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8 한국 가족치료 및 상담 전문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최중진,고정은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4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for training family counselors, including both degree (bachelor, master’s, and doctoral) and private non-degree programs. Methods: We searched related degree/non-degree programs using search terms such as “family counseling” on Internet search engines. To supplement existing information and discover missing information about the schools/private institu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ienced family counselors and researchers working in the related fields. Results: We found four bachelor programs, 27 master’s programs, and two doctoral programs that offer family counselling majors. Since 2005, more schools have opened family counseling majors, and the curriculum has become more diverse and enriched. As of 2018, the number of private institutions that provide family counseling training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05. Conclusion: The field of family counseling in Korea is growing rapidly. However, with this quantitative growth, it is time for us to ask ourselves, “Where do we stand in 2018 and where are we going? Or, more importantly, where do we want to head?”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치료 및 상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2018 현시점에서 정규학위과정(학사․석사․박사과정)과 비정규과정(민간기관), 그리고 (사)한국가족치료학회의 학술 활동 등의 현황을 살피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가족상담 전문인력양성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정규 학위과정 중 학사의 경우 4개교, 석사과정의 경우 27개교, 그리고 박사과정의 경우 2개교에서 가족상담 관련학과 및 전공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설과목으로 총 923개의 다양한 과목이 개설되었다. 이중 상담이론 과목이 263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가족치료이론 과목으로 235개 과목이었다. 가족상담에 관한 전문인력 양성 분야는 2005년에 비해 적어도 두 배 이상의 성장을 이뤄낸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학교에서 가족상담 관련학과와 전공이 개설되고, 교과과정도 다양하고 풍성해진 것은 전문인력 양성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인력양성을 위한 정규학위과정이 서울,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된 지역 쏠림 현상은 2005년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개설과목에서도 실습과 직업윤리와 같은 특정 과목은 타 이론과목에 비해 여전히 적게 개설되고 있었다. 비정규과정으로서 가족상담에 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민간기관도 2005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해 국내 민간자격증과정 3곳, 국제자격증/훈련과정 3곳, 그리고 주요 가족치료 모델에 대한 전문가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5곳 등의 민간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민간기관 교육과정의 초점은 특정의 가족치료모델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학위과정과 마찬가지로 민간분야에서의 지역쏠림 현상도 2005년과 유사했고, 제공되는 치료모델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한국의 가족상담분야는 여전히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성장과 함께 가족상담사로서 우리의 정체성과, 이론적, 실천적, 그리고 윤리적 정합성도 함께 커지고 있는지 우리 자신에게 물어볼 때이다. ‘2018년 현재 가족상담사인 우리는 어디에 서 있고, 또 어디로 가고 있나? 또는, 어디를 향해 가고 싶은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했고, 여전히 하나의 시작일 뿐이다.

      • KCI등재

        비정규직 노동조합 조직화와 친밀감의 정치: 금속노조 3개 사내하청지회 조직화 사례 연구

        홍석범 ( Suk Bum Ho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금속노조 산하 3개 사내하청 노동조합 사례를 통해 조직화의 토대가 취약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어떤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노동조합을 조직하고 생존해갈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조직화 단계’에서는 경험과 역량을 갖춘 활동가의 존재, 활동가와 뜻을 함께 하는 핵심세력인 초동주체의 형성, 개인들의 불만과 작업장 안팎의 정치적 기회-위협구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투쟁 및 교섭 단계’에서는 정규직 노동조합의 연대와 이를 이끌어내기 위한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연대동원전략, 사용자의 탄압방식과 탄압강도,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작업장 내 위치권력 등이 핵심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강조할 점은 비정규직 노동조합 조직화 및 투쟁과정 전반에 걸쳐 ‘친밀감의 정치’가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정규직 활동가들이 노동조합 조직화를 둘러싸고 작업장 내 여러 행위주체들과 대면하면서 이해관계와 행동양식을 조율해가는 일련의 정치과정 및 미시동원과정은 친밀감, 정서적 유대감, 인간적 신뢰관계라는 비경제적-심리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고 있었다. 이것은 비정규직 활동가 및 노동조합이 조직화 및 투쟁에 있어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감정의 동원을 전략적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non-regular workers can unionize and what factors affect the survival of their unions by analyzing three subcontractors branches cases of the Korean Metal Workers Union. As a result, in the stage of organizing, the existence of activists with experiences and competences, formation of beginning agents who are like-minded with the activist, individuals’ grievance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opportunity-threat structure of workplace we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And in the strife-bargaining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solidarity of regular workers’ union, strategies of non-regular workers’ union to mobilize the regular workers’ solidarity, the way and degree of employers’ suppression, and the positional power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workplace were key factors. But the point to emphasize above all is that the politics of intimacy works throughout the non-regular workers’ unionization and struggles. A series of political process and micromobilization, which various actors within the workplace coordinate their interests and behavior with regard to the non-regular workers’ unionization, was influenced by the non-economic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 sense of closeness, emotional bond, humane trust relationshi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non-regular workers’ unions and activists need to take a mobilization of emotions into consideration for successful unionization.

