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최서윤(Suhyo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 기반 교육방안은 무엇인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상담사 발달과정의 공통점을 추출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을 도식화한 후, 마지막으로 성찰 기반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직에 대한 이해와 동기, 현장경험 및 실습, 현장 적응의 어려움, 개인의 경험과 전문직업인의 경험이 통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개인적 성찰 능력을 발휘하며 동료 상호작용, 수퍼비전 등의 노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으로 상담 교과의 교수목표와 학습목표 내에 전문직 정체성과 성찰학습 명시하기를 제안하였다. 결론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상담사 역할을 재조명하고 한 사회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로서 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실천적 성찰 기반의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사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교육목표와 학습목표를 명확히 하고 재구성하는데 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Specifical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occur in counseling? Second, what are the reflective practice-based educational approaches to formulating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dentity to identify its components, and extracted commonalities through studies on developmental experienc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was diagrammed, and educational approaches were proposed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Results First, professional identity is formed by integrating understanding and motivation towards the profession, practical experience and train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field,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Secon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dividuals exhibit personal reflective abilities and make efforts such as peer interaction and supervision. Third, as an educational approach to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it is proposed to explicitly state professional identity and reflective learning within the teaching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of counseling cour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and reflectiv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in order to reassess the role of counselors and strengthen their abilities as experts responsible for the mental health of a societ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larifying and restructur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that solidify the identity of counselors.

      • KCI등재

        소비자전문상담사 1급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 - 기업 소비자상담사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권용덕,정기주,허경옥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기업 소비자상담사의 국가자격증 소비자전문상담사 시험제도의 응시 현황 및 관련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1급 자격제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소비자전문상담사 시험에 응시한 경험이 있는 기업에 근무하는 소비자상담사를 대상으로 자격증 응시 및 합격 현황, 시험 관련 특성, 1급 자격증 제도의 개선방안 등에 대해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을 수행한 결과를 정리․종합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상담사들 대부분은 너무 낮은 합격률이 자격증 제도에 대한 상담사들의 관심 부족과 동기부족으로 이어져 1급자격증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둘째, 필기 및 실기시험 내용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업무, 소비자상담사가 꼭 알아야 하는 실무 중심의 시험출제 등 출제기준의 보완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개인정보보호, 블랙컨슈머 문제, 감정노동자 문제 등에 대한 과목 신설이나 기존 교과에 출제기준으로서 추가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1급 시험의 고급소비자상담실무 교과, 즉 실기시험은 학문적 필답형에서 실무형으로 변경하거나 일정 기준을 갖춘 경우 시험면제 또는 구술시험 등으로 변화․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일정기준이란 예를 들면, 소비자상담 및 소비자업무 관련 사외위탁교육을 상당히 받은 경우, 소비자 관련 학회에 참석 및 학술지에 연구논문 발표, 소비자 관련 봉사활동 등의 자격기준을 갖춘 경우 실기시험 면제 또는 구술시험으로 전환방향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소비자기본법 개정을 통하여 기업의 소비자전문상담사 채용을 강화시키면 소비자전문상담사 1급 자격제도가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1급 자격증 제도의 홍보, 자격증 보유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에 대한 우대 및 지원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시급하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of taking the exam of the national certificated 1st degree of consumer-specialized counseling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consumer-specialized counseling examin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taking the exam of the national certificated consumer-specialized counseling, and related characteristics and searching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1st degree of consumer-specialized counseling examination syste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effectively, this study interviewed consumer counselors in firm who took the exam of the national certificated consumer- specialized counseling. The major results from interviewing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most of counselors stressed the lower rate of pass for the exam caused counselor’s lower interests and incentives for the exam and finally resulted in the lower usage of the certificates. Th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ert real tasks of counselors’ into the exam and the guideline for exam. For example, the area of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issues of excessive complaining consumers and emotional-labor had to be included in the exam and the guideline for exam. The third, it was suggested that the style of exam, the exam subject of advanced counseling had to be converted from academic writing exam to stressing real work experiences, exemption for the exam, or replacing to verbal exam.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be exempted or had verbal exam who had plentiful education relating counseling work, had experience presentation in conference related in consumer areas or published paper to journal relating consumer area, had experience of volunteer working relating consumer area. The forth, it is suggested to change the regulations strictly in the Consumer Basic Act, firms should employ counselors who had the national certificated 1st degree of consumer-specialized counseling mandatory in order to vitalize the program of national certificated 1st degree of consumer-specialized counsel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various work to advertise the program of national certificated 1st degree of consumer-specialized counseling and to give incentives and supporting for their counselors who obtained the certificates.

