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존인물의 신격화 배경에 관한 주요 원인 고찰

        서종원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9 중앙민속학 Vol.- No.14

        인물신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실존 인물이 신격화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해 실존 인물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었다는 점, 장군이라는 정, 어느 정도 신분이 있는 인물이라는 점 등 여러 가지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이란 근거는 오늘날 우리에게 알려진 여러 실존 인물신이 이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존 인물의 신격화 배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러한 특징이 여러 인물신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문제점에서 출발한 본고는 기존에 알려진 실존 인물신의 신격화의 원인 중에서 신격화에 있어 절대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무엇인 지에 대해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실존 인물신과 함께 그 실존 인물이 신격화 될 수 있었던 배경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살펴본 실존 인물신은 최영, 남이, 단종, 임경업이 주요 대상이었으며, 정우복과 손돌의 신격화에 대해서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실존 인물의 신격화 과정을 살펴보면 실존 인물의 신격화될 수 있었던 주요 요안은 기촌 연구자들이 언급하고 있는 여러 가지 원인 중에서도 유독 실존 인물신이 지역과 적지 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인물신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여타의 다른 원인보다 이 점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인물신을 마을신으로 모시고 있는 대상이 지역민이라는 점도 중요하지만, 지역과 연관된 인물신이 지역사회에 미친 업적과 공을 입은 주민들이 은혜를 보답하기 위한 차원이 결정적인 양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러한 요인만으로 실존 인물이 신으로 형성된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다양한 요인과 더불어 실존 인물이 자라온 환경, 그리고 그를 신으로 모시고 있는 민중들의 삶의 방식과 사고 등이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런 부분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있어야 만이 실존 인물신이 신으로 좌정된 배경을 보다 세밀하게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arlier studies show that the reasons about deification of existential person. They referred to various facts; person who got a bum rap, have a high position and a general. It is based on feature of the well known existence man who became God. This report aims to examine what is enormous influenoe reason about deification of existential person. In this report, I consider representative historical people who were served as God and background of deification in order to find answers. Stales of deification about Choi yeong, Nam lee, Dang Jong, Im Keong eup, Jeong woo bock and Son dol are examined roughly. It is main reason that historical people who were served as God have connection with area. It is more outstanding than any other reasons. Although the thing about local residents serve historical people who were served as God is important, it seemed that villagers recompense God for his blessing is decisive influence. Of course, it isn`t constituted of such factors. It seemed that it is influenced by with above mentioned various factors, life e environment and people`s way of living. It requires a detailed analysis about background of historical people who were sewed as God.

