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정병삼(Jung, Byung-sam)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해인사에 보관해온 팔만대장경 경판은 세계 조판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운 우수한 경판을 거의 완벽하게 보존해온 문화유산이다. 이제까지 경판의 정확성이나 보관의 우수성이 높이 평가받아 왔지만, 고려 대장경 문화의 사상사적 의미를 새롭게 평가해야 한다. 대장경正藏에 이은 '外藏'의 간행이 이에 대한 의미 부여가 가능하다. 初彫大藏經의 조판은 開寶板 宋本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契丹本과 고려의 傳本을 적극 활용하여 가장 정확한 판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대장경 조판에 이어 義天이 敎藏을 이루어냄으로써 대장경과 교장을 함께 이루어냈다. 몽고의 침공으로 초조대장경판이 불타자 16년만에 만들어낸 再彫대장경은 초조보다 더 철저한 校勘을 통해 정확한 경판이었고, 제작과 함께 『校正別錄』을 펴내 교정 사실을 명확히 밝혔다. 장경 목록인 『大藏目錄』을 포함하여 모두 1498종의 經論이 재조대장경 正藏이다. 이에 더하여 內藏인 '正藏'에 이어 '外藏'이라 부를 수 있는조판 사업이 정장 조판 기간 중에 대장도감에서 시작되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다. '외장'은 동아시아 논저들을 주로 모은 것으로 팔만대장경판의 15종과 해인사 간행의 9종 등이다. '외장'의 중심은 화엄종 주석서와 선종 전적들이었다. 신라와 중국의 화엄종 형성기의 조사전적에 대한 신라와고려 승려들의 주석서들은 재조 사업을 주도한 守其가 소속된 화엄종의 사상적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인사의 성향이 짙게 배어 있다. 또 선종 전적은 수선사 결사로 고려 후기 불교계를 주도하던 선종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또다른 결사인 백련사의 사상적 바탕인 천태 저술도 간행되었다. 이들 전적은 주로 고려의 傳本이 많고 고려에서 중시되던 전적들 이었다. '외장'의 간행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사업이 재조대장경 조판 인력에 의해 이어졌다는데 그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초조대장경은 동아시아 대장경 조판 체제에서 정확성을 배가하였다. 재조대장경은 초조 이후 추가된 목록에 의거하여 증보 완성하였다. 이어 동일한 인적 자원에 의해 이루어진 '외장' 조판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에 따른 독자적 사업으로서, 해인사와 수선사 중심의 고려후기 불교의 경향을 드러내준다. Palman Daejanggyeong(Goryeo Tripitaka) are the most excellent of all Tripitak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its accuracy and elegance. We should focus on the meaning of Goryeo Buddhist thought. Chojo Daejanggyeong(The First Tripitaka) were produced based on Sung Tripitaka and were compared with Liao Tripitaka and the Goryeo traditional edition. After that, Ucheon published Gyojang(Collection of Research) that supplement the Tripitaka. Chojo Daejanggyeong were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just after Jaejo Daejanggyeong(The Second Tripitaka) were engraved. They made a more precise edition by a thorough comparison with various editions. As a result, the Chief Editor Sugi wrote Gyogeongbyeollok(Extra list of revision). Jaejo Daejanggyeong was listed in 1498 books by Daejangmonnok(List of Tripitaka). Then 'Oejang' continued by Daejangdogam, the national publishing organization. The main parts of Oejang consisted of the books of Hwaeom School and Seon School(Suseonsa). It shows the tendency of later Goryeo Buddhist thought. The books of Oejang were based on a Goryeo tradition, and were accounted in Goryeo Buddhism. The publishing of Oejang verifies the main tendency of late Hwaeom School and Haeinsa. The meaning of Jaejo Daejanggyeong,(that includes Oejang) is this point. And it shows the unique tendency and ability of Goryeo Jaejo Daejanggyeong.

