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전자증권법의 주요내용에 대한 검토

        정대익 ( Dae-ik Jung ) 한국금융법학회 2021 金融法硏究 Vol.18 No.3

        독일의 유가증권법을 현대화하고 자본시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독일 전자증권법(eWpG, 이하 전자증권법)이 2021년 6월 10일 발효됨으로써 독일은 프랑스,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스위스처럼 본격적으로 유가증권의 무권화라는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전자증권법은 그간 유가증권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던 증서요건을 폐기함으로써 발행인이 증서형 유가증권의 발행이나 유가증권의 전자적 발행을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다. 증서형 유가증권에서의 증서의 기능은 전자증권에서는 전자증권등록부의 등록이 대신한다. 전자증권법은 기술중립적이어서 블록체인에 기반한 전자증권을 다른 종류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한 분산원장기술에 기반한 전자증권보다 우대하지 않는다. 전자증권법은 전자증권을 물건(동산)으로 의제함으로써 동산에 관한 물권법 규정 전부를 전자증권에 적용할 수 있게되어 전자증권의 권리자(소유자)를 두텁게 보호할 수 있다(특히 파산이나 압류 시). 개별등록된 전자증권에 대해서는 그 특수성을 고려하여 양도를 포함한 처분 및 선의취득에 관하여 특별규정을 두고 있다. 전자증권법은 신속하고 확실한 입법을 위해 우선 시장에서 수요가 가장 높은 무기명사채, 저당증권 및 무기명수익증권 일부에만 적용되는데, 향후 주식 등 기타 증권에 대한 문호개방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전자증권법은 전자증권을 중앙등록부전자증권과 암호증권으로 분류하는데, 전자는 전자증권중앙등록부에 등록된 전자증권을 후자는 분산원장기술에 기반한 탈중앙화된(분산된) 암호증권등록부에 등록된 전자증권을 의미한다. 전자증권중앙등록부와 암호증권등록부 모두 혼장등록과 개별등록이 허용된다. 전자증권등록부 관리자는 등록부에 등록된 정보의 신뢰성, 완전성 및 진정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전자증권등록부 관리자는 전자증권등록부가 언제나 현재의 법적 상태를 정확히 반영하며, 등록 및 대체등록이 완전하고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장할 의무가 있으며, 이러한 의무를 과실로 위반하여 권리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진다. 전자증권발행과 전자등록부관리는 연방금융감독청(BaFin)의 감독을 받으며, 전자증권등록부관리는 독일 신용기관법(KWG) 상 금융서비스(Finanzdienstleistung)에 해당된다. The German Electronic Securities Act (Gesetz über elektronische Wertpapiere - eWpG, hereinafter eWpG) entered into force on 10 June 2021. Germany is thus following the example of other European states such as France, Luxembourg, Liechtenstein, and Switzerland moving towards a dematerialization of securities law. The aim of the eWpG is to modernize securities law and to boost the German financial market. Under the eWpG the currently mandatory documentary embodiment of securities is abandoned. Issuers should be able to choose whether they want to issue securities by means of a certificate or electronically. The requirement for a physical certificate is replaced by an entry in an electronic securities register(an equivalent to the physical certificate). The provisions of the eWpG are technology-neutral in the sense that securities issued via blockchain are generally not to be favored over other electronic forms of issuance. The eWpG classifies electronic securities as moveables(things, Sachen) within the meaning of section 90 of the German Civil Code(BGB). This ensures comprehensive property protection, especially in cases of bankruptcy and foreclosure.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particularities of electronic securities in individual entries, special regulations are provided for disposals, including the transfer of ownership and, in particular, the acquisition in good faith(bona fide acquisition, gutgläubiger Erwerb). The eWpG is supposed to initially limited to bearer bonds(Inhaberschuldverschreibung), mortgage bonds(Pfandbriefe) and certain fund unit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eWpG will be expanded later on to include other securities, such as electronic stocks. The eWpG provides for two types of electronic securities registers: central securities registers and decentralized crypto securities registers, which are typically operated on the basis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DLT). Electronic securities are divided into central register electronic securities and crypto securities. A central register electronic security is defined as an electronic security that is entered in a central register, whereas a crypto security is defined as an electronic security that is registered in a crypto securities register. The entity maintaining the electronic securities register must ensure ensures the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the data. He must also ensure that the register accurately reflects the existing legal situation at all times, and that entries and transfers are complete and accurate. In the event of a breach of this obligation, the entity shall be liable to pay damages to the party concerned. The issuance of the electronic securities and the management of the electronic securities register should be plac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Federal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y(BaFin). For this purpose, the management of the electronic securities register is designed as a financial service within the meaning of the German Banking Act(KWG).

