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호학과 학생들의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백경화,지치환 한국경호경비학회 2009 시큐리티연구 Vol.- No.21

        본 연구는 경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 진로요인, 진로 결정 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미래계획, 목표해결, 직업정보, 문제해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 학교와 학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수업만족이 미래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수업만족이 목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이 목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수업만족이 직업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직업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수업만족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진로요인이 문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studies of security services on the efficacy of career decision. To do this, I chose 430 security services of the students majoring by th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s the subject of study. All data were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collected equation. In order to do a data analysi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learning factor, interpersonal relation, aptitude factor) difference in their major class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goal choice, future plan, wor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gend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in such factors as learn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ptitude,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in subfactor such as major class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aptitude and career factors of major class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uture plan. Fourth, it was found that he learning and career factors of major class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olution of the goal. Fifth, it was found that the aptitude and career factors of major class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informa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factors of major class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lem-solution. Therefore, we must first give priority to improve the class satisfaction. By doing this, we can raise the efficacy level of career decision.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전공 학습자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만족도 조사 및 요구 분석 연구

        공하림,김윤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Satisfaction Survey and Demand Analysis Study on Metaverse-usingClasses for Learn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Harim Kong & Yoonhee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class using Verbela metaverse, conduct a satisfaction survey and demand analysis after class, and to find ways to utilize metaverse in university major classes. A metaverse class was conducted in the major class for 17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learners at a university in Gwangju, and a request survey was conducted for 39 major and pre-majo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metaverse class. As a result of the class, the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metaverse class in terms of interaction, interest, and learner satisfaction. Next, after showing the metaverse class video to major and pre-major students who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metavers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st learners had high expectations for using the metaverse class in their major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class-teaching plan that can improve learners' class performance by diversifying the design of classes using metaverse in future classe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ey Words: Metabus, University Major Clas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Survey, Demand Analysis 한국어교육 전공 학습자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만족도 조사 및 요구 분석 연구공 하 림**ㆍ김 윤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버벨라(Verbela)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을 설계하여 수업 후의 만족도 조사 및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대학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광주광역시 소재 한 대학교의 한국어교육 전공 학습자 17명을 대상으로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수업을 실시하였고, 메타버스 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전공생 및 예비 전공생 39명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학습자들은 상호작용, 흥미, 학습자 만족도 등에서 메타버스 수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메타버스 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메타버스 수업 영상을 보여준 후 요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수업 활용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향후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에서 메타버스 활용 수업 설계를 다양화하여 학습자들의 수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메타버스, 대학 전공 수업, 한국어교육 전공, 만족도 조사, 요구 분석 □ 접수일: 2022년 10월 6일, 수정일: 2022년 10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광주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주저자, 광주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hrkong@gwangju.ac.kr)*** 교신저자, 광주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hkim@gwangju.ac.kr)

      • KCI등재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 연구

        김경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급격하게 변화한 교육환경에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국악 전공 실태를 분석하고,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방향성 등에 대한 논제 선정과 앞으 로 이뤄질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개의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에서 원격과 대면 전공 수업의 경험이 있는 교사 및 강사 37명 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전공 수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은 ZOOM이었는데 전체 응답자의 45%가 사용한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음악 전용 플랫폼이 아닌 회의나 대화를 위해 구현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원격 전공 수업은 시간과 장소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개인 맞춤형 수업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원격 전공 수업은 통신장애와 통화 품질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아 수업 집중력 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자들은 변화된 환경에 발맞춰 다양한 원격 전공 수 업 교수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안전한 대면 수업을 위해 수업 공간 환기,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가림막 설치와 같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기 전공 수업은 장소와 시간의 효율적 사용, 개인 맞춤형 수업을 장점으로 응답한 반면 이론․작곡은 다양한 화면공유, 판서공유, 효과적인 자료 전송이 장점 이라 응답하였다. 또한, 다른 전공에 비해 타악전공 같은 경우 원격수업시 수업 공간을 찾아 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면수업에서 안전을 위한 방안으로 관악, 성악 전공은 가림막 활용을, 현악, 타악 전공은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손소독과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distance learning for major classes at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rapidly changed due to COVID-19, selects topics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and provides basic data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37 teachers and instructors who had experience in remote and face-to-face major classes at four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used platform for distance major classes was ZOOM, and 45%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using it. This finding confirmed that they were using a platform implemented for a meeting or conversation, rather than one dedicated to music.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stance major classes allowed efficient use of time and place and were effective for personalized classes. Third, distance major classes had many problems caused by communication failure and call quality,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students’ attention in class were low.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were us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for distance major classes in line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Fifth, for safe face-to-face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ctively taking measures such as ventilation of the classroom space,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installing a screen. Lastly, they responded that the advantages for instrumental teaching were efficient use of place and time and personalized classes while those for theory and composition teaching were sharing various screens, sharing a whiteboard, and effective data transmission. Also, compared to other majors, it was confirmed that percussion majors had difficulty finding a class space during remote classes. As a measure for safety in face-to-face classes, wind and brass and vocal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use of a screen while string and percussion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use of hand sanitiz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remote major classes in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 취업가능성, 취업전략, 전공희망취업에 미치는 영향 - 세무회계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