      • KCI등재

        융복합 문화로서 재조대장경과 판각지 남해의 문화콘텐츠 개발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재조대장경의 조성과 관련하여 아직까지도 연구자들 사이에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남해에서 판각되었다는 사실에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장경은 문화적으로는 유형문화와 무형문화가 결합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 송·거란·일본 등에서 한역대장경 장소 수집과 교감을 통한 완성도 높은 교정이 이루어졌다. 재조대장경은 당대 인쇄문화와 기술의 융합, 지역간의 연계, 국가와 민간, 출가와 재가 등 회통과 융복합 문화의 정점에 있었다. 13세기 동아시아 문화를 아우르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전범이었다. 또한 현대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과 대만의 『불광대장경』 등의 저본으로 삼을 만큼 문화를 주도해 왔다. 21세기 문화로서 대장경은 문화재 가치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재탄생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는 본고에서는 대장경의 본래적 가치와 종합적 외현인 문화콘텐츠로서 불교문화테마파크와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인쇄문화콘텐츠산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불교테마파크로는 불교랜드, 불교문화 라키비움과 마음산업을 선도할 수행센터인 참선센터 등 건립을,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로서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과 연계한 대규모의 축전과 소규모 지역공동체 축전을 제시하였다. 특히 창조적 파괴를 통한 활용인 인쇄문화콘텐츠산업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인쇄전자산업(Printed Electronics Industry)의 도입과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의 지역 클러스트 형성과 학교와의 연계, 대장경인쇄문화연구소(가)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Jaejo-tripitaka, which was manufactu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cultural asset of convergence.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printing as it was pursued in Namhae, where the tripitaka was carved into woodblocks. The Jaejo-tripitaka was fine-tuned and became more sophisticated by collecting and collating research and commentaries from Uicheon’s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as well as from Chinese tripitakas from Song, the Khitan, and Japan. Furthermore, the Jaejotripitaka showcased the culmination of intercommunication and culture of convergence,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the printing culture and technology of the time, as well as interregional coordination, the link between the state and its peo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ful and secular. The Jaejo-tripitaka led cultural promotion not only as a classic of the globalizing East Asian culture of the 13th century, but also as an original script for modern Japan’s Daejeongshinsudaejanggyung and Taiwan’s Bulkwang-tripitaka. To lead the culture of the 21st century, tripitakas should be embraced in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values and to promote disruptive creation. Buddhist Theme Parks and tripitaka cultural festivals could serve as places to commemorate and display the intrinsic values of the tripitaka. Furthermore, a new direction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is offered to enable tripitakas to be used to facilitate disruptive creation. Specifically, a Buddhist Theme Park could take the form of a Buddhist Land, Buddhist Larchiveum, or Seon Meditation Center for the mind industry. As for cultural festivals, large-scale festivals linked to the biennial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as well as small-sized community-level festivals, could be considered. Finally,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the electronic printing industry could be introduced and adopted as it will play a key ro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lusters in west Gyeongnam,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a tripitaka cultural research and printing institute (provisional) are proposed.

      • KCI등재

        고여재조대장경에 수용된 계단대장경

        유부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2

        본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재조장에 기록된 여러 가지 교감 기록을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서 재조장에 수용된 거란장의 성격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구명되었다. 첫째, 재조대장경에 편입된 거란장은 모두 18건이었다. 둘째, 재조대장경에서 교정의 저본으로 수용된 거란장은 모두 42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오류가 지적된 거란장은 모두 11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에서 대교본으로 수용된 경전은 모두 57이었다. 넷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거란장에 미 입장된 것으로 확인된 경전은 4건이었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서 거란장은 일부분이 아닌 거의 대부분이 재조대장경의 대교본으로 수용되었으며, 또한 종래의 견해대로 거란장은 매우 우수한 판본이었지만, 또한 적지 않은 오류도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made of proofreading some documents about ‘Tripitaka Koreana’, which was unknown and not noticed quite well until now and is also for montemplating the features of ‘Qidanzang’ that were accepted in ‘Tripitaka’. By all the researches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out. First, ‘Qidanzang’ included in ‘Tripitaka’ were all 18 cases. Second, ‘Qidanzang’ that were corrected and accepted into ‘Tripitaka’ were 42cases. Third, ‘Qidanzang’ that have errors at comparing documents were all 11cases. Fourth the sutra that were accepted in the comparative book were all 57 cases. Fifth, unaccepted sutras , which were found out at comparative documents, were 4cases. At last, from the analysis abouve, we notice that most of the ‘Qidanzang’, not part of it, were accepted into ‘Tripitaka Koreana’ and like the previous viewpoint, ‘Qidanzang’ was an excellent book but it also had a few mistakes.