      • KCI등재

        유가증권의 전자화와 그 법적 과제에 관한 연구

        허항진(Huh Hang-Jin)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0 No.-

        전자증권제도는 증권예탁결제제도의 발전에 따라 실물증권의 필요성이 감소하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금융시스템의 전자화 확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된 제도이다. 그리고 이 제도는 오늘날 전 세계 97개국 중 67개국(부분적 시행국가 포함), OECD 30개국 중 25개국이 시행하는 보편화된 제도로 정착되었다.이에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전자증권제도의 도입을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내외적인 금융시장의 환경변화와 금융산업의 투명성 제고 및 효율성 제고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전자증권제도는 조속히 도입되어야 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전자증권제도는 전자등록부에의 등록만으로 권리관계의 결정 및 권리의 이전 등을 처리하게 되므로 실물증권의 발행을 전제로 하는 기존의 법체계상 많은 법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증권제도를 도입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법적 문제점을 우선 해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was created as physical securities certificates became obsolet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ecurities deposit and settlement system, and the digitalization of financial systems expanded follow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is now implemented(including partial implementation) in about 67 of the 97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25 of the 30 OECD countries. Accordingly, there are visible movements to implement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in Korea. In view of changes 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environment, and enhance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bjections to introducing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as soon as possible is unlikely, However, since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will determine the rights relationships and process rights transfers exclusively by electronic registration, it could cause much legal confusion under the existing legal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issuance of physical securities, and there also may be concern over the stability of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se issues, it is of vital importance to resolve this legal challenges first.

      • KCI등재

        전자적 증서의 유가증권성

        손진화 ( Jinhwa Son ) 한국지급결제학회 2009 지급결제학회지 Vol.3 No.1

        유가증권은 사권(재산권)이 표창되어 있는 증권으로서 그 권리의 행사에 증권을 필요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전자유가증권은 재산권을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표창하고 그 권리의 이전 및 행사에 전자문서의 송신·수신을 필요로 하는 증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자적 증서로서 유가증권인가 여부가 문제되는 것으로는 전자어음, 전자채권, 전자화폐의 접근매체, 선불 전자지급수단의 접근매체, 전자선하증권,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도상의 전자등록부 등이다. 전자어음의 법적 성질에 관하여는 전자등록증권설과 전자유가증권설이 대립하고 있는데, 종이 어음의 전자적 상응물로서 유가증권의 일종이라고 보아야 할 것 이다. 전자채권증서의 법적 성질에 관하여는 지명채권설과 기명증권설이 대립하고 있는데, 유통성이 제한되는 기명증권의 일종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전자화폐의 접근매체는 전자화폐의 유형에 따라 전자화폐카드와 디지털화폐의 전자문서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화폐카드는 일종의 선불카드로서 법률에 의하여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금전에 갈음하여 사용되는 증서로서 그 자체 일정한 금전적 가치를 소장하고 있으므로 유가증권으로 보기는 어렵고 금권에 해당한다. 디지털화폐의 접근매체인 전자문서는 지시증권·무기명증권에 인정되는 배서 또는 교부의 방법에 의한 양도가 인정되지 아니하고, 권리자가 특정되는 경우에도 기명증권과 같이 지명채권양도의 방법으로 양도될 수 없으므로 유가증권으로 보기 어렵고, 증거증권 및 면책증권의 성질을 가진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접근매체는 실물카드 방식 또는 전자문서 방식으로 발급된다. 카드방식의 접근매체는 일종의 선불카드로서 유가증권으로 볼 수 있다. 전자문서 방식의 접근매체는 권리자가 전자문서에 특정되기는 하지만, 지명채권양도의 방법으로 양도될 수 없고, 또 지시증권·무기명증권에 인정되는 배서 또는 교부의 방법에 의한 양도도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유가증권으로 보기 어렵다. 그러나 디지털상품권은 일정한 급여청구권을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표창하고 보통 무기명식으로서 그 권리의 이전 및 행사에 전자문서의 송신·수신을 필요로 하므로 유가증권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전자선하증권은 발행·배서 및 권리행사가 전자어음법의 규정과 같이 규율될 예정이고 종이 선하증권과 같은 효력이 인정되므로, 종이 전자선하증권의 전자적 상응물로서 유가증권의 일종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전자등록제도에서 증권 없는 권리가 등록되는 전자등록부는 권리의 공시방법일뿐이며 권리의 표창성에 있어서 일반 유가증권에서의 권리와 증서의 결합의 정도에 이르지 못하고, 권리의 이전은 전자등록부의 계좌상의 대체기재에 의하고 전자문서의 송신·수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 기명날인 또는 서명의 법적 효력이 있는 전자적 기법(예컨대, 전자서명)이 이용되는 것도 아니므로 유가증권으로 보기 어려울 것이다.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nature of electronic negotiable certificates: electronic promissory note, electronic certificate of credit, e-money card, electronic pre-payed card, electronic document of electronic pre-payed means, digital certificate of merchandise, electronic bill of lading, electronic register in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etc.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 is a certificate in which property right is embodied on electronic document, and transmission and receipt of the document are required for transfer and exercise of the right. Electronic promissory note is a alternative of paper promissory note and a sort of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 Electronic certificate of credit is a sort of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 with limited negotiability. E-money card or certificate of digital money has a money-value in itself, and therefore it is not a negotiable instrument but simply a certificate of money. Electronic pre-payed card is a sort of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s. It represents a right for delivering of a good or a service to holder of the card, requires possession of the card for excercise of the right, and transfer of the right is transferred by simply deliver of the card. However, electronic document of electronic pre-payed means as an access device is not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 Digital certificate of merchandise is a sort of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s, and bear certificate in which transmission and receipt of the certificate are required for transfer and exercise of the right. Electronic bill of lading is a sort of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s which is regulated as the same way to electronic promissory note. Electronic register in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is not a sort of electronic negotiable instruments. The right registered on the registry can be transferred by electronic registry on each account to related transaction, and the registry is not required for electronic signatures. The transmission and receipt of the right are not required for transfer and exercise of the right.

