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이 인지한 아동기 부모-자녀 애착이 인성 및 영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함영주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본 연구는 청년이 인지한 아동기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청년기 인성과 영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논문이다. 최근 한국사회의 핵심 화두는 인성교육이다. 현대사회가 산업화와 핵가족화를 겪으면서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해왔던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가치인 인성을 중요시하는 풍토가 약화되었고 그 결과 가정, 학교, 사회 등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비인간적인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이는 모두 인간성 상실로 인한 결과라 하겠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인성교육진흥법을 제정하여 각급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과 같은 가치들을 교육하여 인간성 상실의 시대에 인간의 본질적 가치를 세우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 대하여 근본적인 물음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인성교육이 학교와 같은 2차 교육기관에서만 실시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인성교육은 본질적으로 1차적 교육기관인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특히 가정 내에서 부모와 자녀 간의 친밀한 애착관계를 통해서 부모로부터 인격적인 가치와 삶을 본받고 실천해야 한다. 이것이 우선되어야만 이후 학교나 교회와 같은 2차적 교육기관에서 행하는 인성교육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성경은 인간됨에 대하여 강조한다. 성경적 의미의 인성교육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으로써 새로운 속사람을 회복하여 성령의 열매를 맺도록 함으로 성취될 수 있다. 이는 가정과 교회와 같은 신앙교육 기관에서 인성의 회복을 위해 지향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부모 자녀간의 애착이 청년기 인성 및 영성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기 부모 애착이 청년기 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아버지 애착은 인성의 인지적 영역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 애착은 인성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인성의 행동적 영역에는 아버지 어머니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아동기 부모와의 애착은 청년기 영성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아버지와의 애착은 청년기의 종교적 안녕감 및 실존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영성발달이 인성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성숙한 신앙을 나타내는 내적신앙동기가 인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중요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건강한 인성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시켜야 한다. 둘째, 자녀의 인성계발을 위해서 부모의 상호보완적이고 협업적인 역할과 강점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인성발달을 위해 가정, 교회, 학교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견고히 해 나가야 한다. 넷째, 인성발달을 위해 신앙교육을 더욱 철저히 시켜야 하며 신앙교육의 내용이 인성계발의 측면과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인성발달을 위해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건강한 애착이 중요하며 신앙교육 역시 인성계발과 연계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personality and spiritual development of young adults. One of the recent issues has been a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Modern society experiences loss of humanity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s a result, various humanity problems are being raised in home, school and society. To overcome this reality, the government enacted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conducted personality education in schools of all levels. The government is attempting to set human values in the era of humanity loss by educating the values such as etiquette, filial piety, honesty, responsibility, respect, car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However,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t home before it is implemented in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The Bible emphasizes humanity. Biblical humanity education can be accomplished by restoring the image of God, restoring a new inner man and bearing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in the home on youth personality and spiritual development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childhood parental attachment on young personality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father attachment affected the cognitive domain of personality development and mother attachment influenced the affective domain of personality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both the father and the mother did not affect the behavioral domain of personality development. Second, attachment to parents in childhoo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in young adulthood. Especially, attachment to father was found to affect religious well – being and existential well – being in young adulthood. Third, spiritual development influenced personality development. The motivation of inner faith to express mature faith affecte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of human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presented four important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이 만 4세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신고은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0 사회심리발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이 만 4세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문학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은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문학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은 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40명의 4세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은 만 4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은 만 4세 유아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인성교육으로 유아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타인과 공유하며 인정받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연습을 할 기회가 제공된 효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 literary approach on social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4-year-old infants. The research targets 40 students at a private D kindergarten, one class out of four-year-olds and one class out of two classes were assigned as a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a control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literary approach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development of a 4-year-old child. Second,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 literary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a 4-year-old child.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the effect of literary approach to personality education, understanding the context in a fairy tale book, exchanging ideas with each other, and influencing the context of the book.

