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항로짓모형을 통한 주택소방시설 설치의사 영향요인 분석: 강원도를 중심으로

        이세명(Semyeoung Lee )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5

        이 연구는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주택소방시설 설치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개의 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 1은 주택소방시설의 설치여부 선택모형이고 모형 2는 향후 주택소방시설 설치계획여부 선택모형으로서 응답자들이기존에 주택소방시설을 미설치한 요인과 향후 설치계획 없음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두 모형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Wald 통계량에 기초하여 설명력이 높은 순으로 정리하면 의무규정인지경로, 주거점유형태, 주택유형, 가구소득, 직업, 소화기사용 및 화재대피경험의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주택소방시설의 설치율을개선하기 위해 집중해야 할 관심대상을 도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wo models were constructed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install residential firefighting systems. Model 1 can help decide whether to install a residential firefighting system and Model 2, whether to install it in the future. Using these two models,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the respondents to not install a residential firefighting system and to not install it in the future, respectively, were analyzed. The factors with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wo models, when arranged in the order of their highest explanatory power (based on the Wald statistic), were found to exhibit the following order: recognition path, occupant type, housing type, income, job, fire extinguisher, and fire evacuation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reference data to determine the topics of focus for improving the installation rate of residential firefighting system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로짓모형을 이용한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부담능력 결정요인 분석

        최열(Choi Yeol),김상현(Kim Sang Hyun),이재송(Lee Jae Song) 한국부동산학회 2014 不動産學報 Vol.59 No.-

        본 연구는 렌드 푸어(Rent Poor)에 초점을 맞추어 월세 거주자를 대상으로 주거비부담능력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거비부담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의 주거비부담능력은 소득관련부담능력을 기준으로 하는 소득대비임대료(Rent to Income Ratio; RIR)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RIR가 30%를 초과하는 계층을 렌트 푸어로 정의하고, 50%를 초과하는 계층은 심각한 렌트 푸어로 정의하였다. 실증적 분석은 이항로짓모형과 순서형로짓모형을 사용하여 RIR 지표를 종속변수로 하고 가구주 특성, 주택 및 주거특성, 사회적 인식을 독립변수로 반영하였다.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객관적 측면의 실증 분석 결과, 가구주 연령이 높고 1인 가구일수록 주거비부담능력이 증가할 확률이 높아졌고, 단독주택과 아파트에 거주할수록, 좁은 면적일수록 주거비부담능력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졌다. 순서형로짓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측면의 실증 분석 결과, 주택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거비부담능력이 증가할 확률이 높아졌고, 주택 소유 의식을 가진 응답자 일수록 주거비부담능력의 증가 확률이 감소하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ffordability for rental residents, especially Rent Poor classes. (2) RESEARCH METHOD Based on "Housing Condition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data were collected by random extraction. The sample size of data which include Busan rental residents is 514. Methodologies used in the study were Binary Logit Model and Ordinal Logit model. (3)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determinant of Rent Poor class is household's age, number of family, areas, commuting time, house satisfaction, house own consciousness, housing cost burden. 2. RESULTS In this study, we consider affordability problem with housing type, house characteristics, household's satisfac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 consider not only stress status of housing affordability, but also crisis of housing affordability thresholds of RIR are 30% and 50%.

      • KCI등재후보

        주택담보대출의 연체가능성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수도권지역의 아파트 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유재술,안정근 한국국토정보공사 2013 지적과 국토정보 Vol.43 No.2

