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학사정관전형 평가준거와 최종평가와의 관계

        강인구(In-Gu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평가준거들이 실제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의미있는 평가준거로 활용되고 있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전형의 취지에 부합하는 다양한 평가준거를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입학사정관 전형에서는 다양한 평가준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업성적 위주의 사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G대학의 입학사정관 전형 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평가준거가 사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G대학은 입학사정관 전형의 평가준거로서 학업능력을 포함하여 5요소를 활용하고 있으며, 입학사정관 전형의 평가준거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학년도 입학사정관 A전형의 지원자(n=7,579)를 대상으로 평가준거 5요소의 각각의 점수와 최종점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최종점수는 각각의 요소의 합이 아닌 별도의 최종점수이다. 이 분석은 전형단계별로 전체지원자, 서류전형 후 및 면접전형 후 합격생의 평가준거와 최종점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의 평가준거는 별개의 최종점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각각의 하위 평가요소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전형단계별로 각각의 평가요소가 최종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평가준거 중에서 단순히 학업성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잠재력을 평가하여 학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향후 입학사정관 전형의 취지에 부합되는 지속적인 평가준거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whether admission officer evaluates applicants along dimensions of assessment or not. Admission officer should evaluate various potential ability of applicants. However, some critique of admission matters is that admission officers have often overstressed on academic qualifications, rather than other dimensions in admission assessment.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in seoul, Korea. This university makes decision for admission by five dimensions of assessment. Subject of this study is applicants(n=7,579) who apply a assessment by admission officer. This stud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rating and each rating of dimensions of assessment.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effect between each rating of dimensions and overall rating, and that admission officer evaluates after due consideration dimensions of assessm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dimensions of assessment need to develop for admission officer system.

      •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간 종단연구

        류영철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해 입학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을 비교해 보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대학생활은 학업성적과 교내활동 참여, 장학금 횟수를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연구대상은 C대학교의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 입학생중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실시했다. 분석결과 학업성적의 평균변화율은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교내활동 참여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입학생들이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장학금 횟수는 입학사정관제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ewly introduced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entering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to compare the new students, admissions officers on the basis of that study to make use of the benefits of screening, the downside is suggesting complementary began in the spirit. Academic achievement and University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nalyzed by dividing the number of scholarships. Methods of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study of C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y in the academic year 2009 and 2010 school year, students entering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screening randomized to screening was conducted by entrants. Analysis of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achievemen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dmissions ‘Admissions Officer System’ of the new students are more actively involved as entrants showed. Finally, the number of scholarships is whether the admissions offic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respectively.

      • KCI등재

        우리나라 입학사정관제 도입의 사회적 논의 과정 분석 : 일간지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안정희,배성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의 전개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우리나라 입시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로서 정착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간지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 2004년 도입된 입학사정관제가 2008년, 주요대학을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국면으로 접어들었고 2009년도에는 정부가 주축이 되어 입시제도 개선의 주요 해법으로 강조하면서 시행대학 및 선발인원이 급증하는 한편, 제도시행과 관련한 제반 여건이 미흡한 상황에서 학교 현장에 미칠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동시에 높아지게 되었다. 현재 제도의 장점과 단점을 공론화하는 과정을 거쳐 우리나라 교육현실을 고려한 제도로서 새롭게 조정되어야 함이 강조되고 있는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제가 성공적으로 정착 및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입학사정관제는 우리나라의 대학입시 문제를 개선해 나가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의 하나이며 선진국의 사례를 그대로 이식하기보다는 우리 교육현실에 맞게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도입을 계기로 고교-대학 간 교육과정 및 학생평가의 과정이 연계될 수 있으며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공교육정상화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AO (admissions officer) system by reviewing issues highlighted in newspapers and further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its successive establishment in Korea. The AO system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in 2004 and spread nationwide in 2008. It is currently view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improving our college admissions system. At the same time, however, a sudden increase in social awareness has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its negative effects on school education. Accordingly, we should critically consider both the system's strengths and weaknesses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ed multidisciplinary views of the system. We also emphasized that the AO system could be one option to improve our college entrance system. Furthermore, abruptly implementing a foreign system into the Korean educational situation without considering local factors should be avoided. Through the AO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s could be stronger in terms of curriculum and student evaluation. This woul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 유형 분석*