      • 공동체적 인성과 인성치유에 관한 연구

        정용구(Yong koo Jung) 한국인성치유학회 2017 인성치유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인성치유를 위한 제반적 요소로 개인발달, 타인관계, 공동체적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공동체적 인성과 인성치유에 관한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인성을 가지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을 큰 분류로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로 개인의 발달은 발달시기에 따른 건강한 발달이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건강한 관계역동을 발휘하기 위해 부부관계와 같은 애정과 친밀한 대상관계의 확립이 필요하고 부모-자녀와의 관계에서 건강한 양육적 관계역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형제-자매관계를 통해 동료와 사회적 역할과 질서를 배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로 공동체적 의식이 필요하다. 공동체적 의식은 질서와 배려, 존중의식이 함께 연계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동체 인성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가족공동체 안에서의 원만하고 균형 있는 개인발달, 타인관계, 공동체의식이 성장할 때 사회공동체로서 확장, 실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 필요한 연구과제로는 공동체적 인성을 발전,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활용이 요구되어진다고 하겠다. 또한 각 발달시기에 맞는 인성적 요소를 발굴하고 모형을 개발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 상담 그리고 치유장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공동체 훈련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duct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al personality and personality therap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veral elements for personality therapy are personal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ommunal mindset. We looked through the three necessary conditions for having healthy personality. First of all, an individual’s development has to be achieved by going through the stages of infancy,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make sound development according to proper developmental stages. Second, confirmation of intimate object relation like marital relationship and healthy nurturing relationship dynami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needed to display healthy relationship dynamic in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lso, it is presumed that fellowship, proper social roles and order can be learned through relationship with siblings. Thirdly, communal attitude is required. Communal mindset is a concept of order, consideration and respect connected together. When harmonious and balanced personal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ommunal awareness within familial community are developed, a social community would be extended and achieved to practice communal personality through this awareness. Thus, as a research task in the futur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helps communal personality to grow are needed. As well, discovering the proper personality elements for each appropriate developmental stage and developing the applicable model are required. During the process, communal training program which can be approached in educational, counselling and therapeutic scenes also has to be developed.

      •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른 인성교육덕목에 관한 연구

        김향미(Kim Hyang Mi),김덕선(Kim Duck Su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생애주기에 있어서 인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성교육은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며,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른 인성교육의 덕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 특성의 각 항목과 인성과의 관계를 논하고자 한다. 유아기는 발달 특성과 접목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유아기에 나타나는 발달 특성의 각 항목이 인성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발달 특성에 따라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기 발달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이론 등이 있다. 이러한 학문체계에서 유아기 발달 특성을 분석해보면, 첫째, 신체 및 운동 발달이다. 둘째, 놀이 활동이다. 셋째, 인지능력의 발달이다. 넷째, 정서 발달이다. 다섯째, 성격 및 사회성 발달이다. 인성교육의 덕목으로는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 등을 제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은 유아기에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덕목은 유아기 발달 특성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 life cycle is made very effective in its infancy, and to present the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ildhoo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ecessary toughness characteristics of grafted and de-velopment. The reason is that each item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early childhood, because it is effective to execute the charact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general,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ories,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social psychological theory developed in Ericsson. Haebomyeon analyz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system, first, the physical and motor development. Second, the play activities. Thir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s. Fourth, the emotional development. Fifth,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There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a caring,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filial piety and so on. In conclusion, character education is important to conduct research in early childhood through the present, and its virtues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중요도 인식 및 인성발달 수준과 요구도 분석