      • KCI등재후보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이재수 ( Jae Soo L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1

        본 논의는 고려대장경에 담긴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고, 그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여 과거의 소중한 문화유산과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치를 다시 한 번 논의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문화유산이자 기록유산인 고려대장경을 활용하는 한 방안으로서의 전자불전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논의는 과거의 역사적인 상황의 규명과 과정에 대한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서 대장경의 가치를 드높이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먼저 대장경이 지니는 불교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 경이 조성되게 된 경위와 그 의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고려대장경의 가치를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고 세계 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를 함께 논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고려대장경이 지니는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문화적 함의를 살폈다. 우선 대장경의 의의와 특징을 원형성에 있다고 보았고, 종교적 기능을 담당했으며, 대중성과 사회성의 지향의 결과물이라는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한글대장경과 세 번째 대장경 조성불사라 할 수 있는 전자불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불전전산화의 토대를 확립한 고려대장경연구소의 고려대 장경 디지털 서비스로 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경연구소를 비롯한 전자불전을 위한 단체들과 전자불전 보살들의 노력의 성과를 통해 디지털 대장경의 현재를 조망해 보았다. 이는 유산으로서의 대장경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논의에서 대장경 2.0의 제안을 통해 초조대장경 천년의 해에 새로운 도전이라는 발걸음을 크게 내딛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ripitaka Koreana, rediscover its cultural values, and renew its status as one of the valuable cultural and record assets of the past. It also aimed to discuss electronic Buddhist Texts as a way to utilize Tripitaka Koreana, a cultural and record asset. The study tri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higher values of Tripitaka Koreana in the present and future rather than to examine its historical situations and processes. First examined in the study was the Buddhist significance of Tripitaka Koreana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its creation. Then the investigator moved onto examining its values as a world cultural and record asset and further its overall and solid cultural implications. Tripitaka Koreana, whos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lie in its qualities as an archetype, performed religious functions and was the product of orientation towards popularity and sociality. Also discussed in the study were electronic Buddhist Texts, which are called the third Tripitaka creation project, as well as the Hangul Tripitaka.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the digital service of Tripitaka Koreana provid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which built a foundation for Buddhist Texts digitization, and the efforts to create electronic Buddhist Texts by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and Buddhists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getting a picture of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tripitaka based on the accomplishments, which are attributed to diverse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the tripitaka as a legacy. The study proposed a big step of new challenge in the 1,0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through Tripitaka 2.0.