        임대규,권해숙,오원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세무회계전공 대학생들의 능동적 전공 선택과 수동적 전공 선택이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 취업가능성, 취업전략, 전공희망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즉 능동적 전공 선택과 수동적 전공 선택이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목적인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가설 1의 분석결과는 능동적 전공 선택과 수동적 전공 선택 모두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무회계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높다고 해석된다. 다음으로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수업참여도와 취업가능성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한 결과 능동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경우에만 수업참여도와 취업가능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수업참여도 및 취업가능성이 달라진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전략 및 전공희망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한 결과 능동적 전공 선택 및 수동적 전공 선택 모두 유의한 양(+)의 계수값을 보이지만 능동적 전공 선택의 계수값이 보다 크게 나타나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크다는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능동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 취업가능성, 취업전략, 전공희망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수업만족도와 취업가능성에 있어 전공선택동기가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에서는 전공선택동기를 고려하여 세무회계 전공교과목 구성과 운영은 물론 취업준비활동을 위한 교육을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e major selection and passive major sele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on their major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employment possibility, employment strategy, major hope for employment. In other word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selection of active majors and the selection of passive majors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of Hypothesis 1 to verify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the satisfaction on its major showed that both the active majors selection and passive major sel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For this reason, it is interpreted that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is high. The analysis results of both Hypothesis 2 and Hypothesis 3 to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 and employment possibility vary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show that only when the students selected the majors actively, they can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 and employment possibility. For this reason, the analysis show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 and employment possibility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majors on the employment strategy and the desired employment of the majors showed both the active majors and the passive maj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because the coefficient of the active major was larger than the coefficient of the passive major, the degree of influence of active majors selection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influence of passive majors selection .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actively selected their maj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jor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employment possibility, employment strategy, major hope for employment. These analyses are suggesting that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lass participation and the employment possibility.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ir majors in the operation of tax accounting major courses and job - related education. Despite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nd challenges. First,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lated factors, because the measurement items are limited in measuring the students’ preferred employment, class participa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employment strategy, major hope for employment. In future research, measurement tool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ax accounting majo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 Second, this study is carried out for only two-year students of tax accounting major in metropolitan area.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identities by carrying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year and four-year students in a wide area. Third, in this study, we examined factors such as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major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clas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on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 the result of employment.

