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간 종단연구
류영철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해 입학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대학생활을 비교해 보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대학생활은 학업성적과 교내활동 참여, 장학금 횟수를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연구대상은 C대학교의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 입학생중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과 비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실시했다. 분석결과 학업성적의 평균변화율은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교내활동 참여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입학생들이 비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장학금 횟수는 입학사정관제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ewly introduced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entering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to compare the new students, admissions officers on the basis of that study to make use of the benefits of screening, the downside is suggesting complementary began in the spirit. Academic achievement and University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nalyzed by dividing the number of scholarships. Methods of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he study of C students entering the University in the academic year 2009 and 2010 school year, students entering ‘Admissions Officer System’ admitted and ‘non-Admissions Officer System’ students screening randomized to screening was conducted by entrants. Analysis of the average rate of change of the achievemen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dmissions ‘Admissions Officer System’ of the new students are more actively involved as entrants showed. Finally, the number of scholarships is whether the admissions offic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respectively.
입학사정관전형 사후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입학사정관과 입학생의 인식조사: 필요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중심
이원석(Wonsuk L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s and students who entered a university through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in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uses mixed methods, that is, surveys for admissions officers and interviews for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regarded as essential components of the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tself. Also the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in order to educe the potentials of students.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을 위한 타당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사후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바람직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은 어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입학사정관제의 핵심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과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입학사정관제 사후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을 위한 별도의 사후관리 프로그램은 입학사정관제 자체의 특성에 따라 입학사정관제에 내재된 필수적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사후관리 프로그램은 합격생을 위한 단기적인 예비학교나 영어, 수학 등 도구과목의 보완에 치중하는 것보다는 잠재력을 평가하여 선발한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의 잠재력 발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김혜진 윤리문화학회 2012 윤리문화연구 Vol.8 No.-
우리나라에 2007년도부터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에 의해 입학사정관이라는 새로운 전문직이 나타나게 되었다. 입학사정관제는 학생을 선발하는데 있어 대학의 자율성을 존중해주는 대학입학제도의 하나이기 때문에 전형운영과 더불어 전형에 참여하는 입학사정관들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입학사정관제의 빠른 안정과 발전을 위해서는 그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입학사정관들의 책임이 막중하며, 입학사정관 본인이 학생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평가를 하여 선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에게는 학생선발과 연관되는 모든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업무 하나하나에 윤리적 책임의식을 갖고 임해야 한다. 입학사정관에게 요구되는 윤리의식에 대한 중요성은 해가 바뀔수록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입학사정관제 발전과 직결된다. 이러한 이유로 각 대학은 윤리의식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학의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대학이 비슷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윤리강령제정만으로는 입학사정관제가 진행되는 한 입학사정관의 윤리성을 정립시키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입학사정관의 업무는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므로 본인은 전문가로서의 확고한 철학적 신념을 둔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윤리의식을 가졌다는 전제하에 본인의 업무에 충실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 보다도 자기 자신을 믿고, 자신의 양심에 따라 학생의 서류를 공정하게 평가하도록 하는 윤리의식을 스스로가 정립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적으로 지킬 수 있는 명확한 윤리적 기준이 필요하고, 입학사정관이 라는 새로운 전문성을 띤 직업이 생기게 된 만큼 직업으로 인정받고 그 안에서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게 하는 직업윤리 기준과 입학 사정관이 가져야 할 윤리적 기준 제정이 절실히 필요하다.
전경애(Kyung-Ae Ju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입학사정관제는 그 본질상,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정성적인 형태의 다양한 평가 자료를 가지고 지원자의 정보를 주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평가방법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전형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과 편협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편파적인 평가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선발의 공정성 및 입학사정관 각 개인의 윤리성이 입학사정관제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의견 및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주요영역을 선정하였으며, 현직입학사정관들과의 심층면접과 논의과정을 통해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입학사정관윤리교육프로그램은 입학사정관이 직면하게 되는 실제경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를 다루었고, 행위자의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하여야 한다는 주제선정의 원리에 따라 ‘사회와의 상호작용’, ‘선발과 관련된 윤리성과 책무성’, ‘입학사정관 업무와 관련된 법적 책무’ 라는 3개의 핵심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12개의 세부주제와 주제별 교육 자료까지 제시하였다. 입학사정관 윤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은 입학사정관 개인의 전문성 및 윤리성을 고취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입학사정관제가 공정하고 신뢰로운 선발제도로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role of admissions officers in universities is to evaluate applican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basis of diverse bases and materials for evaluation that include not only quantitative, but also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applicants. Therefore, the crucial key to ensuring the success of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is to ensure the fairness of admission-related decisions and the integrity of individual admissions officers by urging them to render impartial evaluations based on professionalism and avoidance of bias. This study selected the major realm of the ethical education for admission officers on the basis or experts’ opinions, and documentary research, and tr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mpose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and discussions with the incumbent admissions officers. The program must handle subjects that are intimately related to the actual experience of many admissions officers, and must be capable of inducing voluntary compliance from the officers. Therefore, the program suggested b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core areas of ethics: that is, ‘interaction with society,’ ‘ethics and responsibilities involved in admission,’ and ‘legal obligations and roles of admissions officers.’ To this end, it provides twelve sub-topics and learning materials. Providing this kind of ethical education programs for admissions officers will help not only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ethical commitments of admissions officers, but also broadly to establish a fairer and more reliable admissions officer system.