      •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및 개발 방안 연구

        이명진(Lee, Myungj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21 No.-

        동덕여대 한국어교육원은 2013년 3월에 개원하여 가을학기 현재 20명의 학생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국내 한국어교육에서 전문성을 살린 교육기관으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실제적 한국 문화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국내 주요 대학 기관의 정규과정과 단기과정 현황을 살핀 후 동덕여대의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 기관에서 정규과정은 4학기 10주 과정으로 총 200시간의 한국어 수업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오후 특별수업으로 주 1~3회 태권도, 한자, 한국문화, K-POP 댄스 등의 문화 수업과 발음반, 한자반, 문법반 등의 영역별 수업을 진행한다. 동덕여대는 현재 정규과정 오후 특별반으로 TOPIK반이 있으나, 영역별 강화 수업과 다양한 문화수업도 개설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수업의 체계적인 교육 방안과 교재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도 활성화해야 한다. 단기과정은 대부분 18세이상 재외동포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1~5주 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 4~5일 하루 4시간 한국어를 학습한다. 그리고 문화 프로그램으로 이천 도자기 마을, 에버랜드, 서울 시티 투어 등의 여행 및 답사와 한국 요리 배우기, 사물놀이, 민속놀이, 태권도 등 문화 체험을 한다. 단기과정에서는 단기간의 교육에서 성취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여 한국어에 자신감과 동기를 심어줄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단기 과정 성격에 알맞은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문화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Dongduk Women's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was founded in March 2013, and currently 20 students are learning Korean during the fall semester. To develop into a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effective curriculum and practical Korean culture-oriented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To explore such aspects, this study has examined regular courses and short-term courses of major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ions in Korea. After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chemes of Dongduk KLI were presented. In most institutions, regular Korean language courses run 10 weeks over 4 semesters, totaling 200 hours. In addition, the following classes are offered as special afternoon classes: cultural classes 1-3 days a week such as Taekwondo, Chinese characters, Korean cultures, and K-POP dance;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including pronunciation class, Chinese character class, and grammar class. Although Dongduk KLI has TOPIK class as a special afternoon class of its regular curriculum,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and various cultural classes should be established. It requires developing systematic education schemes and textbooks for each class. Also, 'Korean language helper program' should be stimulated. Most short-term courses run 1-5 weeks targeting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who are 18 or above; the courses are taught 4 hours a day 4-5 days a week. As a cultural program, field trips and travel to places such as Icheon Ceramics Village and Everland and Seoul City Tour, along with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learning to cook Korean dishes,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and taekwondo are offered. Such short-term courses should have a curriculum that inspires confidence and motivation to learn Korean under a realistic goal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short-term education. To accomplish the task, appropriate textbooks for short-term courses and proper cultural programs reflecting the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습지교육의 정규교과 채택: 연구동향과 연구주제

