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 2 : 한국 한시의 특징과 전개 (1) ; 자연시(自然詩)의 의미(意味)와 한국(韓國)에서의 전개양상(展開樣相)

        남재철 ( Jae Cheol Nam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이 글은 자연시의 의미와 한국에서의 전개양상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우선 근대 이전에 사용되었던 田園詩, 山水詩, 田家詩 등의 개념에 대한 정리를 바탕으로 하여, 근대적 의미의 自然詩의 의미와 범주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였다. 武臣亂으로부터 시작되는 혼란한 정국 속에서 고려 자연시의 본격적인 출발이 시작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자연시인은 金克己와 李奎報이다. 김극기는 무신란의 혼란한 정국 속에서 초연히 세속을 떠나 초야를 떠돌며 은사로서의 삶을 영위하였다. 그는 많은 자연시를 남겼는데, 도연명 전원시의 전통을 계승한 한국 최초의 사실적 자연시인으로 평가된다. 비교적 순탄한 환로를 밟았던 이규보도 도연명의 영향을 받아 많은 자연시를 남겼지만, 그의 자연시에는 은연중 현실에 대해 동경하는 내용이 숨어 있다. 이 두 사람의 자연시를 통해 삶의 궤적에 따라 자연시의 성격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자연시는 사화와 당쟁의 와중 속에서 꽃을 피웠다. 조선 전·중기를 대표하는 자연시인으로는 전기의 宋純과 중기의 白光勳이다. 송순은 내외요직을 역임하다가 만년에 이르러 고향 담양으로 퇴거하여 면앙정을 중심으로 전원생활을 마음껏 즐긴 인물이다. 반면 백광훈은 연이은 사화의 정국을 피하고자 하여 산수 자연을 벗 삼았고, 잠시 벼슬길에 나아간 적도 있으나 마음만은 항상 전원에 두었던 분이다. 이러한 삶의 궤적에 따라 송순의 자연시에는 귀거래에 대한 열망이 떠들썩하지만, 백광훈의 자연시에는 떠들썩함이 전혀 없는 醇正한 것이 특징이다. 조선후기의 자연시는 대체로 당쟁과 외척세도의 정국 속에서 산출되었는데, 또한 당시에 대두되었던 寫實主義的 시작 경향과 동궤를 이루고 있다. 이 시기의 대표적 자연시인으로는 李書九와 丁若鏞을 꼽을 수 있다. 이 두 사람 역시도 삶의 궤적이 차이를 보였거니와, 이로 인해 자연시에 있어서도 일정한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서구의 자연시에는 전통적 의미의 자연시와 朝鮮風의 사실주의적 자연시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반면 정약용의 자연시는 조선풍의 사실주의적 자연시의 특징적 경향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그의 자연시에는 자연, 전가에서의 삶이 이서구의 그것에서보다 훨씬 더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자연시는 일종의 避接行爲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피접이란 다툼으로 인해 발생한 질병으로부터 요양을 떠나는 행위이다. 세상사의 다툼으로부터 완전히 관심을 떨쳐버리는 데에서 요양은 효과가 극대화된다. 우리 인류가 영원히 다툼의 현장에서 내려 올 수 없는 숙명적 존재라면 자연시는 영원히 지어질 수밖에 없다. 자연시란 근본적으로 자연에 대한 희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강한 불만을 바탕으로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연시가 끊임없이 창작되는 한, 그 성격이 어떠하든지, 우리 인류는 최소한의 건강성, 자연성을 유지하며 살 수 있을 터이다. This essay is to study on the meaning and progressive aspect in Korea of Nature Poetry.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the scope of nature poetry in the modern sense is prescribed specifically on the basis of organizing concept of Jeonwon poetry(田園詩), Sansu poetry(山水詩), Jeonga poetry(田家詩). Korean nature poetry has been made since the Rebellion of Martial Minister`s in 1170, Goryeo Dynasty. The representative poets in that ages are Kim, Geuk-Ki, Lee, Gyu-Bo. Nature poetry in Joseon Dynasty was flourished in the course of massacre of scholars and party strife. The representative poet is Song, Su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s Baek, Gwang-Hun in the later period. Most of nature poetry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were made through party strife and tranny of King`s maternal relatives. Famous poets are Lee, Seo-Gu and Jeong, Yak-Yong. Making a nature poetry has the same meaning as changing place for good health. Such poetry is not made to long for the nature, but to express strong disaffection for the world. In other words, one makes nature poetry to cure the hurt made in outside world. As long as nature poetry is made, (whichever character it has) we can keep ourselves health and natural.