      • KCI등재

        올브라흐트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등장인물의 특성

        유선비(Sun bee Yu)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4

        20세기 초 체코문학에서 가장 대표적인 산문작가로 손꼽히는 이반 올브라흐트는 심리 소설, 의적 소설 등 체코문학에서 흔하지 않은 장르들을 시도하며 명성을 구가한 작가이다. 특히 초기 작품들에서 등장인물을 작품 구조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삼고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물들에 대한 분석은 그의 작품 전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이 작품 『배우 예세니우스의 이상한 우정』은 특히 올브라흐트 작품들의 등장인물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특성들이 잘 나타나는 장편소설이다. 그는 인물들의 이름을 제목에서 노출시켜 독자들의 흥미를 자극하는데 인물들의 이름은 그의 작품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어 이름에서부터 인물들의 성격이나 인물을 중심으로 한 플롯 등을 상상하게 한다. 특히 인물들의 내면적인 생각, 사고의 흐름 등은 매우 제한적이며 인물을 나타내는데 있어 옷차림, 생김새 등의 외모에 중심을 두고 한 인물을 표현한다. 여성들은 대부분 매우 어리고 아름다운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남성들의 사랑이나 애증의 대상이고 남성 중심의 스토리에서 조연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그들에 대한 여러 이야기나 그들의 생각 혹은 의사 등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전달되거나 서신 등 간접적인 경로에 의해 표현된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작품 전체에서 두 인물의 대조를 통한 전개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이원성을 이용한 점은 올브라흐트의 작품 초창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두 인물은 이름에서부터 생각이나 행동 등 모든 면에서 상이하지만 점차 서로에게 의지하며 우정을 쌓아간다. 하지만 이런 우정도 여인을 중심으로 한 애증과 여성을 대하는 태도 등으로 갈등을 일으킨다. 이런 대조는 연극을 포함한 예술에 대한 태도에 이르기까지 모두 대조적이다. 이 작품을 통해서 올브라흐트가 어떻게 등장인물들을 만들어내고 이들을 이용해 어떤 방식으로 작품을 이끌어 가는지 그리고 이런 인물들을 통해 그가 나타내는 여러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은 그의 초기 작품들의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Ivan Olbracht was one of the best known prose writers in the 20th century and he tried various literary genres, such as the psychological novel or the prose of outlaw legends, which were not so common in the Czech literature. In his work, the main role is often played by a person who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entire work. The novel The Strange Friendship of Jesenius the Actor was written in 1919, and it completes the first phase of the Olbracht s literary development. The novel takes place before and during the First World War in the theatre environment. What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Olbracht very carefully created the names of the persons, to express the meaning of a certain concept of some thoughts, and in connection with that Olbracht often gives the names of the persons in the title to increase interest of readers at his work. Furthermore, the author does not express inner thoughts or stream of consciousness of characters, but rather the external aspects of the person such as how he looks, what he wears, how he acts, etc. Even the narrator does not look into the heart of the main character Veselý, we can get his views on society, war and art only from his direct statements. The main characters of this work are built on the principle of dualis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y are Jiří Jesenius, who performs in the National Theatre, and in whom we can see a balanced and morally dedicated person. Jan Veselý is on the contrary a type of unconscious rogue, the passionate man, who is an improviser in the art and complete subjectivist. The title character Jesenius is built in contrast to Veselý by their appearance, manner of work and understanding of art and war. This work con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s by Ivan Olbracht. Therefore, when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of his work, we could get to know Olbracht s methodology of the structure of the prosaic works in the early pieces.

      • KCI등재

        한국 근대 고사인물화 병풍의 한 가지 예: 韓維東 筆 《故事人物圖》 병풍

        장준구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2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ent, method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produced by Han Yudong (1913~2002) in 1947. This is a valuable example of the representative style of Gosa Inmulhwa (figure painting of old stories) in the modern era. It demonstrates that the Gosa Inmulhwa approach, which was derived from paintings produced within Shanghai in China, had been popular in Kore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osa Inmulhwa depicts historical figures from various periods in China, such as Wang Xizhi and Ni Zan, in fine lines and colors on a long folding screen, from edge to edge. Modern Gosa Inmulhwa inherits the contents and expression method of classical paintings through the works of Jang Seungup, An Choongsik, Cho Seokjin, and Kim Eunho. It also reflects the change of approaches to figure painting over the course of time. The Gosa Inmulhwa, including Han Yudong’s Gosa Inmuldo folding screen, was a very traditional genre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Korea. Gosa Inmulhwa was rarely exhibited at the Joseon Art Exhibition, which was a prestigious art contest in Korea. At that time, ink-and-wash color paintings tended to emphasize realistic drawings whereas oil paintings were heavily influenced by Modernism. Howeve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interest in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ed, there was a considerable demand for traditional works, such as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It was continuously used for the purpose of decorating or praying for luck in daily life in Korea.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painted in 1947 shortly after liberation, reflected the expression and character of the Gosa Inmulhwa genr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osa Inmulhwa folding screens were typically manufactured in various width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refore they were often sold separately and divided into separate secti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ully examine the entire image, as depicted on the original object. In this context, Han’s Gosa Inmuldo folding screen is even more meaningful, because its scenes are fully intact over ten sections. 본 논문은 1947년에 제작된 韓維東(1913~2002)의 《故事人物圖》 병풍의 내용 및 표현방식, 성격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 작품은 근대기 고사인물화의 전형을 온전히 보여주는 귀한 사례로 중국 上海 지역의 회화를 토대로 19세기 말부터 한국에서 유행했던 고사인물화가 20세기 전반까지 이어져 온 모습을 보여준다. 王羲之, 倪瓚 등 중국 각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의 고사를 위아래로 긴 화면 속에 세밀한 선과 고운 색으로 그려냈다. 張承業, 安中植, 趙錫晉, 金殷鎬로 이어지는 고사인물화의 내용과 표현방식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른 도상의 변모도 반영하고 있다. 한유동의 《고사인물도》 병풍을 비롯한 고사인물화는 20세기 전반의 상황에서 매우 전통적인 것이었다. 유력한 공모전이었던 조선미술전람회에 고사인물화와 같은 작품은 손에 꼽을 정도만 출품되고 있었음은 이를 잘 보여주는 단면이다. 당시에는 수묵채색화에서조차 데생력이 강조된 사실주의적인 회화가 그려지고 있었음은 물론 유화에서는 모더니즘 계열의 작품도 제작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전통과 근대가 교차하던 20세기 전반의 상황 속에 《고사인물도》 병풍과 같은 전통적인 작품의 수요는 사실 적지 않았다. 일상생활에서 치장 혹은 축수를 위한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해방 직후인 1947년에 그려진 《고사인물도》 병풍은 바로 그러한 20세기 전반 고사인물화의 표현방식과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근대기 여러 폭으로 제작된 고사인물화 병풍의 경우 분리된 채 한 폭씩 나뉘어 표장되어 별도의 경로로 유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 전모를 온전히 살펴보기 어려운 편이다. 《고사인물도》 병풍은 10폭이 온전히 전해지고 있는 사례이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 KCI등재

