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슈퍼비전 유형이 음악치료 슈퍼바이지의 수용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이경숙(Lee, kyung-suk) 한국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는 슈퍼비전 유형인 호의도, 과업지향도, 대인민감도가 작업동맹을 매개로 음악치료 슈 퍼바이지의 수용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6개월 이내에 슈퍼비 전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 164명이다. 자료는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호의도, 과업지향도, 대인민감도의 세 가지 슈퍼비전 유형은 슈퍼바이지 수용 도 관계에서 작업동맹의 매개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효과는 나타 나지 않았다. 반면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직접효과와 매개효과가 다 유의미하였으며 작업동맹 의 매개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동맹은 슈퍼바이지 수용도와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슈퍼바이지의 수용도 측면에서는 작업동맹의 매개에 의해서만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호의도, 과업지향도, 대인민감도의 세 유형 의 각각을 비교할 때 호의도가 다른 유형보다 좀 더 높게 작업동맹을 형성하는 요인이었으나 각 유형별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세 가지 유형은 슈퍼바이저의 역량이라는 하 나의 틀 안에서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음악치료 슈퍼비전이 슈퍼바이지 만족도 차원에 머물지 않고 슈퍼바이지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작업동맹이 형성되어야 한 다는 것이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which aspects of the three elements(attractive, task oriented, interpersonal sensitive) in the supervisory style would influence the supervisees’ acceptance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nd it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64 music therapy students who had received supervision within the six months.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in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upervisory style(attractive, task oriented, interpersonal sensiti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ees’ satisfaction. but, accept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in the effects of supervisees’ acceptance and satisfaction. The difference in supervisory style(attractive, task oriented, interpersonal sensitive) was not significant. Thus, the three elements of supervisory style appeared to work together in the supervisor’s capacity. As a result, in order to increase the supervisees’ acceptance without staying satisfaction, a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자동화와 작업조직의 통합성

        노용진(Yongjin Nho)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3 産業關係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노사발전재단의 2012년 「일터혁신지수」 자료를 사용하여 자동화가 작업조직의 통합성과 직무 복잡성, 과업 다양성, 직무 자율성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가설들은 자동화의 숙련효과에 대한 대립적 관점들의 확장에 기초해 도출되었고 연구모형은 Bayo-Moriones et al.(2010)과 노용진(2012)의 연구모형들을 확대발전시켰다. 실증 분석 결과 자동화는 작업자 간 통합지수, 제안제도 참여 근로자 비율, 소집단개선활동 참여 근로자 비율, 자주보전 참여 근로자 비율 등의 작업조직의 통합성 변수들과 과업 다양성의 대리 변수인 다기능훈련 참여 근로자 비율 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동화가 직무 자율성에도 약하게나마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직무복잡성 지수와 숙련형성 기간 등의 직무복잡성 변수들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automation affects integration of work organization, job complexity, task variety, and job autonomy. The hypotheses are developed on the opposing perspectives on the skills effects of automation, and the statistical models are improved upon Bayo-Moriones et al(2010) and Nho(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utom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integration of work organization measured by integration indicator and the ratios of participants on suggestion plan, continuous improvement plan and self-maintenance. Automation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ation of participants on multi-skill training as a proxy variable for task variety, and has a weakly positive effect on job autonomy. On the other hand, automation has an in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complexity and skill development duration. Finally the empirical results are outlined and their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고성과 작업시스템 지각이 과업성과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욱(Jongwook Pak),손승연(Seung Yeon S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2

