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

        최종혁,오경수,김형식,Choi, Chong-Hyuk,Oh, Kyung-Soo,Kim, Hyoung-Sik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슬개골 재발성 탈구 환자에 있어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5년 5월까지 8년 6개월간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5 명의 환자 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1 명, 여자가 14 명이었고 평균연령 22.2세였다. 발생 부위는 우측이 18례이고 좌측이 9례였으며 모든 환자가 외상의 병력이 있었고 평균 추시기간은 1년이상이었다. 수술 전 평균 탈구 횟수는 11.5회이며 수상 후 수술기간까지의 기간은 평균 33개월이었다. 결과: 단순 방사선 사진 상 슬개골 이상고위 1례(3 %), sulcus angle은 평균 141도였다. 술 전 congruence angle은 평균 23.3도 였으며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은 평균 -5.7도였고 Lysholm score는 평균 76점이었다. 술 후 congruence angle은 평균 -2.4도(p<0.01),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은 11.5도(p<0.01)로 정상범위를 회복하였으며 Lysholm score는 93점(p<0.01)이었다. 재발성 탈구는 총 4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2례에서는 술 전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이 각각 -35도, -12도였으며 congruence angle은 59도, 14도였다. 술 후 관절 내 혈종으로 3례에서 aspiration을 시행하였고 내측 중첩술 시행부위에서 표재감염 2례가 발생하여 봉합사를 조기 제거한 1례에서 재발된 소견을 보였으며 지연성 심부감염이 2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은 대퇴사두근의 손상없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혈관손상 등의 합병증이 적어 내측부 중첩술과 함께 사용 시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대한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seeks to address the results of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and medial reefing for patients with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paper focuses on 27 cases from 25 patients who had a surgical operation at our hospital in a span of eight years and six months from the time of December 1996 to May 2005. The subjects consist of 11 males and 14 females, and their average age was 22.2 years old. All the patients had their trauma history,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dislocation before surgery was 11.5 times. Results: The congruence angle before operation was 23.3 degree on the average, while th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was -5.7 degree on average. However, the congruence angle after surgery came to -2.4 degree, while th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recovered to the normal range of within 11.5 degrees. Four cases showed the recurrent dislocation, and two out of those four cases had -35, -12 degrees of their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respectively and 59, 14 degrees of their congruence angle respectively. Conclusion: Using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with medial reefing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 슬개골 재발성 탈구에 대한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 중첩술을 이용한 치료

        황병윤,최종혁,양익환,박윤길,Hwang, Byoung-Yoon,Choi, Chong-Hyuk,Yang, Ick-Hwan,Park, Yoon-Ghi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서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관절경적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외상 후 발생한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3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4.2세, 평균 추시 기간은 47.4개월이었다. 결과: 술 전 일치각은 평균 24.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평균 -6.2도, Lysholm score는 평균 75점이었다. 술 후 일치각은 평균 -2.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10.2도로 정상범위를 회복하였으며 Lysholm score도 95점으로 향상 되었다. 재발성 탈구는 총 5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3례에서 대퇴골 이형성증이 관찰되었다. 결론: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은 합병증이 드물고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대퇴골 활차의 선천성 변형이 있다면 다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and arthroscopic medial plication for patients with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s the thirty-one cases of patients who have had a surgical operation from March 2001 to March 2008. All the patients had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after trauma history. The average age was 24.2 years old and the average follow up was 47.4 months (minimum 24 months). Results: The preoperative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Lysholm score was $24.8^{\circ}$, $-6.2^{\circ}$, 75 points on average respectively. However, the postoperative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Lysholm score was improved to normal range: $-2.8^{\circ}$, $10.2^{\circ}$, 95 points on average. Five cases showed the recurrent dislocation after operation. Among them, three cases showed femoral trochlear dysplasia. Conclusion: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and arthroscopic medial plication showed satisfactory results for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with low complication rate. However, in cases with femoral trochlear dysplasia, another surgical treatment may be considered.