        최미숙(Misook Choi),김병주(Byoungjoo Kim)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활용하여 입학관계자들이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활용하여 입학관계자들이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입학사정관의 인식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입시와 관련된 대학입학사정관, 대학교직원, 고교교사, 교육청 대입지원관 등 대학입시 관계자 50명으로 선정하였다. Q표본 선정을 위한 자료 수집은 5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에 대해 37개의 Q 진술문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입학사정관에 대한 인식 유형은.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전문가, 학생 선발․유치 담당자, 대학내 입학정책 결정참여자, 공정한 평가를 위한 학생부종합전형운영․감시자 등 4개 유형으로 도출하였다. 입학사정관의 역할에 대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입학사정관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입학사정관의 역할에 대해 구성원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입학사정관에 대한 기대역할 인식 연구를 통해 입학사정관의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하다. 셋째, 입학사정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인식을 일반화하기 위한 양적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에 대한 연구와 대학입학사정관의 조직 운영 및 교육현장 적용에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dmissions officials perceive the role of university admission officers using the Q-methodology.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30 university entrance officials, including university admission officers, university staffs, high 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entrance support officers of the Office of Education. Q-methodology was used for the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for selecting Q samples required 50 P samples to classify 37 Q statements about the role of university admission offic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ype of perception of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is derived into four types: experts in comprehensive screening evaluation of student records, officials in charge of student selection, participation in determining admission policies in universities,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comprehensive screening of student records for fair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pread to the regulations on the role of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to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educational sites.