        학습자 선호 인물 분석을 통한 한국사 교육 개선 방향 연구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인물사 학습을 통한 바람직한 한국사 교육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사 속 인물들 중 학습자가 선호하는 인물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사 관련 수업을 들은 대학생 2,430명이 제출한 보고서를 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2015년 2학기부터 2017년 1학기까지 한국사 관련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에게 한국사 속 인물 중 한 명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이 그 역사 인물을 선택하게 된 이유와 그 인물의 업적을 설명한 후 그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도록 한 보고서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선호하는 한국사 인물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보고서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시대적으로는 조선시대 인물들이 주로 선택되었다. 분야별로는 정치 분야 인물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으며, 유형별로는 왕과 왕족 그리고 정치가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학생들이 특정 시대와 특정 분야, 특정 유형의 역사 인물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학생들의 선호에 TV나 영화와 같은 대중매체와 지금까지의 역사 교육의 편중성이 작용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역사 인물 선호와 인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rough historical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was based on a report submitted by 2,430 college students who took classes related to Korean history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o the first semester of 2017. First of all, I asked student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Korean history to choose one of the people in Korean history. Then he have to try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character, the achievement of the figure, and the revaluation. Through this report, I was able to understand what students preferred which history characters. The analysis result of these reports is as follows. In the times, a people of the Chosun Dynasty were mainly selected. By sector, politics were the most popular. By type, king, royal, and politician were the most popular. 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prefer a specific age, a specific field, and a particular type of historical personality. The preference of students" historical personages was influenced by TV, movies, and history education. Therefore, we sought ways to improve the problem of students" historical personages preference. The wa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lore and educate people in the economic and social fields along with political figur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history of the general public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ruling class and women. And then,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and educate foreigners related to Korean history. In conclusion, diversity of learners" preferences should be more actively sought and reflected in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이승준(Lee Seung-jun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5