      • KCI등재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근위 상완골 골절

        황태혁(Tae Hyok Hwang),조형래(Hyung Lae Cho),왕태현(Tae Hyun Wang),양희순(Hui Sun Ya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2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동반된 근위 상완골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20세 남자로 가벼운 외상 후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로 내원하였다. 수상측 주관절부에는 큰 망상형 신경 섬유종들이 있었으며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 병변이었다. 단순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상완골과 견갑골의 골성 변형을 보였고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삼각근과 회전근 개에 다발성 신경 섬유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혈적 정복술 및 관절막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골절은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골유합과 만족스런 기능 회복을 보였으며 수술 후 7개월 추시 상 견관절 탈구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 재발성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은 드문 합병증이나 질환의 정형외과적 접근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combine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A twenty-year-old male patient with known neurofibromatosis type I presented with right shoulder dislocation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following a minor trauma. His injured arm also had large plexiform neurofibromas on the elbow, and the dislocation of the shoulder joint was proven to be recurrent. Bony deformation of the humerus and scapula were revealed on X-ray and computed tomography, as well as multiple neurofibromatic changes of the deltoid and periscapular muscles were not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pen reduction and capsular reconstruction were performed and humeral fracture was stabilized with a reconstruction plate. Satisfactory union and functional result were achieved and the dislocation did not recur until the 7-month followup after the procedure.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combine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are rare complications. However, it should still be considered in the orthopaedic evaluation process of the diseases.

      •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서 관절경적 외측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

        강성식,유재두,Kang, Sung-Shik,Yoo, Jae-D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슬개골 재발성 탈구 환자에 있어 관절경 보조하의 외측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0 명의 환자, 2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4 명, 여자가 16명이고 평균연령 20.2세였다. 모든 환자가 외상의 병력이 있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수술 결과의 평가는 Lysholm점수와 Kujala슬관절 점수를 이용하였고, 방사선 사진상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을 측정하였고,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tibial tuberosity-trochlear groove distance를 측정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사진상 congruence angle은 술전 중위값 $16.5^{\circ}$ (범위, $0.0{\sim}+34^{\circ}$) 에서 추시 시 $-6.4^{\circ}$ (범위, $-19{\sim}10^{\circ}$), lateral patellofemoral angle은 술전 중간값 -4.5도(범위, $-8{\sim}+6^{\circ}$)에서 $4.0^{\circ}$ (범위, $2.0{\sim}10^{\circ}$)로 호전되었다(p=0.034). Lysholm 점수는 수술 전 중위값 70점(범위, 63~81점)에서 최종 추시 시 중위값 88점(범위, 80~95점)이었다(p=0.341). Kujala 슬관절 점수는 수술 전 중위값 72점(범위,65~80점)에서 수술 후 중위값 87점(범위, 80~92점)으로 호전되었다. (p=0.024). 재발성 탈구는 총 2례에서 발생하였으며 1례는 thumb to forearm검사 양성이었던 경우로 재탈구 되어 내측 슬개대퇴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관절경적 외측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은 대퇴슬개관절의 골성 부정정렬이 없는 경우에서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관절 이완이 심한 환자에서는 좀 더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We reported the results of arthroscopically assisted lateral release and medial imbrication for the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20 knees) underwent arthroscopically assisted surgery for the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There were 4 males and 16 female. The average age was 20.2 years. All patients had definite trauma history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The surgic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Lysholm knee score and the Kujala score. The congruence angle and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were measured on plain radiograph and the tibial tubercle-trochlear groove distance was calculated on computerized tomography. Results: The median value of preoperative congruence angle was $16.5^{\circ}$ (range, $0.0{\sim}+34^{\circ}$) and the average final follow-up was $-6.4^{\circ}$ (range, $-19{\sim}10^{\circ}$)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025). The median value of preoperative Lysholm knee score was 70 (range, 63~81) and the final follow-up score had changed to 88 (range, 80~95)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0341). The median value of preoperative Kujala score was 72 (range, 65~80) and the average final follow-up score showed 87 (range, 80~92)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024). Recurrent dislocations after surgery occurred in 2 cases, one case which showed positive "thumb to forearm test" had been treated with medial patellofemoral ligament reconstruction. Conclusion: Arthroscopically assisted lateral release and medial imbrication for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without bony malaligmenent showed the effective treatment, but would be inappropriate for the patients with the generalized joint laxity.

