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회 지각된 가치와 재-참가 및 구전 의도 관계에서 전시회 애착, 전시회 만족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박경환,김준석,황희곤 한국무역전시학회 2021 무역전시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전시회 지각된 가치와 재-참가 및 구전 의도의 관계에서 전시회 애착과 전시회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전시회 애착과 전시회 만족도가 각각 참가업체의 재-참가 및 구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3년간 대한민국 지식재산대전에 참가한 참가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총 10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빈도 분 석, 탐색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 PROCSS Macro 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회 지각된 가치, 전시회 애착, 전시회 만족도 및 재-참가 의도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회 애착은 재-참가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지각된 가치와 재-참가 의도에서 전시회 만족도는 매개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전시회 지각된 가치, 전시회 애착, 전시회 만족도는 구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시회 애착 및 전시회 만족도는 유의한 매개효과로 판별되었다. 둘째, 전시회 지각된 가치와 구전 의도간의 관계에서 전시회 애착과 전시회 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회 서비스 품질과 행동의도, 전시회 주최자의 서비스 품질과 참가업체와의 관계품 질 등에 대한 기존 연구가 있었으나, 본 연구는 전시회 지각된 가치, 전시회 애착, 전 시회 만족도를 각각 세분화하여 각 요소들에 대해 연구하고, 전시회 애착과 전시회 만 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측정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the mediating effect of exhibition attachment and exhibition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perceived value and re-exhibition/WOM intention. A total of 10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exhibito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Exhibition. To conduct the analysis, PROCESS Macro analysis, SPSS 25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exhibition perceived value, exhibition attachment, and exhibition satisfaction had empir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OM intention. The exhibition attachment and the exhibition satisfaction showed meaningful mediated effects on exhibition perceived value and on WOM intention.

      • KCI등재

        전시회에서 개최되는 회의서비스 속성이 전시회 이미지 및 고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19 서울국제소싱페어를 중심으로

