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지향성에 대한 시장반응

        김경태,노희천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3

        This study demonstrates how long-term orientation of firm is valued in the capital market. The long-term orientation is a tendency to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long-term-oriented firms are either interested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among their partner companies or have a lot of R&D investment. Although long-term orientation is related to the stable and sustained growth pursued by the entity, it can be said to be subject to empirical analysis of how long-term orientation will be assessed in the market in that it shows short-term basis orientation due to a given management environment. This study introduces four long-term orientation variables. First, this paper introduces capital expenditures(LTO_A) as the long-term orientation. The increase in tangible assets and intangible assets is divided by total assets. Second, this study introduces R&D intensity(LTO_R) as the long-term orientation. R&D expense is divided by total assets. Third, this study introduces the increase of employee(LTO_R) as the long-term orientation. This study subtracts the last year’s number of employees(employees numbert-1) from the current year’s number of employees(employees numbert) and scales by the last year’s number of employees(employees numbert-1). fourth, this study introduces the owner-managed firm(LTO_O) as the long-term orientation. If the firms is restricted on mutual investment, dummy variable set to 1, and 0 otherwise. In this study, market response is measured as Tobin’s Q.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ng-term orientation measured in four way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rm value. It also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term orientation of the current term and the next firm value is positive.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long-term orientation is assessed on average positively in the capital market. Second, the market assessment of long-term orientation has been structurally modified because of the effect of introducing K-IFRS. As K-IFRS increase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long-term orientation of the measured facility investment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views were assessed more positively in the capital market, particula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K-IF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rect empirical analysis of long-term orient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firm value that it is assessed in the capital market. It is also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research in that it shows that time differences may exist when assessing long-term orientation in the capital market. It is believed that long-term orientation is an attribute pursued by the firm, but because there exists a risk of information asymmetry, it reacts immediately to long-term orientation in the market and reflects additional time lag in the firm valu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attern evaluated in the capital market may change structurally depending on how long-term orientation is measured. There is a contribution to demonstrate indirectly the positive effects of introducing K-IFRS by analyzing that the measurement of accounting long-term orientation is more important in the equity market. 본 연구는 기업의 장기지향성(long-term orientation)이 자본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실증분석 한다. 기업의 장기지향성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전략의 효과성에 초점을 두는 성향으로, 장기지향적인 기업은 협력기업 간의 관계 구축에 관심이 많거나 연구개발 투자를 많이 한다. 장기지향성은 기업이 추구하는 안정적이고지속적인 성장과 연관성이 있지만, 실제 의사결정 시에는 많은 경우에 주어진 경영환경으로 인하여 단기지향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면에서 장기지향성이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될지는 실증분석의 대상이라고 할 수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4가지 방식으로 측정한 장기지향성은 기업가치와 양(+)의 상관성을나타냈다. 또한 당기 장기지향성과 차기 기업가치 간에도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장기지향성은자본시장에서 평균적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장기지향성의 시장평가는 구조적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의 효과로 판단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증대시키므로 특히 회계적으로 측정한 설비투자관점과 연구개발관점의 장기지향성이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후에 자본시장에서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장기지향성이 자본시장에서 평가됨을 기업가치와 연계하여 직접적으로 실증분석하고, 장기지향성의 자본시장 평가에 있어서 시차가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장기지향성은 기업이 추구하는 속성이지만 정보비대칭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장기지향성에 대하여즉각적으로 반응함과 동시에 시차를 두고 추가적으로 기업가치에 반영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장기지향성을 측정하는 방식에 따라 자본시장에서 평가되는 양상이 구조적으로 변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하여 회계적으로 측정한 장기지향성 정보가 자본시장에서 더 중요하게 반영된다는점을 실증 분석하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의 긍정적인 효과를 간접적으로 입증한다는 면에서 공헌점이있다.