      • KCI등재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정병삼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송의 開寶版 대장경이 『開元錄』을 바탕으로 983년에 간행된 이래 3차에 걸친 증보되었다. 개보판 대장경은 곧 고려에 전래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불교계의 의지는 마침 일어났던 외침을 계기로 1011년에 초조대장경 조판 사업을 시작하였다. 1029년에 1차 조판이 완성된 고려의 初雕本 개판은 처음에는 개보판을 그대로 새겨 간행하였으나, 2차, 3차에 걸친 보완을 거쳐 보다 정확한 契丹本을 적극 수용하고 고려 傳本들과 상호 校勘한 충실한 대장경을 1087년에 600여질로 완성하였다. 초조본은 『개원록』과 그 이후의 목록에 충실하게 간행하였다.義天은 經論의 바른 뜻을 펴기 위해서는 章疏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20여 년간 국내외에 걸쳐 수집한 장소를 정리하여 1090년에 장소 목록인 『新編諸宗敎藏總錄』을 편찬하였다. 의천은 경·율·론으로 구성된 대장경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그동안 대장경이 거의 외면하였던 고금의 章疏를 모아 一藏을 만들어 대장경의 이해를 보충하려는 뜻에서 수집한 장소를 교감하고 독자의 교학관에 따라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하였다. 독자적인 회통적 사상 체계에 따라 『화엄경』을 필두로 1,040종의 경·율·론 장소 목록을 제시하고 4,740권에 이르는 방대한 교장을 간행하였다. 신라와 고려 및 거란의 찬술이 대거 포함된 교장은 동아시아 불교학의 체계적인 정리로서, 송과 일본에도 전해져 교학 발전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하였다.몽골의 침공으로 초조본이 불타자 大藏都監과 分司大藏都監을 설치하고 국가적 운영 체제 아래 체계적이고 방대한 재조대장경을 조판해냈다. 특히 재조대장경은 『校正別錄』에서 보여주는 정확한 교감 기준에 따라 고려본과 개보판·거란본을 활용하여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는 이들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을 正本으로 삼는 보편성을 지향한 정밀한 간행이었다. 재조본의 특징은 ‘外藏’에 있다. ‘정장’과 동일한 기관에서 동일한 시기에 개판된 20여 종의 전적은 화엄과 선적 및 천태 주석서들로서 고려 후기 화엄종의 사상적 의도와 수선사와 백련사 계통의 다양한 사상을 반영한다. 이들의 다양한 경판 판식은 국내 傳本을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서 고려 불교의 문화적 역량이 반영된 것이었다. ‘외장’은 고려의 문화적 전통에 바탕을 둔 출판인쇄술의 능력과 고려불교의 사상적 경향이 결합하여 이룬 고려불교의 역량 표현이었다. Goryeo published two editions of Daejanggyeong and one Gyojang. The publishing of Daejanggyeong shows the trend of Buddhism and cultural ability of Goryeo. In Northern Sung, Chinese produced the first Tripitaka Kaibao Dazangjing in 983, afterwards enlarging it by three times. The Goryeo dynasty wanted to show cultural power and overcome the national crises caused by the invasion of the Khitan, so it started engraving Daejanggyeong in 1011. The First Daejanggyeong was finished in 1029, with national support. At first it was based on the Kaibao edition, but a second and third enlargement were corrected using the Kitan edition and Goryeo traditional copies. In 1087, over 600 boxes of the First Daejanggyeong were completed. The First Daejanggyeong was published by Chinese catalogs which made in succession. Euicheon, who entered the monkhood as a prince, thought that commentarie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ipitaka completely. In 1090, Euicheon edited the Sinpyeon Jejong Gyojangchongrok , the catalogue of commentaries on the tripitaka. He revised, edited, and published Gyojang which he collected from Goryeo, Sung, Kitan and Japan. In this catalogue, Euicheon showed the unique organization of the tripitaka. He listed Avatamsaka first, and listed 4740 rolls of 1010 books, and using this list he published commentaries. Many commentaries of Silla and Kitan were enlisted in that list. These publications brought to Sung and Japan and helped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Buddhism. The First Goryeo Daejanggyeong was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Goryeo established Daejangdogam to produce a new Daejanggyeong. The new Second Goryeo Daejanggyeong revised and edited the First Goryeo, Kaibao and Kitan editions. As a result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guaranteed high accuracy. The standard edition was recorded in Sinjodaejang Gyojeongbyeollok . Moreover,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subjoined more than twenty books. They include the commentaries of Hwaeom, Zen and Cheontae schools of China and Korea. this work shows the trend of late Goryeo Buddhist thought. These subjoinders succeeded Goryeo tradition, so the publishing form of the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ain Daejanggyeong. These subjoinders were joined by combining the Goryeo Buddhist thought and printing ability.