      • KCI등재

        梅泉 黃玹 自然詩 硏究

        金晋郁(Kim jin-w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매천의 자연관이 그의 문학 작품 속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고찰하여, 매천 자연시의 특성을 추출하는 것이 본 논의의 목적이다. 나아가 근대문학의 주요 특성인 개별화가 매천의 자연시에서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으며, 리얼리즘의 토대가 되는 장소성이 작품에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밝힘으로써 매천의 자연시에 투영되어 있는 근대성이 매천 자연시의 주요한 특성이라는 것을 논의하였다. 매천 자연시는 조선조 사대부들의 보편적인 자연시와는 확연한 차이가 보인다. 먼저 매천 자연시에는 조선조 사대부의 자연시에서 항상 보이는 관념적 자연이 존재하지 않는다. 매천에게 자연은 항상 실경 그 자체였다. 매천의 자연시에는 修己가 보이지 않는다. 忠孝도 없고 五常도 없다. 매천의 자연시에는 사실적 자연이 존재한다. 또한 자연을 인간에 종속된 대상이 아니라 조화를 추구해야 하는 대상물로 인식하고 있다. 이것이 매천 자연시의 중요한 특성이다. 매천 자연시의 특성은 살펴본 바와 같이 소재의 변화와, 소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기초하여 그 특별함을 획득하였던 것이다. 매천의 자연시에는 또한 장소의 시화가 두드러진다. 특정 공간이 특정 장소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전통 한시에서 이러한 공간이 전혀 부재한 것은 아니다. 다만 그러한 공간은 금강산, 지리산 등 아주 특수한 공간에 한정되어 있으며, 작품 수 역시 제한되어 있다. 공간 자체가 장소성을 획득하고 그 장소 자체가 시적 소재가 되는 것은 도학적 자연관에서는 불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관념이 아니라 현실 속의 장소가 시적 소재가 되어야 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매천 자연시는 자연관의 변화, 즉, 도학적 자연관인 관념 속의 자연을 버리고, 자연을 수기의 대상이 아닌 함께 조화를 추구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자연시의 소재를 한정하지 않고 주위의 모든 자연물을 대상으로 詩化를 가능케 하였다. 특히 특정 공간을 공간이 아닌 장소의 개념으로 인식한 것이 그의 자연시의 주요한 특성이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to extract the nature of Maecheon Natural poetry, considering how the Natural Exhibition of Maecheon was portrayed in his works. Furthermore, in the nature of modern literature, the nature of modern literature is revealed in the nature of Maecheon, and the nature of realism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fortress is the predominant characteristic of Mother Nature in the nature of Maecheon s natural poetry. Maecheon Natural poetry is a stark contrast to the general nature of the nobility of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nature of nature does not exist in the natural surroundings of the Joseon Dynasty. Mother Nature was always a natural sight for Maecheon. The natural beauty of Maecheon does not show up. There is no filial piety and no dignity. Mother Nature naturally exists in Maecheon s natural poetry. It is also recognized as a subject for harmonizing harmony with nature rather than being subjected to human beings. Thi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Maecheon natural poetry. The nature of the nature of the Maecheon natural poetry was based on the change of material, and the change in the material, based on changes in material perception. In the nature of Maecheon s natural poetry, there is also a clear view of the poem. Certain areas are changing to certain places. This is not the absence of any space in the traditional poetry. However, such spaces are confined to very special places such as Mt. Geumgang and Mt. Jiri, and the number of works is limited. It is necessary for the space itself to acquire a venue and the venue itself is useless in the view of nature. There is no reason why there should be a reason why the place in the real world should be a poetic material. Maecheon natural poetry naturally sought natural surroundings, natural surroundings, and nature of nature, and sought harmony with nature rather than writing nature. This change of perception has made it possible to target all natural wonders of the natural surroundings without limiting the material of nature. In particular, it is the principal characteristic of his nature to recognize a particular space as a concept of a place rather than a space.