        박준규,서승오,도윤호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4

        To answer whether it is proper to adopt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and topics on wetland education and identified cases of adopting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Analyzing trends and topics on wetlands resulted in a recent shift of the focus of wetland education from the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wetlands to the ecological functions and ecosystem services that wetlands provide. In 2002, 18 Contracting Parties of the Ramsar Convention had adopted wetland education in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As of August 2020, the number has increased up to 42 countries. The globally increased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wetlands seems to have led the positive change. Most of the cases analyzed and reflect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rricula were designed and applied not nationally but locally or school basis for efficiency. 본 연구는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습지교육에 대한 전 세계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를 파악하였다. 습지연구동향분석을 통해 과거 습지교육은 습지에 대한 태도와 우리가 가져야할 인식에 대해 연구하다가 최근에는 습지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강조하는 주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2년까지 람사르협약에 가입한 국가 중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18개국이었는데 2020년 8월 기준 42 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습지에 대한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과학정보와 지식의 격차가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적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단위 또는 학교 단위로 습지교육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박주홍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3 No.-

        이 연구는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은 어떠한 것인가?’로 Strauss와 Corbin(2000)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2년 이상 동일 직장에서 근속하고 있는 정신분열병환자 5명이었다. 연구결과 총16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31개의 하위범주와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에 관한 패러다임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 ‘어렵게 취업에 성공함’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업무상 스트레스’, ‘인간관계문제’, ‘현실적 요구’, 그리고 ‘재발과 재취업에 대한 걱정’이었다. 중심현상은 ‘홀로 고군분투하며 버티기’로 나타났고 이러한 현상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경험으로부터 깨달음’,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감’, ‘기대와 배려에 부응하려는 마음’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현실을 수용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함’, ‘참고 버팀’, ‘나름의 방식으로 고비를 넘김’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안정감을 느끼고 현실에 만족함’, ‘시행착오를 겪음’, ‘자부심과 꿈이 생김’으로 나타났다.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의 핵심범주는 ‘아무리 힘들어도 참고 견디며 직장에서 살아남기’로 확인되었으며 과정분석은 ‘초기 던져짐 단계’, ‘고군분투단계’, ‘고비극복단계’, ‘안착단계’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 유형은 ‘현실만족형’, ‘적극적대처형’, ‘단순버티기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는 국내최초로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을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그 과정과 유형을 밝힘으로써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장기근속과정에 관한 이론구축 및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적 개입에 주는 함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ubstantial theory on the long service process of a full-time employee with mental disorder. A question for the study was, "what is the long service process of a full-time employee with mental disorder?"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5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have been working for over 2 years in the same company as a full time employee.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via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2000).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2009.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164 concepts including 'cold society', 'suffering unfairness' and 'hard (work)', 31 subcategories including 'desiring normal life', 'uneasy to find a job', and 15 categories including 'vocational stress', succeed in an employment with difficulty' in open co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tegorical analysi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sual condition on the long service process of a full-time employee with mental disorder was 'succeed in an employment with difficulty'. The central phenomenon was 'struggling and enduring unsupported', and the correspond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vocational stress', 'problems of human relationships', 'practical request', ‘anxious about relapse and finding a new job’.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ccepting real world and think positive', 'enduring', 'overcoming the crisis in their own way'.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realized by experience', 'satisfied with their career', 'willing to meet expectations and consideration' and the consequences were 'feel stability and satisfy with normal life', ‘undergo trial and error’ and ‘take pride and dream'. The stage were 'the first stage of be threw themselves', 'the stage of struggle unsupported', 'the stage of overcome the crisis', 'the stage of safe arrival',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core category was ‘to survive, endure and keep going even if it's too hard', and adjustment types are varied according to intervening conditions that represented the result of different usage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ere were 3 types that are ‘'the type of satisfied with the present conditions’, ‘the type of active handle’, 'the type of just enduring'.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to generate the substantial theory about the long service process of a full-time employee with mental disorder, the vivid experiences of them can give us an expanded understanding, and on the basis of that understanding, it can be also grounds of develop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to help their long service.