      • KCI등재후보

        소비자전문상담사 자격제도의 개선방안 및 새로운 자격제도 제안

        이은희,제미경,김시월,허경옥,성영애,유현정,서인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사회변화 및 직업세계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학 관련 자격증의 재정비 차원에서 기존의 소비자전문상담사 자격제도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기업과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자격제도를 제안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소비자학 전공 교수들로 TFT를 구성하였으며, TFT는 문헌고찰 및 토의를 통해 소비자전문상담사제도 개선 및 소비트렌드전문가(가칭, Consumer Trend Analyst) 신설에 대한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에 대한 소비자업무협회 이사회 및 소속 전문가들의 의견을 이메일로 수렴하여 반영하는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소비자전문상담사제도 개선은 명칭과 출제과목 및 출제기준에 대한 개선안이 제안되었다. 현행 소비자전문상담사의 명칭은 1급과 2급으로만 구분하였으나, 1급의 경우는 전문성을 강조하기위하여 '소비자전문가'라는 명칭을 사용함으로서 2급과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출제과목은 1급의 경우 3과목에서 4과목으로 확대함으로서 고급인력으로서의 실력측정을 정교화 하여 자격증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출제기준안은 1급은 새로운 내용인 소비자 지향적 경영, 소비자교육, 소비자행동 부분을 중심으로 출제기준안을 제시하였으며 2급은 최근 개정된 법 및 통합소비자상담센터관련내용 등을 추가하여 시대적 흐름에 맞도록 출제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새로운 자격증으로 '소비트렌드전문가' 신설을 제안하였다. 학계와 기업을 중심으로 한 소비트렌드분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향후 기업의 상품개발 및 소비자의 복지 증진에 기여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전문가 양성을 위해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증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이 현실화 된다면 소비자전문상담사 자격증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소비트렌드전문가를 양성하여 기업의 상품개발, 소비자의 복지감 증진에 기여함으로서 사회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학교전문상담사의 경험과 성장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Jeong),박경애(Park, Kyung-Ae),김혜은(Kim, Hye-Eun),이수연(Lee, Su-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상담경력 5년 이상의 중년여성 학교전문상담사의 상담사로서의 경험 뿐 아니라 상담공부를 통한 내면적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이며, 전문상담사로서 성장하는 과정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학교전문상담사로 근무하면서 상담대학원을 졸업하거나 박사과정을 수료한 상담경력 5년 이상의 중년여성 학교전문상담사 5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2020년 9월부터 2021년 1월까지 2~3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사례연구 방법 중 Creswell이 제시한 사례 내 및 사례 간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사례 간 공통 주제는 총 17개, 사례 내 주제는 총 74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전문상담사의 성장 과정을 ‘전문상담사의 길 진입’, ‘직무수행의 난관’, ‘전문가로서의 도약’, ‘상담사로서의 자기성장’으로 나누어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결론 연구결과 학교전문상담사들은 중년기에 겪은 삶의 위기를 지속적인 상담공부를 통해 극복하였다. 상담사로서 향상된 전문성은 내담자의 문제를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이는 내담자와 더불어 동반성장하며 개인 내적 성찰과 자기치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년여성 학교전문상담사의 위상에 대한 추가연구 및 정년 이후 경력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study on inner self-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y as well as experience as a counselor for middle-aged women s school counselors with more than 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meaning of their growth as professional counselors. Methods Five middle-aged women s school counselors with more than 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who graduated from a counseling graduate school or completed a doctoral program while working as school counselors particip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tra-cas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Creswell among the case study methods, which were conducted 2-3 times of in-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2020 to January 2021.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7 common topics between cases and 74 topics within each case were derived. Based on the derived data, the growth process of professional counselors at school was divided into ‘entry into the path of professional counselors’, ‘difficulty in job performance’, ‘a leap as a professional’, and ‘self-growth as a counselor’, and the meaning was analyzed.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school counselors overcame the crisis of life experienced in middle age through continuous counseling and study. The improved professionalism as a counselor was able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lient s problems. And, it was found that the counselor grows together with the client, leading to personal introspection and self-healing. Further research on the status of middle-aged women s school counselors is needed, and the need to utilize their careers after retirement was suggested.