      • KCI등재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창출과 발전방안

        김정권 ( Jeong Gwon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4

        본 논문은 한국의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현상학적 검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그 출발 점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과 시사점을 성찰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교육에 있어서 입학사정관제는 大勢이고 大局인 것 같다. 이는 명백한 Top-down 접근방식이다. 정부주도의 사교육 문제 해결, 입시제도 개선 등 현실적인 교육 문제의 해결이 당면과제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 Top-down 접근방식은 장단점이 너무 분명했다. 충분한 현상학적 검토나 존재론적인 점검을 거치지 않는다면 결국 의도에 상관없이 혼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인지 입학사정관제는 대체로 부정적 시각이 농후한 편이다. 그리고 오해와 편견의 소지가 다분하다. 다시 말해 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정량평가는 객관적이지만 입학사정관제의 정성평가는 아무래도 주관적이며, 나아가 그 신뢰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입학사정관들의 전문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도 역시 전형제도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오해와 편견의 연쇄작용은 입학사정관제의 근본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조금 우려되는 상황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학사정관제는 대세와 대국인 것임에 틀림없다. 시대변화에 맞추어 한국 교육의 정체성이 ``열림과 다양함``이라는 개방적 코드로 바뀌고 있고, 또 바뀌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 중심에 입학사정관제가 있는 것이다. 그 동안 한국교육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었던 ``이성과 진보``, 그리고 그것에 기반한 극단적 정량평가는 어찌되었던 새로운 변화의 시대를 맞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 대국은 ``이성과 진보``의 정량개념을 가로질러서 ``열림과 다양함``의 정성적 개념으로 전환(transform)되어야 하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제가 당위론을 넘어 존재론으로 자리매김 하기위한 방법론(methodology)을 찾을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표면에 나타나고 평행선과 교차점을 적시하면서 한국대학의 정체성 변화와 관련하여 새로운 입학사정관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위 ``한국형`` 입학사정관제, ``MUD 식`` 입학사정관제가 그것이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 ``컨텐츠``, ``시스템``이라는 지극히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인 항목 설정으로, 우리나라의 현재에 있어서 실제적이고 적당히 만족하는(satisfying) 선에서 제안하였다. 소위 입학사정관제는 정량적 형태의 시험성적이 아닌 정성적 형태의 다양한 지원자 정보를 주관적 또는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제시된 것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기입하고 입학서류를 작성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학생들의 교육활동에 대해 최대한 기록을 해서 입학전형에서 알맞게 표현하고 재현해야 한다. 그런데 한국교육에 있어서 이 ``스스로``란 단어는 정말로 새롭고도 신기한 부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그동안 한국의 교육환경은 타율적으로 이루 어졌다는 말이 된다. 이런 면에서 한국형 입학사정관제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관련 지원 시스템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정부주도로 그동안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소홀히 취급된 수사학, 서사학, 논리학, 그리고 글쓰기, 말하기 학습이 혁신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노력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학생들과 부모, 그리고 학교(정부)가 함께해야 한다. 그것에 입학사정관제 전형, 또는 자기주도 학습전형의 당위론과 존재론이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지만 탈도 많고 말도 많은 한국교육에 있어서 입학사정관제는 가히 혁명적이다. 빠른 시간 내에 교육의 여러 문제점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특별한 계기가 될 것이다. 그것은 가깝게 내 아이를 제대로 키우기 위한 하나의 공식적인 제도인 것이다. This thesis is purposed for phenomenological review on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n Korea. Especially it tried to suggest many problems and implications appeared in the starting point introspectively.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n current Korean education is the main trend and the main feature. It is a clearly an approaching method of top-down pattern. The face problems were the solution for the realistic problems in education such as the problem solving of private education and improvement in entrance examination. But the merits and demerits in such top-down approaching method were too certain. There must be confusions regardless of intention eventually if it is not examined by means of the phenomenological review or ontological examination.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s permeated with negative viewpoint mainly perhaps due to this matter. And there is more room for misunderstanding and the prejudice. In other word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like the Learning Ability Test is objective, but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admission evaluator system must be subjective. Furthermore, there is a serious problem on its reliability. The consistent emphasizing on the speciality of the admission evaluator can be one of the methods to acquire the reliability on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fairness. But, the chain reaction of this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has been spreading into the worried situation which puts the basic willing of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nto the shade. Nevertheless,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must be a main trend and main feature.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s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ituation that the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has been changing into the open code of ‘openness and variet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s and it have to be changed. The ‘reason and progress’ which was the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in the past times and the extreme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such identity are encountering a phase of new changes at any case. Consequently, now the main trend is to transform into the qualitative concept of ‘openness and variety’ from the quantitative concept of ‘reason and progress’. The methodology for admission evaluator system to be positioned as an ontology beyond the rationale can be found. The developmental method for the new admission evaluator system was suggested in relation with the identity changes of universities in Korea while pointing out the parallel lines and the crossing points which emerged in the surface of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So called, ‘Korean style’ admission evaluator system and ‘MUD style’ admission evaluator system are the methodology. This thesis suggested it in a realistic and moderate satisfying level at present in Korea by means of setting very realistic and the specific item setting in terms of ‘people’, ‘contents’ and ‘system’. The admission evaluator system is a suggestion of the method for subjective or integral evaluation on the information from various applicants in qualitative pattern not by the test score in quantitative pattern to be true to its name.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n here is that the student shall fill the portfolio by himself and provide the application document. It shall be properly expressed and realized according to the admission evaluation by recording in maximum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tudents. But, the word of ‘by himself’ can be regarded as really one of the fresh and mysterious adjectives in Korean education. It means that the education environment in Korea had been established in other-directed way in such extent during the past times.

      • KCI등재

        입학사정관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전경애(Kyung-Ae Ju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입학사정관제는 그 본질상,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정성적인 형태의 다양한 평가 자료를 가지고 지원자의 정보를 주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평가방법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전형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편협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편파적인 평가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선발의 공정성 및 입학사정관 각 개인의 윤리성이 입학사정관제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의견 및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주요영역을 선정하였으며, 현직입학사정관들과의 심층면접과 논의과정을 통해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입학사정관윤리교육프로그램은 입학사정관이 직면하게 되는 실제경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를 다루었고, 행위자의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하여야 한다는 주제선정의 원리에 따라 ‘사회와의 상호작용’, ‘선발과 관련된 윤리성과 책무성’, ‘입학사정관 업무와 관련된 법적 책무’ 라는 3개의 핵심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12개의 세부주제와 주제별 교육 자료까지 제시하였다. 입학사정관 윤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은 입학사정관 개인의 전문성 및 윤리성을 고취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입학사정관제가 공정하고 신뢰로운 선발제도로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role of admissions officers in universities is to evaluate applican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basis of diverse bases and materials for evaluation that include not only quantitative, but also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applicants. Therefore, the crucial key to ensuring the success of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is to ensure the fairness of admission-related decisions and the integrity of individual admissions officers by urging them to render impartial evaluations based on professionalism and avoidance of bias. This study selected the major realm of the ethical education for admission officers on the basis or experts’ opinions, and documentary research, and tr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mpose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and discussions with the incumbent admissions officers. The program must handle subjects that are intimately related to the actual experience of many admissions officers, and must be capable of inducing voluntary compliance from the officers. Therefore, the program suggested b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core areas of ethics: that is, ‘interaction with society,’ ‘ethics and responsibilities involved in admission,’ and ‘legal obligations and roles of admissions officers.’ To this end, it provides twelve sub-topics and learning materials. Providing this kind of ethical education programs for admissions officers will help not only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ethical commitments of admissions officers, but also broadly to establish a fairer and more reliable admissions officer system.