      • KCI등재

        장기지향성에 대한 시장반응과 소유지배괴리도

        김경태,노희천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uncertainties inherent in long-term orientation(LTO) may be assessed differently in the capital market depending on corporate governance.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see how the nature of management protection that may exist in the ownership governance structure can affect long-term orientation. LTO refers to the tendency of an entity to pursue strategically in order to continue to grow. A long-term oriented entity cannot be determined to be highly valued in the capital market. Sinc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extent to which long-term orientation is reflected in corporate value due to the uncertainty that exists in LTOs, it is necessary to empirically identify how differences aris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long-term orientation being evaluated in the capital market. In the preceding study, corporate governance is a measure used in terms of agency costs. In this study, a hypothesis is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dual class stock in which corporate governance is utilized to protect management rights. Differential voting rights holders have priority rights in their voting rights, so management rights can be considered prot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market response to long-term orientation, the entity's business value for the facility investment perspective(LTO_A)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perspective(LTO_R) was assessed higher than that for the entities in the large business group.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greater protection of managerial control of large business groups in respect of uncertainties in facility investment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Next, a separate empirical analysis of cases in which the nature of the agency’s cost of ownership is severe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market response to LTO, even if the ownership governance is large, compared to the other case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nature of management protection plays a greater role than the problem of agent costs that may exist in the ownership governance structure. It also demonstrated that the market response to LTO is assessed in the capital marke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a short-term assessment, while also providing a supplement to the uncertainty that management rights protection due to ownership governance may exist in long-term orient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additional contributions relative to the preceding study: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ong-term orientation required for an entity to continue to grow is assessed differently in the capital market by its ownership governance. Second, unlike prior research, it empirically suggests that ownership governance is understood in the capital market as a management protection perspective. Third, sensitivity analysis shows that market responses to long-term orientation can be reflected in the long-term capital market.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지향성에 내재된 불확실성이 소유지배괴리도에 따라 자본시장에서 다르게 평가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있다. 장기지향성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으로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장기지향적인 기업이 자본시장에서 기업가치가 높게 평가받는다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장기지향성이 자본시장에서 평가받는 과정에서 소유지배괴리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 소유지배괴리도는 대리인비용 관점에서 활용되는 측정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지배괴리도가 차등의결권주(dual class stock)의 속성으로 인하여 경영권보호에 활용되는 속성도 함께 고려하여 가설을 설정한다. 차등의결권주는 의결권에 있어서 우선적인 권리를 갖게 되므로 경영권이 보호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기지향성에 대한 시장반응과 관련한 실증결과, 설비투자관점(LTO_A)과 연구개발관점(LTO_R)에 대해서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한 기업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게 기업가치가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소유지배괴리도의 대리인비용 속성이 심각한 경우를 구분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장기지향성에 대한 시장반응에 있어서 소유지배괴리도가 크더라도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효과는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장기지향성에 대한 시장반응이 단기간에 걸친 평가가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본시장에서 평가됨을 보여줌과 동시에 소유지배괴리도로 인한 경영권보호가 장기지향성에 존재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보완해 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다. 첫째, 기업이 장기지향성이 소유지배괴리도에 의하여 자본시장에서 다르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와 달리, 소유지배괴리도가 자본시장에서 경영권보호 관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한다. 셋째, 장기지향성에 대한 시장반응이 자본시장에서 장기적으로 반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지향성, 고객만족, 장기적 관계지향성,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관,이강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논집 Vol.17 No.3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환경에서 핵심서비스 품질인 의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지향성과 고객만족, 장기적 관계지향성 및 구전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서비스제공자와 고객간에 상호작용과정에서 제공자의 비언적 커뮤니케이션이 의료서비스 품질을 지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고객지향성 및 고객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간과하였다. 분석결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차원 중에서 신체적 언어와 의사언어는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적 외양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만족에는 신체적 언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언어와 신체적 외양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객지향성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은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장기적 관계지향성은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서비스점점에서 의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고객지향성 지각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는 전략적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가 현재와 같은 의료서비스 경쟁 환경 하에서 핵심서비스 점점관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효과적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에 대한 효과적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관리에 유용한 자료가 된다. This study is to confirm structural relation among non-verbal communication of service provider, customer orientation, customer satisfaction,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word of mouth at medical service encounter. The previous studies overlooked the correlation between non-verbal communication of a doctor at service encounter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lthough non-verbal communication doctor's was strong role perception medical service quality of customer.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for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medical service provider, the kinesics and paralanguag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ustomer's evaluation of the service provider's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kinesics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but the physical appearance of service provider have no direct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Lastly, the service provider's customer orientatio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customer satisfactio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the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word of mouth intension.