      • KCI등재

        상담전문가 인력현황 조사 연구 Ⅰ: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를 중심으로

        이형국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nage and enhance value of the certificate, which is verified and produced b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KCA), by investigating manpower of counseling specialists. For the purpose, Counseling Specialists of KCA participated in online questionnaires about current work status such as employment conditions, working arrange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6(34.04%) out of total Counseling Specialists 5,035 in KCA, involving 332(44.8%) out of total First Grade Counseling Specialists 741, and 1,474(32.3%) out of total Second Grade Counseling Specialists 4,564. As a result of this study, 86.7% out of respondents worked in educational institution(51.9%), counseling institution(45.6%), etc. In case of current condition of employment, 74.1% out of the respondents were in unstable condition involving contract worker(48.2%) and part-time job(25.9%). In case of income, 78.2% out of the respondents were under the average annual income of urban workers, 32,810,000 won. Because of these issues, job satisfaction as a counselor was 3.43 on 5 Likert scale and the reasons of the unsatisfaction included income problem(88.4%), socially underestimated state(36.3%) in order. The data was analysed according to sex, age, academic state, and certificate grade to identify the difference and to plan how to support the Counseling Specialists. Because this study was first-attempt to gain foundational data about Counseling Specialists, it had limitations in both contents and methodology. Additionally,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y about how to make policies and support the Counseling Specialists were proposed. 이 연구는 (사)한국상담학회에서 검정․배출하고 있는 전문상담사들의 정확한 인력 현황을 조사하여 학회 전문상담사 자격의 질관리와 함께 고려되어야 할 자격의 효용가치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 개발한 현황조사 설문지를 활용, 학회 사이트의 온라인 조사시스템을 통해 전문상담사들의 취업 및 근무현황과 관련한 현황 등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학회 내 전문상담사 자격 소지자 5,305명 중 34.04%인 1,806명의 유효응답자(1급 전문상담사 741명 중 44.80%인 332명, 2급 전문상담사 4564명 중 1,474명(32.30%)이 응답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전문상담사들은 교육기관(51.9%), 상담기관(45.6%) 등에서 86.7%가 상담 관련 현직으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취업현황을 살펴보면, 근무형태의 경우 유/무기계약직이 48.2%, 프리랜서 등 시간제가 25.9% 등 74.1%가 불안정한 근무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연소득의 경우도 2,000만원 이하가 46.3%, 3,000만원 이하가 31.8% 등 78.2%가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 평균연봉(3,281만원)에 못 미치는 등 다소 열악한 일자리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전문상담사들의 진로선택 만족도는 3.43(5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족 사유로도 급여 또는 경제적 수입(88.4%), 사회 내 상담자 및 상담 자체에 대한 낮은 평가 분위기(36.3%)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문상담사들의 현황자료를 성별, 연령별, 최종학력별, 자격 등급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여 대상별로 지원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그 일차적 목적이 현황 관련 기초자료 확보를 전제로 처음 시도된 만큼, 조사내용의 깊이나 결과분석 방법 등에 다소 한계가 있으나, 향후 전문상담사와 관련한 정책 입안 및 지원방안 등의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학교상담실 상담전문가의 전문성과 직무분석

