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에 관한 분석적 접근방법 통합: 메타-이론적 통합 프레임워크

        김학삼 한국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5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은 장기적인 다양한 측면을 가진 과정이다. 경제발전, 기술혁신, 그리고 정책변화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을 형성하는 데 특히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을 설명하려면 이런 요소들을 연구하는 학문들로부터 통찰을 결합할 것을 요구한다. 논문에서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을 분석하기 위한 네 가지 접근방법에 다리를 놓고 연결하기 위한 제안을 한다: 경제-기술적 접근방법, 사회-기술적 이행 접근방법, 실천기반 행동연구 접근방법, 정치-정책적 접근방법. 논문에서는 이런 접근방법 각각은 정책과 실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통찰의 질과 유용성에서 부분적이고 불완전한 그림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논문에서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의 다섯 가지 핵심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것들 각각에 관련해서 구조화된 비교방법론을 활용해서 네 가지 접근방법을 비교한다.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을 분석하기 위한 메타-이론적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런 서로 다른 접근방법들을 연결하는 메타-이론적 통합 프레임워크는 접근방법 각각을 풍부하게 할 것이고, 지속가능한 이행에 관한 더 포괄적인 분석을 위한 토대를 제공해서 정책결정자와 실천가가 직면하는 질문과 딜레마를 더 잘 다루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메타-이론적 문헌과 비교해서, 논문에서 제시하는 메타-이론적 통합 프레임워크는 정책과정과 정책혼합의 역할을 평가한다. 왜냐하면 정책과정과 정책혼합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로 이행의 속도와 방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서 더욱더 중요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 게슈탈트치료 사례연구 -네 가지 주요 이론적 토대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보중 ( Bo Joong Kim ),장현아 ( Hyun A Chang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5 No.1

        본 논문은 연구자가 박사과정 수업을 통해 게슈탈트치료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더불어 수퍼비전을 받으며 진행한 개인상담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본 사례 연구를 위해 내담자의 동의를 얻었으며, 모든 축어록과 논문 내용에서 내담자의 정보는 비공개로 기술하였다. 내담자의 주호소 문제는 엄마의 집착적이고 비이성적인 행동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렵다는 것이었고 상담주제는 엄마와의 경계 혼란이었다. 본 사례에서는 게슈탈트치료 이론이 실제 상담과정에 어떻게 적용되어 가는지를 네 가지 주요 이론적 토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게슈탈트치료의 이론적 토대인 현상학적 접근, 장이론적 접근, 대화적 접근, 실험적 접근을 적용하였으며 네 가지의 이론적 접근이 각 회기의 지금-여기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내담자가 치료 과정에서 드러내는 지금-여기에서의 알아차림과 접촉의 현상학적 경험과 게슈탈트치료에서 추구하는 상담 목표가 사례 안에서 어떻게 실현되어 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a personal counseling case under supervision along with theoretical research about the Gestalt counseling, which has been learned during the classes of the doctor's course. For this study, how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Gestalt theory has been applied to the practical counseling process was explored while focusing on the four key approaches. Written consent of the client has been obtained and all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client in all the records and in this article has been kept in private. The chief complaints of the client was the chaotic relationship with the client's mother who is obsessed and behaves unreasonably, in which the client has been difficult to live ordinary daily life, and the counseling theme the client brought was the boundary confusion with the client's mother. For this case study, phenomenological approach, field theory approach, dialogue approach, and experimental approach were applied based on the theory of Gestalt therapy.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에서 이론과 실제의 대립과 메타프락시스

