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전통적 이성의 완성으로서의 헤겔의 이성 개념

        정대성(Dae Seong Jeong) 한국철학회 2020 철학 Vol.- No.144

        오늘날 이성 개념은 여러 방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성은 대상을 필연성과 합리성의 관점에서 해명하는 능력으로서 해방의 기획의 주체로 간주된다. 그런데 이성의 정점으로 평가되는 계몽의 이성 혹은 과학주의적 이성은 오히려 새로운 억압체계를 만들어 냈다. 이런 해방의 역설을 해결하고자 수많은 비합리주의적 운동이 일어나지만, 헤겔은 좀 더 포괄적 이성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헤겔은 계몽의 이성을 오성으로 평가하면서 그 일면성을 비판할 뿐 아니라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낭만주의 역시 일면적인 것으로 비판한다. 그는 이런 분열을 화해하는 이성, 혹은 이성의 통합적 능력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그에게서 존재하는 것은 이성이며, 이성은 분열을 극복하는 힘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헤겔의 이러한 노력은 근거와 이유로부터 대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전통적인 이성관을 근본으로부터 성찰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reason is today radically criticized in many ways. Traditionally, reason as the ability to elucidate objects in terms of necessity and rationality is regarded as an subject of the project of human liberation. However one thinks generally that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or the scientistic reason which is evaluated as the peak of this reason has created a new system of oppression. In order to solve this paradox of the liberation project numerous irrational movements have arisen. But Hegel tries to overcome it with a more comprehensive reason; according to him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is nothing more than an understanding which sees only the finiteness in the objects. Not only the Enlightenment, but also the Romanticism which tries to overcome it are by him criticized as one-sided. He will resolve this problem with the integrating ability of reason: It be reason that exists, and reason is regarded as the power to overcome division. Hegel’s efforts can be evaluated as radically and anew reflecting on the traditional view of reason which tries to grasp the object from its reason.

      • KCI등재

        정언명령의 객관적 실재성 증명 -칸트의 “이성의 사실”을 중심으로

        강지영 ( Ji Young K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연구 Vol.0 No.51

        이성의 사실Faktum der Vernunft은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에서 정언명령의 객관적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전략이다. 또한 이성의 사실은 「분석학」의 핵심 테제인, 순수실천이성이 경험적인 규정근거들에 독립해서 그 자체로 의지를 결정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핵심적인 논거이다. 그런데 “이성의 사실”이 무엇이며 이 테제가 정언명령의 유효성 증명에서 정확히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는 연구자들 간에 논란이 많다. 본 논문은 “이성의 사실”이 다루어지는 『실천이성비판』의 구절을 분석하여 이 테제의 의미와 함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이성의 사실”을 이성이 도덕법칙을 수립하는 활동을 뜻한다는 해석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이 해석은 “이성의 사실”을 구성하는 수동적인 계기를 충분히 포착하지 못한다. “이성의 사실”은 유한한 이성적 존재자인 인간이 실천적 숙고의 맥락에서 이성의 규범성을 의식하는 사태를 가리킨다. Kants argumentative Strategie zur Rechtfertigung des kategorischen Imperativs besteht in der Einfurung eines Faktums der Vernunft. Das Faktum der Vernunft hat in der Analytik der KrV die zentralle Rolle zu beweisen, dass reine praktische Vernunft ohne Rekurs auf empirische Bestimmungsgrunde das Subjekt zum Handeln motivieren kann. In den Kant-Interpreten bestehen allerdings die Fragen ungeklart, was der Ausdruck “das Faktum der Vernunft” bedeutet und welcher argumentativen Status diesem Faktum fur die Rechtsfertigung des Sittengesetzes zukommt. In der vorliegenden Abhandlung setze ich mich mit Kants Argumentation in der Analytik der KpV, in die “das Faktum der Vernunft” eingefuhrt wird, auseinander, um die Bedeutung und den Zweck dieses Faktums herauszustellen. Das Faktum der Vernunft ist nicht als eine Tat anzusehen, gegen die Interpretation von M. Willascheck, welche die reine Vernunft in der sittlichen Gesetzgebung vollbringt, sondern als eine Tatsache, die am Alltagsbewusstsein des Menschen an der praktischen Diliberation nachgewiesen werden kann.