      • KCI등재

        입학사정관전형 사후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입학사정관과 입학생의 인식조사: 필요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중심

        이원석(Wonsuk L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s and students who entered a university through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in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uses mixed methods, that is, surveys for admissions officers and interviews for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regarded as essential components of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tself. Also the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in order to educe the potentials of students.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을 위한 타당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사후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바람직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은 어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입학사정관제의 핵심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과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입학사정관제 사후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을 위한 별도의 사후관리 프로그램은 입학사정관제 자체의 특성에 따라 입학사정관제에 내재된 필수적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사후관리 프로그램은 합격생을 위한 단기적인 예비학교나 영어, 수학 등 도구과목의 보완에 치중하는 것보다는 잠재력을 평가하여 선발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의 잠재력 발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신문이 제시한 대학입학사정관제 개선방안의 비판적 고찰

        손희권(Sohn, Hee-Kwon),주휘정(Chu, Hui-J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4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3월 대학입학사정관제 확대 시행계획이 발표된 후 신문에 제시된 대학입학사정관제 개선방안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입학사정관 전형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전형이 교육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대입 자율화라는 취지에 맞게 이 제도를 운영하고, 대학관계자 자녀의 지원을 제한하기보다 부적절한 영향력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며, 차등적인 보상기준에 의한 특별전형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입학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공교육의 정상화 및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쌍방의 이해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대학과 고등학교 간의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대학에서 교사의 업무 부담을 고려하여 꼭 필요한 정보만을 요구하며, 정보 공유 시에도 교육기본법 제23조의 3에 명시된 학생정보의 보호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끝으로, 대학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31조 제4항에 규정된 교육의 전문성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해석을 토대로 대학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의 개념을 확립하고, 경력만이 아닌 성찰이 동반된 경험과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에 기초한 역량을 갖춘 자 중에서 각 대학별로 자격 연수 후에 대학입학사정관으로 채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및 교육정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ritically options for improving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suggested by newspaper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assure the fairness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t would be necessary to operate it i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college autonomy, to sanction faculty members and trustees if they attempted to influence over college admissions to their children instead of prohibiting their applications and, to distinguish it from affirmative ac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has educational validity. Second,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data for college admissions, it would be helpful to build a high school-university partnership for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and encouraging mutual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urriculum, to demand essential information, to reduce teacher burdens, and to protect students' privacies. Last, to increase professionalism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s, it would be helpful to interpret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on the basis of the constitutional demands fo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to employ those who have career experience with reflection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n the basis of their roles after professional certificate training.

      • KCI등재

        입학사정관제의 한계와 가능성 그리고 입학사정관의 윤리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3