      • KCI등재

        시사교양프로그램 외주제작 구조와 노동 통제방식의 변화

        이종구 ( Chong Koo Lee ),송용한 ( Yong Han So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0 산업노동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의 외주제작 방식과 제작구조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그리고 방송콘텐츠의 생산과정이 어떻게 통제되고 있는지를 방송사-독립제작사-비정규 연출직의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외주제작 방식과 외주제작 구조는 법제도적 변화, 노동시장 변화, 기술변화, 독립제작사 역량 변화라는 외주제작 환경 변화에 의해 방송사와 외주제작 독립제작사 간 노동과정 조직이 재구성되는 과정 속에서 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방송사는 외주제작 독립제작사의 노동과정에 지속적으로 개입하고 통제의 범위를 확장시켜왔다. 현재 외주제작 방송콘텐츠는 방송사의 방송프로그램 개편 주기에 따라 독립제작사를 매개로 프로젝트 팀이 구성되어 생산되고 있다. 팀 구성 과정에서는 사회적 연결망을 통한 숙련 평가 과정이 작용하고 있으며, 사회적 자본과 신뢰가 팀조직 형성과 노동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직종 단체가 설립되어 노조의 대안적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기존 연구 결과와 같이 프로젝트형 생산 조직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외주제작 방식과 외주제작 구조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프로젝트형 생산 조직 특성은 방송콘텐츠라는 문화상품을 생산하는 조직의 고유한 특성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프로젝트형 생산 조직은 상품생산 환경 변화에 따라 재구성되는 노동과정 속에서 기업 간 힘의 변화에 의해 발현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a to analyze changes in subcontract system and the labor processes in broadcasting industry. In Korea, This system is composed of 3 big broadcasting corporations, subcontract firma making programs and independent directors who are contract workers. The changes of subcontract system in broadcasting industry have been precipitated by the environmental changes composed of the state regulations including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labor market, rise of digital technology. Big broadcasting corporations have intervened at production process of subcontractors. In subcontract firma, programs are made by the project team led by independent directors possessing abilities of organizing 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chedules of big broadcasting corporations. Thus, labor control exercised by big broadcasting corporations can be described as a composition of control by market powers and bureaucratic hierarchy. The role of subcontractors is no more than a middle-man between big broadcasting corporations and independent directors. When they recruit team members, the process of evaluating skills and abilities through social network is important. Social capital, reputations and trust are important for job seekers in this area. The Association of independent director has been organized and acting as an alternative type of trade union. But, production system on the basis of project team is typical in the cultural industry including film industry and publishing industry, where maximization of organizational flexibility is needed.

      • 한국형 환경영향 평가 지수 방법을 위한 국내 정규화 기준값의 산정

        허영채,서상원,하상선,이건모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00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 No.1

        이 연구는 한국형 환경 영향평가 지수 방법에 적용하기 위한 국내 정규화 기준값 산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영향 범주는 무생물 자원고갈, 지구온난화, 오존층 고가,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 산화물 생성, 생태 및 인간 독성영향 범주와 국내환경 여건을 고려하여 폐기물을 포함하였다. 산정방법은 영향범주의 지리적 경계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인구당량으로 나누어 표시 하는 EDIP 방법을 적용하여 영향범주 별 정규화 기준값을 산정하였다. 산정과정에서 암모니아 배출량, VOC의 오염원별 배출량, 생태독성 상웅인자, 폐기물 영향범주 등 국내의 선행연구를 보완하였고 자료원의 선택, 자료 가공, 사용된 가정 등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산정된 정규화 값을 선행된 연구들과 비교 고찰한 결과 기준연도와 지리적 경계의 차이가 결과 값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준년도와 지리적 경계가 일치하는 연구들에서는 50% 미만의 차이가 있었고 이것은 사용된 자료원과 산출 방법론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calculating normalization reference values for Korean Eco-indicator. For this objective, abiotic resources depletion, global worming, ozone depletion,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photo chemical oxidant creation, eco-toxicity, human-toxicity and solid waste were selected as adequate impact categories for normalization references relating to Korean situation. EDIP method which use per-capita base expression was chosen for this study. Bridging data gab, ammonia emission, equivalency factors for various pesticides used in Korea were calculated. Selection of data sources, data processing procedures, assumptions used in this study were explicitly disclosed in order to guarantee the transparency and the consistency in the calculation of the normalization reference values. Comparison of calculated normalization references with other prior researches showed that main deviation was come from the difference in reference year and geographical boundaries between each study,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exceed 50% if these two conditions were identical.