      • KCI등재

        이성과 법

        한상수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3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reason and its role in the law. Reason i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of objective reason and subjective reason. The former refers to the objective order of the world,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epistemic capacity of humans. Subjective reason is furthermo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oretical reason through which humans can know the objective world. The other is practical reason through humans can make practical norms with regard to their actions. Practical reason is human capacity to project an alternative world beyond the existing world. Practical reason is the foundation for making the law. In addition, practical reason makes it possible for legislature to choose the purpose and means of the law. Theoretical reas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aw. Theoretical reason takes part in the formation of concepts and propositions which compose of the legal rules. It also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coherence of the legal rules and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for determining the contents of the legal rules. In sum, theoretical reason as well as practical reas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egisl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이 논문은 이성의 본질과 법에 있어서의 이성의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성은 객관적 이성과 주관적 이성이라는 두 범주로 구분된다. 전자는 세계의 객관적인 질서를 지칭하는 것이며, 후자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주관적 이성은 다시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으로 구분된다. 인간은 이론이성을 통해 객관적인 세계를 인식하고 실천이성을 통해 실천적인 행위규범을 정립한다. 이성은 법을 제정하거나 적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법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실천이성이다. 실천이성은 현실적인 세계를 초월하는 대안적인 세계를 기획하는 능력으로서 법규범을 정립하는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법이 추구하는 목적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다고 이론이성이 법의 제정이나 집행과 무관한 것은 아니다. 이론이성은 법의 형식과 내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론이성은 법규정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개념과 명제들을 구성하고, 법규정 상호간의 논리적 체계성을 확보하며, 법규범의 내용을 확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천이성뿐만 아니라 이론이성도 법의 제정과 적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공이성비판의 가능성 물음

        김형주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2 철학탐구 Vol.65 No.-

        This study purports a critique of artificial reason toward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amines its academic possibility. To this end, I will outline the genealogy of the project of a critique of reason by reviewing the projects of critique of reason performed by I. Kant, W. Dilthey, and M. Horkheimer in turn. Through this, it will be clarified how Kant's concept of a critique of reason is revealed in different eras. In the process, it will be also argued that the meaning of the critique of reason includes, as a self-critique of reason,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reason and, as a critique of reason for others, the critique of scholarship in this era and the zeitgeist, based on an insight that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genealogy of critique of reason is identified with the restoration of autonomous reason and the pursuit of the academic system. All this will be applied to the fields of AI humanities.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first role of critique, AI humanities are categorized into AI philosophy, post-humanism, digital humanities, and AI ethics. And if these categories of AI humanities are critici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ritique of reason”, such as “the pursuit of a system” and “the restoration of autonomous reason,” it is argued that empiricist quantificationism is derived as a common feature of the four disciplines. Finally, it will be argued that it is not desirable to apply this position in a one-size-fits-all manner to all academic fields including the humanities. As an alternative, a critique of artificial reason proposes the tautological anthropocentrism, which evaluates tautological anthropocentrism as a new canon that AI ethics should aim for. 이 연구는 이성이 감행하는 인공지능 시대에 대한 비판을 인공이성비판으로 규정하고 그것의 학문적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칸트, 딜타이, 호르크하이머의 이성비판 기획을 차례로 검토하면서 이성비판 기획의 계보를 개략적으로 구성해 본다. 이를 통해 칸트의 이성비판 개념이 각기 다른 시대에 어떻게 자기 자신을 드러내고 있는지 밝힐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이성비판의 의미에는 이성의 자기비판으로서 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분석, 이성의 타자 비판으로서 당대의 학문 비판, 나아가 학문과 교통하고 있는 시대정신에 대한 비판이 속해 있다는 사실, 이성비판 계보의 근본정신은 ‘이성의 자율성 복권’, ‘체계에 대한 추구’라는 사실도 논증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현재 유행하고 있는 인공지능 인문학에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말해 비판의 첫 번째 역할에 따라 인공지능 인문학을 인공지능 철학, 포스트휴머니즘, 디지털 인문학, 인공지능 윤리로 범주화한다. 그리고 ‘체계에 대한 추구’, ‘자율적 이성의 복권’이라는 ‘이성비판’의 시각에서 이렇게 범주화된 인공지능 인문학을 비판해 보면, 이들의 공통된 특성으로 경험주의적 양화주의가 도출된다고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입장이 인문학을 포함한 모든 학문 단위에 천편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 대안으로 재귀적 인간중심주의를 제시한다. 재귀적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실존적 존재 긍정과 인식론적 한계를 수평적으로 받아들인 이성의 솔직한 자기 고백이라 간주하여 이를 인공지능 윤리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기조라고 평가한다.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의 두 가지 규제적 원리 - 이성의 원리와 판단력의 원리 -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철학논집 Vol.72 No.-