        박채형(Chae-Hyeong Park)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1

        교육과정 연구에는 교육과정의 선구적 논의가 나타내는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의 대립을 비롯하여 이론적 접근과 실제적 접근이 연출하는 거시적 대립과 각 접근의 전후세대가 연출하는 미시적 대립으로 압축되는 삼중의 대립이 깔려 있다. 메타프락시스의 순환론적 논리에 따르면, 교육과정 연구가 삼중으로 얽혀 있는 이러한 이론과 실제의 대립을 연출하는 이유는 교육 그 자체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확립되는 이상적인 마음을 간과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메타프락시스의 당사자적 논리는 여기에 이어서 교육과정 연구가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활동이 겨냥하는 바로 그 이상적인 마음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실천의 실천으로 해석될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만일, 교육과정 연구가 메타프락시스의 이러한 논리에 기반을 두고 전개된다면, 교육과정 연구에서 이론적 접근과 실제적 접근은, 상반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두 가지 대립되는 접근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떠받치는 가운데 이상적인 마음을 형성하는 데에로 나아가는 두 가지 보완적인 접근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curriculum studies based on the logic of metapraxis proposed by T. P. Kasulis. The conflic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curriculum studies can be summarized into a triple structure. In other words, if the conflict between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represented by the pioneering discussion of curriculum is the basis of the structure, the macro-conflict produced by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and the micro-conflict produced by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of each approach can be grasped as two layers of conflicts. According to the logic of metapraxis, the first two conflicts can be found because they overlook the Universal which corresponds to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education. And the third conflict identified in each approach can be seen as conflict arising from the failure to see that their activities are based on the very Universal. The logic of metapraxis opens here to the possibility that curriculum studies divided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can be interpreted as a practice of practice that is carried out in order to jump to the Universal aimed at the activities of curriculum of students. Thus, in curriculum stud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can be interpreted as two complementary approaches that go toward forming an ideal mind while supporting each other, not two opposing approaches that go in opposite directions.

      • 한국 정당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모색

        윤종빈(Jongbin Yoon)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3 미래정치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당연구의 새로운 이론적·방법론적 대안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데 있다. 기존의 한국 정당연구는 서구 중심적인 접근에 의존하여 한국의 역사적·정치적 상황을 간과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후발 민주주의 국가의 정당정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이론 개발에 주목한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민주주의 제도화 수준에 따라 세 가지 차원의 사례 분석을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민주주의 제도화 수준이 낮은 동유럽의 신생 민주주의 국가, 제도화 수준이 중간이지만 정당정치 정착을 시도하는 유럽연합을 포함하여, 민주주의가 정착되어 정당의 선거경쟁력이 쇠퇴하고 있는 미국에 이르기까지 정당정치의 사례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정당연구의 새로운 대안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선행조건을 제시하는데, 첫째는 거시적·미시적 접근의 융합과 한국 정치의 역사적·맥락적 접근의 보완이다. 둘째는 정당-유권자 연계를 위한 철저한 고민이고, 셋째는 선거공영제의 범위에 대한 논의이며, 마지막으로 넷째는 중앙당과 지구당의 역학관계에 대한 미시적 차원의 논의이다. 이러한 접근들은 한국 정당연구의 주제를 확장하고 현실적인 적실성을 높여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w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lternatives of party studies in Korea. The existing approaches overlook Korean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s by only depending on Westerncentric approach. But this study tries to develop new theories for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Also methodologically, this study suggests three levels of case studie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level of democrac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preconditions for the alternative approaches. The first one is the fusion of macro-micro approaches with the consideration of historical and contextual analysis. The second precondition is deep concern on a linkage between the party and voter. Thirdly, it requires serious discussions on the expansion of government funded elect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micro-leve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party and local parties.