강인구(In-Gu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평가준거들이 실제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의미있는 평가준거로 활용되고 있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전형의 취지에 부합하는 다양한 평가준거를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입학사정관 전형에서는 다양한 평가준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업성적 위주의 사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G대학의 입학사정관 전형 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평가준거가 사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G대학은 입학사정관 전형의 평가준거로서 학업능력을 포함하여 5요소를 활용하고 있으며, 입학사정관 전형의 평가준거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학년도 입학사정관 A전형의 지원자(n=7,579)를 대상으로 평가준거 5요소의 각각의 점수와 최종점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최종점수는 각각의 요소의 합이 아닌 별도의 최종점수이다. 이 분석은 전형단계별로 전체지원자, 서류전형 후 및 면접전형 후 합격생의 평가준거와 최종점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의 평가준거는 별개의 최종점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각각의 하위 평가요소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전형단계별로 각각의 평가요소가 최종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평가준거 중에서 단순히 학업성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잠재력을 평가하여 학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향후 입학사정관 전형의 취지에 부합되는 지속적인 평가준거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whether admission officer evaluates applicants along dimensions of assessment or not. Admission officer should evaluate various potential ability of applicants. However, some critique of admission matters is that admission officers have often overstressed on academic qualifications, rather than other dimensions in admission assessment.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in seoul, Korea. This university makes decision for admission by five dimensions of assessment. Subject of this study is applicants(n=7,579) who apply a assessment by admission officer. This stud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rating and each rating of dimensions of assessment.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effect between each rating of dimensions and overall rating, and that admission officer evaluates after due consideration dimensions of assessm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dimensions of assessment need to develop for admission officer system.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3
대학교육은 인재교육의 정점이자 계층이동의 사다리로 기능하여 왔기에 대학입시는 여전히 전 국민적 관심사다. 그런 만큼 대학입시에서 많은 문제가 이슈로 등장했다. 그중 현재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명칭이 바뀐 기존의 입학사정관제는 대학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입학사정관제는 미국에서 처음 도입될 당시 동유럽 출신의 유대학생들에게 입학의 문을 좁히고 앵글로 색슨계를 우대하기 위한 정책이었으며, 지금도 상류층 자녀들에게 명문학교의 입학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라는 부정적 조명을 받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입학사정관제는 학생모집에 여성, 인종, 계층, 지역을 균형 있게 할당함으로써 제도적 다양화는 물론이려니와 교육의 형평성과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입학사정의 공정성은 교육의 형평성뿐만 아니라 사회정의의 실현까지 맞물려 있다. 이에 주관적 평가방식인 입학사정관제의 방식이 순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공정성과 신뢰성의 확보 이외에도 입학사정관들이 전문성과 그에 맞는 윤리의식을 갖추고 있느냐는 매우 중하다. 논문은 전문성에 바탕을 둔 자율성과 책임성을 입학사정관의 권리와 의무로 제시하며, 이에 따른 행위원칙을 공리주의, 칸트윤리론, 롤스의 정의론을 빌어 논구한다. 이를 통해 차별금지와 허용의 원칙을 함께 세우며, 입학사정관제의 윤리적 토대를 제시한다. Higher education in us has functioned as the sum m it of education of hum an resource and almost the only ladder of class mobility. Therefore, the national attention for the admission of universities remains the same. And as much as this attention m any problem s in the admission of university have become an issue. Among these,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is renamed the Track of General Transcripts of School Records emphasizes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Firs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system narrowed the gate of entrance into universities to jews form E astern Europa and instead gave preferential treatment to the Anglo- Saxons, which is why this system is still negatively considered as a system that offers the children of the upper class opportunities of entrance into distinguished universities. O n the other hand, admission officer system has contributed positively not only to diversification of admission, but also to equ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by allocating women, ethnicities, classes, and regions at the admission to universities in a balanced manner.