      • KCI등재

        물류센터의 고객지향성이 관계품질과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지역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최영로(Choi, Young-Ro),이성윤(Lee, Sung-Yhu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5

        본 논문은 부산경남지역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고객지향성과 관계품질과의 영향관계, 관계품질과 장기지향성과의 영향관계 등을 규명함으로써 기업성과를 포함한 물류센터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지역 물류센터 이용고객 즉, 선사 및 대리점, 운송주선인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배포 409부중 209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한 가설 검정은 신뢰성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통해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물류센터의 고객지향성은 물류센터 이용고객의 만족 및 신뢰성과 정(+)의 관련성이 확인되어, 물류센터의 고객지향성 활동들이 물류센터 이용고객인 화주와의 관계품질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품질은 장기지향성과도 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실증되어, 긍정적 관계품질수준은 장기지향성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물류센터는 고객지향적 활동을 통해 고객과의 관계품질 뿐만 아니라, 장기지향성까지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업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물류센터 이용고객을 좀더 확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된다면 본 논문의 시사점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ustomer Orientati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Orientation. The sample used to test research model is made up of 204 questionaries from workers as customers in shipowners, agency and freight forwarders located in Busan Gyeongsangnam-do ranges. 2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 and various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first, components of Customer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Secondly, i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rientation. In conclusion, results suggested that Customer Orientation activities in logistics centers can improve the level of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Orientation.

      • KCI등재

        B2B제품의 거래기간 영향요인과 장기지향성 결정요인의 비교연구

        한상린(Han, Sang-Lin),이종원(Lee, Jong-Won),문지효(Moon, Ji-Hyo)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많은 기업들은 고객을 만족시켜 장기적 거래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고객만족을 통한 거래관계 장기화는 기업-소비자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기업간 거래에서도 나타나는데, B2B(Business to Business) 산업 내에서도 차별화된 관계지향적 마케팅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거래의 장기화는 거래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기업간 상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도 장기적 협력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거래의 장기화에 따른 장기적 협력관계 유지는 경영상 다른 활동과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효율을 보다 더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업간 거래의 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B2B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Model 1(거래기간 모델)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기업이미지와 기회주의적 행동은 유의수준 5%에서 거래기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유가치와 공급위험은 유의수준 5%에서 거래기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장기지향성 모델)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공유가치와 공급위험, 기업평판은 유의수준 5%에서 장기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과 거래성과는 유의수준 1%에서 장기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기간 영향요인과 장기지향성 영향요인을 종합하면, 거래관계를 성공적으로 장기화하기 위해서는 기회주의적 행동을 하지 않고, 이미지 및성과 제고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기회주의 행동은 장기거래일수록 더욱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거래기업과의 약속을 소중하게 여기고,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는 행동을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거래파트너와의 공유가치를 중시하고, 더 나은 거래성과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높은 기업평판을 구축 및 유지하고 거래관계에서 몰입을 높이기 위한 관리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B2B market and the underlying factors of B2B transaction are being emerged and most corporate managers are pointing out the importance of B2B business for the future growth of companies. Only few researches about B2B products transactions have been done so far, especially in Korea. In this research, after the detailed literature review in this area, the authors tried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underlying factors determine the relationship period of B2B products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e long-term business relationships among Business-to-Business companies. Industrial survey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by using B2B purchasing managers and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model 1(transaction period model), corporate image and opportunistic behavior influence the length of B2B business relationships and, shared value supplier risk influence the negative impact on the length of B2B business relationships. In model 2 (long-term orientation model), shared value, supplier risk, and company reputation influence the long-termbusiness orientation and, commitment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have also showed the positive impact on the long-term orientation. Th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results were also discussed in the end of paper.