      • KCI등재

        IB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협업에 대한 인식 탐색

        신경희(Kyung Hee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공교육에 도입한 IB MYP 적용 과정에서 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해 면담조사한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적 접근 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IB MYP 학교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과 동료교사의 협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공교육에서 IB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A 지역의 2021년 인증, 후보 단계에 있는 MYP 3교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학교 방문을 통해 초점집단면담을 하고 분석 결과를 정리, 제시하였다. 근거이론적 접근을 활용하여 IB MYP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 과정을 설명하는 각 범주들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도록 도식을 이론적으로 구성하고 교사 실천적 지식과 형성, 협업 과정을 중심으로 2가지 주제를 제시하였다. 결과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심현상,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 범주를 도출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으로써 교사협업과 전문성 신장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2가지 제시하였다. 첫째, IB MYP 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 ‘해 봐야 아는 것’, ‘시행착오를 통한 배움’ 둘째, IB MYP 학교에서 교사협업과 전문성 신장의 경험으로서 ‘협력의 재발견’,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아이디어 교류로 ‘확신의 탐색’이다. 결론 공교육에 도입한 IB MYP 학교의 교사가 수업 설계, 적용, 평가의 과정에서 어떤 인식과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교사협업과 실천적 지식의 형성 과정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색함으로써 IB 프로그램 적용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Objectives In the course of applying the IB MYP introduced to public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survey on the teacher's classroom experience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enhancing professionalism through the practical knowledge and cooperation of teachers in the IB MYP school. Methods The results of a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and analyzed through a school visit in November 2021 for teachers of three MYP schools in the 2021 certification and candidate stages in regions that are introducing the IB program in public education are summarized. A schematic was theoretically constructed to explain the teachers' adaptation process to the IB MYP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 addition, two themes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teacher-practical knowledge formation process and the teacher collaboration process. Result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ss and Corbin(1998),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central phenomena, interventional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and outcome categories were derived. In addition, two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focusing on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s central phenomena of the paradigm model. First, it was the formation of practical knowledge of IB MYP school teachers, ‘things you have to do to know’, and ‘learning through trial and error’. Second, it is the rediscovery of collaboration as an experience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IB MYP school, and the search for confidence through daily and continuous exchange of ideas. Conclusions In November 2021, we examined what kind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teachers of IB MYP schools introduced to public education had in the process of class design, application, and evaluation. By examining the importance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forming practical knowledge, we tri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IB program.

      • KCI등재

        골프 퍼팅 스트로크에서 홀드(Holed)를 위한 이론적인 접근

        박진 한국골프학회 2014 골프연구 Vol.8 No.4

        이 연구는 골프 그린에서 볼의 속도와 경사도에 따라 볼이 이동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수학적인 공식을 활용하여 움직임을 계산하였고,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하였다. 그리고 두변인인 속도와 경사 조건으로 볼의 위치 값을 x, y 좌표 값으로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초기 속도와 경사도는 각각 1~5의 값을 이용하였으며, 볼의 움직임 시간은 1초간으로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를 보면 볼의 홀컵 방향으로의 이동은 초기속도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볼의 경사 방향으로의 이동은 경사도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볼이 정지마찰력 없이 바로 구름 마찰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지면에서2.95cm 위치를 타격할 때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경사 그린에서 볼이 움직인 전체 거리를 분석해 보면 초기(출발지점에서 약 25cm까지)에 볼은 경사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나 이후부터는 비교적 크게 영향을 받으며 움직임이 큰 폭으로 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holed during the putting stroke. Byusing the formula, the path of ball was calculated during the movement. It was programed by using the Excelprogram. Two variables which are initial velocity and slope were used to collect data. Initial velocity was 1~5m/sand the slope was also 1~5°. Data were collected for 1 second. According to the data, ball movement was influencedby the initial velocity and slope. In order that a ball makes roll over, the position of ball was hit 2.95cmheight from the ground. If I analyze the movement of the ball in the slope, there is a little effect in the initialposition(from starting position to 25cm). After that(from 25cm to 100cm), the ball was influenced by the slopemore and more.

