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자생식물의 가로변 미화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구무년,조정미,김용원 계명문화대학 1999 琵瑟論集 Vol.10 No.-

        한국 자생식물 중 가로변 미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몇 가지 자생식물의 이용현황을 조사하였고, 기존의 연구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 가능식물에 대하여 이용 목적에 부합되도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구 지역의 가로변 미화용 초본식물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5종이었고 그 중 자생식물은 16종(44.6%) 이었다. 대구시내 중심지역의 가로변 일수록 도입 원예종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자생식물의 종류별 이용현황은 표 2)에서와 같이 전체 16종 중 맥문동이 9개 지역으로 가장 많이 가로변 미화에 이용되고 있는 자생식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원추리, 붓꽃, 비비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자생식물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국내의 자생식물 이용현황을 전시회에 출품된 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표3, 4)와 같다. 자생식물 중 분화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은 143종 이었고, 화단용으로는 78종 이었으며, 분경 및 목부작으로는 28종, 캔재배용으로는 6종이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구지역에서 분화 이용현황은 전체 42종이었고, 그 중 봄에 꽃피는 종류가 28종(64.2%), 여름에 꽃피는 종류가 11종(26.7%), 가을꽃은 3%에 불과하였다. 우리 나라 자생식물이 가로변 미화식물로 이용되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은 자생식물에 대한 개화시기와 생육환경, 토양조건 등의 재배방법에 대한 지표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가능성이 있다고 예상되는 자생식물 500종에 대한 특성을 조사 정리한 결과는 표5)에서 보는 바와 같다. 최근 자생식물중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덩굴성 식물의 입면녹화용 자생식물의 특성은 표6)과 같다. 덩굴식물은 앞으로 농가소득증대 작물로 기대되는 자생식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길과를 바탕으로 적용사례별 개발가능 식물은 사진 7, 8, 9, 10에서 보는 바와 같다. 우리 나라 특성 식물 중 이용가치가 높은 식물이 많기 때문에 부록에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목록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생식물의 국내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 활용 실태 분석

        정유경,김윤진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9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0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distribution of native plants in flower market and uses of native plants in floral decora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native plants sold in flower market(2017.01-2017.12) and their monthly sale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native plants, frequency of native plants classified by form and color of native plants used for floral decoration in flower magazines ‘Fleur’ and ‘The Flower’. Among 172 species distributed cut-flower, native plants in Korea flower market are only 24 species(14.0%). Number of filler flower(15 species) is more than other forms. Native plants used in ‘Fleur’ and ‘The Flower’ were 14 species(10.2%) and 17 species(9.6%), it is meaning that native plants were less used than foreign plants. The number of filler flower was the highest in both magazines, but form flower(299 works) in 'Fleur' and mass flower(571 works) in 'The Flower' are used most frequently. According to color analysis of native plants used for floral decoration, P(purple), PB(navy) and RP(reddish purple) were 57% of the total. It can be increased native plants uses in flower decoration with developing form and mass flower considering color preference. 본 연구는 자생식물의 화훼시장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에서의 활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훼시장(2017.01-2017.12)에 판매되는 자생식물 및 월별 판매 현황을 조사했다. 또한,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수록된 작품의 자생식물 사용 현황, 형태별 분류에 따른활용 빈도, 색채 분석을 수행했다. 화훼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절화 172 종 가운데 자생식물은 24종(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별로는 필러 플라워가 15종으로 다른 형태에 비해 많은 수가 유통되고 있었다.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사용된 자생식물은 각각 14종(10.2%)과 17종(9.6%)으로 외래식물에 비해 자생식물의 쓰임이 적음을알 수 있었다. 형태별로는 두 잡지 모두 필러 플라워의 수가 가장 많았으나 ‘Fleur’에서는 폼 플라워(299작품), ‘The Flower’에서는 매스 플라워(571작품)가 많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화훼 장식에 사용된 자생식물의 색채 분석 결과 P(보라), PB(남색), RP(자주) 계열이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용도가 높은 형태인 폼·매스 플라워와 사람들의 선호가높은 색상의 자생식물을 개발한다면 선호 및 소비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보인다.