        대학교육은 인재교육의 정점이자 계층이동의 사다리로 기능하여 왔기에 대학입시는 여전히 전 국민적 관심사다. 그런 만큼 대학입시에서 많은 문제가 이슈로 등장했다. 그중 현재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명칭이 바뀐 기존의 입학사정관제는 대학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입학사정관제는 미국에서 처음 도입될 당시 동유럽 출신의 유대학생들에게 입학의 문을 좁히고 앵글로 색슨계를 우대하기 위한 정책이었으며, 지금도 상류층 자녀들에게 명문학교의 입학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라는 부정적 조명을 받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입학사정관제는 학생모집에 여성, 인종, 계층, 지역을 균형 있게 할당함으로써 제도적 다양화는 물론이려니와 교육의 형평성과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입학사정의 공정성은 교육의 형평성뿐만 아니라 사회정의의 실현까지 맞물려 있다. 이에 주관적 평가방식인 입학사정관제의 방식이 순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공정성과 신뢰성의 확보 이외에도 입학사정관들이 전문성과 그에 맞는 윤리의식을 갖추고 있느냐는 매우 중하다. 논문은 전문성에 바탕을 둔 자율성과 책임성을 입학사정관의 권리와 의무로 제시하며, 이에 따른 행위원칙을 공리주의, 칸트윤리론, 롤스의 정의론을 빌어 논구한다. 이를 통해 차별금지와 허용의 원칙을 함께 세우며, 입학사정관제의 윤리적 토대를 제시한다. Higher education in us has functioned as the sum m it of education of hum an resource and almost the only ladder of class mobility. Therefore, the national attention for the admission of universities remains the same. And as much as this attention m any problem s in the admission of university have become an issue. Among these,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is renamed the Track of General Transcripts of School Records emphasizes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Firs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system narrowed the gate of entrance into universities to jews form E astern Europa and instead gave preferential treatment to the Anglo- Saxons, which is why this system is still negatively considered as a system that offers the children of the upper class opportunities of entrance into distinguished universities. O n the other hand, admission officer system has contributed positively not only to diversification of admission, but also to equ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by allocating women, ethnicities, classes, and regions at the admission to universities in a balanced manner.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make sure of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admission officials and also to assure their professionalism and vocational ethics so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unctions properly. T he study suggest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based on professionalism as the rights and duties of admission officials and discusses the resulting principles of actions through utilitarianism , K ant’s ethics, Rawls’ concept of justice. Principles for forbidding and allowing discrimination will both be set in order to present a moral foundation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 KCI등재

        교과내용학 :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이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에 주는 의미

        손병욱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3

        입학사정관 제도의 성공적인 착근을 위해서는 이 제도가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고, 그러자 면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이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과거 우리선조들이 지녔던 인재선발을 위 한 문제의식과 방법이 무엇이며, 운용된 제도의 실상이 어떠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입학사정관 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통일기 (540-681) 신라의 인재 선발방식을 화랑풍월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화랑풍월도에서 중시한 의기(義氣)배양 방법과 인재상이 무엇인가?의 실천의 전위(前衛)조직인 낭도부곡(郎徒部曲)의 작동원 리가 무엇인가? 화랑풍월도의 두 인간상인 지기지사(志氣之士)와 풍월(風月)은 누구인가? 이런 문제를 차례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이 입학사정관제 전형에 주는 윤리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이 갖는 역사적인 의미와 시사점이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방식이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 앞으로 이 제도의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입학사정관이 기존의 멸사봉공형(滅私奉公型)에서 활사개공형(活私開公型)으로 바뀌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렇다면 활사개공형 입학사정관이 지녀야할 윤리의식의 핵심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그것은 한마디로 청렴하고 유능해야 하며 특히 청렴함이 중요 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청렴하고 유능하기 위해서는 의기(義氣)를 배양해야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의를 실천[行義]해야 한다고 보았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은 이 제도의 성 공적인 정착에 긴요한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에 여전히 많은 시사를 줄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爲了入學査定官制度的成功,先要학定保公正性和信賴性而爲了達到這目的涵養入學査定官的倫理 意識是?重要的部分。我以爲仔細地看過去先組爲選拔人才做的方法和運用制度的實狀情況是有助 于本制度的成功運用。具?來看,把三國統一期新羅的人才選拔方式調焦于花郞風月道。花郞風月 道重視的義氣培養方法和人才像是什마? 實踐``義``的前衛組織,則郞徒部曲的作動原理是什마? 花 郞風月道的兩個人間像``志氣之士``和``風月``指的是誰? 新羅人才選拔方式的歷史上的意思是什마? 這?個問題依次考察了。進一步,爲這制度的成功運用經過這樣的考察要强調入學査定關從原來的 ``滅私開公型``變到``活私開公型``。那爲能達到``活私開公型``需要的入學査定關的倫理意識是什마? 那就是``義``的實踐,則要``行義``的意識。爲這樣的意識先要淸廉而有能。已經探索好爲提高入學査 定關的淸廉性和有能的具?方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