련된 정보요구보다 빈번하게 보고하였으며, 과제 등 학습과 직결된 정보요구는 현재 단계에 이르러서야 보고되었다. 유학생들은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웹사이트, 소셜미디어, 친구 등 여러 정보원을 사용하였다. 일방향 정보원인 웹사이트에 대하여는 부정적인 경험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소셜미디어나 친구 등의 양방향 정보원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국내 유학생들이 정보탐색과정에서 경험하는 가장 큰 어려움은 언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한국의 사회시스템에 익숙하지 못해 겪는 어려움도 보고되었다. 정착단계별로 변화하는 유학생들의 정보요구와 정보탐색행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정보탐색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우수등재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과 기업의 위험추구12

        안혜진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학연구 Vol.47 No.4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is related to the corporate risk-taking. Although the investment decision associated with corporate risk-taking is one of the core management activities, there are few studies which investigate the corporate risk-taking behavior in accounting area. Focusing on comparability, one of the qualitative propertie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ffects the corporate risk-taking behavior. If a company’s financial statement can be easily compared with other companies’ financial statement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external information users can be reduced, and it can intensify monitoring and supervision of the management’s investment activitie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excessive corporate risk-taking will be reduced by suppressing manager’s opportunistic investments, such as constructing trenches to expand the manager’s influence, unnecessary investments for empire building, and myopic investments to obtain short-term results. In contrast, if the comparability is high, it is also possible that shareholders who can maximize their wealth through risk-taking exert investment pressure on the managers to actively take risks. Using 8,657 firm-years of domestic listing companies from 2008 to 2015, we fin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nd corporate risk-taking, and this negative association is more pronounced in the firms with greater information asymmetry. Also, when the comparability is high, the degree to which R&D expenses increase future earnings volatility also decreases. These results have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they inform that the comparability affects corporate investment activities and can be a determinant of corporate risk-taking. 본 연구에서는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기업의 위험추구행위와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기업의 위험추구행위와 관련되어 있는 투자의사결정은 기업의 핵심적인 경영활동 중 하나이지만 회계학 분야에서 위험추구행위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 는 비교가능성이라는 회계정보의 속성에 주목하여, 기업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기업의 위험추구행위에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어떤 기업의 재무제표가 다른 기업들의 재무제표와 쉽게 비교가능하다면 경영자와 기업 외부의 정보이용자 사이의 정보비대 칭이 감소하여 경영자의 투자행위에 대한 감시⋅감독이 강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 결과 경영자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참호 구축 및 제국건설을 위한 불필요한 투자, 단기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얻기 위한 근시안적 투자 등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투자가 억제되 어 기업의 과도한 위험추구행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과 반대로 기업의 위험추구행위를 통해 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주주들이, 비교가능성이 높은 경우 경영자에게 투자압력을 가하여 경영자로 하여금 적극적인 위험추구행위를 하도록 유도할 가능성도 있다. 2008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내 8,657개 기업-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높을수록 기업의 위험추구행위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관계는 정보비대칭이 큰 기업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가능성이 높은 경우 연구개발비가 미래이익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정도도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가능성이라는 회계정보의 특성이 기업의 투자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기업위험추구행위의 한 결정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학술적 공헌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추구행위

        정은경,구하린,윤정원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3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6 No.2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유학생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행위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사용한 폭넓은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로 유학을 온 해외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상 관찰기록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행위를 조사하였다. 유학생들의 정보탐색행위를 보면 전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사용이 높고, 검색엔진을 많이 사용하며, 정보탐색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들이 자주 찾는 정보의 주제는 건강, 학업, 쇼핑, 음식/외식, 오락, 생활 등으로 나타났다. 탐색 주제에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정보탐색행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과 음식/외식에서는 모바일 앱의 이용률이 높았으나 나머지 주제 분야에서는 검색엔진의 사용 비율이 50% 이상이었다. 특히, 학업 분야 탐색에서 학술 특화 정보원의 사용이 높지 않은 점, 유학생이나 이민자의 정보탐색에서 주요 정보원 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친구/가족이 정보원의 이용이 적은 점은 본 연구결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탐색 결과와 만족도의 경우 학업 관련 정보탐색에서는 정보를 찾지 못하거나 일부만 찾았다는 비율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탐색 결과에 만족하고 향후 탐색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쇼핑과 생활 분야는 필요한 정보를 찾았다는 비율은 높았으나, 탐색 결과의 만족도는 오히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학생을 위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요구를 반영한 정보서비스 시 고려할 점, 향후 연구 방향 등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 daily life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the method of online diary survey. In term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smartphone usage was high overall, with a frequent use of search engines and high satisfaction with search results. The topics frequently searched by international students included health, academics, shopping, food/dining, entertainment, and living.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topics of information needs. While mobile apps were highly utilized for shopping and food/dining, search engines were used for over 50% of the other topics. Particularly, for the academic information needs, the utilization of specialized academic information sources was not high; also, the usage of friends/family, which is considered a major source of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or immigrants, was low. Additionally, for the academic information needs, despite a high proportion of respondents reporting that they were unable to find all or part of the desired information,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search results and indicated that further searches were not necessary. On the other hand, for the shopping and living related information needs, although a high proportion of respondents reported find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search results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university library servi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considerations for information services reflecting daily life information needs, and future research agenda.