      • KCI등재후보

        梅泉 自然詩에 投映된 近代性 硏究

        김진욱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南道文化硏究 Vol.0 No.27

        본 논문은 매천의 자연시에 담겨 있는 근대성을 논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매천의 자연관을 살펴 볼 것이다. 나아가 매천시의 형식적 특성을 고찰하여, 형식의 굴절에 숨겨 있는 근대성을 논하고자 한다. 나아가 근대문학의 주요 특성인 개별화가 매천의 자연시에서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으며, 리얼리즘의 토대가 되는 현장 성이 작품에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밝힘으로써 매천의 자연시에 투영되어 있는 근대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매천의 자연관을 논하였다. 유가의 전통적 자연관인 도학적 자연관에서 벗어난, 자연을 인간과 수평관계에 서 인식하고자 하는 근대적 자연관을 매천의 작품에서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다. 또한 매천시의 형식적 특성을 고찰하여, 형식의 굴절에 숨겨 있는 근대성을 논하였다. 매천은 詩作에 있어 일탈 을 꺼려하는 규범적 詩作을 선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탈된 형식에 자연시가 많이 쓰였다는 주장을 하였 다. 이러한 형식의 굴절은 무의식 속에서 반영된 근대성의 결과라는 주장을 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 인식과 형식의 차원이 아니라 주제와 표현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근대문학의 주요 특성인 개별화가 매천의 자연시에서는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장소성을 가지고 논의하였다. 또한 리얼리즘의 토대가 되는 현 장성이 작품에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밝힘으로써 매천의 자연시에 투영되어 있는 근대성을 고찰하였다. 근대성이 투영된 한 편의 자연시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드러나 있으므로, 논의의 중복은 어쩔 수 없 었다. 인식을 이야기하면서 표현이 거론되기도 하였으며, 장소성과 현장성이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논의한 네 가지 요소가 매천의 자연시에는 수용되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매천의 자연시는 전통적 한시 장르의 자연시와 미묘한 미감의 차이를 보이고, 이것이 매천 자연 시의 특성이라고 주장하였다. The Nature Poetry of Maecheon uses a large number of aesthetic ideas about traditional Chinese nature poetry. These works have subtle differences. It has been researched as to whether the difference in the aesthetic sense was due to its being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u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at aesthetic modernity was projected at the time of the claim that it was nature Poetry of Maecheon. First, look at the view of nature of Maecheon.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in oil shows the dohak enemy out of the view of nature. The modern view of nature is to be aware of the nature of human relationships. One argument is that it is easy to read from the works of Maecheon. It also examine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of Maecheon. Modernity was discussed in the refractive hidden format. Maecheon favored a norm that was reluctant to deviate from how to write poetry and how to write this specific poem. Nevertheless, the city has used nature in a deviant form.. This type of refraction is a consequence of the claim that modernity is reflected in unconsciousness. Then the dimension of the format was not recognized and nor were the differences in theme and expression investigated. The main characteristic of individualization of modern literature is discussed. Gender has revealed that its place in poetry in nature Maecheon. Also investigated is the foundation of modern hyeonjangseong realism. It is projected while identifying the nature of Maecheon. Modernity, where nature is revealed during this project as a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is presented with no duplication. Recognition was also mentioned in this representation.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place of angido hyeonjangseong. Nevertheless, the four factors discussed above were accepted in Maecheon nature. For this reason the nature of the subtle aesthetic differences of Maecheon looks like traditional Chinese poetry and the nature poetry genre. This is a natural characteristic of the city of Maecheon. The Nature Poetry of Maecheon uses a large number of aesthetic ideas about traditional Chinese nature poetry. These works have subtle differences. It has been researched as to whether the difference in the aesthetic sense was due to its being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u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at aesthetic modernity was projected at the time of the claim that it was nature Poetry of Maecheon. First, look at the view of nature of Maecheon.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in oil shows the dohak enemy out of the view of nature. The modern view of nature is to be aware of the nature of human relationships. One argument is that it is easy to read from the works of Maecheon. It also examine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of Maecheon. Modernity was discussed in the refractive hidden format. Maecheon favored a norm that was reluctant to deviate from how to write poetry and how to write this specific poem. Nevertheless, the city has used nature in a deviant form.. This type of refraction is a consequence of the claim that modernity is reflected in unconsciousness. Then the dimension of the format was not recognized and nor were the differences in theme and expression investigated. The main characteristic of individualization of modern literature is discussed. Gender has revealed that its place in poetry in nature Maecheon. Also investigated is the foundation of modern hyeonjangseong realism. It is projected while identifying the nature of Maecheon. Modernity, where nature is revealed during this project as a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is presented with no duplication. Recognition was also mentioned in this representation.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place of angido hyeonjangseong. Nevertheless, the four factors discussed above were accepted in Maecheon nature. For this reason the nature of the subtle aesthetic differences of Maecheon looks like traditional Chinese poetry and the nature poetry genre. This is a natural characteristic of the city of Maecheon.