      • KCI등재

        수화통역학전공 학생들의 전공수업 만족도와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

        민은주 ( Un Ju Mi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1

        본 연구는 N대학에서 수화통역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수업 만족도가 전공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화통역학 전공수업을 수강하지 않은 1학년을 제외한 2,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별 전공수업 만족도와 진로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이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3,4학년 모두 전공 수업만족도와 진로결정 효능감에서 유의미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수업 만족도와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의 하위요인들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래계획 수립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식, 교과, 수업만족요인이고 . 목표설정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과, 인식, 수업, 진로인식요인이며 정보수집 효능감에는 교과, 수업, 관계, 인식, 진로인식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문제해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과와 전공인 식요인이다. 자기평가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과, 수업, 인식만족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전공수업 만족도가 높은 경우 전공 관련 진로결정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공 교과내용요인의 경우 진로결정 효능감의 모든 요인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 수화통역학 대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을 설정하고 효과적인 학과 운영방안을 모색하며 교수법의 개발 및 주의집중을 높일 수 있는 학업환경조성이 학생들 의 진로결정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jor course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of undergraduates majoring i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t N University. Excluding 1st year students who have not taken any major courses i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nd, 3rd and 4th year students to analyze the respons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gender characteristics, while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same degree of major course satisfaction and, decision-making efficacy. Second, satisfaction with major perception, curriculum and course had positive effect on efficacy of future plan. Third, satisfaction with major curriculum and perception affected problem solving efficacy occurring in relation to career. Fourth, students who were satisfied with curriculum, course and perception factors had positive evaluation of their own capabilities. Fifth, students satisfied with major curriculum, cours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perception of major and career showed diverse abilities of collecting information. Sixth, satisfaction with major curriculum, perception, course and career showed high efficacy of career target setting. In general, high major course satisfaction was found to yield high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Especially, major curriculum factor was shown to participate in all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for career decision-making of students to set forth an appropriate education course for students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ek for effective methods of department operation, develop teaching methods, and create learning environment for increased attention of students.

      • KCI등재

        온라인으로 진행된 전공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만족도

        강민정(Kang, Min-Jung),이연승(Lee, Yeon-Sung),곽정인(Kwak, Jung-I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진행된 전공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년제와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현재 선호하는 수업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중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이었으며, 온라인 수업 실행 시에 효과가 낮은 수업은 전공실기수업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장점으로는 장소의 제약 없이 들을 수 있어 좋다는 응답이, 단점으로는 서버 불안이나 기기의 문제에 따라 접속 문제가 발생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후 전공수업에서 요구하는 수업 방식으로는 출석과 녹화식 혼용수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전공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강의자료의 적절성, 낮은 항목은 동기부여와 상호작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을 선호할수록 전공수업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은 전공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및 테크놀로지 기반 사회변화에 따른 대학교육의 질적 변화를 위하여 유아교육과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전공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and satisfactions with online major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0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ree- and four-year universities, who were surveyed online under the context of COVID-19.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4.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prefer having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reporting the reduced effectiveness of the major laboratory classes when conducted online. The survey’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felt that the best advantage of having real-time online classes was an ease of access from any location, but that the largest downside of online classes was connection problems resulting from server instability or technical issues.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ould mostly prefer a mixed format of attendance classes and recording classe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appropriateness of class materials, but low levels of satisfaction in motivation and interaction.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that preferred online class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hile the grade levels had no effect on their class satisfac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major cour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Covid-19 and the technology-based society.

      • KCI등재

        COVID-19 확산 속에서 비대면 수업의 적용에 따른 보건계열 학과 1, 2학년 대학생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변화

        손성민(Sung-Min Son),조은서(Eun-Seo Jo),최수정(Soo-Jeong Choi)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2

        연구목적은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비대면 수업의 적용에 따른 보건계열 학과 1, 2 학년 학생 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보건계열학과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으로 총 181명이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COVID-19 확산에 따라, 15주간 비대면 수업에 참여하였으 며, 비대면 수업은 교육부 지침에 근거하여, 실시간 온라인 강의와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으로 구성되 었다. 전공 몰입 평가는 전공몰입척도를 활용하여 수행되었고, 전공 만족도는 전공만족도척도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비대면 수업의 적용 후 대상자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비대면 수업의 적용은 대상자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따라서, 비대면 수업의 적용에서 보건계열 학과 1, 2학년 학생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the 1 st and 2 nd grades university students in health-related departmen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un-contact lecture during COVID-19 pandemic. Study subjects were a total of 181 students in the 1 st and 2 nd grades in health-related departments. They participated in the un-contact lectures for 15 weeks through COVID-19 pandemic and the lectures consisted of real-time online lectures and the lectures using video contents based on the guidelines of Ministry of Education. Assessment of major commitment was performed using the major commitment scale and the major satisfa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major satisfaction scale. As the resul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showed after the application of un-contact lectures. Based on these, the application of un-contact lectures acts the students to decrease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refore, in the application of un-contact lectures, appropriate consideration should be needed for the increase of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1 st and 2 nd grades university students in health-related departments.