      • KCI등재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여가활동으로서 뉴미디어 외모관련 정보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 나르시시즘의 매개효과

        이은순,강형길 여가문화학회 2020 여가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on appearance-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s leisure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arcissism in that relationship.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known to the basis of the child's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process that determine the child's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ffect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new media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 major leisure activity of Korean adolescents. To empirically examine this relationship, a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1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PSS 18.0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with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formity-orientatio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arcissism and appearance-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Second, communication-orientation communication patter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narcissism and appearance-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ird, narciss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appearance-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narcissism had a ful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empirically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narcissism on Korean adolescents’ leisure activity, marginalized leisure class in Korea, and future research can be expanded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여가활동으로서의 외모관련 정보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나르시시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부모와 자식 간의 커뮤니케이션패턴은 자녀의 발달 및 사회화과정의 근간이 되고, 자녀의 인지와 행동적 특성을 결정짓는 요인이다. 이러한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은 국내 청소년의 주요한 여가활동인 뉴미디어 정보추구 행위 및 자기애적 성격 특성인 나르시시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 5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그리고 붓스트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응지향성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은 나르시시즘과 외모관련 정보추구 행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화지향성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은 나르시시즘과 외모관련 정보추구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나르시시즘은 외모관련 정보추구 행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외모관련 정보추구행위의 관계에 있어, 나르시시즘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여가 취약계층인 국내청소년을 대상으로 여가학에서 비교적 미흡하게 다루어온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과 나르시시즘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살펴본데 의의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확장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접근성과 노화 태도와의 관계: 디지털 기술활용도와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

        김명일(金明日),신혜리(申慧利),채사라(Sa Ra Chae),신원철(申源澈),김영선(金英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접근성과 노화 태도 간 관계에 대해 디지털 기술활용과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에서 조사한 「2019년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용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 500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자료는 SPSS 25.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응용프로그램인 SPSS Macro Process v.2.16.3을 활용하여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매개효과 확인은 붓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접근성은 디지털 기술 활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기술 활용과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디지털기기 접근성과 노화 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긍정적 노화 태도를 위해 디지털기기와 관련된 물리적 환경 구축, 적절한 건강정보 추구행위를 위한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프로그램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multi-mediated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nd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accessibility and aging attitud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e analyzed the ‘2019 Korean Middle and Elderly Technology Acceptance Survey’ by Kyunghee University. We analyzed data of 500 people over 55 years ol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using SPSS 25.0, and multi-mediated regression using SPSS Macro Process v.2.16.3. Also, the confirm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multi-mediated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device accessibility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lso,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nd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accessibility and aging attitu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a physical environment related to digital devices and the Health Literacy program for positive aging attitud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KCI등재

        국내 거주 해외유학생의 건강정보추구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윤정원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4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health information search behavio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rough a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dopting Critical Incident Technique. Most frequent health information needs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were related to Covid-19 and locating doctors/hospitals. The difficulties in seeking health information were language barriers, lack of knowledge of the Korean medical system, insufficient or overflow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owever, despite the language barrier, international students mainly used Korean sources (friends/family, websites, social media) for searching health information. In order to search health information on Korean websites, they used Google Translator or got help from bilingual friends/family members. The participants who have lived in Korea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or who have lowe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nd to obtain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ty on social networks; whereas the longer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and the better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more likely to use websites. Only 28% of the participants gave positive answers to the question asking their confidence in finding the health information they needed. It is discussed how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find accurate and credible health information.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들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학생들의 건강정보탐색행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건강정보탐색행위를 설문지와 결정적사건기법을 이용한 면담을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최근 경험한 건강정보 요구 중에는 코로나와 관련된 정보요구(코로나 검사, 증상, 백신)와 병원을 찾는 요구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건강정보탐색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언어의 문제가 가장 많았고, 한국 의료시스템에 대한 이해의 부족, 인터넷상의 정보 불충분 또는 정보과잉 등도 보고되었다. 언어의 장벽에도 불구하고, 유학생들은 한국어 정보원(친구/가족, 웹사이트, 소셜미디어)을 주요 건강정보원으로 사용하였다. 유학생들은 구글번역기를 사용하거나, 이중언어가 가능한 친구/가족의 도움을 받아 한국어 정보원을 통해 건강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체류기간이 짧거나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경우, 소셜네트워크 상의 커뮤니티를 통해 건강정보를 얻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한국 체류기간이 길고 한국어 능력이 좋을수록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건강정보를 찾는데 있어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지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참가자의 28%만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유학생들의 건강정보추구행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학생들이 필요한 건강정보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통 이론으로서 Dervin의 의미형성 이론의 비판적 재해석