      • KCI등재

        얀 바그너의 시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 시집 「빗물통 변주곡」을 중심으로

        김형래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9 독일언어문학 Vol.0 No.83

        Die vorliegende Arbeit stellt zunächst den deutschen Lyriker Jan Wagner vor, über den noch nicht in Korea geforscht worden ist. 2015 und 2017 wurde der Hamburger Lyriker jeweils mit dem Preis der Leipziger Buchmesse und dem Georg-Büchner Preis geehrt. Seitdem ist er einerseits einer der erfolgreichsten und beliebtesten Dichter in Deutschland geworden. Andererseits gab es die Debatten um seine Gedichte, vor allem um seine Naturlyrik. Einige behaupten, dass seine Naturlyrik sehr konventionell, biedermeierisch, und reaktionär ist. Andere sind der Meinung, dass es in seiner Naturlyrik „um Erkenntnis, Entdeckung, ja Bereicherung und Vergrößerung der Welt” geht. Angesichts dieser Gegensätze analysiert die vorliegende Arbeit vor allem die Naturlyrik in seinem Gedichtband “Regentonnenvariationen”. Das Ergebnis der Analyse zeigt, dass seine Lyrik weniger konventionell als innovativ und originell ist. Denn man kann beobachten, dass die Form seiner Lyrik nicht selten regelwidrig und abnorm ist und die Natur in seiner Lyrik öfters mit Bedrohung, Mord, Verschwinden, und Sehnsucht usw. zu tun hat. Wie Michael Braun behauptet hat, kann man schließlich verstehen, wie ‚zarte Phänomene nie artistischer Selbstzweck bei Jan Wagner sind, sondern sehr oft zusammen mit dem brutalen Faktizitäten einer mörderischen Lebenswirklichkeit prallen’. 본고는 아직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독일 시인 얀 바그너를 소개한다. 바그너는 2015 년과 2017년 각각 라이프치히 도서 상과 게오르크 뷔히너 상을 수상하였고, 그 이후독일 평단과 국민으로부터 많은 사랑과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그의시는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주로 자연을 소재로 한 시를 많이 발표했는데, 이러한그의 자연시가 관습적이고 비더마이어적이며 반동적이라는 주장과 새롭고 독창적이라는주장이 서로 대립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바그너의 시집 중에 라이프치히 도서 상 수상시집인 빗물통 변주곡을 중심으로 그의 자연시의 특징들을 분석한다. 본고의 분석에 의하면 결론적으로 바그너의 자연시를 일방적으로 폄훼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그의 자연시는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다. 우리는 그의 자연시가 단순히 관습적이거나 반동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전통에 기반하여 새로운 것을 창안해 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의 자연시는 자연을 무조건 칭송하거나 목가적 안빈낙도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위협이나 죽음, 혹은 소멸과 관련하여 해석하거나 자연에 대한 동경과 인간과의 합일 등 다양한 관점에서 자연에 접근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바그너는 자연과의 치열한 대결을 벌이고 있는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자연시는 그 치열함의 결과이지, 그것을 일방적으로관습적 자연시라고 규정하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고 있다.