        Kant’s arguments for the regulative principle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seem inconsistent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he inconsistency appears between the two appendices of the Dialectic, as each presents different kinds of principles as regulative principles of reason.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betwee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because the same regulative principles are ascribed to reason in the first Critique, but to the power of judgment in the third Critique.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his problem of inconsistency is only superficial and does not pose a serious problem to Kant's position on the regulative principle, either internally or externally,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o this end, we first briefly outline the problem we are dealing with, and then, in Chapter II, we gener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reason, and the power of judgment. Here, we claim that reason, together with the understanding, constitutes the higher cognitive faculties which is ‘the capacity(Vermögen) to judge’, and if understood in a broad sense, this 'capacity to judge' encompasses the power of judgment which is the power(Kraft) to actualize it. In chapter III, we examine the logical function of reason and the origin of transcendental ideas, and confirm how reason, understood as 'the capacity to judge' in a broad sense, encompasses the function of the power of judgment. Through this, we first argue that the regulative principles, not only of the second appendix, but also of the first appendix, can be legitimately attributed to reason insofar as it is broadly understood as such a capacity to judge. Furthermore, we show that what led Kant to ascribe the regulative principles of the first appendix to the power of judgment in the third Critique was not a fundamental change or revision of his position, but rather a focal change of his discussion of the regulative principles. Finally, Chapter IV concludes by briefly confirming that the two kinds of regulative principles presented in the two appendices of the Dialectic are mutually dependent as principles belonging together to reason. 『순수이성비판』에서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의 주장은 이중적인 측면에서 비일관적인 것처럼 보인다. 우선 변증론의 두 부록들이 각각 다른 종류의 원리들을 이성의 규제적 원리들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두 부록들 사이의 비일관성이 나타난다. 또한 동일한 규제적 원리들이 『순수이성비판』에서는 이성의 원리로 규정되는 데에 반해서 『판단력비판』에서는 판단력의 원리로 규정된다는 점에서, 『순수이성비판』과 『판단력비판』 사이의 비일관성이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런 비일관성의 문제가 단지 표면적일 뿐이며, 『순수이성비판』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의 입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고 논증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우리가 다룰 문제를 간략히 개관한 다음, II장에서 지성과 이성 그리고 판단력의 관계를 일반적으로 규명한다. 여기서 우리는 지성과 더불어 이성은 ‘판단하는 능력(Vermögen)’인 상위의 인식 능력을 구성하며, 넓은 의미로 이해될 경우 이 ‘판단하는 능력’은 판단을 실행하는 힘(Kraft)인 판단력을 포괄한다고 주장한다. 이어지는 III장은 이성의 논리적 기능과 선험적 이념들의 유래를 검토하고, 넓은 의미의 ‘판단하는 능력’으로 이해되는 이성이 어떻게 판단력의 기능을 포괄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우선 우리는 둘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 뿐만 아니라 첫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도 넓은 의미의 ‘판단하는 능력’인 이성의 원리들로 정당하게 규정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나아가 우리는 첫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을 『판단력비판』에서 판단력의 원리들로 규정한 것은 근본적인 칸트 입장의 변화나 수정에서 비롯한 것이 아닌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 논의의 초점 변화에서 비롯한 것임을 보인다. 마지막 IV장은 변증론의 두 부록들에서 제시된 두 종류의 규제적 원리들이 모두 이성에 속하는 원리로서 상호 의존적임을 간략히 확인한다.

      • KCI우수등재

        마키아벨리의 두 얼굴의 분쟁

        강진옥(Jean Ock Kang)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4

        이 글은 분쟁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이해에 있어 자유에 대한 아이디어와 앎, 지식등과 같은 이성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러한 이성적 요인과 분쟁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분쟁의 이성적 요인을 강조하는 것은 분쟁을 함성, 울부짖음, 총소리와 같은 충동적이고, 비이성적인 소리들로 가득한 소란의 정치로 바라보는 것에서 나아가, 언쟁이 오가는 이성적 논의의 소란의 정치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기존의 비지배 욕망에 기반한 “비이성적 소란의 정치”로부터 말과 대화, 토론이 야기하는 이성적 소란의 정치로 초대함으로써, 마키아벨리 분쟁 이해의 이성적 면모를 드러내고자 한다. 더불어, “비이성적 소란의 정치”의 주체이자, 이성적 소란의 정치의 주체이기도 한 민중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고대를 넘어섰지만, 근대에는 이르지 못한, 마키아벨리 정치사상의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mportance of rational factors such as ideas, knowledge about political freedom in Machiavelli’s understanding of discord,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rational factors and discord. Emphasizing the rational factors of discord, I suggest that the discord can be understood as the rational noiseness of politics throughout words, dialogue, and discussion beyond the “Irrational Noiseness of Politics” which is of full of irrational sounds, such as shouting, crying, and gunfire.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ational aspect of Machiavelli’s understanding of discord, presenting the rational noiseness of politics. In addition, I examine the limitations of Machiavelli’s political thought which has gone beyond ancient political philosophy but has not reached modern political philosophy, by presenting the figures of the people who are the subjects of “Irrational Noiseness of Politics” and also the subjects of the rational noiseness of politics.