        박성우,홍소람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3

        Sense-Making Theory gives persuasive power to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hile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subjects. It is being used as a theory and methodology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information seeking in various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of individuals’ inner realms, face-to-face, organization, and mass communication. However, it is not to be a theory to explai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a group in that it explains the individual 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s. Also, the purpose of the theory was to establish a receiver-centered communication theory that constructs sense-making by itself, away from the receiver who unilaterally accepts the sender’s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theory. However, Dervin accepted the existence of object information without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ipient’s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receiver. Owing to the establishing his concept of information following the Popper(1972)’s world concept, its object of observation is not World Ⅲ(objective content of thought), but the process of sense making in which World Ⅱ (psychological world) receives information generated in World Ⅲ. In this context, Dervin’s theory is not to explain the communication behavior at a group level. 의미형성 이론은 주체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정보추구 행위에 상당한 설득력을 부여한다. 이는 개인의 내적 영역, 대면, 조직, 매스커뮤니케이션 등의 소통과 관련된 다양한 시․공간적 맥락의 정보추구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 및 방법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론은 결과적으로 주체 개별의 인식론적 해석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집단의 정보추구 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 될 수 없다. 또한, 이론의 목적은 소통 이론의 관점에서 발신자의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수신자에서 벗어나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는 수신자 중심의 소통 이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Dervin은 수신자의 외부의 정보와 수신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지 않고 객체정보의 존재를 용인한다. Dervin은 Popper(1972)의 세계 개념에 근거해 정보 개념을 수립하였기 때문에, 의미형성 이론의 관찰 대상은 세계3(객관적인 사유내용)이 아니라 세계3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세계2(심리적 세계)가 받아들이는 의미형성 과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Dervin의 의미형성 이론은 집단 차원에서의 소통 행위를 설명할 수 없다.

      • 미디어 이용과 정보처리전략에 따른 4차 산업혁명 인식

        김문환,전지현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4차산업혁명 관련정보를 수용하는 정보처리전략과 정보추구행위, 미디어 집중도, 미디어 이용, 시민이용, 시민교육, 4차산업혁명 이미지에 따라 4차 산업혁명 관련 지식습득의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했다. 4차 산업혁명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들을 얼마나 해결해 줄 수 있다고 인식하는지, 경제적 이익이 있다면 수혜자는 누구라고 여기는지, 4차 산업혁명시대 미디어 기술발전이 언론 자유와 어떤 관계를 맺는다고 인식하는지,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시민사회통제가 강화될 것이라고 인식하는지도 함께 분석했다. 연구결과 4차산업혁명에 대해 긍정이미지를 가질수록, 또 4차산업혁명 시민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할수록 4차산업혁명 지식이 많았다. 숙고에 의한 통합 정보처리 전략이나 인터넷. TV 등의 미디어 이용은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숙고에 의한 통합 정보처리 전략이나 정보추구 행위는 4차산업혁명이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인식에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차산업혁명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4차산업혁명의 경제적 이익을 자본가 몫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고에 의한 통합 정보처리 전략을 활용할수록 4차산업혁명이 언론자유를 확대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4차산업혁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4차 산업혁명시대 정부가 시민사회통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점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의 의의는 먼저, 4차산업혁명이라는 공공지식 습득에 기존연구에서 밝혀진 숙고에 의한 통합 정보처리 전략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대신, 자료를 축적하거나 이웃과 나누는 적극적인 정보추구행위가 4차산업혁명 지식 습득에 긍정적이라는 점이 확인됐다. 다른 공공지식과 달리 4차산업혁명 관련지식은 21세기 고도로 발전한 과학기술과 관련되기 때문에 태도보다는 적극적인 행동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둘째 4차산업혁명에 대한 시민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할수록 4차산업관련 지식이 많다는 점에서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일반 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시켜줬다. 셋째, 4차산업혁명 시대 정책과 비젼에 대한 정확한 홍보다. 4차산업혁명의 주역이 시민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4차산업혁명의 경제적 이익을 자본가나 전문직 종사자들 몫이라고 여기는 모순현상은 정부가 나서 해결해야 할 대목이다.

      • 모바일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도보 이용 시 이용자의 길 찾기 정보추구 행위에 관한 연구

        권현정(Hyeonjeong Gwon),이지연(Jiyeon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지도 애플리케이션 (이하 지도 앱)은 도보로 새로운 장소의 길을 찾아갈 때 큰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도보 상황에서 모바일 지도 앱을 활용하는 행태와 길 찾기 과업에서 참고한 정보 요소를 분석하여 지도 앱이 길 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였다. 지도 앱이 제공해야 할 정보요소로는 ‘1 층에 있는 상점 이름 정보’, ‘여러 갈래의 길이 있는 경우 현재 위치 정보 및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정보’, ‘골목길 정보’가 있었다. 지도 앱이 정보의 시각적인 표현 부분에서 신경 써야 할 점은 ‘역 출구나 버스 정류장 등의 랜드마크적인 요소’, ‘횡단보도나 육교의 색깔’. ‘인도와 차도의 구분’, ‘지하철 역 내 진입정보’ 등이 있었다. 또한 지도 앱이 직관적인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적지를 향한 방향성 정보’, ‘지도 화면의 회전 가능 정보’, ‘큰 길 우선 안내에 관한 정보’를 명확하게 명시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