      • KCI등재

        『청록집』에 나타난 ‘자연’과 정전화 과정 연구

        김진희(Kim Jin-hee)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청록파는 한국시문학사에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서정을 구현한 주요한 유파로 평가되어 왔으며,『청록집』역시 자연시의 '정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평가는 청록파가 1930년대의 순수문학을 계승하여 한국시의 '순수서정'을 심화, 발전시켰다는 문학사적 평가의 적극적 계승에 의해 지속되었는데, 이는 중심 문단의 문학적 권위와 미학이 문학사적 평가의 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문학사에서 정전으로 인식되어 온 청록파의 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한국근대시사에서 자연시 장르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 있다. 청록파와 전통 자연을 관련시켜 최초로 문학사적 평가를 내린 김동리의 해석이 지속적으로 문학사의 권위로 작용하면서 후대 연구자들의 평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런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청록파가 전통과 관련되고, 당대의 자연시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면서 자신들의 독자적인 미학을 갖는지 설명하고 있다. 문학적으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사유란 시에 자연을 중심에 두는 것이다. 그런데 청록파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면 시적 자아인 '나'의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그들은 자연 그 자체의 본질을 통해 인간과 관련된 생에 대한 윤리나 삶의 가치를 드러내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정서를 투영하기 위한 대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청록파 시인들을 추천한 정지용은 '신'(新)이라는 수식어를 통해 이들의 미학이 기존의 미학과는 다르다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이들의 자연을 전통과 관련시키면서 민족, 향토 등을 환기시키는 것은 정치적, 이념적으로 관념화된 해석과 평가를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한편 생명의 공간으로 비유되는 자연이 현실이 배제된 초역사, 초현실의 탈역사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은 한국 자연시 장르 전반의 탈역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자연 공간과 여성성이 관습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여성성을 탈역사화, 탈정치화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여성' 공간을 외세와 근대, 남성의 수탈 공간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때문에 1950년대 이후 시문학사에서 서정-자연시는 역사나 현실사회의 변화와는 유리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반드시 '순수'의 이름으로 정치, 사회적 현실과는 유리된, 내면화되고, 여성화된 미학적 표현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런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토대로 자연과 청록파를 재고할 때 그들의 시는 근대서정시의 리리시즘과 애상성, 그리고 환상성과 여성적인 자연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특성은 정지용이 지적한 바, 신(新)자연으로 시문학사에서 '자연'의 전통을 창조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chool of Chenglok has been evaluated as a principal school which realized the traditional lyricism on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and Chenglokcip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the canon of nature poems. This assessment was made possible by the positive success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that the school of Chenglok inherited the 'pure literature' of the 1930s and deepened and developed the 'pure lyricism' of the Korean poetry. This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literary authority and aesthetics of the central literary world were crucial for historical evaluation of literary schools. The study of this paper examin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nature poems and their literary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while critically re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Chenglok school which has been canon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is light, a critical investigation is made into Donglee Kim's interpretation which initially defined the Chenglok school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nature, and which in turn continuously serves as such an authority for the literary history that influences on the later researchers' evaluations. Based on this critical understanding, an account is presented as to how the Chenglok school could hold its own unique aesthetics while having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nature poems in one way or another. In terms of literature, thoughts on the nature is traditionally defined as putting the nature in the center of poem. However, the works by the Chenglok school reflect the sentiment of the poetic ego, 'I.' Rather than revealing the ethics or values of human life via the essence of the nature itself, they exploit the nature as an object on which the poet himself can reflect his feelings. In this sense, they can be called modernistic. Jiyong Jung, who recommended the Chenglok poets, emphasized that their aesthetic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using a modifier, 'new.' Albeit that, their reminding of the nation and native land by virtue of associating the nature with tradition is uncritical inheritance of the politically, ideologically ideate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poems influence on the de-historicization of the Korean nature poetry in general in that the nature, which is likened to the space of life, is reminiscent of de-historicization, i.e. sur-historicism and surrealism to the exclus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space of nature, which is isolated from reality, and femininity are conventionally connected to the extent that it made femininity de-historicized and de-politicized, not only did it justify the space of 'nature-woman' as the space to plunder for outside power, modernism, and manhood. Therefore, the lyric nature poetry has been viewed as alienated from history and reality since 1950s in the history of poetic literature. It came to hav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and feminized aesthetic expression which, necessarily in the name of 'purity,' is removed from political, social reality. Based on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se discussions,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Chenglok school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ir poems show the aesthetics which includes the lyricism and lamentation of modern lyric poems, fantasy, and yearning for the feminine nature. This characteristic, as Jiyong Jung pointed out, can be evaluated as having established a tradition of 'nature' as new nature, in the history of poetry.

