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가적 활동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지론적 접근

        이현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3

        There have been questions how entrepreneurs think, act and why individuals become entrepreneurs. The trait-based explana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has been main stream. However, the trait-based theory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 assumes that entrepreneurial traits are inherited, stable and enduring over time. This research accepts the cognitive theory to see how entrepreneurs learn or accept others’ values, how entrepreneurial perceptions of opportunity impact entrepreneurial actions and how individuals acquire the social legitimation of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order to capture the attitudes, activities and motivations of people who are involved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 author uses the GEM Korea 2016 data. The data from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 r(GEM) has been well known for the data to capture individuals early-stage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is paper used the sample from the APS (Adult Population Survey) of the GEM which was completed by a representative sample of two thousand adults in Korea by the qualified survey vendor, with strict procedures and oversight by the GEM central data team. The hypotheses are tested with logit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the influence of perceptual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perception in social learning, the opportunity recognition in the environment, and social legitimation in the entrepreneuri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individuals tend to have high entrepreneurial activities if individuals have high self-efficacy. Also, the existence of role models around the entrepreneurs encourages the individuals involve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more however the perception of opportunity in the environment is not strongly associated with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 media exposure of successful entrepreneurs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perception of entrepreneurs on the desirable career option or respect from communities.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cognitive processes, particular perception about oneself, as well as perception which is impacted by a community or a society.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왜 어떤 사람들은 기업가가 되고, 어떤 사람은 기업가성향을 갖지 않는가?”라는 질문은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은 기업가의 특성을 바탕으로 기업가적 의도와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나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를 얻어내지 못하였으며,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이러한 비판은 인지론적 접근 (Cognition Theory)을 통한 연구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즉, 어떤 사람이 기업가적 행동을 하는지는 어떤 특정한 자질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가가 어떻게 인지를 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GE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Korea 조사를 바탕으로 기업가적 행동(초기 기업가적 행동 – 창업을 하고자 준비하는 예비창업자, 창업을 하여 42개월 미만의 초기 기업가를 대상으로 함)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GEM조사는 크게 성인조사와 전문가조사로 구분되며, 본 연구의 표본으로 사용한 성인조사는 우리나라 성인 2,000여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업가정신에 대한 태도, 인지, 동기, 성장열망 등을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의 인지론적 접근방법을 사용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연구 대상을 대학생, 대학원생들의 기업가적 의도 및 창업 의도로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실제 기업가적 행동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기업가적 과정에서 기업가의 인지는 단지 기업가 개인적 수준에서의 인지 즉, 자기 효능감 (Self-Efficacy), 가치관, 태도적 특성뿐만이 아니다. 개인 수준에서의 인지요소들과 더불어 사회 문화적 환경으로부터 영향 받아 형성되는 지각 (Perception)과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통해서 형성되는 지각 또한 기업가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GEM 연구의 검증된 조사방법을 통해 선정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일반 성인 샘플을 대상으로 하여 로짓 회귀분석을 통해 기업가적 활동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동안 연구의 중요성에 비해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롤 모델에 대한 인식,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기회에 대한 인식, 사회적으로 얼마나 기업가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는지와 같은 사회적 정당성에 대한 인식이 기업가적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에 기업가적 활동 참여에 더욱 적극성을 보이며, 주변에 기업가로서의 롤 모델이 있는 경우 더 적극적인 기업가적 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다만 사회적으로 기업가가 좋은 경력의 대안으로 인지된다고 하더라도 개인들의 기업가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며, 또한 사회적으로 기업가가 존경받는 위치에 있다는 것도 기업가적 활동을 촉진시키는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디어에서 성공 받는 기업인이 많이 노출 되는 것은 기업가적 활동을 촉진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기업가적 의도가 기업가적 활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사회적으로 어떤 조력이 필요한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의 인지론적 접근방법에 대한 이론적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인지론에 기반한 한국 생태시 분석 연구