      • KCI등재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주식발행 및 거래에 관한 시론적 고찰

        김지안 한국상사법학회 2020 商事法硏究 Vol.38 No.4

        'Blockchain technology', distributed ledger using cryptography, is a revolutionary means of recording the flow of assets. This article especially concerned about the implications of blockchain technology for stock offerings and transfers. Also the article provides a description of an existing blockchain system that already evidences securities issued and being traded, then set forth and analyzes how U.S. securities regulation covers blockchain securities. In consideration of these issues, this paper explores blockchain-based securities with a special focus upon electronically-registered shares in the new Act on the Electronic Registration of Shares, Bonds, etc' in Korea. Furthermore, The author also examines some examples of potentially affected. including the role of central intermediary and the usage of electronic ledger. 블록체인기술은 분산장부기술과 암호화기법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블록체인기술을 통한 분산장부는 거래 참가자들이 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중앙집권적 장부에 비해 해킹이나 사후적 조작이 구조적으로 어렵고 수수료 절감 등의 이점이 있어 최근 자산의 등록과 거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도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주식발행 및 거래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 발전에 따른 문제점들을 선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앞으로의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의에 앞서, 블록체인기술이 어떻게 구현될 것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해 미국의 Overstock.com社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2016년 12월 미국상장회사인 Overstock.com社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여 주식을 발행하였는 바, 그 구체적인 형태와 더불어 미국 회사법 및 증권법상 기존의 주식발행과 어떠한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개관한다. Overstock.com社 사례와 같이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주식발행이 우리나라에서도 가능할 것인가. 우리 법제 하에서 허용될 것인지를 논하기에 앞서, 블록체인기술을 통해 발행된 주식의 법적 성질을 검토한다.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주식발행은 ʻ분산장부ʼ라는 사실상 완전한 공시방법이 마련된 것으로 분산장부기재로 실체법적 권리가 이전된다고 보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전자문서방식보다는 전자등록방식이 보다 적합하다고 본다. 즉 현행 전자증권법을 통해 규율하는것이 정책적으로 타당하다. 다만 블록체인기술의 활용이 현행 전자증권법상 허용되는지 불분명하거나 충돌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전자증권법상 ʻ전자등록ʼ에 해당할 것인지를 살핀다. 델라웨어나 프랑스의 입법례는 ʻ전자적 기록ʼ 내지 ʻ전자등록ʼ에 대하여 ʻ복수의 기록ʼ 내지 ʻ공유형 전자등록ʼ도 허용됨을 명시함으로써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경우도 포섭됨을 명확히 하였는데, 참조할 만하다. 또한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면 방대한 거래정보가 실시간으로 거래참여자들에게 공유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증권법이 예정하고 있는 계좌관리체계도 이러한특징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즉 직접등록방식을 택할 수 있는 경우를 확대하거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회사가 직접 전자등록부를 관리하는 것을 허용하는 등다양한 방법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블록체인기술의 발전으로, 전자등록부가 사실상 주주명부를 대체할 가능성이있다. 암호화된 분산장부를 주주명부로 볼 경우, 그 가독성을 보장하는 한편 개인정보 보호 관점에서 특히 신상정보 등과 관련하여 정보 접근을 제한할 필요가있다. 이에 대해 델라웨어 회사법을 참고하여 전자등록부에 대해 가독성 있는형태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추가하고 고객 정보에 대해서는 계좌관리기관이나 명의개서대리인 등 별도 기관이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주식에 관한 전자등록제도 시행에 즈음한 법적 문제점 검토 - 증권거래의 투명성 제고 측면을 중심으로 -