      • 中國古典自然詩的創作因素考察

        裵 다니엘 남서울대학교 2004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0 No.-

        본 논문은 중국 고전 자연시의 몇 가지 창작요소를 고찰해본 연구이다. 전통적으로 중국의 시가이론 중에서 언급된 '자연'의 함의는 시대에 따라 다르고 사람에 따라 달리 정의되어왔으며 여러 심층적인 의미를 갖고 있었다. 본래 자연철학범주에서 이야기하는 의미 이외에 문학비평이나 시가 창작에서 이야기하는 개념도 매우 복잡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류협을 위시한 魏晋代人은 文采를 중시하였기에 화려하되 조탁의 흔적을 찾을 수 없는 자연을 추종했고 李白의 자연은 天眞하고 낭만적이면서도 진솔한 자연이요 司空圖의 자연은 空活하고 起邁한 풍격의 자연이었다. 宋代에 와서는 질박하고 평담하게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경지를 보였고 蘇軾에 와서는 호방하고 웅장한 자유의 개념이 더욱 추가되게 된다. 明淸代 性靈派의 個性과 眞의 추구는 참된 자아와 해탈을 희망하는 자연의 개념을 강조한 것이었다. 이렇듯이 '자연' 개념은 시대에 따라 철학관념과 문학이론, 사회개념 등의 끊임 없는 보충을 받으면서 창작론, 풍격론, 감평론, 비평론 등에 걸쳐 부단히 인식의 발전을 이루어 온 중요한 개념이라 할 것이다. 정경묘사 못지 않게 그 속에 담긴 의식이야말로 산수에 의미를 부여하고 심미가치를 드높여주는 요인으로, 사상적요인의 고찰을 위해 본문에시는 儒·道·佛家사상과 자연시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각 사상과 결합된 자연시들은 단순한 산수묘사 이상의 정신적이고 형식적인 가치를 담고 있다. 儒家사상은 山水-人生-人格을 연결하는 정신적 계도로 산수시의 陽剛的인 창작풍격 형성에 일조하였고, 道家사상은 산수 속에서의 소요와 현학의 배태, 현언시와 유선시의 창작을 통해 산수시의 흥기를 가능하게 했던 가장 큰 요인이었다. 道家는 山水-道-仙境을 연결짓는 심미적 구도와 인간 천성의 순박함을 유지하며 사람의 자연스러운 천성과 자연계의 천연적 존재를 합일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佛家사상은 산수 중에서 시인이 담백한 기운을 느낄 수 있으며 맑고 명랑한 정신세계를 閑雅하면서도 함축적인 필법으로 그려내게끔 해 준 가장 큰 요인이 되니, 山水-涅槃-佛土의 현상과 정신을 인식시키면서 산수자체에 대한 심미의식의 발견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자연시는 시인이 자연을 바라보고 느낀 미감을 순수하게 표현해내기 시작한 데에서부터 자연 속에서의 자아의 발견과 해탈의 도모, 자연 속에서 자유의 추구 등의 인식과 욕구를 따라 작품으로 창작되어진 결과이다. 시인들은 자연을 탐구의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안식과 위안을 얻을 수 있는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하였고 자연을 위대함이나 경외감을 지닌 상대적 존재로 보기보다는 시인자신이 몰입하여 융화할 수 있는 일체감을 지닌 존재로 보고 그러한 감정을 서사하게 된다. 이러한 창작심리는 자연의 형상묘사 보다는 자연 속에 투영된 시인의 감성을 그리도록 귀결되는 것이고 결국 이로 인해 자연시의 창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요컨대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연에서 인간이 표현해 낸 미감은 결국 자연자체의 정경, 그 사람의 현재 처지, 심리적 상태, 시기적 배경 등이 한데 어루러진 복합적인 감정의 결정체이며 여기에 다른 제반 요인들, 즉 지리적 배경이나 종교적 신앙, 각종 사상 등도 미감의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청록집』에 나타난 ‘자연’과 정전화 과정 연구