      • KCI등재

        이성의 현실과 이성의 역사적 현실

        박정훈(Park, Jeong-Ho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59 No.-

        헤겔의 객관정신론 전체를 포괄하는 “법철학”에서는 이성의 현실로서 법 이념이 다루어진다. 헤겔에게 있어 법의 이념이란 개념적으로 파악된 이성적 현실이다. 객관정신론의 마지막 항목인 역사철학(“세계사”)에서는 이성의 역사적 현실이 다루어진다. 법 개념에 대한 사변적 파악을 뜻하는 “법철학”은 법 개념의 논리적 전개를 서술하는 반면, “세계사”는 이른바 세계 속에 실현된 법 개념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서술한다. 이런 맥락에 따라 헤겔의『법철학 강요』에 나타난 “이성적인 것, 그것은 현실적이다. 그리고 현실적인 것, 그것은 이성적이다”라는 구절은 ‘이성과 현실의 통일’을 함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테제의 의미는 그의 역사철학을 고려할 때 분명하게 확인된다. 헤겔의 이러한 이성-현실관은 “현실성과의 화해”라는 그의 철학관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이성이 세계 속에 있다는, 또한 이성이 지속적으로 세계 속에 실현되어 왔다는 통찰이야말로 헤겔이 “세계사”의 철학을 통해 도달한 “화해”이다. The “Philosophy of Right,” which covers the entirety of Hegel’s theory of Objective Spirit, is concerned with the idea [Idee] of right as the reality of reason. Hegel identifies the idea of right with conceptualized rational reality. He discusses the historical reality of reason in the last part of Objective Spirit, namely “World History (philosophy of history).” “World History” describ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o-called concept of right realized in the world, while “Philosophy of Right,” which means the speculat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right, describes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right. In consideration of his philosophy of history, we can ascertain that the statement “What is rational is real; and what is real is rational” implies the unified understanding of reason and reality. Hegel’s insight that reason is inherent in the world and that it also is being realized into the world is nothing but “reconciliation” which has been reached through his philosophy of “World History.”

      • KCI등재

        『실천이성비판』의 성립 문제

        오창환 ( Oh Chang Hwan ) 한국칸트학회 2022 칸트연구 Vol.49 No.-

        『실천이성비판』은 칸트가 전혀 저술을 의도하지 않았다가 급조된 저작이다. 처음 순수이성비판 에서 칸트는 이 저작으로 하나의 유일한 이성 비판을 의도하였기 때문에 실천이성비판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다고 선언했다. 『도덕형이상학 정초』에서도 ‘순수 실천이성비판’은 사변이성비판만큼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거듭 진술되었다. 우리는 먼저 칸트 자신의 실천이성비판 불필요성 테제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그가 저러한 최초의 생각을 바꿔 다시 독립된 저작으로 실천이성비판을 저술하기로 변심한 이유들과 저작의 고유한 목표를 탐구한다. 『실천이성비판』은 순수 실천이성의 확립, 경험적으로 조건지어진 이성의 월권 비판, 순수 실천이성의 변증성 해소, 사변이성과 실천이성의 통일 등의 주제를 통해 독립된 저작으로서 새롭고도 고유한 위상을 드러내며, 이런 점에서 칸트 사유의 발전사적 진보가 확인될 수 있다.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seems to be an improvised work that Kant did not intend to write at all.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declared that there was no need for a separat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since he had intended the critique of only one and the same reason through this work. Even in the Groundwork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he repeatedly stated that the ‘critique of pure practical reason’ is not as necessary as the critique of speculative reason. We will first examine Kant’s own thesis of the unnecessity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Next, we will explore the reasons why he changed his initial idea and resolved to write a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s an independent work.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is revealed to have a new and unique status as an independent work through them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pure practical reason, the critique of the empirically conditioned reason’s arrogation, resolving the dialectic of the pure practical reason, and the unity of speculative and practical reasons. In this respect, Kant’s philosophical development during the 1780s can be traced and understood.