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make sure of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admission officials and also to assure their professionalism and vocational ethics so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unctions properly. T he study suggest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based on professionalism as the rights and duties of admission officials and discusses the resulting principles of actions through utilitarianism , K ant’s ethics, Rawls’ concept of justice. Principles for forbidding and allowing discrimination will both be set in order to present a moral foundation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손희권(Sohn, Hee-Kwon),주휘정(Chu, Hui-J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4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3월 대학입학사정관제 확대 시행계획이 발표된 후 신문에 제시된 대학입학사정관제 개선방안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입학사정관 전형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전형이 교육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대입 자율화라는 취지에 맞게 이 제도를 운영하고, 대학관계자 자녀의 지원을 제한하기보다 부적절한 영향력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며, 차등적인 보상기준에 의한 특별전형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입학 전형자료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공교육의 정상화 및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쌍방의 이해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대학과 고등학교 간의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대학에서 교사의 업무 부담을 고려하여 꼭 필요한 정보만을 요구하며, 정보 공유 시에도 교육기본법 제23조의 3에 명시된 학생정보의 보호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끝으로, 대학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31조 제4항에 규정된 교육의 전문성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해석을 토대로 대학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의 개념을 확립하고, 경력만이 아닌 성찰이 동반된 경험과 대학입학사정관의 역할에 기초한 역량을 갖춘 자 중에서 각 대학별로 자격 연수 후에 대학입학사정관으로 채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및 교육정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ritically options for improving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suggested by newspaper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assure the fairness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t would be necessary to operate it i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college autonomy, to sanction faculty members and trustees if they attempted to influence over college admissions to their children instead of prohibiting their applications and, to distinguish it from affirmative ac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has educational validity. Second,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data for college admissions, it would be helpful to build a high school-university partnership for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and encouraging mutual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urriculum, to demand essential information, to reduce teacher burdens, and to protect students' privacies. Last, to increase professionalism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s, it would be helpful to interpret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on the basis of the constitutional demands fo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to employ those who have career experience with reflection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n the basis of their roles after professional certificate training.
교과내용학 :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이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에 주는 의미
손병욱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3
입학사정관 제도의 성공적인 착근을 위해서는 이 제도가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고, 그러자 면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이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과거 우리선조들이 지녔던 인재선발을 위 한 문제의식과 방법이 무엇이며, 운용된 제도의 실상이 어떠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앞으로 입학사정관 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통일기 (540-681) 신라의 인재 선발방식을 화랑풍월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화랑풍월도에서 중시한 의기(義氣)배양 방법과 인재상이 무엇인가?의 실천의 전위(前衛)조직인 낭도부곡(郎徒部曲)의 작동원 리가 무엇인가? 화랑풍월도의 두 인간상인 지기지사(志氣之士)와 풍월(風月)은 누구인가? 이런 문제를 차례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이 입학사정관제 전형에 주는 윤리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이 갖는 역사적인 의미와 시사점이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방식이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 앞으로 이 제도의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입학사정관이 기존의 멸사봉공형(滅私奉公型)에서 활사개공형(活私開公型)으로 바뀌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렇다면 활사개공형 입학사정관이 지녀야할 윤리의식의 핵심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그것은 한마디로 청렴하고 유능해야 하며 특히 청렴함이 중요 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청렴하고 유능하기 위해서는 의기(義氣)를 배양해야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의를 실천[行義]해야 한다고 보았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은 이 제도의 성 공적인 정착에 긴요한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에 여전히 많은 시사를 줄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爲了入學査定官制度的成功,先要학定保公正性和信賴性而爲了達到這目的涵養入學査定官的倫理 意識是?重要的部分。我以爲仔細地看過去先組爲選拔人才做的方法和運用制度的實狀情況是有助 于本制度的成功運用。具?來看,把三國統一期新羅的人才選拔方式調焦于花郞風月道。花郞風月 道重視的義氣培養方法和人才像是什마? 實踐``義``的前衛組織,則郞徒部曲的作動原理是什마? 花 郞風月道的兩個人間像``志氣之士``和``風月``指的是誰? 新羅人才選拔方式的歷史上的意思是什마? 這?個問題依次考察了。進一步,爲這制度的成功運用經過這樣的考察要强調入學査定關從原來的 ``滅私開公型``變到``活私開公型``。那爲能達到``活私開公型``需要的入學査定關的倫理意識是什마? 那就是``義``的實踐,則要``行義``的意識。爲這樣的意識先要淸廉而有能。已經探索好爲提高入學査 定關的淸廉性和有能的具?方案。