        김진희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The school of Chenglok has been evaluated as a principal school which realized the traditional lyricism on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and Chenglokcip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the canon of nature poems. This assessment was made possible by the positive success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that the school of Chenglok inherited the 'pure literature' of the 1930s and deepened and developed the 'pure lyricism' of the Korean poetry. This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literary authority and aesthetics of the central literary world were crucial for historical evaluation of literary schools. The study of this paper examin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nature poems and their literary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while critically re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Chenglok school which has been canon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is light, a critical investigation is made into Donglee Kim's interpretation which initially defined the Chenglok school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nature, and which in turn continuously serves as such an authority for the literary history that influences on the later researchers' evaluations. Based on this critical understanding, an account is presented as to how the Chenglok school could hold its own unique aesthetics while having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nature poems in one way or another. In terms of literature, thoughts on the nature is traditionally defined as putting the nature in the center of poem. However, the works by the Chenglok school reflect the sentiment of the poetic ego, 'I.' Rather than revealing the ethics or values of human life via the essence of the nature itself, they exploit the nature as an object on which the poet himself can reflect his feelings. In this sense, they can be called modernistic. Jiyong Jung, who recommended the Chenglok poets, emphasized that their aesthetic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using a modifier, 'new.' Albeit that, their reminding of the nation and native land by virtue of associating the nature with tradition is uncritical inheritance of the politically, ideologically ideate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poems influence on the de-historicization of the Korean nature poetry in general in that the nature, which is likened to the space of life, is reminiscent of de-historicization, i.e. sur-historicism and surrealism to the exclus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space of nature, which is isolated from reality, and femininity are conventionally connected to the extent that it made femininity de-historicized and de-politicized, not only did it justify the space of 'nature-woman' as the space to plunder for outside power, modernism, and manhood. Therefore, the lyric nature poetry has been viewed as alienated from history and reality since 1950s in the history of poetic literature. It came to hav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and feminized aesthetic expression which, necessarily in the name of 'purity,' is removed from political, social reality. Based on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se discussions,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Chenglok school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ir poems show the aesthetics which includes the lyricism and lamentation of modern lyric poems, fantasy, and yearning for the feminine nature. This characteristic, as Jiyong Jung pointed out, can be evaluated as having established a tradition of 'nature' as new nature, in the history of poetry. 청록파는 한국시문학사에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서정을 구현한 주요한 유파로 평가되어 왔으며, 『청록집』 역시 자연시의 ‘정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평가는 청록파가 1930년대의 순수문학을 계승하여 한국시의 ‘순수서정’을 심화, 발전시켰다는 문학사적 평가의 적극적 계승에 의해 지속되었는데, 이는 중심 문단의 문학적 권위와 미학이 문학사적 평가의 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문학사에서 정전으로 인식되어 온 청록파의 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한국근대시사에서 자연시 장르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 있다. 청록파와 전통 자연을 관련시켜 최초로 문학사적 평가를 내린 김동리의 해석이 지속적으로 문학사의 권위로 작용하면서 후대 연구자들의 평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런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청록파가 전통과 관련되고, 당대의 자연시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면서 자신들의 독자적인 미학을 갖는지 설명하고 있다. 문학적으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사유란 시에 자연을 중심에 두는 것이다. 그런데 청록파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면 시적 자아인 ‘나’의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그들은 자연 그 자체의 본질을 통해 인간과 관련된 생에 대한 윤리나 삶의 가치를 드러내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정서를 투영하기 위한 대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청록파 시인들을 추천한 정지용은 ‘신’(新)이라는 수식어를 통해 이들의 미학이 기존의 미학과는 다르다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이들의 자연을 전통과 관련시키면서 민족, 향토 등을 환기시키는 것은 정치적, 이념적으로 관념화된 해석과 평가를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한편 생명의 공간으로 비유되는 자연이 현실이 배제된 초역사, 초현실의 탈역사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은 한국 자연시 장르 전반의 탈역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자연 공간과 여성성이 관습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여성성을 탈역사화, 탈정치화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여성’ 공간을 외세와 근대, 남성의 수탈 공간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때문에 1950년대 이후 시문학사에서 서정-자연시는 역사나 현실사회의 변화와는 유리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반드시 ‘순수’의 이름으로 정치, 사회적 현실과는 유리된, 내면화되고, 여성화된 미학적 표현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런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토대로 자연과 청록파를 재고할 때 그들의 시는 근대서정시의 리리시즘과 애상성, 그리고 환상성과 여성적인 자연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특성은 정지용이 지적한 바, 신(新)자연으로 시문학사에서 ‘자연’의 전통을 창조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盧仝 시가에 나타난 자연묘사 양상