        Recently, household debts surrounding the housing mortgage loan have come to a forefront as a social problem. Accordingly, financial institutions providing housing mortgage loan for people have taken a higher interest in default rate management compare to the past years. But existing studies have had some limitation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variables and the default rate and applying it to the actual judgment on loan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influencers on the possibility of the default through macroeconomic data such as the types of housing mortgage loans and the characteristic of borrowers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forecasting model. Especially, it extended the scope of research by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and the neural network model.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default rate of apartment mortgage loans had an effect on the size of housing, borrower's income, interest rate adjustment period and the like. And it was found that the neural network model had a more or less high level of accuracy compared to the binary logit model. 우리나라는 2000년 중반 이후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주택담보대출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택시장이 장기간 침체상태에 빠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부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확산되고 정부에서도 대응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주택담보대출을 실행한 금융기관은 과거에 비해서 연체율 관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주로 거시경제변수와 연체율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실제 대출심사 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의 유형과 차입자의 특성 등 미시적인 자료를 통해서 연체가능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예측모형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분석방법으로 이항로짓모형과 함께 신경망모형을 사용하여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분석결과 아파트담보대출의 연체율은 주택의 규모, 차입자의 소득, 금리 조정기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경망 신경망모형이 이항로짓모형에 비해 예측 정확도는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정성적 요인을 반영한 초단거리 접근수단의 선택 행태 연구

        김지혜,김익기,유한솔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1

        Feeder modes on First and Last Mile recently have been getting attention. To carry out relevant polic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oice behavior about feeder modes on first and last mile. Therefore we analyzed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about electric scooter, autonomous bus, sharing bicycle and walking which can be introduced on First and Last Mile. On the mode choice behavior, the qualitative factors have influence as well as the quantitative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quantified the qualitative factors which were implied “feeling danger” related to bicycle and electric scooter, and “concerning health” related to walking. The values of qualitative factor were estimated by using a binary logit model with socio-economic attributes and personal prefer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ode choice models were calibrated in the form of a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traveler’s socio-economic attributes, mode service attributes, and qualitative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qualitative factors on traveler’s choice behavior was interpreted as unit of travel time. And the calibration analysis of transportation mode choice behavior at very short distances show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alibrated model explained that the people in age 20s preferred to electric scooters comparing with other age groups and that houseperson tended to avoid walking. The passengers tended to feel danger to electric scooter more than bicycle. The effect of “feeling danger” and “concerning health” on the mode choice behavior in time unit, their effect was found as same as between 3.17 and 5.06 minutes. When considering that it is a very short-distance mov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ative factors of “feeling danger” and “concerning health” affect greatly on the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The study contributed to quantifying the qualitative factors for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at very short distances. This made it possible to express the influence of qualitative factors numerically. 최근 First and Last Mile(FLM) 영역에서 초단거리의 접근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통행자들의 수단선택 행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FLM에서 도입될 수 있는 접근 교통수단인 전동 킥보드, 자율주행버스, 자전거, 도보 수단에 대한 통행자의 선택행태를 분석하였다. 통행자의 교통수단 선택행태는 정량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성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자전거, 전동 킥보드 수단과 관련된 위험성이라는 정성적 요인과 도보 수단과 관련이 있는 건강에 대한 인식이라는 정성적 요인을 계량화하여 수단선택모형에 반영하였다. 정성적 요인은 개인 속성 및 개인 선호도를 독립변수로 하는 이항로짓모형으로 계량화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은 개인 속성, 통행 속성, 정성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항로짓모형 형태로 구축하였다. 또한 정성적 요인이 수단선택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통행시간과 대체효과를 검토하였다. 초단거리에서 교통수단 선택행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결과가 나왔다. 정산된 모형은 20대의 경우 전동 킥보드를 선호하는 행태를 설명하고 있으며, 주부는 도보수단에 대해 거부적인 경향의 행태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통행자들은 자전거보다 전동 킥보드에 더 위험성을 느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험성 및 건강에 대한 인식의 정성적 요인이 수단선택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단위로 검토해보면 약 3.17-5.06분 통행시간의 규모이다. 이는 초단거리 통행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정성적 요인이 수단선택 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접근수단 선택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 요인을 수단선택모형에 적용하였으며 그 규모를 수치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후보