        성명희 ( Myung Hee Seong ),김은주 ( Eunjoo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별, 연령, 학년, 전공별 인성교육의 중요도 인식과 인성발달 수준을 조사하고 인성교육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E대학교 교양교과목 ‘인성세미나’ 수강학생들 16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중요도 인식과 인성발달 수준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중요성 인식은 존중 덕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 연령, 학년에 따른 인성교육의 중요도 점수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년을 제외하고 전공에 따라서 집단 간 인성교육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례지도학과와 유아교육학과가 다른 학과에 비해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은 존중 덕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성별, 연령, 전공, 학년별 인성발달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인성발달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25세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년의 경우,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의 경우, 중독재활복지학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품산업외식학과의 인성발달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인성교육의 요구도 및 요구 순위를 분석한 결과 성실이 가장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고 예절이 가장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This study explores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and analyzes their demand for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ir gender, age, school year and maj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68 students in the general elective course named ``Personality Seminar`` in E University. PASW Statistics 18.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respect among the items of virtue was shown the highest in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Second, the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gender, age, school year and major turned out that major is the only factor that showed group differences.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shown higher in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Mortuary Science and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pared with other majors. Third, among the items of virtue, respect was ranked the highest in the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Fourt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in personality development based on gender, age, school year and major of college students turned out that male students gained higher marks than female students in personality development. As for age, the group of students aged above 25 gained the highest marks, and as for school year, the fourth year students gained the highest marks. As for major,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ddiction Rehabilitation and Social Welfare gained the highest marks, and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and Services gained the lowest marks in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demand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its priority showed that sincerity was ranked first and manners were ranked last.

      • KCI등재

        교양교과목 <인성과 미디어> 수업에서 만학도 중심으로 발달단계별 인성덕목 탐색

        김성원 ( Kim Seong-won ),윤정진 ( Youn Jeong-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인성교육을 통해 만학도 중심으로 발달단계별 인성덕목에 대해 알아보고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성덕목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교양교과목 <인성과 미디어> 재직자반 수강자 40명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인성교육에서 만학도가 본 발달단계별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인성덕목은 영유아기에는 ‘질서’, ‘배려’, ‘나눔’ 순으로 나타났고, 10대에서는 ‘정직’, ‘장아정체감’, ‘협동’, ‘소통’ 순으로 나타났고, 20대에서는 ‘자아존중감’, ‘책임’, ‘협동’ 순으로 나타났고, 30대에서는 ‘책임감’, ‘정직’, ‘배려’ 순으로 나타났고, 40대에서는 ‘책임감’, ‘배려’, ‘존중’, ‘소통’ 순으로 나타났고, 50대에서는 ‘배려’, ‘소통’, ‘관용’ 순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을 통해 만학도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성덕목에 대한 분석 결과 ‘책임’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배려’, ‘존중’, ‘효’, ‘예’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은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인 인성을 길러주는 능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성덕목을 발달단계별로 살펴봄으로써 인성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sonality virtues in each stage of development, focusing on Mature-age students,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 and to find out what personality virtues are most importa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course < Personality and Media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t prominent personality virtues seen by the students in personality education were “order,” “care,” and “sharing” in their infancy, followed by “honesty,” “self identity,” and “cooperation,” In their 20s, they were “self-esteem,”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in their 30s. In their 40s, they were “responsibility,” “care,” “respect”, and in their 50s, they were “care,” “communication,” “toler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ersonality virtues, which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by Mature-age students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 “responsibilit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re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ersonality education is an active and future-oriented education that fosters one’s personal and social personality and is provided as basic data suggesting the direc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인성발달 수준, 인성교육의 요구도 분석

        강용주(Yong-Ju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중요도 인식과 인성발달의 수준, 인성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대학생활과 인성’교과목을 수강한 180명의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3.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는 효도 덕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용기 덕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출신고교계열, 종교유무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현재 인성발달의 수준에서는 예절과 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현재 인성발달의 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성교육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인성발달 수준의 상관관계는 성실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인성교육의 요구도 분석 결과, 절제, 효도, 성실, 책임, 용기, 지혜, 준법, 정의, 예절, 존중, 협동, 배려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향후 인성교육에 기초차료로 활용하여 효율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their level of character development and needs for that education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the efficiency of character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0 selected dental hygiene students who took a course in “college life and character.”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23.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he virtue of filial piety and attached the least importance to the virtue of courage. Second, regard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what type of high school they graduated from and whether they were religious or not made no differences to that,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year. Third, as to the current level of character development, they were most excellent in etiquette and caring.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current level of character development. Fifth, in regard to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current level of character develop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t and every item except faithfulnes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needs for character education, they gave top priority to moderation, followed by filial piety, faithfulness, responsibility, courage, wisdom, law abiding, justice, etiquette, respect, cooperation and c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인성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한 질적 연구: 성격발달이론과 긍정심리학 관점을 중심으로