      • KCI등재

        Elmslie-Trillat-Marquet 시술식으로 치료한 재발성 슬개골 아탈구 또는 탈구의 중장기 추시 결과

        김덕원 ( Duok Weon Kim ),안종호 ( Jong Ho Ahn ),이강 ( Kang Lee ),이은군 ( Eun Koon Lee ),김진구 ( Jin Goo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재발성 슬개골 아탈구 또는 탈구에서 Elmslie-Trillat-Marquet 시술식으로 치료 후 중장기간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5월부터 2004년 2월까지 Elmslie-Trillat-Marquet 시술식으로 치료한 20명 21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추시 기간은 80.5개월이었다. Lysholm 기능 평가, IKDC 주관적 슬관절 검사, Visual analog scale (VAS) 등을 측정하였고, Insall-Salvati 지수 및 슬개골 일치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Lysholm 기능 점수는 평균 91점, IKDC 주관적 슬관절 검사는 평균 82점, Visual analogue system은 평균 28점이었다. Q각은 수술 전 평균 28도에서 평균 12.5도로 교정되었으며, Insall-Salvati 지수 및 슬개골 일치 각이 정상범위로 교정되어 수술 후 아탈구 및 탈구는 관찰되지 않았다. 1례에서 이전 골편의 골절로 재수술을 실시하였고, 내측 불안정성이 3례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재발성 슬개골 아탈구 또는 탈구의 치료로 Elmslie-Trillat-Marquet 시술식은 장기 추시 상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나 합병증 예방을 위한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mid to long term results of Elmslie-Trillat-Marquet procedures for recurrent patellar subluxation or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3 to February 2004, 21 knees in 20 patients who got Elmslie-Trillat-Marquet procedures were evaluated. Mean follow-up periods were 80.5 months. Clinical tests such as Lysholm knee scoring scale, IKDC subjective knee evaluation form, visual analog scale and radiological tests such as Insall-Salvati index and congruence angle were evaluated. Results: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to average 91 points, IKDC knee score 82, visual analog scale 28. Q angle was improved from average 28˚ preoperatively to 12.5˚. Insall-Salvati index and congruence angle were significantly corrected and no subluxation or dislocation were observed at final follow up. Fracture of tibial tubercle in 1 case which was treated with refixation and medial instability in 3 cases were observed. Conclusion: Elmslie-Trillat-Marquet procedure can be a useful method to correct patellofemoral malalignment in long term follow up but meticulous care to reduce the complication was needed.