        고령자와 준고령자의 취업결정요인 비교분석

        송일호(Shong, Il-Ho),박명호(Park, Myung-H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19 No.2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 어느 국가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령자들의 취업을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연구임에 틀림없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인구를 고령자(65세 이상)와 준고령자(50세-64세)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이 두 그룹간에 취업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시도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도 <한국고령화패널조사>에 담긴 50세 이상 8,688명을 대상으로 이항로짓모형과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취업-미취업상태 그리고 미취업-임금근로-비임금근로 취업상태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고령자와 준고령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이 두 그룹의 취업결정요인은 다소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고령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취업 기회의 제공을 위해 연령대에 따라 세부적이고도 상이한 정책대안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Comparing 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has rapidly turned into the aging society.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it must be very meaningful study to analysis on working decision for the aged person. This study tries to segregate the aged people into two groups: the semi-aged group(people from 50 to 64 years old) and the aged group(people more than 65 years old). Then it attempts to analysis on the working decision between two groups defined abov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tilized <the Aged Panel Survey of Korea 2008>. Using the sample data that contains 8,688 individuals over 50 years old, this study estimates a bivariate logit model and a multinomial logit model for the working decision for work-not to work and labor income-non labor income. Based upon the empirical results, the determinants of working decision for the semi-aged and the aged groups are somehow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ged people by providing a good opportunity to take a job, the policy should be more specifically applied based on the different aged group.

      • KCI등재

        A Research on the Contagion Effect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Yeon Joon Kim,Gei Guen Shin 한국유럽학회 2012 유럽연구 Vol.30 No.3

        최근 남유럽국가들의 국가채무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국가 채무위기 하에서 PIIGS라고 불리는 포르투갈, 아일랜드,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의 국가채무 위기는 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Eichengreen et al.(1996)의 논문을 참조하고 이항 로짓 모델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한다. 데이터는 1996년부터 2009년까지 경제변수들을 이용한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한 국가의 재정위기와 다른 국가의 이에 상응하는 위기 간에는 동시적인 연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한 해의 재정위기 발생은 그 해의 다른 국가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반면, 한 해의 재정위기가 다음 해에 다른 국가로 전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한 국가가 위기 극복을 위한 자체적인 정책을 제시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주변국 입장에서 경제위기가 국내 시장경제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 위기 국가에 대한 대책과 지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때문에 국가 간의 재정 위기의 확산은 단기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를 포함한 남유럽의 재정 위기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이지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Recently,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suffer from the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suggests main reasons of the sovereign debt crisis with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expansion of fiscal payment along the recovery process of a financial crisis in 2008. Second, growth of a high intra-trade between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Third, internal flaw in the euro zone. This paper analyzes these three reasons of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sovereign debt crisis. Also, this paper suggests some keys to solve this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suggests a reinforcement of a mutual assistance system among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to recover this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emphasizes a political split for the reason`s of the sovereign debt crisi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 a binary logit model using Eichengreen et al.`s(1996) research. We use GDP, unemployment, fiscal revenue, fiscal expenditure, and fiscal balance using the WDI database covering ten countries including the PIIGS countries, the US, German, the UK, France, and South Korea. Based on the data availability, our data set covers from 1996 to 2009. The statistical results support our primary expectation. We get a strong statistical support when there is a simultaneous association between a fiscal crisis in one country and a corresponding crisis in the other country. A fiscal crisis in a country at a current year is not likely to lead to a fiscal crisis in a different country at a next year. As countries, which have and have not financial crisis, suggest both financial and policy solution to solve a certain financial crisis, the contagion effect is not likely to sustain any longer.