        심인숙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4

        On March 22, 2016, the Act on the Electronic Registration of Shares and Bonds, Etc. of Korea(the “Act”) has been legislated, which is to become effective within 4 years thereafter. The legislation of the Act is the first concrete step which Korea has taken to introduce the dematerialization of securities including stocks, bonds and other investment securities. Though the Act does not provides for the dematerialization of the securities in a full scale, first of all listed securities will be mandatorily dematerialized. In this article, the author focuses on the legal issues on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relating to the shares of stocks under the Act and evaluates the system in terms of its impact on the enhancement of the transparency on securities transactions. For her evaluation purposes, she pays attention to two factors: i)the quality of access to the informations on electronic securities transactions by the interested parties and ii)the level of difficulty for minority shareholders in exercising their rights against the issuers. In Part II, this article examines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for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issuance of stocks and finds that it has significant limitations in terms of its coverage and it lacks sufficient mechanism enough to ensure the timeliness and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at the stage of the electronic issuance of stocks. In Part III, the author analyzes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in terms of the production, concentra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informations originated from the electronic securities transactions in the secondary market. She finds that it has different facets for each of the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the issuers, shareholders and security holders.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such informations, the system provides for a perfectly comprehensive platform.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uch informations shall be made only through the initiative of the issuer of stocks and only in a very limited circumstances. The access to such concentrated electronic information by the issuer is also permitted only in such circumstances. The shareholders have no direct access to such concentrated electronic informations and have to rely on the shareholders registry system, the link of which with the concentrated electronic informations needs further regulatory refinements. Also the Act needs to be supplemented to provide more access to the electronic informations to the pledgees. In Part IV, the author goes through various problems that might arise when minority shareholders are to exercise their rights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ally registered shares of stock, including the issues regarding the correlation with the shareholders registry system under the Commercial Code and the strict limitations on the disposition of the electronically registered shares of stock during certain peracid of time in connection with the exercise of their rights. In Part V, the author appreciates the achievements of the Act in that all transactions on the electronically registered stocks shall go through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which, as a result, provides for a comprehensive platform to produce and concentrate all informations on the electronic issuances and trading of those stocks. However, she concludes that the Acts needs more attention to go forward to the ultimate stage where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concentrates all such informations constantly almost in a real time base and provides for the full accesses to those informations for all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the issuers, shareholders and pledgees. 2016. 3. 22.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정으로 우리나라도 무권화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이 글에서는 증권거래의 투명성 제고라는 측면에서 무권화가 가지는 장점이 전자등록법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전자등록법은 주식 뿐만 아니라 사채 기타 투자증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주식만을 그 분석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모든 회사의 모든 증권을 대상으로 하는 전면적인 무권화는 아니지만, 적어도 상장주식에 대하여는 모든 거래가 전자등록제도에 포섭되고 그에 관한 발행 및 유통정보도 전자등록시스템에 생성·집중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전자등록법은 증권거래의 투명성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이러한 제도적 기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전자등록시스템에 생성·집중된 정보를 거의 실시간으로 취합하여 상시적으로 공유하는데까지 나아갔더라면 증권거래의 투명성 측면에서 무권화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이번 입법이 이 단계에까지 나아가지 못한데에는 아쉬움이 남지만, 무권화 제도 도입 초기에 급격한 변화에 따르는 부담과 관련 당사자들의 수용성을 고려한 결과라고 이해하고 가까운 장래에 다음 단계로의 진전이 있기를 기대해본다. 이 글에서는 증권거래의 투명성 제고측면에서 긴요한 요소로서 정보공개와 소수주주권 행사의 용이성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하여 전자등록법에 나타난 제도를 분석하였다. 전자등록주식의 발행인, 주주, 담보권자 등이 전자등록제도하에서 정보접근 측면에서 가지게 될 법적 지위가 가지는 한계를 검토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집중하였다. 또한 주로 주주명부 제도와의 관계에서 소수주주권 행사와 관련되어 제기되는 의문에 대하여 논의하고 필요한 제도정비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자증권제도에 의한 주식제도의 변화와 주주명부의 기능 강화