      • SCOPUSKCI등재

        Allelochemicals 함유 식물의 항균 효과

        이호준,김용옥 한국생태학회 1999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2 No.1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을 대상으로 allelochemicals를 분석하고 그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 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생식물인 까마중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90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생식물의 에탄을 추출액에 의한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의 항균력은 까마중에서만 나타났으며 clear zone이 18 mm였고 포자형성은 억제되었다. 귀화식물 중 돼지풀과 망초에서 포자형성이 억제되면서 clear zone이 24 mm와 22 mm로 형성되었고 미국자리공과 원추천인국은 포자가 형성되면서 clear zone이 22 mm와 19 mm로 나타났다. 자생식물인 까마중과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과 돼지풀에서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와 Bacillus sphiaericus 2291,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와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돼지풀이 각 균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에서 clear zone이 32 mm로 활성이 강하게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추출액내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높을수록 항균 활성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자생식물인 까마중과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과 돼지풀의 추출액을 HPLC로 성분분석한 결과 까마중은 hydroquinone외 3종이, 미국자리공은 cinnamic acid외 5종이, 돼지풀은 benzoic acid외 7종이 분석되었다. Phenolic compound 각각에 대한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에 대한 항균력은 coumaric acid와 benzoic acid에서 조사되었다. Korean native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were analyzed for allelochemicals, and their antimicrobial effects were studied. The difference in soluble solid contents between Korean native plants and naturalized species was not significant, and the Korean native plant, Solanum nigrum showed the highest soluble solid content of 90 mg/ml. The ethanol extract of the Korean native plant, Solanum nigrum showed antifungal activity to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 with a clear zone of 18 mm, and spore formation was not observed from the treatment. The naturalized plant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Erigeron canadensis showed inhibition of spore formation and the clear zones were at 24 mm and 22 mm, respectively. The clear zones of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 treated with ethanol extrats of Phytolacca americana and Rudbeckia bicolor were 22 mm and 19 mm, respectively, and spore formation was observed from the treatment. The Korean native plant, Solanum nigrum and naturalized plants, Phytolacca american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phiaericus 2362, and Bacillus sphiaericus 2297,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and Bai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howed the largest clear zone of 32 mm against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In general, the more soluble the solid contents of the extracts, the greater were the antifunga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phenolic compounds from the Korean native plant, Solanum nigrum and the naturalized species, Phytolacca american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ree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hydroquinone were identified in Solanum nigrum. In contrast, five and seven 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Phytolacca american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respectively.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spergillus phoenicis KCTC 1228 was found to be due to the coumaric and benzoic compounds.

      • SCOPUSKCI등재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김용옥,이은주,이호준,Kim, Yong-Ok,Lee, Eun-Ju,Lee, Ho-Joon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5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서식지 토양 pH를 측정한 결과 자생식물의 토양 pH범위는 5.33∼7.20인 반면 귀화식물의 토양 pH는 3.95∼6.10으로 자생종에 비하여 귀화종의 토양 pH가 낮았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에탄올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 Actinomycetes에 미치는 항균활성 은 자생식물보다 귀화식물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돼지풀의 추출액은 4개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특히 방선균에서 clear zone 이 48mm로 가장 크게 형성되었다. 8종류의 phenolic compound와 benzoic acid의 항균활성은 caffeic acid가 각 균주 에서 clear zone을 가장 크게 형성하였고 다음은 benzoic acid, ρ-coumaric acid의 순이였다. 즉 방선균에 대한 돼지풀의 항균활성은 phenolic compound들 간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soil pH favored by several native plants in Korea ranges 5.33∼7.20, while a more acidic range of pH 3.95∼6.10 is acceptable to exotic plants. Ethanol extracts of native and exotic plan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phiaericus 2362,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and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 and Actinomycetes.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from the extract of exotic plants than those of native plants. The ethanol extract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was observed to have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4 species of soil microbes. Especially, antimicrobial activity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howed the largest clear zone of 48mm in Actinomycetes. Larger clear zone was formed in the order of caffeic acid, benzoic acid and ρ -coumaric acid among the nine chemical compounds. Accordingl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gainst Actinomycetes was found to be due to the synergetic effect of chemical compounds.