        최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연구를 살펴보면 인사시스템에 대한 개인의 지각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는 시도가 엿보인다. 한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연구가 개인 수준으로 하향화 추세를 보임에 따라 의미 있는 연구 방향성이 도출되는데 바로 개인의 특성과 고성과 작업시스템에 대한 지각 간의 상호작용이다. 몇몇 연구자들이 개인의 특성이 개인 수준 인사시스템과 성과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해왔지만, 이와 관련된 실증 연구는 국내외 문헌 모두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구성원 지각을 개념화하고 확립하는 한편 개인의 성격 특성인 핵심자기평가를 조절 변수로서 고려하였다. 총 162쌍의 개인 수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성과 작업시스템 지각은 과업 성과 및 창의성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이들 관계를 구성원의 핵심자기평가가 정적 혹은 부적으로 조절할 가능성을 모두 제시하는데,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체 가설인 부적 조절 효과가 지지되었다. 즉, 고성과 작업시스템 지각이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구성원이 높은 수준의 핵심자기평가를 나타낼 경우보다 낮을 때 더욱 관계가 강화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핵심 메시지는 핵심자기평가와 같은 긍정적 성격 특성을 보유한 구성원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같은 제도적 자극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내포하는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A salient research stream observed in the recent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literature is attempts to measure individual perception of HRM systems. We assess that the recent trend has paved a new avenue for further investigation; that is, examining the role of individual traits in systematically manipulating the HRM-performance relationship. Indeed, several studies have acknowledged that, drawing on social cognitive theories, an individual’s interpretive mechanism (e.g., schema, value, past experience, personality) should enhance or hinder perceived HRM systems translating into desirable outcomes. However, empirical examination on this theme is still rare in the literature. In response to such concern, we first establish individual-level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HPWS). Then, we consider how an individual’s core self-evalu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PWS and individual outcomes (i.e., task performance, creativity). The organizational behavior literature has accumulated that core self-evaluation is associated with positive attitudes and behavior of individuals, and a highly sought-after characteristic among employers. Our analyses with 162 dyadic data demonstrated that perceived HPWS is indeed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 outcomes.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f core self-evaluation on the perceived HPWS-performance relationship. That is, the HPWS-outcome link becomes strengthened when employees have a relatively low level of core self-evaluation. And individuals with a high core self-evaluation are less influenced by a perceived utilization of HPWS. Our major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is to provide that individuals who possess positive traits (i.e., self-efficacy, internal locus of control, emotional stability, self-esteem) are likely to be less affected or become de-motivated by policy intervention (i.e., HPWS) from outside. We discuss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nd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작업기억과 문제중심학습 과업

        박분주 현대문법학회 2020 현대문법연구 Vol.106 No.-

        Working memory is defined as the mechanisms or processes that allow humans to store information in the face of interference such as processing other information during sentenc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BL task performance with EFL university students. Forty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orking memory scores (higher and lower groups). Reading span test has been implemented for working memory task. PBL tasks consist of word, phrase, sentence, and explanation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WM capacit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BL task perform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of WM scores(storage and processing) and PBL task performance showed different tendency in WM high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s.

      • KCI등재

        신입회계비서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윤은원,최애경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5

        글로벌화 되고 급속히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전문분야로서 회계비서의 역할에 대한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신입회계비서에게는 고유의 업무를 잘 수행하고 조직에 적응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입회계비서가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요구를 조사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주요 과업과 핵심작업을 도출하였다. 서울 소재 회계 법인에서 근무하는 회계비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요 과업과 핵심작업에 대하여 신입회계비서가 업무를 수행하는 [현재 수준]과 향후 요구되는 [기대 수준]에 대한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대응표본 t-test와 Borich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회계비서의 대부분의 핵심작업에 대한 신입회계비서의 현재 수준은 기대 수준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신입회계비서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요구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교육의 형태 및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신입회계비서가 회사에 적응하고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육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교육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entry level accounting secretary so as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and reinforce his or her competenc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ed. First, what are the key duties and core-tasks of the accounting secretary? Second, what is the present level of the entry level accounting secretary to perform their core tasks? Third, what is the expected level of the entry level accounting secretary to perform their core tasks? Fourth, is there any gap between present and expected level? If the gap exists, what are the core-tasks requiring a training with priority?To address those research problems,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area of accounting secretary and training and designed the questionnaires. Paired t-test and Borich formula were used to asses training nee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re tasks for the entry level accounting secretary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of supporting superiors and their team, client management and formal document tasks, and communication. - There was a gap between the performance level of entry and experienced accounting secretaries. - The training needs for entry level accounting secretaries were identified from the highest priorities to the lowest educational need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for training.

      • KCI등재

        산출내역서.공정 통합관리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박홍태,박찬정,Park, Hong-Tae,Park, Chan-Jeong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 No.4

        Recently our government operate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EVMS) for improving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over specific scale. The EVMS is based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between construction cost and schedule. the existing systems, however, are focused on the cost management by using work quantity. This study suggests a work management model to integrate construction cost with activity information. The model introduces a work task concept as a tool that can connect construction rest to activity information. The suggested model in this study is verified by using actual data for the applicability to practical construction projects.

      •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의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요구되는 정보 유형에 관한 연구

        김나은(Naeun Kim),양민영(Min-young Yang),이지인(Jiin Lee),김진우(Jinwoo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In level 3 automated vehicles, drivers are expected to encounter transition of control when the system reaches its limit. Drivers need to refocus their attention on the road ahead and gain situational awareness. Appropriate information should be conveyed during this period in order to prevent human errors. In this paper, we defined the takeover process as ’in-the-middle-of-the-loop’ and conducted Task Analysis and Work Domain Analysis to find out information requirements. As a result, we specified required information types and interface considerations. Moreover,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to find how the information types affect drivers on situation awareness, cognitive load and reaction time. Consequently, we found different information on system transparency should be conveyed depending on the urgency of takeover situation and driver guidance could help drivers with better situation awareness after the takeo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