        이지원,윤은주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3

        In many Asian countries, exhibitions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marketing medium, reaching around 31.1 billion in 2021 in global marketing volume. With these international growth of exhibition industry, globalization and enlargement of exhibition thru the merge of exhibitions and conferences become a tren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eminar and/or meeting co-hosted in exhibition by adopting the notion of side-event at exhibition, which is meeting is one of side-event program at exhibition.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eting service attributes on exhibition imag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exhibition image on the customer behavior intention in order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eeting service attribute, exhibition imag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visitors in 2019 Seoul Sourcing Fair held in COEX, Seoul from 21st to 23th of March, 2019. Total 502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meeting service attributes had a positive effect on exhibition image but not significant to the customer behavior intention, and exhibition image has positive effect on customer behavior intention. Further, exhibition image is the full mediation variable between meeting service attribut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it broadened the exhibition research scope by connecting the meeting service attributed which was studied mainly in convention industry, into the exhibition, and in particular enriched the literature on side event program at exhibition by verifying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meeting service attributes on exhibition imag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ConfEx’model which is merging conference and exhibition, resulting in build up the political grounds in government supporting policies. Lastly, it suggests for the executives to manage the detail side event programs co-hosted with exhibitions systematically and need to use it as the marketing tool for the successful exhibition outcome. 전시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국제 전시회의 글로벌화 및 대형화 추세에 따라 최근 전시회와 회의 및 이벤트를 결합하여 시너지효과를 얻고자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시회와 동반하여 개최되는 세미나 및 회의의 전시회 내에서의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전시회 부대행사에 관한 이론적 개념을 적용하여 전시회 내에서 개최되는 회의서비스 속성과 전시회 이미지 및 고객 행동의도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전시회에서 개최되는 회의서비스 속성에 대한 만족과 전시회 이미지 및 고객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둘째, 전시회 이미지가 고객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검증을 위해 매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19 국제서울소싱페어 참가자를 대상으로 현장 설문을 진행하였고 수입된 자료 중 유효한 표본 502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회의서비스 속성은 전시회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고객 행동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 전시회 이미지가 회의 서비스 속성과 행동의도 간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를 지지하면서 전시회 이미지는 고객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은 첫째, 다소 부족했던 전시회에서의 부대행사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전시 연구의 이론적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과 둘째, 세계적인 추세로 시행되는 전시회와 회의분야의 연계 개최에 대한 실효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 정부 정책에 대한 실무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전시운영 실무자들로 하여금 전시회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부대행사의 운영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리가 전시회 이미지를 매개하여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전시회 체험에 따른 참가자 몰입이 전시회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여진,윤은주 한국무역전시학회 2015 무역전시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전시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감각,감정,인지,행동,관계)에 대한 참가자의 몰입이 실질적으로 전시회의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B2B와 B2C 전시회의 경우 각각의 체험 요인이 참가자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와 참가자 몰입을 통한 전시회 만족과 나아가서 전시회 재방문에 미치는지 영향을 규 명해 보고자 하였다. 회귀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B2C 전시회 참가자의 경우에는 전시회 체험 가운데 행동적 요소가 참가자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시회 체험 가운데 감성, 감각, 관계 순으로 전시회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B2B 전시회 참가자의 경우 관계, 인지, 감각 순으로 전시회 체험에 참 가자가 몰입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시회 체험의 감각만이 전 시회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시회 참가자들의 몰입도 위해 전시회 주최 측에서는 참가자의 행동적 체험 을 고려한 활동성 있는 체험 존이나 체험프로그램들을 운영 및 개발을 통해 참가자들 의 몰입을 유도해야하며, 전시회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시장 내부에 홍보물, 제 작물, 인테리어, 색체를 통한 시각적 체험(감각)을 보다 강조해야 할 것이다. B2C 참가 자의 경우에는 전시회 출품제품 및 프로그램을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구조로 배 치하여 참가자들이 몰입할 수 있는 직접적인 상황을 제공하며, 체험을 통해 느끼는 즐 거움, 신선함/새로움, 매력적인 느낌(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감성적인 콘텐츠를 활용하 여 체험 프로그램 및 주제를 구성 및 제작해야 할 것이다. 또한 B2B 참가자의 경우에 는 다양하고 실용적인 체험에 대한 기획 및 운영하는 전시회 주최 측과 참가자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참여한 체험 프로그램을 특별하게 느낄 수 있는 구성력이 필요하며, 전시회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시회 제작물 디자인 구성 및 색체 작업에 좀 더 핵 심적인 메시지를 담아야 할 것이며, 참가업체들 또한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위해 업체 부스와 제품 디자인이 서로 잘 조화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시회만 족도와 재방문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시회의 전반적인 운영 및 관리에도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서로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지도록 진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participants' concentration on the exhibi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sion from various types of experience (sense, emotion, recognition, behavior, and relationship) is provided in the exhibition. Uniqu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bl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experience of exhibition, participants' concentration, satisfaction on the exhibition, and intention of re-visiting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were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 To be specific, it was intended to examine how each of the experience elements influenced on the participants' concentration and also how the participants' concentration influenced on the intention of re-visiting the exhibition. The exhibition were divided into B2B and B2C in order to identify how the participants' concentration from experience elements of the exhibition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ing the exhibition. As a result, in the B2B exhibition,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nse experience had influence on participants' concentration. In the B2C exhibition, only the behavior experience can influence on participants' concentration. Regarding to the exhibition satisfaction, sense experience had influence on in B2B exhibition, and in B2C exhibition the emotion, sense, relationship experience had influence on.

      • KCI등재

        소비자전시회의 체험요인(4Es)이 참관객의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2019 캐릭터라이선싱페어 참관객을 중심으로 -