      • KCI등재

        자생식물의 가치 이해와 전시효과 향상을 위한 국립수목원 자생국화 전시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이정희(Chunghee Lee),최우경(Wookyung Choi),송유진(YuJin Song),남춘희(ChunHee Nam),김영재(YoungJae Kim),맹희주(Hee-Ju Mae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環境 敎育 Vol.28 No.3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자생국화 전시회의 개선 방향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전시회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생국화과 식물에 대한 인지도가 관람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시회가 자생국화 인지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국화전시회관람을 통한 자생국화와 재배품종에 대한 교육적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재배품종을 만드는 과정에 대한 이해 측면의 교육적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반면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화전시회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았으며, 정원 디자인에 대한 흥미와 자생국화와 자생국화 재배품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물의 관리방법’, ‘식물의 기능과 특성’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어 하는 교육 요구도와 교과서나 책에 나오는 식물’의 식재 요구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현 전시 장소에서 1년에 1~2회 정도 개최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생식물의 이해와 보전 가치의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자생식물 전시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할 필요가 있으며, 휴식과 교육의 장의 함께 공존할 수 있도록 전시기법과 교육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s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n the native chrysanthemum exhibition of Korea National Arboretum by investigating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n exhibition program of visitor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analyzed that the awareness of the native pl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viewing the exhibition so that the native chrysanthemum exhibition is effective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native chrysanthemum. Second, although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the native chrysanthemum and cultivation species was generally positiv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process understand to breed the cultivation species was the lowest, whereas it was found that courses requirements of experience activities programs was high. Third, it has shown that overall satisfaction of the native chrysanthemum exhibition was high, interest in the garden design as well as attention to the native chrysanthemum cultivation species was high. Forth,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requirements about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plants’, the ‘managing method of plants’ and planting requirements about the ‘documented the plants in the textbook or book’ was high. Fifth, the visitor wish to be hosted in this exhibition place once or twice every year.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to stage continuously the native plants exhibition of various species to spread the awareness of preservation value and understanding of the native plants, also the strategic management and organization of exhibition techniques and education program to coexist with the space of education and relaxation were required.

      • KCI등재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을 위한 지표의 중요도·우선순위

        성정원 ( Jung-won Sung ),신현탁 ( Hyun-tak Shin ),유승봉 ( Seung-bong Yu ),박석곤 ( Seok-go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3