          본 논문은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 실려 있는 서사이론 중 ‘인물’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BR>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에 대한 설명은 전체적으로 성격의 의미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것은 인물의 일반적 의미, 인물의 유형, 인물 제시 방법 그리고 학습 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BR>  인물의 일반적 의미나 인물 제시 방법은 큰 문제가 없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인물의 유형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주요 인물과 부차적 인물은, 서사물에서 인물이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용어이다. 주동 인물이나 반동 인물은 모두 서사의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모두 주요 인물에 해당된다. 평면적 인물과 입체적 인물은 성격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없다. 그것은 선택과 배제의 관계가 아니라 좌표적 관계에 놓여 있는 개념이다. 그것은 성격의 단일성과 복합성의 문제이다.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에 대한 구분은 편의적 구분으로 보아야 한다. 양자의 관계는 상호 독립적이다.<BR>  인물론은 인물과 사건, 인물과 구성, 인물과 구조, 인물과 배경(혹은 환경), 인물과 주제 구현의 문제 등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 the study on the character in the literature textbooks of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BR>  The theory about the character focus on the sense of the character in the literature textbook of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This is composed with the general sense, the pattern, the expressional method and the practical question. Ultimately the learning should help the student to appreciate the works. But these textbooks have many problem to make the student confused.<BR>  The pattern h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flat character and the round character cannot classify on the change of character. The flat character has a only one persona, but the round character has very many personas. The relations of both are not exclusive but of the polar. And typical character and individual character are the expedient classification. The relations of both are independent.<BR>  The theory about the character should get beyond the subject of the character itself. It should become the theory about relations of the character and the plot, the character and the background, the character and subject etc.

      • KCI등재후보

        영웅소설과 김홍도 도교인물화의 상호텍스트성

        노연서(Ro, YeonSeo)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1 지식과 교양 Vol.- No.8

        이 논문에서는 18~19세기에 향유되었던 영웅소설과 김홍도의 도석 인물화를 중심으로 문학과 회화의 상호텍스트성을 탐구했다. 그 결과 세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교인물화의 도교적 인물들은 중국 도교에서 추앙하는 신들의 모습에서 영향을 받은 부분이 많은데, 도석인물화와 영웅소설에 드러난 각 인물의 표식을 통해 도교적 인물들을 추정할 수 있었다. 둘째, 영웅소설 속 도교적 인물들의 모습은 도교인물화보다 세속적, 토착적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회화와 소설의 주요 향유계층과 연관 지어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도교인물화와 영웅소설에 그려진 도교적 인물을 통해 당시 사람들이 바랬던 것이 복(福)을 가진 운명, 사회적 출세, 무병 장수라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동시대에 향유되었던 문화예술은 주요 향유계층과 그들의 가치관에 따라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시도해 본 도교인물화와 영웅 소설간의 비교 연구처럼 회화와 소설간의 장르적 교섭 연구는 그 당시의 문화를 더욱 풍부하게 엿볼 수 있고, 당시 사람들의 사상과 가치관도 깊게 탐구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에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the intertextuality of literature and painting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heroic novels enjoy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Kim Hong-do s Doseok figure paintings. As a result,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Taoist figures in the Doseok figure paintings were influenced by the appearance of the gods worshiped in Taoism in China, and the Taoist figures could be inferred from the marks of each character revealed in the Taoist paintings and heroic novels. Second, the figures of Taoist characters in heroic novels are drawn more secularly and indigenously than those in Taoist figure paintings, which can be found in connection with the primary classes who enjoyed the paintings and novels. Third, through the Taoist figures drawn in the Taoist figure paintings and heroic novels, the people at the time hoped for was a lucky fate, social advancement, and longevity without disease. As abov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widely enjoyed cultural arts could be found according to the primary classes who enjoyed them and their values. Like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paintings and heroic novels attempted in this thesis, studies on the genre negotiation between paintings and novels can provide a richer glimpse into historical culture and become a factor that facilitates deep explorations into the thoughts and values of the people of the time, and therefore should be further expanded..