        배 다니엘(Bae, Danie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2

        본 논문은 韓孟詩派 시인들 중에서도 색다른 자연미감을 발휘하여 이른바 '同中有異'의 특색을 표출한 中國 中唐代의 시인 盧仝(795-835)의 자연시에 대한 연구이다. 盧仝은 中唐 韓孟詩派의 중요한 일원이었다. 그는 학문을 관직에서 펼칠 기회가 없이 한거하면서 가난과 병을 몸에 지니고 살았으나 자연 속에서 자신의 고통과 괴로움을 초월하는 정신세계를 찾았고 자신이 발견한 경지를 독특한 묘사를 통해 서술한 시인이었다. 盧仝은 당시 韓孟詩派가 공통적으로 추구했던 기험한 표현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盧仝體'라는 별칭이 말해주듯 개성적인 시가 창작수법을 지닌 시인이었다. 특이한 내용과 기묘한 표현을 발휘하여 독자로 하여금 난해한 저항을 느끼게 하거나 냉소적이고 骨氣어린 인식으로 서정을 직서하며 의기를 표출하기도 했으며 '以文爲詩'의 방식으로 산문과 시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雜言형식의 시가를 창작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 중에는 일상생활 중의 감정과 개성적인 성격을 표출한 시가가 많은데 그러한 시가의 일각에는 자연을 담아 묘사한 작품들도 상당 수 있으니 이는 재야에서 布衣로 지냈던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다. 자연을 묘사함에 있어 험괴한 소재와 기특한 표현으로 독특한 풍격을 창출하였고 각종 자연물에 작가의 마음을 담아 의인화하거나 자연과 교감하는 모습을 표현하기도 하였으며 자연의 모습을 서술하면서 해학적 이미지를 담기도 하였다. 盧仝이 자연을 묘사했던 여러 시가를 보면 괴이한 자연물의 형상화를 통한 제재의 특화, 의인화 수법을 통한 자연과의 교감시도, 자연물을 통한 해학적 표현의 구현 등의 특징이 발견되는바 시인 본고를 통해 盧仝의 작품을 살펴보고 中唐代 韓孟一派 자연시에 대해 더욱 세밀한 연구의 기틀을 세울 것을 기대해 보는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tudy on the aspects of the Lu-Tong (795-835)'s landscape poetry. Lu-Tong was one of important poets in the Hanmeng poetry school in mid-Tang dynasty. During the mid-Tang dynasty, the aesthetic theme tradition of landscape poetry were innovated by Yao-He and Jia-Dao and their epigone like Lu-Tong. The features of Lu-Tong's Landscape poetry has four characteristics: oddness, looseness, clumsiness and slanginess, and which was in basically inherited the landscape poetry in high-Tang Dynasty, but the aspects of the Lu-Tong's Landscape poetry was developed some different direction. I can be summariz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his poem as that: The first, Lu-Tong's landscape poetry basically seek the special subject of nature, and pursuit more particular and odd description. We can say Lu-Tong is the member of the Hanmeng poetry school, but he has his own peculiarities. His landscape poetry is compatible with Han-Yu's poetry in seeking oddness. The second, In basically, Lu-Tong has sweethearted mind to the nature, so in his poetry he concentrated rich emotion by using his passion to the nature and communion with the nature. To descript this emotion, he often used impersonated expressions in his landscape poetry which can increase sense of intimacy. This expressions can be offered his landscape poetry have more distinct aspect with any other poets. The third, in the way of expression, Lu-Tong pursued certain fun of humor to laugh at earth affairs. The fun of humor of his writing is embodied in the four aspects of talking about negation with affirmation, employing oneself to indicating others, talking dramas as poems, and writing about adversity with pleasantry.

      • KCI등재
      • KCI등재

        어문학부(語文學部) : 잠삼(岑參) 자연시의 묘사기법 고찰

        배다니엘 한국중국학회 2015 中國學報 Vol.74 No.-

        岑參(715-770)是盛唐之一位重要邊塞詩派詩人. 岑參有長期的邊塞生活經歷, 因而創作出了成熟風格的邊塞詩, 詩中也描繪了諸多奇異瓊麗的邊塞風光. 但實際上觀看他的詩歌, 其中描繪山水景物的優秀之作也占有着重大部分, 以其篇數來看多于盛唐山水田園詩派詩人祖영、丘爲、裴迪、盧象等人. 本篇論文着眼于上記的內容, 在主要三個方向下分析了岑參自然詩的特點和意義. 第一, 岑參通過自然追求意識創出了含有閑雅意境和隱逸抒情的自然詩. 岑參早期的詩歌, 多寫景之筆, 且有不少詩, 以描摹山水風景爲主要內容. 有許多贈答、送別、寫景之作, 表現對隱居生活的留戀和自己的自然追求意識. 第二, 岑參以絶妙構思和意境創出了新鮮奇妙的情景描寫. 岑參理想尙奇的性格氣質, 造成其詩歌藝術表現的理想化、奇創化傾向, 而其主要傾向以他的獨特絶妙構思和意境爲創出的. 第三, 岑參自然詩的最大特徵是種種發揮秀麗淸新的修辭技巧. 岑參的詩無論是邊塞詩無論是自然詩, 他的詩中有時發揮的流麗工巧的修辭技巧能附與新鮮活潑而生氣勃發的氣韻, 也正體現了對開天詩壇昻揚高朗的主體情調的奇幻般的推擴與發展. 能爲豊富盛唐自然詩的語言和風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