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

        황준성(Hwang, Jun Seong)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에게 동기강화 상담이론에 근거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실시하여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있는 D재활원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동질하다 평가된 26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에서는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을 독립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재,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었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주도성, 노력성 그리고 인내성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들의 자기효능감이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받은 실헙집단이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의 심리적인 역량을 강화하는데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귀준비를 위한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에게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의 하위영역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분석 연구와 추후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y implementing it based on motivation consultation theory. As the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er wirelessly selected 26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were utilizing D rehabilitation facility in D-si, evaluated same in the preliminary homogeneity inspection, and divided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this research conducted covariance analysis by adopting the groups(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elf-efficacy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had effect also on initiative, effort, and tolerance, the subordinate scope of general self-efficacy. Secon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ocial self-efficacy.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rd,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displayed positive change i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positively, which means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to enhance psychological capability. Through this, the researcher intend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for rehabilitation preparation. Also, for the follow-up study, analys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on concrete points of subordinate scope of dependent variables are consistently necessary.

      •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최호정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7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교사와 부모가 인식하는 지적장애학생 의 자기결정능력의 변화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특 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으로 학생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중재 전? 후에 자기결정능력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이 중증의 지적장애학생인 점을 감안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와 학부모의 평가기록지를 추가하여 학생들의 자기결정의 변화과정을 탐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Wilcoxon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s Test)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 영역 중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영역은 자기인식영역과 문제해결영역이었다. 셋째, 교사들은 학생의 자기결정에 긍정적 인 변화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학부모들은 학생의 자기결정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학생에 대한 부모의 평가수준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표현강화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 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원 직무복귀에 미치는 효과 :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중심으로

        노동희,조은주,한승협,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1

        목적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와 원 직무복귀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경상남도 소재의 C병원에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산재근로자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은 1일 1회 3시간 이상 주 5회, 총 4~8 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측정하였다. 산재요양기간 종료 후 2개월 뒤 추적관찰을 통해 원 직무복귀 그룹과 원 직무복귀 실패 그룹을 나누어서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산재 요양기간 종결 2개월 뒤 원 직무복귀 여부에 따라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했을 때 자기효능감의 변화량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 여주었고, 자기효능감이 원 직무복귀 성패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hardening program on Job retention in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in the view of self-efficiency,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Methods : Forty-nine injured workers who attended work-hardening program at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KCOMWEL) C hospital in Gyeongsangnam-do from June 2015 to August 2016 were recruited. Work-hardening program was offered to 49 injured workers 1 session (at least 3 hours) a day, 5 times a week, for 4~8 weeks. We evaluated self-efficacy,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dditionall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returned to their own work two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an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iency, depress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work-hardening program (p<.05). Two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work-hardening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depress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turning to work.

      • KCI등재

        따뜻함과 안전 초기기억이 자기비판, 자기공격, 자기위안에 미치는 영향: 긍정성 강화와 긍정정서 비수용의 매개효과

        김경희,이희경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시절의 온정적인 기억이 긍정성 강화, 긍정정서 비수용을 통해 자기비판, 자기공격 및 자기위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317명을 대상으로 따뜻함과 안전 초기기억 척도(EMWSS), 긍정정서 반응 양식 척도(K-RSPAS), 자기비난/자기공격과 자기위안 형태 척도(FSCRS)를 실시하였다. IBM SPSS 23과 Mplus 7.4를 사용하여 변인간 상관관계와 구조모형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뜻함과 안전 초기기억, 자기비판, 자기공격, 자기위안, 긍정성 강화, 긍정정서 비수용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따뜻함 안전 초기기억과 자기위안의 관계에서 긍정성 강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따뜻함 안전 초기기억과 자기비판 및 자기공격의 관계에서는 긍정정서 비수용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어린시절 온정적 관계 경험과 자기비판, 자기공격 및 자기위안의 관계는 긍정정서 반응 양식에 의해 설명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compassionate early memories affect self-criticism, self-attacking, and self-reassuring through enhanced positivity and nonacceptance of positive affect. The Early Memories of Warmth and Safeness Scale(EMWSS), Korean Responses Styles to Positive Affect Scale(K-RSPAS), and the Forms of Self-Criticism/attacking and Self-Reassuring Scale (FSCRS) were assessed to 317 adults. IBM SPSS 23 and Mplus 7.4 were use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validity of the structural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memories of warmth and safeness, self-criticism, self-attacking, self-reassuring, enhanced positivity, and nonacceptance of positive affect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nhanced positiv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rm-safeness early memories and self-reassur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nonacceptance of positive a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arm-safeness early memories and self-criticism and self-attacking.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ate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self-criticism, self-attacking, and self-reassuring is explained by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styl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연하기능강화와 응급상황대응 교육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손세정(Son Se J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연하기능강화와 응급상황대응 교육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재가노인복지센터에서 가정방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 56명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2월부터 2014년 4월까지로 실험군은 연하기능강화와 응급상황대응 교육프로그램을 실험 첫 주와 4주 후 각각 16시간을 제공한 후 자기효능감은 설문지를 통해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고 수행능력은 연구보조원에 의해 평 가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20.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특성은 실수, 백분율,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검정은 -test와 t-test를 연하기능강화와 응급상황대응 교육프로그램의 두 군간 시간경과에 따른 종속변수의 변화와 그룹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에 대한 검증은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하기능강화와 응급상황대응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연하기능강화와 질식대응, 심폐소생술 의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대한 반복측정분산분석결과 초기교육 직후 점수가 상승하였고 초기교육 4주 후에는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의 점수가 감소하였으나 재교육 4주 후 다시 상승하여 시간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 점수의 변화가 유의하 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측정시점 간의 교호작용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하기능강화와 응급상황대응 교육프로그램이 재가방문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swallowing ability in proper management of dysphagia swallowing ability swallowing function and emergency response 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of home visiting care workers who provide in home supportive services such as personal care services and bathing at home. Fifty-six home visiting care workers at two communit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Seou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rom February, 2014 to April, 2014, data was collected on weekends considering work schedules of them.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swallowing ability in proper management of dysphagia and emergency response for 16 hours initially during the first week in this study. Four weeks later, 16 hours of re-education was provided additio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subjects themselves. A research assistant who had not been involved in the education program evaluated their performance using the observational metho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 20.0 version. Baselin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real numbers percentages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es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addition, changes in outcome variables of education program over time between two groups and the test for interaction with time were analyzed by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scores for improv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suring time and i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measuring time. In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t was turned out that the effects of clinical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home visiting care workers.