        윤영혜,김미성,윤유식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mpact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factors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as well.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based on prior research on the Exhibition Experience Elements(4Es),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600 visitors to Character Licensing Fai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a total of 582 valid samples obtained through the survey for empirical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act of exhibition experience factors on satisfaction, educational and esthetic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atisfaction, program satisfaction, and space satisfaction. However, entertainment experien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space satisfaction, while escapist experienc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gram satisfaction and space satisfaction. Next,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impact of exhibition experience factors on visitors' behavio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all experience fact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itor's behavior, and that the intention of revisiting is influential in the order of entertainment experience, escapis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esthetic experience, and recommended intention is educational experience, escapist experience, entertainment experience, and esthetic experience. Lastly,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impact of exhibition satisfaction on visitors' behavior,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atisfaction, program satisfaction, and space satisfaction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ehavior intention, and both the intention of revisiting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ing them were influential in order of program satisfaction, guidance satisfaction, and space satisfaction. In summary, except for some experience factors, the exhibition's experience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xhibi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an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hibi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Therefore, the exhibition organizers and exhibitors should focus on finding ways to develop the exhibition by strengthening the factors of experience. 본 연구는 전시회의 체험요인이 참관객의 전시회 만족도와 참관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하여 전시회체험요인, 만족도, 행동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참관객 6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총 582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가설검증 결과에 있어서 전시회 체험요인이 전시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교육적 체험과 심미적 체험은 안내만족, 프로그램만족, 공간만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락적 체험은 안내만족 및 공간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탈적 체험은 프로그램만족 및 공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시회 체험요인이 참관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모든 체험요인이 참관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 의도에는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 교육적 체험, 심미적 체험 순으로 영향력이 크고, 추천 의도에는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시회 만족도가 참관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안내만족, 프로그램만족, 공간만족 모두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 의도와 추천의도에 모두 프로그램만족, 안내만족, 공간만족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일부 체험요인을 제외하고는 전시회의 체험요인이 전시회 만족 및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전시회 만족과 행동의도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체험요인강화를 통한 전시회 발전방안 모색을 주력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전시회에서 개최되는 회의서비스 속성이 전시회 이미지 및 고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19 서울국제소싱페어를 중심으로

        이지원,윤은주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

        전시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국제 전시회의 글로벌화 및 대형화 추세에 따라 최근 전시회와 회의 및 이벤트를 결합하여 시너지효과를 얻고자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시회와 동반하여 개최되는 세미나 및 회의의 전시회 내에서의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전시회 부대행사에 관한 이론적 개념을 적용하여 전시회 내에서 개최되는 회의서비스 속성과 전시회 이미지 및 고객 행동의도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전시회에서 개최되는 회의서비스 속성에 대한 만족과 전시 회 이미지 및 고객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둘째, 전시회 이미지가 고객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검증을 위해 매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19 국제서울소싱페어 참가자를 대상으로 현장 설문을 진행하였고 수입된 자료 중 유효한 표본 502부를 통계분석에 사 용하였다. 그 결과 회의서비스 속성은 전시회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고객 행동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 전시회 이미지가 회의 서비스 속성과 행동의도 간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를 지지하면서 전시회 이미지는 고객행동의도에 유의한 영 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은 첫째, 다소 부족했던 전시회에서의 부대행 사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전시 연구의 이론적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과 둘째, 세계적인 추세로 시행되는 전시회와 회의분야의 연계 개최에 대한 실효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함 으로써 정부 정책에 대한 실무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전시운영 실무자들로 하여금 전시회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부대행사의 운영에 대한 서비스 품질 관리가 전시회 이미지를 매개하여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n many Asian countries, exhibitions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marketing medium, reaching around 31.1 billion in 2021 in global marketing volume. With these international growth of exhibition industry, globalization and enlargement of exhibition thru the merge of exhibitions and conferences become a tren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eminar and/or meeting co-hosted in exhibition by adopting the notion of side-event at exhibition, which is meeting is one of side-event program at exhibition.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eting service attributes on exhibition imag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exhibition image on the customer behavior intention in order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eeting service attribute, exhibition imag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visitors in 2019 Seoul Sourcing Fair held in COEX, Seoul from 21st to 23th of March, 2019. Total 502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meeting service attributes had a positive effect on exhibition image but not significant to the customer behavior intention, and exhibition image has positive effect on customer behavior intention. Further, exhibition image is the full mediation variable between meeting service attribut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it broadened the exhibition research scope by connecting the meeting service attributed which was studied mainly in convention industry, into the exhibition, and in particular enriched the literature on side event program at exhibition by verifying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meeting service attributes on exhibition image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ConfEx’model which is merging conference and exhibition, resulting in build up the political grounds in government supporting policies. Lastly, it suggests for the executives to manage the detail side event programs co-hosted with exhibitions systematically and need to use it as the marketing tool for the successful exhibition outcome.