        선미란,김미희,이미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는 Wee클래스 전문상담사의 전문성과 직무분석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11월 14일부터 11월 19일까지이며, 연구대상은 전문상담사 역량강화연수에 참여한 G시 Wee클래스 전문상담사 총 89명이며 초등학교 전문상담사 29명, 중학교 전문상담사 34명, 고등학교 전문상담사 25명이다. 설문지 구성은 일반문항 6문항(성별, 연령, 경력, 학교별, 학력, 자격증)과 전문성 및 직무분석 7문항(상담, 정서행동, 위기상담, 학업중단, 학교폭력, 또래상담, 심리검사) 총 13문항이다. 연구결과, 전문상담사의 전문성에 따른 직무는 첫째, 상담 환경 구축 및 홍보이다. 둘째, 학교상담의 연간 계획을 수립하고 학생의 상담관련 수요조사와 실태분석 및 위험군 학생에 대한 상담활동 진행이다. 셋째, 상담활동 구성은 개인상담, 집단상담, 집단지도 및 교육, 심리검사와 학생, 학부모 상담주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넷째, 전문상담사의 연수 및 훈련과 자문교육이다. 이처럼, 전문성과 직무분석에서 살펴보았듯이 Wee클래스 전문상담사의 직무활동이 매우 방대하고 포괄적이어서 심리적 소진은 물론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상담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어 보다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and job analysis of Wee-class counselors.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November 14, 2018 to November 19, 2018. A total of 89 G city Wee-class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capacity build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29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34 middle school counselors, and high school 25 professional counselo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6 general questions (by gender, age, career, school, education, qualifications) and 7 questions of professional and job analysis (counseling, emotional behavior, crisis counseling, academic discontinuation, school violence, peer counsel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13 ques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rst task of professional counselors is to establish and promote counseling environment. Secondly, it is to establish an annual plan for school counseling, to investigate the demand of counseling for students,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and to conduct counseling activities for students at risk. Third, counseling activities consist of individual counseling, group counseling, group guidance and education, psychological testing, and student and parent counseling week. Fourth, training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advisory education. As discussed in the professionalism and job analysis, the job activities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of Wee class are very large and comprehensive, so the efficiency of counseling work is low due to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job stress.