      • KCI등재

        한국 고고학의 고대 국가형성 연구를 위한 일 검토

        고일홍(Ilhong Ko) 중부고고학회 2014 고고학 Vol.13 No.1

        본고에서는 한국 고고학의 국가형성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유럽 고고학의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고대 국가의 형성에 관한 다양한 해석적 접근을 검토하고 있다. 유럽 고고학에서 진행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 학계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두 지역에서 고대의 국가가 유사한 환경적, 지정학적 조건 속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두 지역의 고고학자들은 사회과학의 시각 보다는 역사학의 시각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왔다. 그간 한국에 소개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세계 고고학의 연구사례들은 주로 유럽 이외의 지역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었기에, 유럽 고고학의 해석적 시각을 다루고 있는 본고의 시도는 한국 고고학의 학문적 저변을 넓히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의 제II장에서는 지금까지 한국 고고학에서 고대 국가형성에 관한 논의들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바를 밝히고 있다. 제III장에서는 고대 국가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유럽 고고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고 있다.‘사회발전단계론적 국가 모델’,‘국가에 관한 구조주의적-마르크스주의 시각’,‘국가에 관한 정통 마르크스주의 시각’,‘헤테라키적(heterarchical) 국가’가 그것이다. 제IV장에서는 국가에 관한 각각의 이론적 시각을 견지할 때 실제 고고학 자료에 대한 해석이 어떤 방식으로 진 행되고, 또 어떤 성격의 설명으로 이어지는지를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이 사례연구들은 유럽 중부지역 켈트족의 국가형성,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걸친 북부 유럽지역에서의 국가형성, 청동기시대 스페인 남동부 지역에서의 국가형성, 그리고 철기시대 남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의 국가형성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V장에서는 이런 유럽 고고학의 논의가 한국 고고학의 고대 국가형성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국가의 등장을 양적 발달이 아닌 질적 전환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 유럽의 사례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연구 계발적(heuristic) 도구로서의 가능성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interpretative approaches that have been used in archaeological studies of ancient state formation in Europe in order to consider new pathways for research on the state in Korean archaeology. The reason that archaeological research undertaken in the European context can provide new insights for Korean archaeology is because state formation in the two regions occurred in similar environmental and geopolitical conditions. Therefore, an overview of previous studies on ancient state formation carried out by Korean archaeologists is first undertaken in order to illuminate the potential merits of the current study. Then the various theoretical frameworks that have been used in the study of the state in ancient Europe are considered. They comprise the‘social evolutionary concept of the state’,‘the structural-Marxist concept of the state’,‘the traditional Marxist concept of the state’, and‘the heterarchical state concept’. Following this is an examination of four case studies on ancient state formation in Europe which have adopted, respectively, each of these state concepts. They explore the formation of the Celtic state, state formation in Iron Age Northern Europe, the Bronze Age Argaric state, and the South Scandinavian heterarchical state. Finally,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ve approaches adopted in these case studies (which are meant to be used as a heuristic tool by Korean archaeologists) are discussed.

      • KCI등재

        인문교정을 탐구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 : ‘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전석환,이백철 아시아교정포럼 2015 교정담론 Vol.9 No.1