        장민희,서예지,정태연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2

        Purpose: Based on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haracter in terms of personality development and character strength and virtu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of character education taking place in the fields. Finally, given these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presented. Methodology: Forty-one participants ranging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o adults were asked in the form of a semi-structured interview to describe their experiences of character education, their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towards that and reasons for it, and their opinion on the future directions of character education.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Participants shared with purpose and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but were skeptical about its effectiveness. Among the main reasons they listed for that were th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big distance from reality, and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Participants wanted future character education to be diverse across age groups in perspective on life-span human development. They expected this education to deal with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integrated human development instead of sticking to the subject of morality. Finally, they suggested that character education needs to go beyond school settings and try to enhance individuals both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to form more mature personality. 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and future direction in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eople responsible for character education understand what character is like and what character education ought to teach. 인성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성의 정의와 이론은 충분한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많은 인성교육이 주입식 방법으로 당위적 차원의 이야기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인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여러 의구심의 목소리들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기존 인성교육이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인식함으로써 우선적으로는 인성의 이론적 배경을 성격 발달과 긍정심리학의 성격강점 및 덕목의 관점에서 정리하고, 인성교육에 대한 교육대상자들의 인식과 태도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를 현장의 목소리로 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41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과거 경험했던 인성교육, 현재 인성교육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 태도와 그 이유, 앞으로 인성교육의 방향성에 대하여 반 구조화된 형태로 질문한 후 응답의 빈도를 기준으로 내용을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결과, 참여자들은 인성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인성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주입식 방법, 현실과 괴리가 있는 진부한 도덕적 내용, 열악한 교육환경 등이 주요한 응답이었다. 향후 인성교육은 학교에 머무르기 보다는 성인을 포함한 전 생애 발달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단순히 도덕적인 주제보다는 한 인간으로서 자기를 실현해 가는 성숙한 존재로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 심리·사회적 통합교육으로의 발전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로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학교 현장을 벗어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창의·인성교육과 유아발달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김은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4

        본 논문은 최근 창의성과 더불어 인성발달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심이 교육정책에도 반영되고, 창의성 및 인성 형성에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 창의성과 인성의 계발을 함께 추구하려는 창의・인성교육의 발달적 토대를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새롭게 고찰해보고 이것이 앞으로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창의성과 인성의 관계를 재검토해 보고, 글로벌 지식사회에서 상생하기 위해 중요한 창의・인성의 발달적 토대를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발달에 보다 적합한 창의・인성교육의 방법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Recently, new educational policy has begun to reflect growing interest i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has been newly highlighted.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developmental foundations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which considers both creativity and character together, and explores its significance and new meaning for child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this study re-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n, it explored how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foundation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to co-exist in a globalized knowledge-based society. It furt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conditions appropriate to the needs of young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관수(Kwan-Su An),백현기(Hyeon-Gi Baek)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홀리스틱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배경 변인(성별, 학년)으로 인성교육을 독립변인으로, 사회성(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 책임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준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자기존중의식,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협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음공부 프로그램 참여한 학생의 인성교육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효도⋅ 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자기존중의식이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자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책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Mind Training Program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a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nd school year),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skills (respect for law, collaboration, sociability, independency, and responsibility) as dependent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250 students in three Won-Buddhist alternative high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6.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filial piety/ respect for elders under the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variable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respect for law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skill development. Second,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self-esteem, and filial piety/ 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collaboration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Third,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filial piety/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social skills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Fourth,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self-esteem influenced significantly independency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Fifth,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and filial piety/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a sense of responsibility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 verified that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Mind Training Program has more beneficial effect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compared to general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