      • KCI등재

        도시성장모형을 활용한 택지수요의 추정

        김재익(Jae-Ik Kim) 한국주택학회 2008 주택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택지수요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의 방법은 인구변수를 중심으로 주택수요 및 택지수요를 도출하는데 본 연구는 도시성장예측모형을 이용하여 도시개발의 입지와 규모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택지수요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택지수요 추정방법의 이점을 입증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와 접경을 이룬 주변 시군을 통합한 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하여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토지이용전환함수를 추정하였다. 이 확률모형에 의해 추정된 변수들의 계수들과 가구-시가화면적 지표를 이용하여 압축형 도시개발 및 확산형 도시개발 등 도시개발유형에 따른 신규 토지개발의 입지와 규모를 추정하고 택지수요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대구광역시의 개발압력이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효과가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택지수요 추정모형은 토지 및 주택가격을 고려하지 않는 등 어느 정도의 한계는 있지만 인구변수에만 의존하는 현행 접근방법에서 벗어나 발전하는 도시성장관리 분야의 기법을 수용함으로써 기존 방식의 보완 혹은 대체방식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roduces new method to estimate residential land demand. Differ from the conventional population-based approach, this study utilizes urban growth prediction model.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this model, Daegu metropolitan area was select as study area and drivers of land use conversion were estimated by binary logit model. Based on the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probability model, the location and size of residential development were identified under various development patterns, such as infill development versus dispersed development reflected by growth ratios. The results imply that there exists development spill-overs in the study area. Even 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the model, the new method is worth considering as the substitute or complement approach for the Local Housing Plan.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차별 가해 예측요인: 학업성취와 차별 가해 경험 간 관계를 중심으로

        김솔(Kim, Sol),김경근(Kim, Kyung-k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2018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차별 가해 경험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그 연장선상에서 학업성취와 차별 가해 경험 간 관계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차별 가해 여부 및 그 빈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요인들을 동시에 파악하기에 적합한 영과잉 음이항 모형(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짓모형(logit model) 분석결과는 청소년의 학교급, 부모 학대, 부모 방임, 차별 피해 경험, 인권 감수성, 스트레스, 학업성취 등이 누군가를 한 번도 차별하지 않을 개연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가산분석모형(count model) 분석결과에 따르면 성별, 학교급, 부모의 자녀 존중, 교사 학대, 또래 폭력, 차별 피해 경험, 인권 감수성, 스트레스, 학업성취 등이 차별 가해 빈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층분석을 통해 학업성취와 차별 가해 경험 간 관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본 결과, 누군가를 한 번도 차별하지 않을 개연성은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반복적으로 차별 가해를 하는 행태는 주로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특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Drawing on ‘2018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e explored the factors that are clos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s experiences of acting in a discriminatory manner, and in the process delved in-dept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To this e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ZINB), which is suitable for investigating simultaneously factors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perpetrating discriminatory behaviors and frequency of such behaviors. Results of logit analysis showed that adolescents school level,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uman rights sensitivity,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perpetrating discriminatory behaviors. A subsequent count model analysis exhibited that gender, school level, parental respect, teacher abuse, peer violenc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uman rights sensitivity,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had much to do with the frequency of discriminatory behaviors. Specifically, a furthe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revealed that the likelihood of never discriminating against other students was found to decrease linearly as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creased. It also turned out that repeated discriminatory behavior was mainly characteristic of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re briefly presented.

      • KCI등재후보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성지미(Jai-Mie Sung),안주엽(Jo-yup Ahn) 한국노동연구원 2006 노동정책연구 Vol.6 No.1