      • KCI등재

        대학생들의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이미지와 고객만족을 매개로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아,박지은,박송춘 한국상업교육학회 2019 상업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경험적 가치가 무엇이며, 커피전문점과의 관계지향적 측면에서 장기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인과관계 를 파악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지역의 대학생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도출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험적 가치 중 유희성, 유익성, 서비스우수성은 브랜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험적 가치 중 유희성과 서비스우수성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험적 가치 중 유희성과 유익성이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이미지는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고객만족은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브랜드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브랜드 이미지가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 경험적 가 치와 장기지향성 사이에 브랜드 이미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객만족은 고객의 경험적 가치와 장기지향성 사이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음이 실증되었 다.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이미지와 고객만족을 통하여 장기지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구조로 체계화하여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xperiential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go to branded coffee shops and to grasp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bout how their experiential values had impacts on the long-term orientation of students who continuously want to go to them in relationship-oriented aspects.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356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region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experiential values, enjoyment and benefit and service excell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brand image. Second, enjoyment and service excell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Third, enjoyment and benef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ong-term orientation. Fourth, the brand image hadn’t an impact on the long-term orientation. Fifth, the customer satisfaction had an impact on the long-term orientation. Sixth, the brand imag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 when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e brand image didn’t affect the long-term orienta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brand image between experiential values and long-term orientation didn’t have mediating effects. However, the study showed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s’ experiential values and long-term orientation. It was proven that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concepts on factors that experiential values affected the brand imag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long-term orientation and verified their relationships and systematized theoretical structur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because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understanding on factors having impacts on the long-term orientation.

      • KCI등재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노인인권옹호행동 영향요인: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을 중심으로

        김민경(Kim, Min-Kyoung),김미혜(Kim, Mee-Hye),김주현(Kim, Ju-Hyun),정순둘(Chung, Soon-Dool)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의 정착에 따른 노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욕구에 기반을 둔 서비스(need based service) 제공의 원칙으로부터 인권에 기반을 둔 서비스(human rights based service) 제공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은 요양시설 인권실천의 최전방에 있는 주체로 이들의 인권옹호행동이 질 높은 서비스 전달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과정에서 환경요인인 조직의 효과는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기관은 2014년 7월 현재 등록된 전국 장기요양기관(정원 30인 이상) 3,983개소 중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법인이 운영하는 782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노인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수준에 해당하는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환경으로 조직수준의 서비스 지향성이 인권옹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인권의식(개인)과 인권환경(조직)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수준과 조직수준 효과 검증을 위해 분석방법은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수준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수준의 서비스 환경에 해당하는 서비스지향성(리더십/태도/인적자원관리/시스템)은 세부 요소에 따라 영향은 다르지만,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서비스 지향성구성요소 중 ‘인적자원관리’는 인권의식과 상호작용을 통해 인권옹호행동에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인권옹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과 조직 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노인장기요양기관 인권 증진을 위해 요양보호사와 장기요양보호기관에 어떤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As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policy takes root and with a gradual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the use of elderly care service has become a growing norm. More than ever, there exists an urgent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the building of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care service, from the prevalent practice of ‘need based service’ towar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based service’. A great focus is being shed on care-workers, at the front line of advocating human rights, as their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ur is seen as a key variable in providing high quality care service for eld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are-workers individual human rights awareness levels, and the influence of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 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 their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ur. The study inclu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regulatory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service orientation?) on an organizational level, human rights awareness (individual level) and the serv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The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782 registered non-profit corpor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2014. The findings of the thesis suggest that human rights awareness at individual level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r. The interaction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service orientations was also found to influence human rights advocacy on a significant level. Both human rights awareness at individual level and service orientations at organizational level were thus determined as key variable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care worker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 KCI등재

        구매기업의 공급기업관계지향성이 공급기업 통합활동과 운영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전자, 수송, 기계 산업을 중심으로

        김인희,김효진,허대식,민순홍 한국생산관리학회 2015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6 No.2

        구매기업과 공급기업의 전략적 통합 활동은 두 기업의 상호보완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경영성과의 개선을 도모하는 전략적협업 활동이다. 이와 같은 전략적 협업 활동은 구매기업과 공급기업의 성과에 모두 유익하다는 것이 선행연구에 의해서입증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공급기업과의 전략적 통합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구매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에 대해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학술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이 연구는 공급기업관계지향성을 구매기업의 전략적 지향성 중의하나로 제안하고, 이러한 지향성이 공급기업과의 전략적 통합 활동을 활성화시키며 나아가 구매기업은 물론 공급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킨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공급기업관계지향성은 최고경영층의 공급기업지향성, 내부구성원의 공급기업지식지향성과 장기거래지향성으로 구성되며, 이는 공급기업과의 전략적 통합 활동을 촉진시킨다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전략적 지향성은 공급기업과 구매기업의 성과를 모두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브라질, 독일, 스웨덴, 핀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이스라엘의 총 11개국의 전자, 기계, 수송산업에 속한 총 217개 제조기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구매기업의 공급기업 관계지향성은 공급기업 통합 활동과 공급기업의 운영성과 개선에 직접적으로 정(正)의 영향을 미치고, 공급기업 통합 활동의 매개효과를 통해 구매기업의 운영성과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uying firm's supplier relationship orientation (hereafter SRO) as a strategic orientation that precedes strategic supplier integration activities,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RO on the supplier’s and buyer’s oper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Basing on the theories of the resource based view of the firm,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SRO is a major cultural driver of the buyer’s strategic integration activities with its key suppliers. In turn, this study also posits that the buyer’s SRO could influence the suppliers’operational performance and its own performance improvement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Data from the High Performance Manufacturing Round 4, a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data represent 217 manufacturing firms in electronics, transportation, and machinery industries,collected from eleven countr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f the buyer's SRO on its integration activities with key suppliers. Moreover,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the buyer’s SRO improves directly the key supplier’s operational performance and its own performance indirectly via the mediating effect of supplier integration activities.