      • KCI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관리기술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이수정 ( Lee Soo-jeong ),김진호 ( Kim Jinho H.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3

        자기관리(self-management)는 학생이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기 위해 목표행동을 설정하고 실행하고 평가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을 최대한 자립적으로 실행하고 통제해 나가는 역량을 기르게 한다. 또한 다양한 목표행동의 습득과 아울러 실제 생활환경에서 일반화하는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 실제의 관점에서 자기관리 기술을 장애학생에게 적용한 선행 실험연구들의 자기관리기술 중재프로그램과 전략들을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자기관리기술 중재를 적용한 선행 실험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33편의 국내 실험논문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5가지 영역에서 총 12개의 분석변인(국내연구동향,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자기관리기술 훈련프로그램, 측정도구 및 방법, 목표기술,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유지 및 일반화 효과 PND, 기초선 기준 중재, 유지 및 일반화 성취도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33편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자기관리기술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였으며, 장애유형으로는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과반수를 넘으며, 또한 학교 급별로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효과를 보면 약 25편의 연구가 효과크기에서 모두 90%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자기관리 기술이 매우 효과적인 중재 기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자기관리기술 중재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Self-management helps students to establish, execute, and evaluate target behaviors in order to manage their own behaviors so that they develop the ability to exercise and control their own behavior as autonomously as possible. It also enables students to acquire various target behavior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generalize in real lif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lf - management skill intervention programs and strategies of prior experimental studies applying self - management skill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evidence base and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o do this, we conducted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applying self - management skill intervention, and selected 33 domestic experimental papers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eliminary research analysis is composed of 12 analysis variables. (domestic research trends, study subjects, experimental environment, experimental design and procedures, self - management skill training program, measurement tools and methods, target technology, interobserver reliability, Social validity,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effect. PND,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achievement change). Most of the 33 previous studies have applied self-management techniques in a variety of ways. Among the types of disabilities,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conducted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more research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effect of research, about 25 studies were found to be more than 90% in effect size, and self-management technique was found to be a very effective intervention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 of self - management skill intervention program.