우리나라 입학사정관제 도입의 사회적 논의 과정 분석 : 일간지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안정희,배성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의 전개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우리나라 입시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로서 정착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간지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 2004년 도입된 입학사정관제가 2008년, 주요대학을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국면으로 접어들었고 2009년도에는 정부가 주축이 되어 입시제도 개선의 주요 해법으로 강조하면서 시행대학 및 선발인원이 급증하는 한편, 제도시행과 관련한 제반 여건이 미흡한 상황에서 학교 현장에 미칠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동시에 높아지게 되었다. 현재 제도의 장점과 단점을 공론화하는 과정을 거쳐 우리나라 교육현실을 고려한 제도로서 새롭게 조정되어야 함이 강조되고 있는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제가 성공적으로 정착 및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입학사정관제는 우리나라의 대학입시 문제를 개선해 나가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의 하나이며 선진국의 사례를 그대로 이식하기보다는 우리 교육현실에 맞게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도입을 계기로 고교-대학 간 교육과정 및 학생평가의 과정이 연계될 수 있으며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공교육정상화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AO (admissions officer) system by reviewing issues highlighted in newspapers and further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its successive establishment in Korea. The AO system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in 2004 and spread nationwide in 2008. It is currently view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improving our college admissions system. At the same time, however, a sudden increase in social awareness has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its negative effects on school education. Accordingly, we should critically consider both the system's strengths and weaknesses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ed multidisciplinary views of the system. We also emphasized that the AO system could be one option to improve our college entrance system. Furthermore, abruptly implementing a foreign system into the Korean educational situation without considering local factors should be avoided. Through the AO system,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s could be stronger in terms of curriculum and student evaluation. This woul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권승아,성태제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1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에 의하여 대학입학사정관제도가 2008년에 40개 대학에서 운영되었다. 40개의 시범대학과 155명의 입학사정관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입학사정관의 개인특성,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개선점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학사정관의 특성으로서 학력은 일반적으로 석사학위 이상이며 경력은 초ㆍ중등교사, 연구원, 그리고 대학입학 관련 직원이 다수였고, 주로 채용공고를 통하여 임용되었으며 비정규직이 대부분이었다. 학생선발은 대학 본부나 부서에서 설정한 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아직까지 입학사정관은 입학전형기준을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선발 시 다수의 입학사정관이 협의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입학사정관의 판단이 미치는 영향은 30%이하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입학사정관의 조직은 입학관련 부서의 하나로 운영하고 있었다. 입학사정관에 대한 인식으로서 학생들의 자료를 검토할 경우 가장 우선시 하여야 할 자료는 학생부와 비교과 영역, 면접 내용, 그리고 자기소개서라고 하였으며, 입학사정관이 지녀야할 중요한 업무 능력은 전형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과 평가능력, 전형자료 분석과 이해능력, 그리고 창의적인 연구능력 순서로 열거하였다. 입학사정관의 인식으로 과열과외 완화와 사교육비 감소에 대한 기대는 낮았으며 학생선발의 다양화와 특성화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입학사정관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과 업무에 대하여 매우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법적ㆍ제도적 보장에 대하여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입학관련부서와의 관계 정립과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사회적 공감 부족 등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였다. In 2008,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egan to financially support 40 colleges to apply holistic review of application materials in their student selection. This study surveyed 155 newly-hired admissions officers in those 40 colleg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admissions offic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are master degree holders and their former occupations were teachers, researchers, and college admissions-related staff members; 2) they took a part in application review process but their level of influence in student selection is under 30%; and 3)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dmission decision are academic records, interview, and personal statement.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admissions officer is ability to conduct holistic evaluation, and analysis skills needed in reading application materia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follow.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expect that selecting students based on a holistic evaluation would diversify the ways to select students, but do not expect in reduction of educational expenses spent in private sector. Most of the admissions offic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role and duty but dissatisfied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security of their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