      • KCI등재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경험이 학습무기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임미연(Mi-Yeon Lim),문소희(So-Hee M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has been a general change in the learning situation with non-face-to-face classes, as well as phenomena related to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However, non-face-to-face classes have more side effects than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 and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classes, learning apathy, and self-efficacy among cosmetology majors is incomplete. Theref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on learning apathy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nd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pathy(β=-.621, p<.001) and an analysis of the effect on self-efficacy revealed that social efficacy(β=.632, p<.001) and self-regulatory efficacy(β=.340, p <.001)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ailure anxiety and efficacy(β =.124,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class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pathy and self-efficacy among cosmetology major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stimulate discussion about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s, learning apathy, and sense of self-efficacy among cosmetology majors. 최근 교육분야에서는 전염병 상황에 따른 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이라는 학습상황의 전면적 변화와 더불어 대학생활 적응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비대면 수업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비대면 수업은 기존 대면 수업보다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으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경험, 학습무기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미용을 전공한 대학생의 비대면수업경험이 학습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무기력(β=-.621, p<.001)에 유의미한 부(-)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효능감(β=.632, p<.001), 자기조절효능감(β=.340, p<.001), 실패불안효능감(β=.124, p<.001)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미용을 전공한 대학생의 비대면으로 수업한 경험이 학습무기력 및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을 전공한 대학생의 비대면수업경험과 학습무기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계명대학교 <전공글쓰기>의 교수법 개발을 위한 운영과정 분석 및 제언