        오지혜 ( Oh Ji-hy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 Vol.0 No.78

        이 연구는 생태시를 대상으로 인지론적 접근에서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을 내용으로 삼고 있다. 생태시는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생명, 자연, 인간, 환경을 소재로 하여 생태 파괴의 문제를 다룬 시를 통칭한다. 이 연구에서는 생태시를 자연 혹은 자연미를 감상하는 차원의 생태시, 자연 파괴를 묘사하는 생태시, 인간성찰을 통해 복원, 이상을 지향하는 생태시로 나누고, 생태학적 서정시와 문명 비판 시 두 편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의 분석은 인지론적 접근에서 은유도식, 프레임, 스크립트에 따라 이루어졌다. 이 경우 은유와 이미지는 심상, 개념, 언어로 독자의 마음속에 표상된다는 전제로부터 중심은유 및 중심이미지, 파생은유 및 파생이미지에 주목하고 이를 해석하였다. 두 편의 생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모형열쇠문장, 중심은유 및 중심이미지, 파생은유 및 파생 이미지를 각각 분석하고, 중심은유 및 중심이미지와 파생은유 및 파생이미지 간 의미 관계, 스크립트 간 의미구조를 규명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analysis on Korean ecopoetry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A poetry as a kind of ecological literature which deal with ecological problems about life, nature, human, environment is commonly called ecopoetry. This study has examined especially a work of ecological lyrical poem and a critical poetry of civilization respectively, with classifying ecopoetry as nature or natural beauty-appreciated poetry, destruction of the ecosystem-described poetry and ecological restoration-oriented poetry. Analysis of ecopoetry from cognitive approach is based on metaphor-scheme, frame, script. Also poems has been interpreted on the premise that metaphor and image through mental imagery, concept, language are represented on mind, paying attention to derived metaphor and derived image as well as core metaphor and core image. To be more concrete, this study has analyzed and revealed the semantic relation and structure between them in addition to each of frame matrix key sentence, core metaphor and core image, derived metaphor and derived image in two poems.

      • KCI등재

        감수성이론에서의 도덕적 진리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데이비드 위긴스와 존 맥도월이 제시한 감수성이론의 두드러진 특징은 도덕적 진리의 인식이 〈속성, 반응〉의 결함에서 온다는 주장이다. 이것을 무선후이론(no-priority view)이론이라고 하는데, 속성과 반응이 동시에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 무선후이론의 중요한 조건은 분석불가능성인데, 상기한 결합이 분석되지 못함을 규정함으로써 무선후이론이 지탱되는 것이다. 이 현상학적 진리가치론은 많은 예외적 상황에 부딪치게 되고, 감수성이론가들은 수렴이라든가(위긴스) 이성의(맥도웰) 개념들을 끌어들여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고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는 수렴이나 이성의 개념으로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무선후이론에서 말하는 분석불가능성과 서로 충돌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주요 부분들이 서로 충돌하게 되면, 감수성이론이 갖는 이론적 독특성과 그 이론이 제시한 인지론이 모두 그 정당성을 잃게 된다고 필자는 또한 주장한다. A unique feature of the sensibility theory proposed by David Wiggins and John McDowell is their claim that moral truth is ascertained in the combination of 〈property, response〉. This is called the no-priority view which means that moral property of external objects and response in sensibility come simultaneously. One of the key conditions for the combination is unanalyzability, without which the no-priority view cannot be sustained. This phenomenological view of moral truth encounters many exceptions, so that the sensibility theorists try to defend their view by incorporating additional theoretical tools like convergence (Wiggins) or practical reason (McDowell) into their theory. The author argues that these additional tools come to collide with the notion of unanalyzability. The author further argues that the sensibility theory's uniqueness and cognitivism would lose its ground, due to the collision.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시조문학교육의 인지론적 연구