        압축적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 여성, 고령 인력에 대한 유휴화가 상당한 수준이다. 생산가능인구 대비 취업자로 표현되는 취업비중은 여전히 60%를 밑도는 낮은 수준이며 지난 10년 동안 이런 낮은 수준에 거의 변함이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제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자 부가조사’에 응답한 50세 이상 75세 미만 중고령자 표본 3,047명을 대상으로 이항로짓모형과 다항로짓모형 또는 이변량프로빗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취업-미취업상태 또는 미취업-임금근로-비임금근로 취업상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연령, 교육수준, 성과혼인상태, 건강자본, 지역실업률 이외에도 다양한 소득원, 자산 및 부채, 그리고 만 45세 당시 취업상태와 일자리 특성이 중고령자의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자리를 가지고 있는 중고령자가 그렇지 않은 중고령자에 비해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한 삶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소위 오륙도 또는 사오정 등 고령화에 역행하는 정년단축 추세를 막는 한편, 중고령자들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고령자들의 삶의 수준을 높이는 한편 고령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도전을 극복하는 정책방향이다. The compact ageing society is the main issue in this economy. Facing with challenge arising from it, there is serious underutilization of labor forces focusing on the young, women, and the older, which makes the employment rate lower than 60 percent. Moreover, the lower rate has not shown over last ten years. It is well-known that the older with jobs, whatever they are, have the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measured by many aspects than those without jobs, which is confirmed by the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KLIPS).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old persons’ decisions to work or not and, if work, to work as the employed or as the self-employed by applying the data from the sixth wave of the KLIPS to the binomail logit model,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nd the bivariate probit model. The sample consists of 3,047 individuals in the panel sample who were aged 50 or more but less than 75 at the time of the survey (2003) and responded to the Supplement Survey for the Elderly. There are many determinant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their decisions such as age and its square, the level of education, interaction term of gender and the marital status, health capital, the unemployment rate in the residential area. Various sources of income, financial assets, financial debts, the employment status and, if employed, some job characteristics at age 45 significantly affect the older's decisions to work or not. In the time of cutting down the practical retirement age to 56(so-called ‘O-Ryuk-Do’), 45(‘Sa-O-Jung’), and even to 38(‘Sam-Pal-Sun’), it is an important policy direction to overcome the challenge of aging society to prevent such practices going against the trend of population ageing and to provide the older job opportunity, which makes their late lives more satisfactory.

      • KCI등재

        친환경제품 구매시 매장 선택요인

        이인영(In Young Lee),주영진(Young Jin Joo) 한국유통학회 2018 流通硏究 Vol.23 No.1

        친환경제품 구입을 위한 소비자의 매장 선택폭이 넓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매장을 선택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친환경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매장선택 영향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제품 구입을 위한 매장선택 영향요인을 친환경성과 점포속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소비자의 그린의식에 의한 영향도 함께 분석하였다. 친환경제품뿐만 아니라 매장의 친환경적 이미지도 친환경제품 구매를 위한 매장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친환경성을 제품친환경성과 매장친환경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점포속성은 친환경성 외에 소비자가 친환경제품 구입을 위한 매장 선택시 영향을 줄 수 있는 매장특성요인으로 거리, 규모, 가격매력도 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친환경제품 구매를 위해 친환경전문매장과 대형할인마트와 같은 일반매장 중 어떤 매장을 선택할 것인지를 조절회귀모형과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조절회귀분석결과 제품친환경성과 매장친환경성은 친환경전문매장과 일반매장 이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점포특성요인들 중에서 거리와 매장규모는 일반매장 이용의도에, 가격매력도는 친환경전문매장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의 그린의식은 친환경전문매장 이용의도를 유의하게 높이거나 일반매장 이용의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반면 친환경성 및 점포속성에 대한 조절효과는 가격매력도와 결합된 경우에만 나타났다. 이항로짓분석결과 친환경전문매장의 매장친환경성, 매장규모, 가격매력도가 높거나 일반매장의 제품친환경성, 매장친환경성, 거리, 매장규모가 낮을수록 일반매장에 비해 친환경전문매장이 유의하게 선호되었다. 친환경제품 구매매장의 친환경성과 점포속성이 해당 매장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소비자의 그린의식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친환경제품을 구입하기 위해 소비자가 점포를 선택할 때 점포의 친환경성 뿐만 아니라 거리, 매장규모, 가격매력도와 같은 점포속성들도 중요하게 작용함을 제시함으로써 친환경제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소매마케팅전략 수립에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