      • KCI등재

        초등정규교육과정에서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한정혜,박주현,조미헌,박일우,김진오,Han, Jeong-Hye,Park, Ju-Hyun,Jo, Mi-Heon,Park, Ill-Woo,Kim, Jin-Oh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최근 과학예술융합교육(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s; STEAM)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로봇활용교육도 좋은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초등 로봇활용교육은 방과후교실로 운영되고 있는데, 주로 과학과 로봇에 관심이 많은 남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초등학생들이 로봇을 활용하여 STEAM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로봇활용의 범주를 5가지(추상적 이해형, 구조중심형, 운동중심형, 지능중심형, 가치지향형)로 나눈 후, 초등정규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모든 교과와 단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단원에 대하여 정규수업시간 내에 수행이 가능한 로봇을 활용하는 교안을 개발하고, 5개월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로봇활용교육이 STEAM에 대한 흥미를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가 더 두드러졌다. 이와 더불어서, 정규 수업에서 로봇활용교육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당면하게 되는 문제점들에 대해 논하고, 향후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과 관련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Learning with a robot' is now considered as one of the best candidates for STEAM education, which is recently growing its importance. Most of the 'learning with a robot'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serve as afterschool classes.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classes are mostly boys who are interested in science and robots. This paper mainly concerns that a robot can be helpful for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STEAM education. We divided the robot utilizable aspects into 5 areas with educational points of view; abstract concept understanding type, structure-oriented type, athletics-oriented type, intelligence-oriented type and value-orientated type. We extracted all robot utilizable subjects and units from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developed lesson plans which can be applicable to regular classes. And we also verified them by applying into an elementary school for 5 month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learning with a robot' can encourage students' interest in STEAM, and it is more effective for girls than boys. Finally, we discuss problems that teachers may face in using a robot for regular classes, and make suggestions about the use of a robot for STEAM education.

      • KCI등재

        시간 개념을 고려한 전과정평가 방법

        H. Phungrassami,박정건(Jeoung Gun Park),이건모(Kun Mo Lee)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6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는 전과정에 걸친 투입과 산출을 정량화하고,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기존 LCA 방법은 시간을 명확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결함이 있다. 또한 정규화(normalization)단계에서도 시간 경계에 관한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이 고려된 새로운 LCA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LCA 방법론인 ``시간 부하 LCA``는 각각의 전과정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하를 해당 전과정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으로 나누는 것이다. 전과정평가에서 시간 고려를 명확히 함으로써 제품 시스템의 환경 영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규화 단계의 시간 단위 불일치를 보완할 수 있다. 시간-부하 LCA의 기본 전제는 같은 양의 환경 부하라 하더라도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환경부하가 긴 시간 동안 발생하는 환경 영향보다 더 튼 환경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목록 파라미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시간 당 부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Life Cycle Assessment(LCA) is a tool that quantifies the inputs and outputs, and evaluates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during the entire life cycle of a product, material and/or service. Inputs and outputs encompass th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mission of pollutants to the environment. One of the deficiencies of the conventional LCA methodology is that it does not consider time explicitly.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emporal boundary in the normalization step of LC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that considers time in LCA as called ``Time Load LCA``. Basically Time Load LCA is a method that divides environmental load in each life cycle stage by time duration in each life cycle stage. Time consideration in the proposed method indicated that the new LCA method not only renders new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a product system but also rectifies inconsistency in temporal dimension of the normalization step. Basic premise of the time load LCA method is that same amount of load over a shorter time period would affect more seriously on the environment than over a longer time period. therefore, load per time is necessary for the assessment of an impact of the inventory parameters on th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