        인문교정의 원초적인 발상은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이라는 주제로부터 출발한다. 무엇보다 먼저 그러한 주 제의 큰 특징은 통섭적 혹은 융복합적 형태를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문교정의 등장은 지금까지의 한국 교정학이 ‘교도소의 관리학’ 혹은 ‘행형법의 주석학’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는 일단의 교정학 전공자들의 자성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정학 자체의 올바른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긴박한 요청이 바로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이라는 모습으로 드러났던 것이다. 그러한 구체적 모습은 외연적으로 볼 때 일군의 교정 전공자들과 인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주도된 2007년 <아시아교정포럼>이라는 학회의 발족 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계기를 우리는 교정학과 인문학이 ‘인문교정’이라는 이름으로 명실공히 통섭적 혹은 융복합적 학문의 구체적 모델을 구현했다고 자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인문교정의 운동’으로 규정할 수 있다. 더불어 현시점에서는 그러한 운동의 그 내적 기초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것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특히 인문교정 ‘탐구의 방법론’에 대한 구축 시도는 이러한 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전제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첫째는 무엇보다 먼저 인문과학 중 특히 철학과 교정학 조우의 필연성을 해명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특히 인 문교정 안에서 ‘철학적 관점’이라는 개념적 이해를 통해 ‘어떻게 철학이 인문교정의 탐구 안에서 위치하고 있 는 가’에 대한 정당화의 작업을 시도한다. 둘째는 교정학에 대한 ‘인문학에 있어서 하나의 분과과학으로서 철학’에 의거한 접근은 어떤 탐구의 방법으로 드러나게 되는 가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것을 ‘메타적 이론의 관점’으로 수용하면서 그러한 탐구의 방 법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의 근거를 밝힌다. 셋째는 인문교정의 탐구 방법을 직접 탐구 영역에 적용시키면서, 철학적 관점을 통해 본 인문교정 탐구의 실 제를 제시한다. 그러한 시도는 무엇보다 먼저 지금까지 성립된 학문이론을 전제하고, 기존 교정학이 다루었던 탐구를 비평하는 형식으로 수행된다. The basic conception of humanistic corrections starts with the theme called “A Humanistic Approach to Corrections”. The great feature of this theme is the convergence and consilience of its conception.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istic corrections came from the introspections of corrections specialists said that Korean humanistic corrections is still at the level of penology or the manual of penal law. In other words, an urgent need for accurate identity of academic discipline in corrections has led to an humanistic approach to corrections. The progress details can be confirm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society named Asian Forum for Corrections by both corrections and humanities specialists in 2007. Through this even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orrections and humanities specialists implemented a specific model of the consilient and convergent discipline, it is called humanistic corrections. A series of processes can be defined as a movement for humanistic corrections. At this present time,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basic theory on this movement. Especially, it is important in this stage to attempt to establish an inquiry methodology for humanistic corrections. Under this premise, this study was developed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inevitability of an encounter between corrections and philosophy particularly among the humanitie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a process to rationalize how philosophy is under the inquiry of humanistic corrections was conducted through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humanistic correction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by an inquiry method, an approach to corrections based on philosophy as a science of the humanities comes out. Thus, this study suggested an inquiry method by accepting it as a metapoetic perspective on theory, and consequently, the grounds of its validity were identified. Third, the inquiry practice of humanistic corrections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was suggested by applying the inquiry method for humanistic corrections to the direct research field. In this regard, the criticism on the inquiries in the existing corrections were conducted under the premised of the established theory of the science.

      • KCI등재

        특집논문 : 구조방정식모형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 공분산구조분석의 모형추정 절차: 방법론적 진단 및 처방

        김상욱 ( Sang Wook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1

        이 글은 공분산구조분석을 시도할 때 과연 어떠한 모형추정 절차를 따라야만 하는가 하는 방법론적 이슈와 관련한 국내 기존연구들의 문제점을 짚어내고 해법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특별히 이 글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계적으로 추정해 내는 세부적 과정과 절차에 있어서 국내연구들이 올바른 방법론적 전형 및 규준으로부터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이탈되어 있는가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방법론적 처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형추정의 주요 단계별로 논의한 방법론적 규준 및 처방은 모두네 가지였는데, 구체적으로 (1) 본격적인 모형추정에 앞서는 사전적 정지작업으로서의 문항분석(내적 일관성 검증 및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다중공선성 검증 및 확인적 요인분석, (2) 소위 ‘2단계 접근법’으로서의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개별적·순차적 추정, (3) 구조모형의 주요 인과경로 계수를 추정함에 있어서 초기모형으로 간명모형을 선택한 후 점진적·부가적으로 경로를 설정해 나가는 보수적 추정전략, (4) 측정오차들 상호간 독립성이라는 핵심적 통계적 전제에 대한 적극적인 전방위적 검증 및 반영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규준 및 처방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1) 본격적 모형추정에 앞서서 문항분석 등을 세밀하게 시도하지 않아서 사상누각의 결과를 가져오며, (2) ‘2단계 접근법’을 제대로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해석적 혼란’뿐 아니라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상호간 ‘혼란’없는 얼개를 적절히 보여주지 못하고, (3) 간명모형으로 시작하는 이론적·선험적 접근전략을 구사하기보다는 포화모형으로 시작해서 경험적 기준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경험경도적 전략을 동원함으로써 몰(沒)이론적이고 사후소급가설화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4) 측정오차들 상호간 독립성과 관련한 통계적 전제를 별도로 검증하지도 또는 아예 관심조차 보이지 않음으로써 모형추정 결과에 각종 오류를 초래하는 문제를 나타냄을 지적하였다. 여타 통계분석기법들과 차별화되는 공분산구조분석 기법 고유의 장점 그리고 최근 점증하는 활용 추세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국내 연구들은 적확한 방법론적 이해와 적용절차를 결여함으로써 이 기법의 장점을 극대화하기보다는 오히려 오 남용 가능성을 크게 경계하여야 할 상황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address methodological issues concerning what kind of estimation procedures needs to be employed in estimating causal models in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particular,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ry to diagnose detailed sorts of problems prevalent in the extant literature in Korea, and also to provide a proper prescription to help avoid or rectify such problems. To be more precise, a total of four protocols or criteria are suggested to be adhered to, in sequence, in the process of model estimation: (1) as a beforehand job to prepare for the main or full-fledged estimation of causal model, detailed ``item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check into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2) the so-called ``two-step approach’ needs to be used to try to estimate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on a separate and sequential basis; (3) the conservative strategy needs to be used by means of adopting an over-identified, or parsimonious, model as a baseline structural model and then trying to free up some of the remaining, unspecified causal paths merely one by one based primarily on their theoretical plausibility; (4) the critical statistical assumption relating to correlated measurement errors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needs to be strictly tested for and incorporated into the main analysis. Despite these protocols or criteria, a substantial body of literature using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Korea are indeed: (1) failing to conduct the item analysis carefully prior to the estimation of causal model; (2) failing to use the two step approach appropriately; (3) failing to use the theory-driven, conservative strategy, and having tended to use, instead, the data driven, a theoretical strategy; (4) failing to test the assumption of correlated measurement errors in estimating the structural model. Methodological and substantial ramifications stemming from these problems are discussed in further details to guard against the possibility of serious misuses or abuses of such analytic technique in Korea.