        생태복원은 생태계의 건강성과 지속성에 있어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인식되어 있으나 식물종 선정에 관한 환경, 생리·생태요인, 복원목표 설정 등 종합이고 객관적인 기준점이 없어 실행에 옮기는데 애로사항이 있다. 이에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종합하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생태복원용 식물종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생태복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38부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복원 대상지를 내륙과 도서 지역으로 나눠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했다. 중요도 분석 결과, ‘자생식물’이라는 평가지표가 내륙과 도서 지역에서 모두 평균 4.9로 가장 높았다. 다음 ‘종자확보’, ‘증식’, 활착률’ 순으로 높았다. 내륙의 지표 우선순위는 ‘자생식물’, ‘출현빈도’, ‘활착율’, ‘분포범위’, ‘종자확보’로 도서 지역은 ‘자생식물’, ‘활착율’, ‘출현빈도’, ‘분포범위’, ‘내성’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내륙의 중요도 평균값은 4.1, 우선순위 2.9로 도서지역은 중요도 평균값은 4.2, 우선순위 2.9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자생식물’이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종자확보’, ‘활착율’, ‘지형’, ‘증식’, ‘내성’, ‘토양조건’, ‘생육특성’, ‘천이초기’, ‘분포범위’, ‘출현빈도’, ‘발아율’이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낮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가장 낮은 지표는 ‘천이 최종단계’, ‘천이장기’, ‘천이중기’, ‘뿌리’, ‘번식’, ‘토양’, ‘성상’, ‘기술’, ‘경관’, ‘기후’, ‘발아율’로 구분되었다. 이에, 생태복원용 식물종 선정을 위해 객관적 검증을 통한 생태복원용 자생식물 종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로 복원사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Ecological restoration is considered a good means to prevent biodiversity loss in terms of the ecosystem’s health and sustainability.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putting it into practice as there is no comprehensive and objective standard for the selection of plant species, such as environmental, ecological factors, and restoration goal setting.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evaluation index necessary for selecting plant species for restoration using the Delphi method that synthesizes the opinions of the expert group. A survey with 38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wice for experts in ecological restoration, etc., an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restoration targets into inland and island regions.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analysis showed that “native plants” had the highest average of 4.9 among the evaluation indices in both inland and island regions, followed by “seed security”, “propagation”, and “root growth rate”. In the inland region, the index priority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native plants”, “appearance frequency”, “root growth rate”, “distribution range”, and “seed security” in the island region, it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native plants”, “root growth rate”, “appearance frequency”, “distribution range”, and “tolerance”, showing sligh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dicators.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indicator analysis, we set the mean importance and priority of 4.1 and 2.9, respectively, in the inland region and 4.2 and 2.9, respectively, in the island region. As for the criteria of selecting plant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the “native plants” had the highest importance and priority. “Seed securing”, 'viability”, “topography”, “proliferation”, “tolerance”, “soil conditions”, “growth characteristics”, “early succession”, “distribution range”, “appearance frequency”, and “germination rate”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of low importance and priority. The lowest indicators were “final stage of succession”, “transition period”, 'transition stage”, “root”, “reproduction”, “soil”, “appearance”, “technology”, “landscape”, “climate”, and “germination rate”. We expected that the findings through objective verification in this study would be used as evaluation indicators for selecting native plant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 KCI등재

        생태복원 식물종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을 중심으로 -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5

        이 연구는 생태복원을 하는 데 있어서 식물종을 사용하는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6년간 수행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58개소에 대한 식재 도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식재한 식물의 분석은 준공 및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전체 선정 현황과 함께 성상별, 규격별, 식생 기후대별, 육상 및 습지의 서식처별, 자생식물과 재배식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조사 및 분석 과정에서 식물 이름이 잘못된 경우가 많아서 이에 대한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58개 대상지에서 식재에 사용한 식물은 282 분류군이었으며, 교목류는 91종, 관목류는 69종, 만경목 11종, 초본류는 111종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식물종은 조팝나무, 팥배나무, 상수리나무, 잔디, 좀작살나무와 병꽃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교목 중에서는 팥배나무, 상수리나무, 이팝나무, 느티나무, 산수유 순이었으며, 관목류는 조팝나무, 병꽃나무, 좀작살나무, 산철쭉, 화살나무 순이었다. 초본류는 잔디, 구절초, 벌개미취, 물억새, 수크령 순이었다. 식생기후대별 분석에서는 온대중부산림대와 난대수림대 모두에서 조팝나무, 좀작살나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패턴은 기후대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서식처별 분석 결과, 습지에서는 물억새와 털부처꽃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자생식물과 재배식물의 선정 비율이 76% 대 24%로 재배식물의 선정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면에 적시된 식물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 및 국가생물종목록에 나타나지 않는 보통명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앞으로 식물명에 대한 올바른 사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식재 식물의 사용과 관련해서는 선정 식물의 다양화와 함께 기후대의 특성을 고려한 식물 선정, 생태복원에 사용하는 식물 규격을 낮추는 접근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지식물의 경우에는 생태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 접근이 중요했고, 자생식물 중심의 식물 선정을 위해 재배식물 사용 비율을 최소화하는 것들이 필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plant species i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To this end, planting drawings from 58 sites that had completed the retur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fund for the past six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used the construction completion and design drawings to determine the overall selection status and analyze frequency by classifying planted plants into wild and cultivated plants by nature, size, vegetation climate, and upland and wetland habitat.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process found many cases of wrong plant names, so a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the matter. In the 58 investigation sites, 282 plants were used for planting: 91 tree species, 69 shrub species, 11 vine species, and 111 herbal species. The most commonly used plant species was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followed by Sorbus alnifolia, Quercus acutissima, Zoysia japonica, Callicarpa dichotoma, and Weigela subsessilisin that order. The most commonly used tree species was Sorbus alnifolia,followed by Quercus acutissima, Zelkova serrata, Chionanthus retusus, and Cornus officinalis, in that order. The most commonly used shrub species was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followed by Weigela subsessilis, Callicarpa dichotoma,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and Euonymus alatusin that order.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plant species was Zoysia japonica, followed by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korai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ennisetum alopecuroidesin that order. In the analysis by vegetation climate,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Callicarpa dichotoma, and Sorbus alnifoliawere most used in that order in both the temperate central and the warm temperate forest zones, but the pattern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climate characteristics. In the analysis by habitat,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Lythrum salicariawere most used in the wetland. In particular, the ratio of wild plants to cultivated plants was 76% to 24%, indicating the ratio of selecting cultivated plants was high. The names of plants on the drawings were mostly common names that did not appear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or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It is necessary to use proper plant names in the future. Regarding the use of planting pla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approach of diversifying selected plants, selecting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limate zones, and lowering the specifications of plants used for ecological restoration. Moreover, it is important to fully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tland plants and minimize the ratio of using cultivated plants to ensure the plant selection centered on wild plants.