      • KCI우수등재

        이성(理性)의 이중성

        김혜경(Hye-Kyong Kim)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8 No.-

        영혼 삼분 논의에서 그 한 부분인 이성은 다른 부분, 특히 영혼의 또 한 부분으로 구분된 욕구와 어떤 점에서 다른 부분으로 나뉘는가를 중심으로 이성 개념의 이해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가장 일반적인 ‘이성’의 의미 중 하나는 추론ㆍ계산 능력이다. 이때의 이성은 목적 중립적이다. 그러나 한편, 이성을 수단 인식을 넘어서 현상 배후의 진리를 인식하는 능력으로 상정하고 이것을 타 존재에 대한 인간의 차별적 본질로서 거론하는 전통도 있다. 『국가』의 이성 설명, 이성과 욕구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어떠하며 위의 문제에 무슨 대답을 주는가? 플라톤의 영혼 논의에서 욕구 부분에 못지 않게 이성 부분의 “만족 모름”은 보다 적극적으로 얽혀져야 한다. 그의 이성 논의는 동시에 이성의 선견, 즉 각 부분과 전체의 좋음에 대한 파악을 논의 전개의 중요한 동기로 삼고 있다. 그러면서 영혼의 본성에 대한 논의의 기저에는 모든 부분의 욕구에서 피할 수 없는 강제성과 다른 한편 그 대상을 포함하여 욕구 자체를 반성하고 지배하는 이성 능력의 조화 가능성에 관한 가정이 놓여 있다. 『국가』안에서 모든 문제가 만족스럽게 논증된 것은 아니나 『국가』 논의에서 놓쳐서는 안될 “이성”과 “욕구” 개념에 내재한 의미의 중첩을 확인하는 과정은 영혼 논의 전반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다.

      • KCI등재

        이성옹호의 철학적 전략 : 이성의 자기비판 및 내적 분화 the Self-critique of Reason and its inner Differentiation

        선우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5 시대와 철학 Vol.16 No.1

        오늘날 이성의 위기는 이성 자체가 지닌 본질적 난점에 기인한다. 하지만 그러한 한계로 인해, 이성을 해체하거나 비이성으로 대체하려는 반이성주의적 시도는 인식론적 회의주의와 윤리적 무정부주의로 귀착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대안이 될 수 없다. 이성은 그 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식하고 비판·교정할 수 있는 개념적 존재이며, 그런 한에서 '이성의 자기비판 및 이성의 내적 분화'를 통해 그러한 부정적 속성과 난점을 극복하려는 전략은 현실적으로 최선의 대안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이러한 전략 앞에는 넘어 서야할 또 다른 문제들이 자리하고 있다. 가령, 이러한 자기비판 및 자기 분화를 통해 마련되고 정립된 새로운 이성 개념이 '모든 이의 자유와 권리를 동등하게 존중하고자 하는 의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배제하거나 간과하는 대상과 존재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이성은 배제되거나 제대로 취급받지 못하고 있는 '이성의 타자'를 보다 신중하게 고려하고 포용하는 이성으로의 지속적인 보완과 혁신, 비판적인 재구성이 요구된다. 그런 한에서 다름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새로운 유형의 이성을 정립해 내는 과제는, 현 단계에서 이성의 자기비판 및 내적 분화 전략이 수행해야할 우선적인 작업으로 주어진다. Nowadays the crisis of reason is due to the intrinsic limitation of reason itself. But the trials to deconstruct that reason or to replace it with non-reason owing to such limits of reason result in epistemological scepticism and ethical anarchism. Considering these negative conditions, such anti-rationalistic trials have no qualification of practical alternative. In spite of inner limitation, the reason is the conceptual being that can recognize, criticize and correct its own problems. Thus the philosophical strategics of overcoming negative attributes and faults of reason itself through self-critique of reason and its inner differentiation' cannot help but be the best alternative realistically. Nevertheless this strategics is in the face of another problems to overcome. For instance, newly constructed reason by way of self-critique and self-differentiation is tend to exclude and pass over the other beings of reason and the subjects which should be worth respecting in aspects of their own liberties and rights. Viewed in this light, the task to construct critically the reason which can esteem and care about the others of reason and the difference is the most urgent work which the strategics of self-critique and inner differentiation of reason must set out at o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