        이송희 ( Song Hee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과정의 하나로써 시조문학교육의 인지론적 연구를 통해 의미생성과정을 살펴보고, 외국인을 위한 시조문학교육이 갖는 의의를 발견해보고자 했다. 논리적이고 안정적인 틀을 취하고 있는 시조의 3장 구조가 의미의 흐름을 밝히는 데에 용이하다는 점, 시조의 3장 형식은 6구로 나누어 설명이 가능하여 시조 형식과 수사적 자질을 설명하는 데 용이하다는 점 등에서 학습자에게 효용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장르라는 점을 확인했다. 교육적 재재로서의 ‘시조’를 살펴보고, 단시조, 연시조, 사설시조로 구분하여, 시조의 3장 구성에 따른 의미생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정보구성의 원리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텍스트의 이해를 폭넓게 유도할 수 있음을 보였다. 단시조의 경우, 교수자는 학습자로 하여금, 초장, 중장, 종장을 각각 한 행씩 배치했던 고시조와는 달리 한 장을 몇 개의 행, 몇 개의 연으로 갈이를 하는 현대시조의 형태를 텍스트의 의미구조와 함께 드러낼 수 있었다. 연시조의 경우, 각 수가 독립된 시세계를 지니면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주제에 수렴되고 통합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지시키는 일이 중요함을 언급하였다. 사설시조의 경우 서사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작품에 드러난 이야기의 구조와 인물의 성격, 시점의 변이를 이해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한국 고유 시가의 특수성을 외국인에게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며, 시조문학의 구체적인 학습방안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meaning creation process through the study of cognitive study on Sijo literature education as one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seek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the Sijo literature education for foreigners. This study looks at ``Sijo`` as the material of literature education for learners and shows the process of cognitive composition in Saseol-sijo which is classified into Pyeong-sijo, Combines-sijo and Saseol-sijo with having the pecularities of the Sijo literature from Chapter 3. In the case of Pyeong-sijo, teachers make learners understand a text depending on the form of Modern-sijo that makes a variation with several lines and stanzas in a paragraph. The study refers to the importance to recognize that each stanza should be converged into one theme overall with having independent poetics in the case of Combined-sijo and makes it clear that the narrativity in Saseol-sijo have learners comprehend the vari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story, character`s personality and a point of view which is revealed in the works. I think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let all learners know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That leads learner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korean emotion.

      • KCI등재후보

        영상미디어 연출과 공간성의 변화

        김미옥,심희정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5 조형미디어학 Vol.8 No.2

        As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make progress, the role of image has much influence on human being in space as a medium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a means of artistic communication. These influences are appeared a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such as the reproducibility of reality and unreality in the real world, the synchrony of expression of time, visual formality, a sign and the transmission of meaning, For these,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meaning of image in space,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of image, space, and human being. As study finding show,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image in space have such visual effects as a space in pictorial formality and object exists, in which the mutual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exists, and realizes immaterial membrane in the aspect of time and space, according to the electronic light, color and formation of the image media. In addition, it become clear that the characteristic could be staged on various circumstances by constru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object and a point of time interactively wit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rough combining technology and art. This suggests that the image develops as the form of sensory communication via interacting of space and human being. 공간에 대한 디지털 매체의 점유도는 점점 높아간다. 학제의 중심된 논의가 디지털 미디어가 지닌 특성과 현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넓은 의미에서 인간과 기술의 관계는 인간과 매체의 관계, 인간과 매체 환경에 대한 논의로 좁혀지고 지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가 지닌 상호작용의 특성과 영상이미지는 기능적 공간을 촉지적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이러한 점에 주안점을 두어 공간 지각의 관계를 환경 인지론적 입장에서 접근하며, 디지털 매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공간, 영상 이미지에 따른 공간의 연출 특성을 키네틱성과 내러티브성, 퍼포먼스성, 매체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현대 들어 인지론은 인간의 지각과 인식이 의식의 통합적 프로세스안에서 이행된다고 보고 있다. 인간의 의식의 불가해한 프로세스를 연구하는 인지주의적 입장은 수용자적 입장의 연구들과 맥을 같이 한다. 공간은 무엇보다 인간에게 지각적 경험의 장이다. 퐁티(Merleau ponty)의 신체성1)의 중요성도 이와 같은 견지에서 논의 할 수 있겠다. 공간에 대한 인간의 체험이 단순한 오르관적 기능의 수행의 장이 아니라, 차원 높은 인간의 의식과 행위를 영위하는 장이다.