      • KCI등재

        해인사 대장경판의 기능 및 수량 재지정 문제에 관한 고찰

        김성수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4 No.-

        This study discusses the functions and reassigning the number of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hapter Two, it was discuss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had its roots in the Jinbyong Tripitaka Koreana, that is,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which helped defend Goryeo from the war.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had been carved to inherit the spirit of defending the country represented in the Jinbyong Tripitaka Koreana. Second, in Chapter Three, the func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were discus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had ① the function of defending the country, ② the function of cumulating the extant collection of Buddhist treatises, laws, and scriptures, and ③ the function of completing it as the most comprehensive version of the Tripitaka Koreana. Third, in Chapter four, the whole quantity of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was discussed. It was computed that 81,234 pieces of the original woodblocks and 118 pieces of the supplementary woodblocks made a total of 81,352 pieces of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이 논문은 해인사 대장경판의 기능 및 총수량(總數量)의 재지정에 관하여 논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에서는, 해인사대장경의 뿌리(根源)는 전쟁을 진압한 대장경인 진병대장경(鎭兵大藏經: 고려 初雕大藏經)에 있음을 논술하였다. 그리하여 해인사대장경(再雕大藏經)은 진병대장경의 護國精神을 이어받아 판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의 기능 및 가치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그 결과, 해인사대장경판의 기능은 ① 國家守護의 기능, ② 三藏結集의 累加性의 기능, ③ 대장경으로서의 완결성(完結性)의 기능 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제4장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의 총수량(總數量) 문제를 논급하였다. 그 결과, 해인사대장경판은 ‘원판분류경판 81,234판’과 ‘보각경판 118판’으로 구성됨으로써 그 총수량(總數量)은 ‘81,352판’으로 집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해인사 대장경 중복판의 인경본 조사와 시기분석

        朴光憲(Park Gwanghun) 미술사연구회 2020 미술사연구 Vol.- No.38

        The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2nd edition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history. It was designat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and has been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in the world. The quantity of woodblocks is known to be 81,325 sheets in a recent study, and 211 duplicate plates exist. Twenty printed copies of the duplicate woodblocks were examined in 2019. The study tried to distinguish the timing of duplicate editions by comparing printed copies at different times. Duplicate woodblocks can be divided into those without lines and those with lines. A wooden board without a line can be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 type of Koo Yangsoon’s Style and Jo Maengbu’s Style. Another study referred to the period of woodblocks of the Chinese character type of Jo Maengbu’s Style as the period between Goryeo 1381 and the operating period of Gangyeong-dogam of King Sejo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this study, the period was revealed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through Chinese character type and the engraver. And the woodblocks of the Chinese character type of Jo Maengbu’s Style may have been written by King Sejo himself. It is not certain at this time. There is such a possibility, both historically and in the Chinese character type. Based on this study, if more printed copies of the Tripitaka Koreana 2nd edition are examined, it is expected that the timing of the duplicated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will be clear.