      • KCI등재

        계절별 강수 패턴에 따른 하천 식생 변화 양상 연구

        정희정 ( Hee-jeong Jeong ),유승연 ( Seung-yeon Yu ),조은지 ( Eun-ji Cho ),지용주 ( Yong-joo Ji ),김용석 ( Yong-suk Kim ),오현경 ( Hyun-kyung Oh ),이종성 ( Jong-sung Lee ),장현도 ( Hyun-do Jang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2

        국내에서는 모래와 자갈로 구성된 하천에서 식생이 과도하게 번성하는 현상이 전국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 요인을 봄철 강수량 감소와 연강수량 , 증가로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주시 소재 남천을 대상으로 강수 패턴 변화가 하천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출현 식생의 면적변화, 그리고 생태적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남천의 여름철 월강수량은 2007년 이후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사주면적 대비 식생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범람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의 강수가 지속될 때 귀화식물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으나, 귀화식물이 차지하는 면적은 적었다. 또한 일정 수위가 유지될 때, 단일종의 우점으로 인해 종다양성이 낮았으며 우점하는 종은 주로 자생식물이었다. 자생식물의 우점은 귀화식물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식생면적은 더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하천식생의 활착과 번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구분보다 식생확산 자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여름철 집중 호우로 인한 고수위와 범람지속은 식물군락을 교란시켰고 이후 형성된 식생은 주로 자생식물이었다. 하천생태계에서 이와 같은 범람은 자생식물의 출현과 과도하게 형성된 식생군락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므로 식생 관리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In Korea, excessive vegetation in rivers made up of sand and gravel is emerging as a nationwide problem, which is attributed to increased spring precipitation and decreased annual precipit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changes in precipitation patterns on river vegetation in Namcheon, Gyeongju, and analyzing the area of veget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mount of monthly precipitation in the summer of Namcheon decreased after 2007, and the area of vegetation increased continuously compared to the area of the sandbank. The proportion of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steadily when precipitation continued to a level that did not cause flooding, but the area occupied by naturalized plants was small. Also, when the water level is maintained, the species diversity is low due to the dominance of a single speci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mainly native plants. Dominance of native plants inhibited the growth of naturalized plants, but the vegetation area increased even m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pread of vegetation itself rather than the division of native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in order to eliminate the active growth and prosperity of river vegetation. High water levels and continuous flooding caused by torrential rains in summer disturbed the plant communities, and vegetation formed afterwards was mainly native plants. Such flooding in river ecosystems is a positive factor for the emergence of native plants and over-formed vegetation communities, so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vegetation management plan.