      • KCI등재

        경쟁활동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홍명기,조한무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2

        본 근거이론연구는 경쟁활동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를 탐색하여, 부정적 정서 경험과 다른범주와의 관계를 밝히고, 혁신적인 경쟁활동 수업 운영에 관한 토대 이론을 생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초점화된 집단면담과 개인별 심층면담, 비 참여관찰, 문헌 연구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적 코딩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원 검토, 동료 협의, 전문가 검토를 거쳤으며, 연구의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고, 익명성을 보장해 주었다. 개방 코딩 단계에서는 39개의 개념과 18개의 하위 범주, 11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발견된 중심 현상은 부정적 정서 경험이며, 개방 코딩과 축 코딩 결과를 토대로 ‘혁신적인 경쟁활동 수업으로의 전환’이라는 핵심 범주로 발전하였다. 맥락적 조건과 핵심범주 간의 가설적 정형화를 통하여 ‘인성포함형’, ‘소통형’, ‘인성강요형’, ‘교사의존형’으로 수업을 유형화 하였다. 학생들은 다양한 범주의 연결고리에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 구성원의 합의를 이끌어내고, 정의적 영역을 반영할 수 있는 과정 중심으로의 수업 전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Applying ground theoretical approach,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in the competit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investigate potential relationships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with related categories, and eventually to generate a foundational theory regarding the revolutionary operation of the competit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elect the research participants, a total of 112 fifth-grade students in C elementary school in B city in A province participated in focused group interviews using criteria sampling method, and later 12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Using ground theoretical approach, the data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1) open coding, 2) axis coding, and 3) selective coding methods. To secure truthfulness of the data, members’ check, peer‘s review, and experts’ review were utilized. Lastly, in order to secure ethicality of the study, consent forms were collected from each research participant and their anonymity was guaranteed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As results of the study we drew 39 concepts, 18 sub-categories, 11 categories. Based on the open-coding and axis-coding, we were able to find a core-categories called ‘changeover toward revolutionary competitive activity class,’ in which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formalized with ‘personality development-focused type,’ ‘communication-focused type,’ ‘personality-forced type,’ and ‘teacher-dependent type’ through hypothetic standardization between contextual conditions and the core categories. Students in the study have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within the connecting links among the various categories, and we came to conclusion that changeover in physical education into the process-centered class, which can lead a members’ agreement and reflect affective domain during the classe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