        이은숙,기도형,박창일,이은숙,최성곤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4

        This study amis to examine a settlement and spread in <Writing in major> in Keimyung University and develop better teaching methods of writing and operating scheme. The operating schem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 conceptual recognition sage of <Writing in major> in 2013, an embodiment stage of <Writing in major> through analysis of cases of class in 2014, and an activity stage <Coaching writing in major> in 2015. First, the development of syllabus was conducted in an conceptual recognition sage of <Writing in major>. There exist a number of questions about the concept of <Writing in major>, association with <Korean Writing Tutoring Clinic>, methods of teaching, and contents of the lecture; however, professors did not understand the definite conception of them. In the second stage, an embodiment stage of <Writing in major> through analysis of cases of class in 2014, the cases of <Writing in major> were presented in department of <Sports Marketing>, <Taekwondo>, and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in fall semester, 2014. It was to give opportunities to propose directions of class operation through a demonstrative lesson in an instruction part and to learn that teaching methods of writing is more crucial than contents of major. In the last stage, an activity stage <Coaching writing in major> in 2015 endeavors to devise plans for the future by conducting surveys with students and professors of <Writing in major>. The professors appreciate the writing class was grueling compared to other classes and importance of writing made them take charge of the classes. The professors also found that development of lecture contents was the most difficult and suggested the cooperation with instructors in teaching writing. Students recognised that they had benefits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eking for a job.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greed to the necessities of <Writing in major>.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Writing in major>, a regular workshop of teaching writing on campus is essential. Second, it is important to research suitable models of writing according to majors. Third, assignments should be focused on the depth, not the numbers of them. Forth, objective assignment criteria must be presented to the students. Fifth, materials for the class or writing could be abundant if the teachers share their ideas. Sixth, the way students learn to write other than <Writing in major> could be assisted by tutors in <Korean Writing Tutoring Clinic> and the professors let tutors know the students’ visits in advance. Lastly, it is imperative for students to study logical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grammatical rules and practice writing. 이 글은 계명대학교의 <전공 글쓰기>의 개설과 정착 및 확산의 과정을 살펴보고 <전공 글쓰기>의 더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글쓰기 교수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전공 글쓰기>의 운영단계를 2013년의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인식의 단계, 2014년의 <전공 글쓰기>의 수업사례 분석을 통한 구체화 단계, 2015년의 <전공 글쓰기 코칭 다이어리> 교수커뮤니티의 활동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먼저, 2013년의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인식의 단계’에서는 2번의 워크숍과 <전공 글쓰기> 표준강의안 개발에 대해 살펴보았다. 워크숍에서는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표현력 클리닉과의 연계’ 등에 대해 많은 질의응답이 오고갔으나 아직은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교수법, 강의 콘텐츠 등에 대해 많은 교수들이 분명한 개념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었다. 두 번째, 2014년의 ‘<전공 글쓰기>의 수업사례 분석을 통한 구체화 단계’에서는 2014년 2학기에 개설한 <스포츠마케팅학과>, <태권도학과>, <국제통상학과>의 전공 글쓰기 사례를 발표하였다. 이런 수업 사례 발표는 <전공 글쓰기>의 수업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도입부의 수업 시연까지 함으로써 <전공 글쓰기>를 앞 둔 교수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했다. 담당교수들에게는 전공 컨텐츠보다는 글쓰기 교수법에 대한 콘텐츠가 더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던 워크숍이었다세 번째, <전공 글쓰기 코칭 다이어리> 교수커뮤니티의 활동 단계에서는 <전공 글쓰기> 수강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전공 글쓰기>의 향후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설문결과 담당교수들은 이 강의가 타 강의에 비해 아주 힘든 강의라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글쓰기 관련 강좌의 중요성 때문에 책임감을 느껴 강의를 맡았으며, 강의 콘텐츠 개발을 가장 힘든 것으로 밝혔으며, 글쓰기 담당교수들과의 협업을 제의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전공인으로서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표현능력, 전공 관련 취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았다는 의견을 보여주고 있었다. 담당교수와 수강학생 모두 이와 같은 강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공 글쓰기의 성공적인 운영 및 정착을 위해서는 첫째, 규칙적인 교내 전체 워크숍을 통해 글쓰기 교수법의 확산을 도모할 필요하기 있다. 둘째, 계열별 전공 글쓰기의 모형을 따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과제를 출제할 때 중간고사를 전후하여 학생들의 과제의 숫자보다는 깊이에 주목하는 것이 좋다. 넷째, 과제를 출제할 때는 미리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평가기준이 주관적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다섯째, 강의소재발굴의 어려움은 해당학과 전공 교수님들께서 공유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전공 콘텐츠외 글쓰기 어문규정에 대해서는 표현력 클리닉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율적이며, 표현력 클리닉에 학생들을 보낼 때는 미리 튜터에게 지침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어문 규정 외에도 대학생에게 꼭 필요한 논증 글쓰기에 대한 개념을 주지시키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음악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온라인 전공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김현미 ( Hyunmi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이 연구는 음악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온라인 전공수업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도 1학기와 2학기에 온라인 전공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음악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 4인으로, 연구를 위해 2020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약 6개월에 걸쳐 Zoom을 활용하여 각 2~3회의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어나가며 핵심 주제 및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온라인 전공수업 경험은 ‘자율의 탈을 쓴 방임의 시간’, ‘실기 교과 온라인 학습의 한계’, ‘강의실이 주는 실재감의 부재’, ‘교수자 및 동료들과 의사소통의 어려움’, ‘대면 수업에 비해 아쉬운 수업의 양과 질’로 나타났다. COVID-19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의견을 반영한 강의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음악교육전공 교육대학원 온라인 수업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epth the experience of online major classes of graduate students at the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u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nd each participant conducted 2-3 in-depth interviews using Zoom for about six months from Sept. 2020 to Feb. 2021. The interview results of each participant were repeatedly read to derive common key topics and categorie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online major class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was classified as: ‘neglected time due to excessive autonomy’, ‘limitations of online learning in practical subjects, ‘absence of a sense of reality provided by the classroom’,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professors or colleagues’, ‘insufficient time and quality of classes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In a situation where online classes are continuing due to COVID-19,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education system by reflecting students’ experien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practical discussions on online classes in the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