      • 중장년층에서의 회전근 개 파열과 Bankart 병변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이광원,양동현,안재훈,김하용,최원식,하권익,Lee Kwang Won,Yang Dong Hyun,Ahn Jae Hoon,Kim Ha Yong,Choy Won Sik,Ha Kwon-Ic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본 연구는 40세 이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경우, Bankart복원술이나 소절개 술식(miniopen technique)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후 후향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199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내원하여 수술 받은 40세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25례의 환자 중 최종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2(범위, 41$\~$67)세, 추시기간은 평균 50.5(범위, 10$\~$47)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환자 8례들의 최종 추시 결과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은 평균 122$^{\circ}$에서 154$^{\circ}$, 외전은 평균 115$^{\circ}$ 에서 161$^{\circ}$ 로 향상되어 술전에 비해 견관절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의 동통지수는 술전 11.0에서 술후 5.5로 호전되었다. 환자가 호소하는 동통의 정도는 VAS 평가상 술전 평균 5.4에서 술후 평균 2.5로, UCLA 평가지수는 술전 20.2에서 술후 29.6로, Constant 평가지수는 술전 48.6에서 술후 69.0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CLA 평가지수상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8례 환자들의 최종 추시 결과 우수 2명, 양호 4명 , 보통 2명이었으며, Bankart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14례의 환자군의 최종 추시 시 우수 2명 , 양호 6명, 보통 5명, 불량 1명으로 양 그룹간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40세 이상에서의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은 적고, 회전근 개와 액와신경 손상, 상완골 대결절의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회전근 개 파멸과 함께 전방관절낭와순 복합체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엔 재발성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소절개 술식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Bankart봉합술과 같은 전방 구조물 대한 복원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Objectives: To assess the functional outcome of Bankart repair and rotator cuff repair using miniopen technique in patients with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8 case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Bankart lesion of over 4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1 to January 2002, twenty two patients were availabl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Mean age was 52 years old(41-67), Follow-up evaluations averaged 50.5months(10-147). Results: The patients(22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with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8 cases) with rotator cuff tears and Bankart lesion in patients over 40 years old. Group 2: without Bankart lesion(14 cases). In Group 1, mean average of forward flexion and abduction improved from 122 degrees to 154 degrees at the final follow-up and from 115 degrees to 161 degrees respectively. In terms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of pain score and VAS, scores improved from 11.0 to 5.5 and from 5.4 to 2.5 respectively. In terms of UCLA score & Constant score, scores also improved from 20.2 to 29.6 and from 48.6 to 69.0 respectively. Functional outcome of Group 1: two patients with excellent, four patients with good, and two patients with fair. Functional outcome of Group 2: two patients with excellent, six patients with good, five patients with fair, and one patient with poor. But they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All cases were improved shoulder pain at the final follow up. And six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of shoulder function.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Bankart repair and rotator cuff repair using miniopen technique in patients with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8 cases) with tears of rotator cuff and Bankart lesion older than 40 years. We recommend Bankart repair and rotator cuff repair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전방탈구에서 suture anchor를 이용한 변형 Bankart 술식의치료 결과

        이광석 ( Kwang Suk Lee ),서정대 ( Jung Dae Seo ),오광준 ( Kwang Jun Oh ),이승준 ( Seung Joon Lee ),왕승용 ( Seung Yong Wang )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3

        목적: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전방탈구 환자에서 suture anchor를 이용하여 관절낭 전이술 및 Bankart 병변 복원술을 동시에 시행한 변형 Bankart 술식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전방탈구 환자 14명, 1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견관절 30도 외회전 및 외전 상태에서 3개의 suture anchor를 사용하여 하부 1/3 관절낭과 상부 2/3 관절낭을 견관절와경 전면부에 복원한 후 상부와 하부 관절낭을 중첩하여 봉합하는 변형된 Bankart 술식을 시행하였다. 술전 및 최종 추시 시, Rowe와 Zarins의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견관절의 기능, 동통, 안정성, 운동범위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후 견관절의 운동범위는 평균 175도의 굴곡, 평균 55도의 외회전을 보였고, 굴곡은 정상에 비해 평균 2%의 감소, 외회전은 평균 7%의 감소 소견을 보였다. 견관절의 기능, 동통 및 안정성을 포함한 기능평가에서 우수가 80%, 양호가 20%였다. 수술 후 모든 환자에서 탈구나 아탈구는 없었다. 결론: 이 술식은 suture anchor를 이용하여 수술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관절낭의 적절한 긴장성을 획득하고, Bankart 병변의 견고한 복원을 얻어, 탈구나 아탈구의 재발없이 견관절 운동범위의 감소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of modified Bankart operation repairing the Bankart lesion with capsular shifting using suture anchor in traumatic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of shoulder joint. Materials and Methods: All of the cases were treated with modified Bankart operation. The inferior and superior capsular flaps were advanced to the anterior aspect of glenoid neck and fixed with three suture anchors in 30 degrees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of shoulder joint. Especially the inferior 1/3 capsular flap was sutured over the superior 2/3 capsular flap. We used the grading system of Rowe and Zarins as measuring function, pain, stability, range of motion of shoulder joint. Result: The clin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80%, good in 20%. The mean loss of motion at follow up study was 2% of flexion and 7% of external rotation. Conclusion: This operative technique is useful in repairing the Bankart lesion and gaining adequate capsular tension. And the using of suture anchor could save the operation time.