      • KCI등재

        전남대학교 고미술전시회로 본 1950년대 대학박물관의 전시 과정과 의미

        조진선(Cho Jin-son),문다성(Mun Da-seong),이정민(Lee Jeong-min)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0 고문화 Vol.96 No.-

        “전남대학교 고미술전시회”는 1957년 7월 11일~17일까지 개최되었다. 관람 인원은 연 20,000명 정도여서 매일 3,000명 정도씩 관람한 셈이므로 매우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미술전시회는 고미술품을 통하여 우리 선조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민족문화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개최되었다. 이와 더불어 현실적인 목적은 이제 막 설립된 전남대학교박물관이 제대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고미술품을 기증받거나 구입하고자 한 것이었다. 고미술전시회는 서화부와 공예부로 구성되었는데, 모두 198 점의 서화류와 도자기‧토기 등이 전시되었다. 문교부에 보고한 “전남대학교 고미술전시회 출품목록” 에는 서화부 95점과 공예부 67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남아있다. 이로 보아 고미술전시회의 구성과내용은 현재의 서화실 및 도자실과 비슷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미술전시회는 전시준비를 시작할 때 이미 전시회의 취지‧개최요강‧규정 등을 갖추고 있었고, 전시가 끝난 후에는 여론조사와 문교부에 결과를 보고하는 등 상당히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전시 준비과정에서는 전시 홍보와 관계 기관에 협조와 협력을 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부설전시회와 고미술 강좌 및 좌담회를 개최하여 전시회를 더욱 풍부하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점에서1957년에 이루어진 고미술전시회는 오늘날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고미술전시회는 해방이후 현재까지 알려진 범위 안에서 대학박물관의 첫 번째 특별기획전시일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전시 관련 공문서와 관련 자료들이 잘 남아 있어서 1950년대 대학박물관의 전시 과정과 내용을 살펴볼수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또한 호남지역에서 최초로 개최된 박물관 전시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tique Art Exhibition” was held from July 11 to 17, 1957. As the number of visitors annually reached about 20,000, it was held very successfully. The Antique art exhibition was held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our ancestors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through ancient art. In add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 wanted to receive or purchase ancient art pieces for improving the role of the museum. The Antique art exhibition consisted of the Department of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the Department of Crafts, including 198 piece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ceramics, and earthenware. The Antique art exhibition has the purpose, hosting guidelines, and regulations of the exhibition. After the exhibition, it was conducted fairly systematically, including public opinion polls and reporting the results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 only that, a lot of effort was put into promoting the exhibition. In addition, the exhibition was further enriched by holding an affiliated Exhibition, an antique lecture and discussion session. The Antique art exhibition is likely to be the first special exhibi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known to present after liberation. Moreover, official documents related to the exhibition and related materials are well-preserved,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exhibition process and contents of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1950s. It can also be said to have a greater meaning in that it was the first museum exhibition held in the Honam region.

      • KCI등재

        참관객의 전시회 가치 인식이 전시회에 대한 신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왕관,김봉석,이지연 한국무역전시학회 2021 무역전시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 참관객이 인지하는 전시회에 대한 가치 인식을 살펴본 후, 전시회의 성과를 얻기 위해 중요한 요소인 참관객이 전시회에 대한 신뢰를 거쳐 행동의 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전시회에 대한 참관객의 가치 인식은 실용적 가치 및 헤도닉 가치로 분류되었고, 참관객이 느끼는 전시회에 대한 신뢰는 인지적 신 뢰 및 감성적 신뢰로 분류되었다. 행동의도는 전시회 재참가의도 및 추천의도로 분류 되었다. 참관객의 전시회 가치 인식과 전시회에 대한 신뢰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실용적 가치는 전시회에 대한 인지적 신뢰 및 감성적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관계 를 나타났다. 그리고 헤도닉 가치는 전시회에 대한 인지적 신뢰 및 감성적 신뢰에 유 의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참관객의 전시회에 대한 인지적 신뢰 및 감성적 신 뢰는 전시회 재방문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추천의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전시 주최자들이 참관객 유치에 반영할 수 있는 마케팅 전 략으로 전시 참관객에게 전시회에 대한 실용적 및 헤도닉 가치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hibition organiz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perceived value of an exhibition and exhibition trus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is examin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44 valid samples, while SPSS 22.0 and Smart PLS 3.0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 visitors' perceived utilitarian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hibition's cognitive trust and affective trust. Moreover, visitor's perceived hedonic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exhibition trust and affective exhibition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both cognitive exhibition trust and affective exhibition trus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ing intention. In addition, cognitive exhibition trust and affective exhibition trust positively affect recommendation intention.