        박철영 한국기업법학회 2019 企業法硏究 Vol.33 No.2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is to realize the complete dematerialization or electronicization of securities based on the developed deposit settlement system. In order to distribute stocks and other rights, the issue of physical form is no longer necessary, and a company to which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is applied can no longer issue traditional certificated securities. It is a major innovation of securities regime in commercial law. It will bring about a big change in the operation of the corporation and stock system under the commercial law. Various matters related to stock, such as issuance of certificates, transfer of title, closing of shareholders' list, will be omitted, even including beneficial owner system and beneficial owner list under Capital Markets Law. The investors can exercise its shareholder rights directly to the company by restoring its shareholder status under commercial law. The shareholders' list shall be made regularly (quarterly) in addition to the record date, and in case of necessity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hareholder (stipulat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bove all,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 and its shareholders, which have been severely cut off, will be greatly improved as the shareholders' list which has been divided by the deposit system, will be united and regained its original legal statu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ason for notifying the owner's details for the shareholder list, and also it is necessary to add the shareholder's contact information (e-mail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on the shareholder list. In addition, it is also needed for the company to grant the right to request shareholder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registrar and the account manager. 전자증권제도는 그동안 발달된 예탁결제제도를 기반으로 유가증권의 완전한 무권화 내지 전자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주식 등의 권리가 유통되는데 있어 더 이상 주권 등의 권면은 불필요하고, 전자증권제도가 적용되는 회사는 더 이상 주권 등 전통적인 유가증권을 발행할 수도 없게 된다. 상법상 유가증권제도의 일대 혁신이다. 이에 따라 상법상 주식제도 및 주식회사 운영에 큰 변화가 생긴다. 주권의 발행과 명의개서, 주주명부폐쇄, 공시최고 등 다양한 주권 관련사무가 생략된다. 자본시장법상 실질주주제도와 이에 따른 실질주주명부도 폐지된다. 투자자는 상법상 주주의 지위를 회복하여 회사에 대하여 실질주주제도에 의하지 않고도 직접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 주주명부는 권리행사 기준일 외에도 정기적(분기)으로, 또한 정관의 규정에 따라 주주확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예탁결제제도에 의해 이원화되고 형해화되었던 주주명부가 일원화되고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게 됨으로써 그동안 단절이 심했던 회사와 주주와의 관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추가적인 과제가 있다. 우선, 주주명부 작성을 위한 소유자명세 통지사유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상장회사 표준정관 등에 의해 실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작성주기 단축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주주명부 기재사항에 주주의 연락처(전자우편 및 전화번호)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상법 대신 전자증권법의 개정에 의해서도 할 수 있는데, 정보제공에 동의한 주주를 대상으로 하면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일본의 예를 참고하여 회사가 주주 확인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전자등록기관과 계좌관리기관에 대하여 주주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정보제공청구권)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도의 도입방안

        손진화 한국상사법학회 2003 商事法硏究 Vol.22 No.3

        In this articl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means a system that a share, deventure, or other interst in an issuer or in property or an obligation of an issuer are registered in electronic register with the central deposit and Liauisition institution. The objectives of introduction of the system are efficient and rapid capital procurement, reduction of administrative costs, elemination of misuse resulted from maintaining the system, and advanced environment, transparency and international competetiveness in finamcial industry. In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the registered right, obligation, or other interest are of the same nature as of they were embodied on investment securitie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ystem are that property right n securities is registered holder is due course, and to the entry of transfer in register is given the effect of transmission of the holder's right.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could be applied to the securities regulated by the Securities Act of 1962, short-term financial assets and beneficiary securities, and could be primarily applied to business corporations of which the securities are registered in he register with Korea Securities Deopository and to registered corporations on Kosdak market.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hould be obligatory to applicable corporations, and direct registration method is more efficient on the securities market, but merit of indirect registration could be consifered. Much costs is necessary for establishing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and public information and education procedure are required to the applicable corporations and investors. Therefore, with arrangement of required infrastructure, precise planning and intriduction, the electronic registrantiom system will enhance efficency of national economy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veness.