      • 강원 영동ㆍ영서 인물설화 비교 연구

        최웅(Choi 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6 No.-

        본고는 강원지역 영동권과 영서권의 대표적인 인물설화를 비교 고찰하여 인물에 대한 두 지역의 인식과 평가가 어떻게, 그리고 왜 다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본고는 강원 지역에서 전승되는 인물설화의 보편성 아래서 영동권과 영서권의 특수성을 찾아보려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 강원도 18개 시ㆍ군 중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바다에 인접한 강릉시, 삼척시, 동해시,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과 태백시를 영동권에 포함하고 나머지 시ㆍ군은 영서권에 포함했다. 본고는 영동권과 영서권의 인물설화를 기계적으로 비교하는 태도를 지양하고 각 지역의 정서를 대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들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설화에 투영된 전승집단의 태도나 의도에 의해 영동권과 영서권 인물설화가 변별됨을 알 수 있었다. 영동권 인물설화는 서사의 중심이 되는 인물이 실존인물이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보면 대부분 이인(異人)으로서의 면모를 보이거나 초월적인 힘을 발휘한다. 모든 문제를 설화적 문맥으로 이해하려는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오랫동안 대관령으로 막혀 고립된 문화를 형성해 왔던 영동지역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영서지역 인물 설화는 전승집단의 일방적인 시선이 우위에 있다. 전승집단은 그들이 접한 역사 인물에 대해 그들이 현실적으로 판단한 시선을 가지고 있다. 단종에 대해 시종 연민의 시선을 갖고 있는 것이라든가 왕건을 높이려는 일방적인 시선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영동지역과 비교해볼 때 이러한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영서지역의 인물설화에서는 인물과 관련된 역사 인식을 찾아보기 어렵다. 왕조의 멸망이나 건국, 유배라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면서 이에 대한 역사의식은 표출되어 있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character tale's aspect considers how and why recognition and valuation about character are different from the each area compared with an aspect of the eastern part and that of the we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The character tale narrates orally through regular epic structure about the related event and a person's life. It shows about the life style an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 character tale has lots of cases that reflected in desire of transmission groups and solved a person's achievement and problems. Especially, historical character tale show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transmission group and it is the concrete reaction about history. In short, the historical character tale has a great notion that the real man reinterprets and recreates with a historical view.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character tale.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the character tale in the eastern part and the we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it appears that the evaluation of two areas' tale is different from the cognitive disposition and attitude of history in the each transmission group. In the ea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the character's attitude and the aspect of the traditional tale maintain closely, but in the we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it shows the character's recreate in the traditional tale with an intens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transmission group. One of the reasons is the geopolitical condition of each area. This study expects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study of whole tales in the eastern part and the we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 KCI등재후보

        인물 그림책과 리더십

        김금희 ( Keum Hee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다양한 리더십이 요구되는 변화된 사회적 필요에 따라,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아들이 읽고 있는 인물 그림책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리더십 유형은 과거에 비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런 리더들의 일생과 업적에 대한 사실적 기록이 중심이 되는 인물 그림책으로부터, 인물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단편적 사건이나 짧은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재구성된 인물 그림책에 이르기까지, 어린이를 위한 인물에 대한 이야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2008년까지 단행본으로 출판된 인물그림책을 수집하였고 그 중 연구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그림책을 제외한 인물 그림책 전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13권을 질적 내용분석법을(qualitative content analysis) 통해 분석하였다. 각 인물 그림책의 출판 경향과 각 인물 그림책의 주인공, 그리고 인물의 리더십을 3영역 14항목에 따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3권의 인물 그림책을 제외한 나머지 10권의 번역물 중 9권이 미국에서 출판되어 문화적 편중 현상이 심하게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과 소수 민족 보다는 남성 리더 특히 백인 남성 위주의 인물 그림책이 출판되고 있었다. 인물 그림책의 주인공들은 셀프 리더십, 변환 리더십, 그리고 섬김 리더십 등을 보여주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리더십은 셀프 리더십으로 어려운 일을 극복하고 자기 분야에서 성공하여 사람들에게 꿈을 주는 리더의 역할을 했다. 또한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편견과 고정 관념을 깨고 사회를 발전 변화시키는 변환 리더십과, 자신을 희생하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섬기는 섬김 리더십을 통해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며, 그 시대와 사회의 발전에 모델이 되고 있었다. The importance of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leaders and leadership development is increasing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The teaching leadership is fast becoming one of the major issues i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ders and their leadership reflected in picture book biographies. To understand leadership reflected in literature for young readers, the thirteen picture book biograph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echnique. A checklist was developed and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general information about picture book biographies, information about the leaders, and information about leaderships. To find out attributes of the leaders as well as the types of leadership, a total of fourteen items was developed. Seven leaders showed self leadership for development and personal excellence. Three leaders showed servant leadership to improve or save lives of the people. Three leaders show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changing the values of the society. Leaders reflected in picture book biographies play major roles in promoting human rights with effort and passion in their areas.