      •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전성태,정수연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IP & Data 法 Vol.2 No.2

        전시 산업은 전 세계적인 코로나 감염병의 유행으로 비대면 형태인 온라인 전시회로 추세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고 있어 해외 고객과의 물리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 전시회는 더욱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온라인 전시회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상에 출품되는 다양한 제품 등에 타인의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을 비롯하여 저작권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와 전시 참가업체는 자신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고, 타인의 지식재산을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운영자의 플랫폼에서 지식재산 침해가 많이 발생하거나 분쟁이 지속될 경우에는 해당 전시회의 명성이나 운영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 점은 참가업체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자사의 지식재산권 침해를 방지하지 못하거나 타사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명된다면 자사의 명성이 훼손되어 해외 진출이나 제품 생산에도 차질이 생기기 마련이다.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각 주체는 지식재산 보호에 만전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지식재산 분쟁 예방을 위하여 적어도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충분히 체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자신이 개최하는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권의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약관과 지식재산 보호 규정의 마련 등을 통해 전반적인 지식재산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가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 보호를 위하여 취해야할 지식재산 보호 및 침해방지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The exhibition industry is changing the trend toward online exhibitions in a non-face-to-face form due to the worldwide epidemic of corona infection. In particular, because movement between countries is restricted and physical access to overseas customers is difficult, demand for online exhibitions is increasing.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online exhibitions, variou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problems, including patent rights, trademark rights, design rights, and copyrights of others, may occur in various products exhibited online. Online exhibition organizers and exhibitors participating in online exhibitions should protect their own intellectual property and take care not to infringe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others. If a lot of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occurs on the operator's platform or if disputes persist, the reputation or operation of the relevant exhibition will be adversely affected. This is the same for exhibitors. If it is found that the company'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cannot be prevented or it is found that the company'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infringed, the company's reputation will be damaged, leading to disruptions in overseas expansion or product production. Each entity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hibition should make every effort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event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at least the following items should be checked sufficiently.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for the online exhibition organizer to establish an overall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through provisions of terms and conditions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regulations to prevent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online exhibition they are holding. In this study, the online exhibition organizer looked at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nd infringement prevention measures to be taken to protect the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online exhibition.