      • KCI등재

        전자증권의 법적 성질과 전자등록제도에 관한 고찰

        정경영 한국상사법학회 2003 商事法硏究 Vol.22 No.3

        The concept of electronic securities which include electronic stocks and electronic donds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 paper crisis but it doesn't have any characteristics of negotoable instrument. Therefore the terminology of electronic security or electronic negotiable insrument relating to stocks doesn't represent the real nature of what is issued and traded electronocaly in stock markets in other countries and in our futher stock market. As it operates by electronic registry system, we'd better use terminology of 'electronic registry system'than the electronic securities. The electronic register book represents the title to stocks and bonds and the ownership of any stocks or bonds is determined not by possession of materials representing stocks etc. like any other negotiable instruments but by registry on the register book like real estates in German legal system. So, many regulations stipulated under the nature of negotiable instrument of stocks and bond should be amended to apply to the electronically registered stocks and bonds. And other legal effects of registry on the electronic register book need to be researched to substitute the electronic registry system relating for regotiable instrument.

      • KCI등재

        Reference to the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UNCITRAL’s Recent Texts

        이재성 국제거래법학회 2010 國際去來法硏究 Vol.19 No.1

        본 논문은 UNCITRAL이 최근 채택한 문안 및 UNCITRAL의 각 실무작업반 (Working Group)의 논의에서 나타난 “전자적 의사표시의 이용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에 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봄으로써 2005년 채택된 국제계약에 있어 전자적 의사표시의 이용에 관한 UN 협약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International Contracts; 이하 ECC)의 향후 비준 및 관련 국내 입법에 있어 유용한 참고 자료로서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ECC의 채택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인터넷 및 전자 상거래의 발전은 정부조달, 중재, 운송, 도산 및 담보 등의 분야를 다루는 실무작업반에서 전자적 의사표시의 이용에 관한 논의를 필요하게 하였으며, 향후 과제 선정에난항을 겪고 있는 실무작업반 IV의 조속한 속개도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UNCITRAL에서의 전자적 의사표시의 이용에 관한 논의는 ECC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능적 동등성(functional equivalence)” 및 “기술적 중립성(technological neutrality)”에 근간을 두고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나, 국제거래 각 분야의 필요 및 특성 그리고 논의 결과 최종적으로채택되는 문안의 형식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 방식은2008년 1월 ECC를 서명한 우리나라가 추후 동 협약을 비준함에 있어 필요할 수도 있는 국내 법제 정비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전자등록제도 하에서의 사채관리에 관한 검토

        박철영 한국상사법학회 2011 商事法硏究 Vol.30 No.2

        The Amended Korean Commercial Code(2011) has introduced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of stocks and corporate bonds by accepting the trend of dematerialization or electronization of securities. Corporate bonds are commonly issuing the type of bearer bonds as most of the rules for corporate bonds require the issuance of certificate in the current Korean Commercial Code. Therefore, th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for corporate bonds differs from that of stocks in details. Also the legislative supplementation should be required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registration. Firstly, it should be stipulated that the issuance of certificates is forbidden in order to clarify the paperless system.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electronic bonds should be considered as a completely new type,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earer bonds and registered bonds due to the nature of electronic registrations. Secondly, it is possible that the electronic bonds could be treated as registered bonds according to the essence. In this case, the issuing company should fill in bondholder’s book in line with the notice of the electronic registration institution, and the procedure of transfer could be exempted. Thirdly, if the type of bearer bonds is kept up, it is mandatory to make a certificate of electronic registration to deposit or to present to the issuing company in order to exercise the bond's right. Regards to this, when an issuing company adopts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it should prepare for the procedure that bondholders apply for the issuance of certificates in advance. On the one hand,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a single legal system for the electronic registration regime because it affects all securities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s well as the Commercial C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