      • KCI등재

        유마거사의 방편과 상담사의 태도

        박미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본 연구는 유마거사의 보살행과 지혜방편 속에서 복잡한 현대사회에 서 부적응적 심리적 불편감을 느끼는 내담자를 돕고자 하는 전문상담사 의 태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불교적 시각에서 보면, 유마거사는 재가 불자로써 수행을 게을리 하지 않고 탁월한 지혜방편으로 중생에게 이익 을 주는 보살행을 실천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이다. 전문상담사로서 현대 적 보살행이란 내담자들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주겠다는 원을 세우고 그에 맞는 다양한 상담이론과 기법들을 연구·활용하여 효과적인 상담을 하는 것이다. 유마거사는 ‘자식이 아프면 부모도 아프다’는 부모의 한없 는 자비심을 중생에게 보여 주었으며, 특히 유마거사의 병은 문병 온 사람들에게 무상(無常)의 가르침을 주기 위한 방편이었다. 아울러 자신 의 해탈만을 생각하는 소승적인 삶에 대한 비판적인 방편이기도 하였 다. 이와 같은 유마거사의 자비심과 지혜방편은 전문상담사가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태도이다. 유마거사의 보살행과 전문상담사의 조력행은 타 인에게 도움을 주는 이타행이라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지만 현실에서의 전문상담사는 현대사회의 직업인의 한 사람으로 직업윤리와 사회적 역 할에 있어서 한계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상담사는 유마거사 의 보살행을 모델링하여 자신을 끊임없이 성찰하고 인간을 이해하고 사 랑하는 자리이타행을 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유마거사의 자비보살행을 통해 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전문상담사의 태도를 살펴본 것에 의의를 두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상담사의 윤리에 대한 지침과 더욱 성숙한 전 문상담사가 되기 위한 실천방안으로 상담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문상담사를 위한 프로그램이 더 깊이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an exemplary model of professional counselor’s attitude who tries to help their clients suffering from maladaptive psychological discomfort in a complex modern society by examining the bodhisattva practice and wisdom measures of Yuma. In Buddhist perspective, Yuma’s illustrative characteristics presents ideal image of Buddhist that fulfills bodhisattva practices with endless endeavors and extraordinary wisdom in order to benefit sattva. The modern bodhisattva practi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is to vow to psychological struggles of clients and conduct effective counseling through exploiting studies on diversified theories and methodologies. Yuma showed the infinite generosity of the parents that saying ‘if a child hurts, the parents also hurt’. His illness was a means to deliver the impermanent lessons to his visitors and a medium for his criticism on the way of life that only considers one’s own liberation. Through his generosity and wisdom, Yuma set a perfect example for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ir attitude. While both Yuma’s bodhisattva practice and the professional counselors’ support are selfless acts, the latter has restrictions in terms of work ethics and social roles as being a professional in the modern society. Nevertheless, professional counselors should constantly attempt to be in pursuit of self-contemplation, philanthropy to achieve the practice of mutual benefit by modeling Yuma’s bodhisattva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standard of professional counselors’ attitude through exploring Yuma’s bodhisattva practice for qualitative enhancement of counseling and to stimulate profound researches on instructions of the counselors’ work ethics in accordance with Korean culture and programs for professional counselors which will strengthen their competence to become more mature one in the future.

      • KCI등재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 영향요인 연구

        김선형 한국직업재활학회 2022 職業再活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based on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vocational expertise in various fields and to seek way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13 “Rehabitation counselors” working at rehabilitation sites for the disabled nationwide. For the collected data, empowerment,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inpu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vocational expertise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education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vocational expertise, and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control, personal work orientation, r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effect on vocational expertise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in Korea related to vocational expertise afte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was converted to a national qualification. Based on the verified results, a plan to develop vocational expertise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the disabled was proposed, and continuous development in term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promo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의 직업 전문성 관련 이론들과 경험적 연구를 근거로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전문성을 증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장애인 재활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장애인재활상담사” 2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장애인재활상담 사의 직업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역량강화(권한부여), 조직문화,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독 립변수로 투입하고, 직업 전문성에 대한 영향력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학력이 직업 전문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독립변수 중에서는 역량강화(권한부여)의 하위요인인 환경통제, 개인 업무지향,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합리 문화, 직무만족이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가 국가자격으로 전환된 후, 직업 전문성 관련 국내 최초 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업 전문성 발전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개인⋅조직⋅사회 통합적인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소비자상담사 교육체계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모색

        이은희,제미경,양세정,허경옥,유현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1372 소비자상담센터가 운영되기 시작한지 1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소비자상담사들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상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비자상담사 교육을 체계화하고 상담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상담사 58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상담업무와 관련한 자질 및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고, 소비자학 전문가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소비자상담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결과 소비자상담사들은 보다 발전된 소비자상담을 위하여 교육 및 재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으며 이를 위하여 여러 소비자단체의 상담사들이 모여서 집합교육을 받기를 바라고, 상담기법과 시스템에 대한 교육 요구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방법 (온라인과 오프라인)과 교육주체(소비자단체 등 개별상담기관, 전문교육기관, 소비자상담센터)를 고려하고 교육대상(재택상담사, 일반상담사, 수석상담사)에 따라 전문화된 소비자상담사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상담사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상담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상담사 교육은 각각의 소비자상담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것 보다는 (사)한국소비자업무협회와 같은 전문교육기관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제언한다. 또한 신규소비자상담사의 교육 및 기존상담사의 보수교육은 소비자상담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소비자상담사 보수교육의 법제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 KCI등재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인력 현황 및 관련 요인 연구