      • KCI등재

        고려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5 No.-

        This study explores the existing claims about the kinds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of Jaejo Daejanggyung and then suggests a new perspective. First of all, I examined the gyungmyung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written in Daejangmokrok and all the scriptures and numbers in Jaejojang, and entered the gyungmyung and suitable numbers in a table to estimate the exact amount of kinds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of Jaejo Daejanggyung. And then, the kinds and numbers of Jaejojang including the kinds and kownsu of each scripture and one-volume of the scripture are produced through computer processing. As a result, it proves that the scripture in Jaejojang has 1496[1530] kinds; ‘1496 kinds’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a variety of scriptures in one volume as one type and ‘1530 kinds’ in each bracket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each of the various scriptures in one volume as one type of individual scripture, and 6555. 본 연구는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에 대한 종래의 주장을 살펴본 다음 필자의 새로운 주장을 피력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에 대한 타당하고 정확한 수량을 산정해 내기 위해 먼저 「대장목록」에 기재된 경전의 경명과 권수 및 재조장에 수록된 모든 경전과 그 권수를 조사하여 하나의 표 속에 경명과 해당 경전의 권수를 입력하였다. 다음으로 전산처리를 통하여 독립된 경전의 종수와 권수 그리고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경전을 포함한 재조장 경전의 종수와 권수를 산출해 내었다. 그 결과 재조장에 수록된 경전은 1496[1530]종(‘1496종’은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여러 경전을 1종으로 간주해서 산정된 것이고, 각괄호([ ]) 안의 ‘1530종’은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여러 경전을 각각 개별 경전 1종으로 간주해서 산정된 것임), 6555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 月精寺所藏 高麗再彫大藏經 印經本에 대하여

        金芳蔚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보 Vol.0 No.31

        본 논문에서는 고려재조대장경이 판각 이후 인출되는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 그 속에서 1865년 인출된 월정사소장 인경본의 위상과 인출과정 및 그 배경을 논구해 보았다. 그리고 월정사소장본의 서지적 특징을 검토한 후, 1865년 인출과정에서 작성된 보유목록의 의의와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장경은 조선 개국과 함께 여러 차례 인출되었고, 심지어 세조 4년에는 50부나 인출되었다. 인경발문이나 실록기사를 검토해보면, 16세기 초까지 인출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17․18세기에는 인출되지 않다가 19세기에 들어 1865년에 모처럼 인출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19세기 들어서의 정치 사회적 변화와 불교계의 부흥 움직임과 연관시켜 분석해 보았다. 둘째, 월정사소장본의 인출과정을 전하는 네 가지 기사를 제시하고, 그 속에서 인출과정과 배경을 추론해 보았다. 단편적인 기사이기 때문에 인출과정 전모를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나, 대강의 밑그림이나마 그릴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865년 인출은 대원군의 후원 하에 고종즉위 기념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전체 총괄은 남호영기가 담당했고, 인출과정에서 교정은 해명장웅이 담당했으며, 실무는 部林大德과 淸霞․影應․通虛 등이 담당했다. 셋째, 월정사소장본의 서지적 특징으로, 먼저 형태서지적 특징을 간략히 살펴본 후 일부 결락본과 결락장 그리고 그 외 특이사항을 표로 제시하였다. 넷째, 보유목록은 당시 인출과정에서 해명장웅에 의해 작성되었다. 기존 대장목록에서 빠져있던 경판들을 모아서 함차순을 매겨 별도로 목록을 작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지 인출과정에서 대장목록에 빠져있는 것들을 모아놓았다는 의미에 다름 아니다. 따라서 고려재조대장경판과 전혀 성격이 다른 판들이 다수 착종되어 있다. 국간판과 사간판의 구별이 필요한 것이다. 끝으로 월정사소장본의 가치를 살펴보면, 우선 19세기 인경본으로서 거의 완질에 가깝게 남아있고 그 보존상태도 우수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거의 300년간 대장경이 인출되지 못하다가 19세기 중반에 들어서야 모처럼 인출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상징적 의의를 더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inted book of new-carved Goryeo Tripitaka belonging to Woljeongsa. This book was printed in 1865, one year prior to Gojong's enthronement, and distributed into two places, Mt. Seolak's Oseam and Mt. odae's Woljeongsa. The book having kept in Woljeongsa survives to present almost entirely. In this paper, I investigates the history of Goryeo Tripitaka's printing briefly, the background of 1865's printing and the position of the printed book in Woljeongsa's possession. Finally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 is examined and the meaning and issue of Additional List(보유목록) made by Haemyeong Jangwoong(海冥壯雄) at that printing time is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