      • KCI등재

        이반 올브라흐트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등장인물의 특성: 『배우 예세니우스의 이상한 우정』을 중심으로

        유선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4

        Ivan Olbracht was one of the best known prose writers in the 20th century and he tried various literary genres, such as the psychological novel or the prose of outlaw legends, which were not so common in the Czech literature. In his work, the main role is often played by a person who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entire work. The novel The Strange Friendship of Jesenius the Actor was written in 1919, and it completes the first phase of the Olbracht's literary development. The novel takes place before and during the First World War in the theatre environment. What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Olbracht very carefully created the names of the persons, to express the meaning of a certain concept of some thoughts, and in connection with that Olbracht often gives the names of the persons in the title to increase interest of readers at his work. Furthermore, the author does not express inner thoughts or stream of consciousness of characters, but rather the external aspects of the person such as how he looks, what he wears, how he acts, etc. Even the narrator does not look into the heart of the main character Veselý, we can get his views on society, war and art only from his direct statements. The main characters of this work are built on the principle of dualis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y are Jiří Jesenius, who performs in the National Theatre, and in whom we can see a balanced and morally dedicated person. Jan Veselý is on the contrary a type of unconscious rogue, the passionate man, who is an improviser in the art and complete subjectivist. The title character Jesenius is built in contrast to Veselý by their appearance, manner of work and understanding of art and war. This work con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s by Ivan Olbracht. Therefore, when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of his work, we could get to know Olbracht's methodology of the structure of the prosaic works in the early pieces. 20세기 초 체코문학에서 가장 대표적인 산문작가로 손꼽히는 이반 올브라흐트는 심리 소설, 의적 소설 등 체코문학에서 흔하지 않은 장르들을 시도하며 명성을 구가한 작가이다. 특히 초기 작품들에서 등장인물을 작품 구조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삼고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물들에 대한 분석은 그의 작품 전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이 작품 『배우 예세니우스의 이상한 우정』은 특히 올브라흐트 작품들의 등장인물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특성들이 잘 나타나는 장편소설이다. 그는 인물들의 이름을 제목에서 노출시켜 독자들의 흥미를 자극하는데 인물들의 이름은 그의 작품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어 이름에서부터 인물들의 성격이나 인물을 중심으로 한 플롯 등을 상상하게 한다. 특히 인물들의 내면적인 생각, 사고의 흐름 등은 매우 제한적이며 인물을 나타내는데 있어 옷차림, 생김새 등의 외모에 중심을 두고 한 인물을 표현한다. 여성들은 대부분 매우 어리고 아름다운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남성들의 사랑이나 애증의 대상이고 남성 중심의 스토리에서 조연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그들에 대한 여러 이야기나 그들의 생각 혹은 의사 등은 다른 사람들의의해 전달되거나 서신 등 간접적인 경로에 의해 표현된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작품 전체에서 두 인물의 대조를 통한 전개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이원성을 이용한 점은 올브라흐트의 작품 초창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두 인물은 이름에서부터 생각이나 행동 등 모든 면에서 상이하지만 점차 서로에게 의지하며 우정을 쌓아간다. 하지만 이런 우정도 여인을 중심으로 한 애증과 여성을 대하는 태도 등으로 갈등을 일으킨다. 이런 대조는 연극을 포함한 예술에 대한 태도에 이르기까지 모두 대조적이다. 이 작품을 통해서 올브라흐트가 어떻게 등장인물들을 만들어내고 이들을 이용해 어떤 방식으로 작품을 이끌어 가는지 그리고 이런 인물들을 통해 그가 나타내는 여러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은 그의 초기 작품들의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역사인물의 현대적 기억으로서 문화화