      • KCI등재

        환경불확실성과 시장지향성이 신상품 개발, 관계의 질 및 장기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은용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2

        최근의 외식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의 증가 속에서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프랜차이저와 프랜차이지의 장기지향성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하여 시장 지향성 활동을 통한 신상품 개발 활동과 관계의 질 구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Narver & Slater(1990)의 연구를 토대로 시장지향성 요인을 구성하였으며, 환경불확실성과 시장지향성이 신상품 개발, 관계의 질 및 장기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의 프랜차이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환경불확실성은 신상품개발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었으나, 시장지향성 요인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계의 질 요인은 프랜차이저의 시장지향성활동과 동시에 신상품 개발 요인으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장기지향성 요인은 신상품 개발과 관계의 질의 두 요인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 실증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은용ㆍ이수범(2008)의 연구와 같이 연구 범위의 한정성으로 인하여 신생프랜차이즈나 소규모 프랜차이즈 시스템으로의 확대 적용을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franchisors' market orientation o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orientation in the foodservice industry. In order to carry out empirical study, 199 survey questionnaries were collected in the Seoul and Kyonggi areafrom 5th July to 3rd September, 2009. AMOS 5.0 and SPSS Win 12.0 statistics package was utilized for analysis of path model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ed : First, environmental uncertainty had no effects on new product development, on the contrary,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influence o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also, on relationship quality which was influenced by new product development by the result of lagrnage multiplier test, Second, new product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quality had effects on long-term orientation. From this result, it is recommended for franchisor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o be equipped with the ability of market orient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in order to meet the franchisees' expectation about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orientation.

      • KCI등재

        판매 지향성(Sales Orientation)과 고객지향성(Customer Orientation)이 고객몰입, 고객과의 장기관계에 미치는 영향: 제약유통채널 중심으로

        홍금표 한국산업경영학회 2020 경영연구 Vol.35 No.4

        Pharmaceutical salesperson are in charge of exerting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a company in pharmaceutical industry. In particular, They build and develop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ccording to the marketing concept. Sales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ve been a major research issue for many years in research areas such as B2B, B2C and Relationship Market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ales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salespeople affect relationship commitment and long-term relationship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customer orientation and sales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relationship commitment and long term relationship. Finally, These results reaffirm the results of existing study related to this topic. 제약 유통채널에서 영업사원은 기업의 성과와 발전에 중대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영업사원 의 활동 결과인 영업성과는 기업의 성과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영업 사원은 고객의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키 기 위해 마케팅 컨셉에 따라 고객과의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형성, 유지, 발전 시켜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이바지한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제약 유통채널에서 영업사원의 행동 특성이 고객 몰입, 장기관계에 중대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약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현직 제약회사 영업사원 297명 의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선행 연구와 동일하게 고객 지향성(CO)은 관계몰입, 장기관계 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판매 지향성(SO)은 단기적 성과와 관계에 치중한다고 밝히고 있으나 판매 지향성(SO)도 장기관계에 정(+) 의 영향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SOCO는 고객과의 장기관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 변수인 제품 다양성은 판매 지향성과 관계몰입 간의 관계를 약화한다는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배경인 제약 유통채널에서 영업사원의 행동 특성인 판매 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이 관계 몰입과 장기관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써 영업 전략, 영업 관리 차원에서 이론적, 실무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