      • KCI등재

        뇌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신체활동과 인지 관계

        이규일(Gyu Il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4

        최근 뇌 과학 분야에서는 신체활동과 인지 관계에 대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일군의 신경현상학자들은 이원론적 관점의 인지론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고, 몸과 그것의 운동성을 기반으로 기존의 인지를 재개념화하고 있다. 또한 신경생리학자들은 신체활동이 뇌의 인지 기능 발달에 기여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이들 연구 분야에서는 몸의 관점에서 신체활동과 인지의 관계를 재정립할 수 있는 논리적 및 실증적 토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신체활동과 인지에 관한 신경현상학과 신경생리학 분야의 주요논의를 살펴보고, 그러한 논의가 의미하는 체육교육학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2장에서는 신경현상학자들이 주장하는 체현된 인지론 관점에서 신체활동과 인지의 논리적 관계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신체활동은 뇌와 행동과 세계의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인지적 및 체험적 의미로써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3장에서는 신경생리학자들의 신체활동-인지의 효과 모델을 근거로, 신체활동이 인지 기능 향상에 개입하는 경로를 간접적 경로(신체적 자원, 질병 상태, 정신 자원)와 직접적 경로(인지기능 개선, 신경형태학적 변화)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신체활동이 뇌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분한 경험적 증거를 확보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5장에서는 체육교육학적 시사점으로, 체육과 인지 학습 개념(신체활동이 인지학습이다)과 인지학습으로써 체험의 수업전략(신체적으로 활발한 신체활동과 선 기술 습득)을 제안하였다. Brain scientists have discussed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on in depth lately. The most representative subordinate academic domains were a neurophenomenology and neurophysiology. The former criticized traditional cognitional concept, and then re-conceptualized cognition with a basis of body and its movement. The latter established cognitiv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through experimental studies. The discussions in these academic domains were able to provide new rationalization of cognitive learning and pedagogical ideas in physical education. However, sportpedagogists didn`t take interest in the domains yet. Therefore, I reviewed researches of neurophenomenology and neurophysiology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on in this study, and then tried to find out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the perspective of physical education. In second chapter, I examined a rational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on in basis of embodied cognition that neurophenomenologists insisted. In third chapter, I provided direct and indirect effective routes that physical activity contributed to cognitional development. In final chapter, I proposed “Physical activity is a cognitive learning” as a new concept of cognitive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two teaching strategies to facilitate cognition in P.E., “physically active P.E. & first, acquiring physical skills”

      • KCI등재
      • KCI등재

        문학과 교육 문학교육을 위한 정미경 <밤이여, 나뉘어라>의 인지론적 연구

        김원희 ( Won Hee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인문학연구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narrative metaphor with recognition perspective in <Night, be divided> by Migyeong Jeong, and to offer concrete practices of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Abstracted existence consciousness is recognized to the learners as dynamic image of culture represented by intertextuality from the Bible, poem of Nelly Jaks, poetic plays of Esang Yun, the life of Mozart and Salier, Munch`s The Scream, and paintings of Madonna, due to the recognition path mapped by trip, scream, white night, etc. Her narrative metaphor in <Night, be divided> specified by the recognition path seeks the alternatives to recovery of life on the learner-centered perspectives by delivering existence consciousness of post-modernism. This narrative metaphor implies that the alternatives to heal the ills of post-modern era depend on the role of the reader who is the final meaning producer of text. And her work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of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문학 교육을 위한 강경애 『인간문제』의 인지론적 연구

        김원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text in Kyung-ae Kang's "Human Problems" by recognitive approach, and to provide clues to understand her value of actual life and to open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reflecting our life. In her text, she suggested progressive consciousness for history through repetitiv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survival, social consciousness for justice through oppositiv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conflict, and integrated consciousness for solidarity through organic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growth. This is how to communicate value of her practical life with readers. Thes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in her text can be applied to literacy education as follows; First, progressive consciousness for history through repetitiv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survival can help students building future-oriented perspective and establishing the goal of life. Second, social consciousness for justice through oppositive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conflict can help students building sense of social justice to deal with the human right of foreign immigrants, wealth gap, and gender inequality. Third, integrated consciousness for solidarity through organic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of growth can help students refining democratic sense to harmonize between selfish life and co-prosperity. In conclusion, she provided opportunity for readers to cultivate healthy civic consciousness by suggesting progressive sense of history, divergent social consciousness, and integrative solidarity through her text in "Human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