        ( Lee Hye-Kyo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1 No.-

        이 글은 역사 속의 애국적 인물을 현대적인 의미로 되살려 그들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방안으로서 문화화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문화화란 기억하고 기념하는 그 자체의 시간을 동시적으로 공유하는 의미를 함유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는 단순히 지나간 시간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에서 끊임없이 되돌아봐야 할 우리의 소중한 기억이다. 역사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 또한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는 여전히 살아 있다. 물론 여기서의 기억은 다층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현재의 우리를 있게 한 역사 속의 인물들은 수없이 많은 기준에 의해서 나누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람마다 다른 기억이 구유된다. 특히 애국적 인물들에 대한 현대성을 띤 문화화의 새로운 방향을 수립하는 일은 언제나 나라의 중요한 과제였다. 그만큼 다양한 방식이 동원되었고, 실현되었다. 그럼에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술의 발전과 문화의 변화는 그 하나의 시점과 방안에 머물게 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이 글은 여러 나라의 문헌을 살피고, 웹 사이트를 방문해 현재의 모습을 헤아려 보고자 했다. 이 같은 작업은 만들어진 기록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우리의 가치 있는 발걸음이 미래의 거울이 되게 하여 현재라는 시간 또한 역사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순환적 모습을 상정하는 일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역사 속에서 존재한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역사는 문화 콘텐츠의 보고이다. 역설적으로 문화란 늘 역사적인 인물에 의해 재생되었고, 현대는 디지털 세계 속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그것을 보존하는 경우도 생기기 마련이다. 문화 콘텐츠라는 말은 문화적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중심에는 역사와 사람들이 있다. 역사는 시대가 배경이 된 인물의 무대였다. 주인공은 시대상을 드러내고, 문화를 만들어 냈다. 문화화는 현대가 그들을 기억하는 방식이다. 역사와 인물은 우리 삶을 있게 하고, 윤택하게 하는 콘텐츠로 문화를 이루는 두 가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애국적 인물과 사적은 그 정신과 성취를 촉진케 하는 두 가지 중요한 축이다. 이를 통해 문화적 재현으로서 콘텐츠의 발견을 선도하는 축제와 함께 많은 기념관이 여러 지역에서 운영되고 적지 않은 성과를 얻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등장하는 애국적 인물이야말로 더 큰 호기심과 관심을 촉발시킬 수 있다. 이글이 역사 속에서 애국적 인물을 발견하고, 역사와 인물이 함께하는 문화화의 내용을 개발하는 의미를 검토해 앞으로의 방향 설정을 위한 작은 토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역사와 애국적인 인물은 콘텐츠 개발의 원천이다. 오래도록 기억하며 기리는 역사의 인물이란 곧 우리가 보여주는 문화화의 재해석에도 살아있는 셈이다.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a basis for culturalization as a way to remember and memorialize the patriotic characters in history. This work will have a modern meaning. History does not simply mean time past. It is our precious memory that we have to constantly look back on in modern times. The characters in history are still alive in someone's memory. The study was developed literature data research and visiting various sites on the Internet.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records made in the future to help the research. As a result, history is learned that the current mirror of our valued footsteps. People are into history. History is a treasure trove of cultural content. To these historical figures with us, it may be necessary to preserve them in digital databases. The phrase cultural contents stem from the meaning of culture is used to refer to various things. At the heart of cultural contents are history and people. History created culture and at the center of it were always characters. History and characters have been reborn into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in our lives. Figures and historic sites are two very important axis that can promote the spirit and achievement of patriotic figures. Through this, each regions operate festivals and memorial halls in leading the discovery of cultural contents, and are able to gain much result in realit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focus more on biography of figures in accordance with more expertised and realistic life of patriotic figures. In particular, patriotic figures can prompt curiosity and attention. The content included, discovers patriotic heroe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developing contents accordingly, and takes on a meaning in being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future direction. History and patriotic figures are a source of content development. This article will help to re-interprets the characters in the history reborn as a cultur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