      • KCI등재후보

        아파트 베란다 화단용 용기재배에 이용할 수 있는 자생식물 선발

        류병열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7 No.2

        우리 정서와 친숙한 우수한 자생식물 중 아파트 베란다 화단에 활용 가능한 초종선발을 목적으로 화분형으로 식재하여 생육과 관상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산호수, 애란, 바위취, 풍란은 베란다 용기화단에 식재 시 생육이 안정되고 관상가치가 높아 실내식물로 이용하기 적합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바위솔, 좀비비추, 무늬둥굴레, 나도풍란, 우산나물은 생육이 조금 불안정하였으나 베란다 화단용 식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동의나물은 생육이 불량하여 실내식물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native landscape plants for the use of veranda container garden at apartment house. The shade native landscape plants were good for veranda container garden such as Ardisia pusilla, Ophiopogon japoniClls, Saxifraga stolonifera, Neoftnetia folcata, because these have shade tolerance , high visual value and stable growth. Orostachys japonic11s, Hosta minor, Polygonahan odoratum 'Variegatum', Aerides japonicum, Syneilesis palmata was also use of veranda container garden. But Caltha palustris var. membrabcea was unfit of use indoor plant because of weak shade tolerance.

      • KCI등재

        한반도 희귀 및 특산식물 삼수개미자리의 자생지와 종자발아 특성

        이승연,정재민 한국화훼학회 2022 화훼연구 Vol.3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tive vegetation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s for the purpose of the conservation and horticultural use of Minuartia verna var. coreana, which is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pecies grows naturally on sand dunes that have been weathered over a long time in the limestone zone. A total of 60 species of plants were growing wild in the native habitat. Among the 60 species, three were endangered (Prunus choreiana, Iris ruthenica, and Pulsatilla tongkangensis), three were vulnerable (Thymus quinquecostatus, Bupleurum komarovianum,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and three were least concerned (Lithospermum erythrorhizon, Salvia chanryoenica, and Patrinia saniculaefolia) according to the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category. Five species, i.e., M. verna var. coreana, P. choreiana, Sillaphyton podagraria, C. heracleifolia var. bifida, and P. tongkangensis are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The seeds of M. verna var. coreana had fully developed embryos, and 53.7% and 95.6% germination rates were observed at 20/10°C (day/night temperatures) and 25/15°C, respectively. Since 41% of the seeds germinated at 31 days of incubation at 20/10°C, approximately 60% had “conditional dormancy.” In the case of seeds buried in the ground, 90.6% and 38.9% of the seeds germinated under light and dark conditions, respectively, which suggests the formation of soil seed banks.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자생하는 삼수개미자리(Minuartia verna var. coreana)의 자생지 보존 및 신관상식물로서 원예적 활용을 목적으로 자생지 식생조사 및 종자의 발아특성을조사하였다. 삼수개미자리는 석회암지대가 오랜 시간에 걸쳐서 풍화된 모래 언덕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지주변에는 총 60종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었다. 출현한 60종 중에서 IUCN categoty 기준으로 EN(endangered) 종은 복사앵도(Prunus choreiana), 솔붓꽃(Iris ruthenica),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3종이었고, VU(Vulnerable)은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과 시호(Bupleurum komarovianum),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3종, LC(Least concerned)는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참배암차즈기(Salvia chanryoenica), 금마타리(Patrinia saniculaefolia) 3종이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삼수개미자리를 포함하여 복사앵도(P. choreiana)와 덕우기름나물(Sillaphyton podagraria), 세잎승마(C. heracleifolia var. bifida), 동강할미꽃(P. tongkangensis) 5종이었다. 삼수개미자리 종자는 완전히 발달된 배를 가지고있었고, 20/10, 25/15℃에서 각각 53.7, 95.6%의 발아율이 나타났다. 20/10℃에서 31일차에 41%가 발아하였기 때문에 약60% 정도는 ‘conditional dormancy’를 가지고 있었다.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90.6, 38.9%가 발아하였기 때문에 땅속에매몰된 종자의 경우 ‘soil seed bank’를 형성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