      • KCI등재

        국내 스포츠레저전시회에 대한 통합적 고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장미화,최의열 한국무역전시학회 2024 무역전시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국내 전시산업뿐만 아니라 스포츠레저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고민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스포츠레저전시회가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다 종합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톰을 활용하여 국내 포털 사이트와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국내 스포츠레저전시회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선정된 검색 키워드는‘스포츠레저전시회’이며, 수집 기간은 2019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총 5년으로 설정하였다. 데이터 수집 채널로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과 같은 국내외 포털 사이트와 더불어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포함되었다. 세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국제스포츠산업전의 중요성과 위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전시회 명칭으로는 서울국제스포츠산업전시회, 고카프, 경기국제보트쇼 등 3개 전시회만 확인되었다. 셋째, 전시회 주최 및 주관 등 참여기관 단체는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무역협회, 코엑스, 킨텍스, 벡스코와 더불어 민간 전시주최자로서 유일하게 동아전람이 확인되었다. 넷째, CONCOR 분석 결과 ‘서울국제스포츠레저산업전’, ‘전국스포츠레저산업전’2개의 중심 클러스터와 ‘경기국제보트쇼’, 전시회 참관’2개의 소규모 클러스터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빈도분석과 CONCOR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해 보면 참가업체에 대한 데이터의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개별 전시회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차원의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사 전시회와의 차별성 추구를 통한 포지셔닝, 전시품목의 타깃화, 전시회 개최 장소와 명칭의 종합적인 홍보, 전시회로서 핵심 주체로서의 참가업체의 역할 확대 필요성은 국내 스포츠레저전시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학문적, 실무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more comprehensively interpret how sports and leisure exhibitions are perceived in Korea through big data analysis as part of the consideration for revitalizing the sports leisure industry as well as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Accordingly, this study employed Textome to analyze big data related to domestic sports and leisure exhibitions appearing on portal sites and social media. The search keyword was‘sports and leisure exhibition’, and the collection period was set to a total of 5 years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23. Data collection channels included domestic and foreign portal sites such as Naver, Daum, and Google, as well as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Facebook, YouTube, and Twit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and brand power of the Seoul International Sports & Leisure Industry Exhibition were confirmed. Second, only three exhibitions were found as exhibition title: Seoul International Sports & Leisure Industry Exhibition, Go-Carp, and Gyeonggi International Boat Show. Third, Dong-A Exhibition was confirmed to be the only private exhibition organizer, along with the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COEX, KINTEX, and BEXCO, as hosts and organizers. Fourth,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two central clusters, ‘Seoul International Sports & Leisure Industry Exhibition’ and ‘Various Sports and Leisure Industry Exhibitions in Korea,’ and two small clusters, ‘Gyeonggi International Boat Show’ and ‘Exhibition Visit', were identified. Fifth, in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ack of data on exhibitors. In conclusion,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each exhibitions requires consideration and effort at various levels. Positioning with differentiation from similar exhibitions, targeting of exhibition items, comprehensive promotion of the exhibition venue and title, and the need to expand the role of exhibitors as key players were need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sports and leisure exhibitions.

      • KCI등재후보

        한·일 복지전시회 비교: 일본 국제복지기기전(HCR)과 한국 국제복지재활시니어전시회(KORECA)를 중심으로

        조경리,이정화,성윤정,양영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0 No.2

        목적고령화에 따른 고령친화산업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발전되고 있다. 고령친화산업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어관련 산업의 중요성 및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전시회의 발전이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의 복지기기 관련전시회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국제 전시회를 개최한 일본을 비교 국가로서선정하여, 각국의 전시회 규모 및 특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일본 동경 국제복지기기전(HCR)과 한국 부산 국제복지재활시니어전시회(KORECA)의 3년간의 데이터를비교한다. 전시장의 크기, 참가업체 수, 참관객 수 등 전시회의 일반적 특성 및 전시회 구성을 비교한다. 연구결과전시회장의 면적이 HCR이 KORECA보다 3배, 참가업체의 수는 2배, 참관객 수는 4배 넘게 크다고 나타났다. 전시회의 전시 제품 종류도 3배 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KORECA는 HCR과 비교하여 면적, 참관객, 참가업체 수, 전시 제품의 종류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전시회 개최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 일본과 비교하여 역사가 짧고 체계적인 피드백과 피드포워드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needs of aging-friendly industry increased and developed. As the use of aging-friendly industry increased, the develop of exhibition to facilitate use and importance became necessa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of develop welfare related exhibition in Korea. This study compared with Korea’s welfare related exhibition and Japan’s which opened welfare related exhibition first time in East Asia to pursuit purpose of this study. Method : Korea Rehabilitation and Senior Care(KORECA) was compared with Japan Home Care and Rehabilitation Exhibition(HC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recent 3 years of. The size of exhibition and number of visitors, exhibitors, products’ type were analyzed. Result : The result of comparing with HCR, the difference of size of exhibition is 3 times, number of visitors is 4 times, number of exhibitors is 2 times, and number of products' type is 3 times.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 KORECA was insufficient exhibition than HCR. KORECA puts effort to hold successful exhibition. Nevertheless, the history of exhibition and systematic feedback and feed forward were unsatis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