        이형국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manpower status and trends of the accurate work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certification of the Korea Counseling Association since the first qualification test in 2002.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way to provide reasonable support for counselors to be able to lead satisfying their lives as professionals who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unselors without the certifications of KCA and to receive an appropriate social and economic treatment. And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basic status, qualification status, employment, work status, career choice, and job satisfaction status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33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through the online survey system linked with the institute site. 1,006(14.4%) respondents out of 6,989 qualification holders answered th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94.7% of the counselors are at least master’s degree holders in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etc. and got the counselor certifications after average 2.8(level 2) to 5.0(level 1) years of training except the degree. In addition, 64.2% of them work in public institutions, and 35.8% in private institutions. There were educational institutions(28.1%), welfare institutions(27.4%) and counseling rooms in school(87.1%) in public institutions, and counseling agencies(87.1%), welfare agencies(4.8%) and others(4.5%) in the private sector. That means 86.8% of respondents are engaged in counselling. However, at the detailed employment status, it is found that 20.3% of employees are employed as regular positions, and 87.7% of the respondents get less than 30 million won, which is less than the annual average income of workers, 33.6 million w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workforce status, and inspects the trend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first workforce survey in 2015, and analyzes the data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prepare support plans for each subjec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on the depth of the survey results and the method of result analysis because the primary purpose is to obtain basic data to confirm the trend of the current situation. However, in spite of the limit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is no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force status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of various follow-up studies related to professional counselors. 이 연구는 2002년 제1회 자격 검정을 시작으로 사)한국상담학회에서 검정․배출하고 있는 7천 명에 가까운 1, 2급 전문상담사들에 대한 정확한 인력 현황과 그 추이를 조사하여, 남발된 여타의 상담 관련 자격 소지 상담자들과의 차별된 전문가이자 적정 수준의 사회, 경제적 처우를 받는 직업인으로서 만족스러운 상담자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학회 등의 합리적 지원방안 마련을 위하여 수행된 기초연구의 결과 보고이다. 이에 전문상담사들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기본현황, 자격 현황, 상담 관련직 종사 현황 및 근무 현황, 진로선택 및 직무만족 현황 등 5개 영역을 설정하여 조사하고, 관련 의견들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회 사이트와 연계한 온라인 조사시스템을 통해 학회 내 전문상담사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 형태의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자격소지자 6,989명 중 14.4%인 1,006명의 유효응답자(1급 전문상담사 1,323명 중 12.8%인 170명, 2급 전문상담사 5,666명 중 14.7%인 836명)가 응답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문상담사들은 94.7%가 상담학, 심리학, 교육학 등의 전공으로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소지자였으며, 학위과정을 제외하고 평균 2.8년(2급)에서 5.0년(1급)의 수련기간을 거쳐 전문상담사 자격을 취득한 것을 파악되었다. 또한 공공기관(64.2%), 민간기관(35.8%)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분야 현황은 공공기관에서는 교육기관(28.1%), 복지기관(27.4%), 학교 내 상담실(19.9%) 등의 순으로, 민간기관에서는 상담기관(87.1%), 복지기관(4.8%), 기타(4.5%) 등에서 86.8%가 상담 관련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 취업 현황을 살펴보면, 소속기관 내 고용형태의 경우 정규직은 20.3%에 불과하였고, 연소득의 경우도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기준 2017년도 근로자 평균소득인 3,360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87.7%에 이르는 등 경제적으로는 매우 열악한 일자리 환경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인력 현황 결과와 관련하여 2015년 1차 인력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추이를 분석하고, 관련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직무만족의 다양한 내, 외적 관련 요인들과 인력 현황의 각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해 효과적인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그 일차적 목적이 현황 추이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전제로 시도된 만큼, 조사내용의 깊이나 통계처리 및 결과분석 방법 등에 다소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문상담사들의 인력 현황 추이와 직무만족 관련 관계에 대한 자료가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이 연구가 가진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결과가 향후 전문상담사와 관련한 다양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