      • 정신지체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기술에서 자기규칙의 촉진 방안

        추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007 발달장애연구 Vol.11 No.1

        자기규칙의 전략들은 학교에서 교수-학습활동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인지전략과 교수전략의 방안으로 볼 수 있기에 학생들 자신이 삶의 주도적 역할 수행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정신지체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기술에서 자기규칙의 촉진을 위해 효과적인 교수절차로 가르쳐야할 자기결정기술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설정과 의사결정의 중요성에서는 의사결정기술을 이용하면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을 선택하기 용이하고, 목표설정을 단계적으로 이행하는 것은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부당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자기가 선택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정확한 정보에 기초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의 중요성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 자기관리의 개념 규정과 지도 원칙 모색에서는 자기관리기술을 상위 개념으로, 자기관찰기록, 자기평가, 자기강화를 하위 개념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자기관리 시스템은 학생들이 자기의 행동과 과제의 사건에 맞도록 의사결정 실행을 가르칠 수 있고, 또 지기관리 지도원칙을 모색할 수 있었다. 셋째, 자기관리의 하위영역(자기관찰기록, 자기평가, 자기강화)은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자기규칙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략으로 증명되고 있으며, 이는 장애인의 선택, 의사결정에 구체적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elf-regulation strategies could be counted among cognitive strategies that could be acquired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hey also could be viewed as part of teaching strategies. Those strategi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llow students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own lives, and mentally retarded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facilitate self-regulation as part of self-determination skill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mportance of goal setting and decision making, the use of decision-making skills makes it easier to choose how to achieve a specific goal, and a selected goal should be attained step by step. Everybody should make an educated decision to attain his or her goal without being improperly affected by others. Second, regarding the concept of self-management and guiding principals, self-management skills should be defined as a major concept, and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and self-reinforcement should be selected as minor concepts. This type of self-management system enabled students to record their decision and fulfill i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and the given task. Third, self-monitoring, self-assessment and self-reinforcement,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self-regulation in diverse ways, which was of great service for the choice and decision-making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 KCI등재후보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직업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지혜,오현숙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0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동기강화상담 이론에 근거해 직업유지에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인에게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직업 적응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 는 A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적 협동조합에서 직업 훈련을 받고 있는 8명의 지적장애 인에게 2019년 3월 8일부터 2019년 5월 3일까지 주 2회 70분간 총 16회기의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의 효과검증을 위해 Bolton과 Roessler(1986) 직업인성프로파일척도(WPP)와 Goh(2008)이 정신장애인을 대 상으로 재구성한 일반적 자기효능감척도(GSES-ID), Payne와 Johoda(2004)가 개발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척도(GSSES-ID)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사전ž사후 검사를 실시하였 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비모수 통계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사 회적 협동조합에서 직업 훈련을 받고 있는 지적장애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직업적응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연구결과로 알 수 있었다. Based on the theory of motivation strengthening counsel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at collective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vocational aptitude and self-efficiency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by implementing a synchronous-enhancing collective art therapy program for those with difficulty maintaining their jobs. The researcher conduct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16 sessions in total for 70 minutes twice a week from March 8, 2019 to May 3, 2019 for eight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undergoing vocational training at a social cooperative based in A.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ynchronous-enhancing collective art therapy, Bolton and Roessler(1986) occupational personality profile (WPP) scale, the General Self-Effectiveness Assessment (GSES-ID) reconstructed by Good(2008)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 Social Self-Effectiveness (GSSES-ID) developed by Payne and Johoda(2004) was used after.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sed using the SPS 21.0 program and a nonparametric statistical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hus, this study showed that motivation-enhancing collective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vocational aptitude and self-efficiency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ho are undergoing vocational training in social cooperatives.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 기반 자기강화 복합재료의 기계적물성 및 난연성 연구

        이동우 ( Dong-woo Lee ),박승빈 ( Seung-bhin Park ),송정일 ( Jung-il Song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7 Composites research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프로필렌 직조섬유를 이용하여 자기강화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자기강화 복합재료에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PP) 및 키토산을 첨가하여 난연 자기강화 복합재료를 개발하였으며, 시험을 통하여 기계적 특성 및 난연성을 확인하였다. 시험결과, 자기강화 복합재료의 기계적 강도는 PP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으나, 난연제를 첨가하는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점차 감소하였다. 두 난연제 중에서는 키토산을 첨가한 자기강화복합재료가 APP를 첨가한 자기강화복합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강도를 보였다. 난연성의 경우, APP를 첨가할 경우, 키토산을 첨가하는 것 보다 더욱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차 및 포장산업에서 경량화 및 재활용을 위하여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rticle explains about development of flame retardant self-reinforced composites (FR-SRC) through compression molding technique by utilizing Polypropylene (PP), Ammonium polyphosphate (APP) and chitosan. The effect of APP and chitosan on mechanical, thermal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in FR-SRC were studi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FR-SRC is enhanced than Pure SRC. However, the strength i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both flame retardant fillers. But comparison, chitosan filled FR-SRC is stronger than APP filled FR-SRC. In case of flame retardancy, APP is more effective than chitosan. These results can be applicable to provide light weight and recyclable flame retardant self-reinforced composites for automobile and packaging industries, etc.

      •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정욕구, 자기강화, 성공-실패경험의 매개역할

        이정숙,조성호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11 학생생활상담 Vol.29 No.-

        본 연구는 다차원적 완벽주의(평가염려적 완벽주의 및 개인기준적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정욕구, 자기강화능력 및 성공-실패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7명(남자 100명, 여자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자기강화능력과 성공 실패 경험 변인을 거쳐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완전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다차원적 완벽주의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강화능력과 성공-실패 경험 변인을 통해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강화능력과 성공-실패경험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염려적 완벽주의는 인정욕구에 정적 영향을 끼치며, 자기강화능력과 성공 실패 경험에는 부적영향을 끼쳤다. 반면 개인기준적 완벽주의는 인정욕구와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자기강화능력과 성공 실패 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