      • KCI등재

        40세 이상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관절내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연구

        민우기(Woo-Kie Min),김주은(Ju-Eun Kim),조환성(Hwan-Seong Cho),김풍택(Poong-Taek Kim),전인호(In-Ho Je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2 No.2

        목적: 40대 이상의 환자의 외상성 견관절 재발성 전방 탈구에서 관절 내 병변 구조물을 조사하고, 그 발병 기전 및 향후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임상적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재발성 견관절 전방 탈구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수술 당시 나이가 40세 이상인 16명의 환자 (평균 나이 52.7세)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관절와 순, 관절막, 회전근 개, 골병변 등의 관절 내 구조물에 대한 관절경적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한 16례의 모든 환자들에서 상완 골두의 Hill-Sachs 병변이 보였으며, 골성 Bankart 병변 3례 (19%), 관절와 순 파열 6례 (38%), 관절막 파열은 15례 (94%)에서 발견 되었다. 12례 (75%)의 환자에서 극상건 파열이 발견되었고, 견갑하근 파열은 5례 (31%)에서 발견되었다. SLAP 병변은 1례 (6%)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40세 이상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파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와 달리, 장년층 이상의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손상에 대한 수술 전 대비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valence of various intra-articular les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of shoulder over 40 years and suggest clinical implications for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16 cases that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of shoulder from January 2001 to May 2009. There were 9 males and 7 females, and the mean age was 52.7years. We carried out arthroscopic exam for all patients based on standard protocol, which included labrum, capular lesion, cuff, bony lesions. Results: All 16 cases showed Hill-Sachs lesion, 3 patients (19%) had bony Bankart lesion, 6 patients (38%) had labral tear. Capsular tear were found 15 patients (94%). Twelve (75%) had ruptured supraspinatus and 5 (31%) had subscapularis tear. Only one (6%) had SLAP lesion. Conclusion: There was relatively higher incidence of capsular and rotator cuff tears in patients over age 40 years. Preoperative planning to address these lesions is highly recommended.

      • 견관절 전방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발생한 이중 Hill-Sachs 병변 - 증례 보고 -

        김용민,박경진,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홍경호,Kim, Yong-Min,Park, Kyoung-Jin,Kim, Dong-Soo,Choi, Eui-Sung,Shon, Hyun-Chul,Cho, Byung-Ki,Hong, Kyung-Ho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2

        Hill-Sachs 병변은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병변으로 상완골두의 후외방 골결손으로 지칭된다. 처음 탈구되는 환자에서도 관찰될 수 있으며, 탈구가 진행될 될수록 진행하여 탈구의 수와 Hill-Sachs 병변의 관찰정도는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ll-Sachs 병변의 위치와 유무는 견관절 불안정성에 중요한 의미를 띄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저자들은 재발성 전방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동반된 이중 Hill-Sachs 병변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ill-Sachs lesion is the most common lesion in shoulder dislocation patient and it represented by postero-lateral bony defect of humerus. The lesion could be found in patients who dislocate shoulder joint first time, and it is reported that Hill-Sachs lesion proportionally increases as dislocation does. The location and presence of Hill-Sachs lesion play significant roles in shoulder instability. Authors experienced a double Hill-Sachs lesion in a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patient, and thereby report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재발성 후방 주관절 탈구

        곽상호,김석현,배정연,서근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3

        The elbow joint is one of the most inherently stable articulations of the skeleton. Recurrent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elbow is a rare condi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recurrent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elbow due to shallow trochlear notch and chronic radial head dislocation that was treated by transplantation of the biceps tendon to the coronoid process. We report on the case with a literature review. 주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안정적인 관절 중 하나이며, 재발성 후방 탈구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얕은활차구와 만성 요골두 탈구를 동반한 주관절의 재발성 후방 탈구 1예를 상완이두근건 이전술로 치료 하였고,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