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자의 탈기표체제 생성과 텍스트 이해 -의미생성 읽기관 탐구-

        김도남 ( Kim Do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들뢰즈와 가타리는 『천 개의 고원』에서 기호체제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기호체제 관점에서 보면, 독자는 텍스트를 읽고 기표체제를 생성한다. 독자는 기표체계 생성을 통하여 텍스트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독자가 텍스트를 읽고 생성하는 기표체제는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특권을 가진 기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표체제와 이 기표체제로부터 탈주하는 탈기표체제이다. 이 논의는 탈기표체제에 중점을 둔다. 독자의 탈기표체제는 기표체제가 드러내는 의미로부터 벗어나 독자만의 의미를 생성하게 한다. 기표체제가 드러내는 의미는 텍스트 내용에 대한 전문가의 해석을 독자가 좇는 것이다. 기표체제는 특권을 가진 기표를 중심으로 기표들이 질서 있는 조직체를 이루고, 특권 기표가 지시하는 의미를 부각하여 드러내게 된다. 이 특권 기표를 중심으로 생성되는 기표체제는 여러 동심원을 이루고, 각 동심원들이 의미 드러낸다. 이로 인해 기표체제는 의미의 다양성을 띤다. 그렇지만 이들 의미는 특권 기표만을 위한 한정된 의미이다. 독자는 이 특권 기표 중심의 의미에 한정된 텍스트 이해를 벗어나기 위해 탈기표체제를 생성해야 한다. 탈기표체제의 생성은 특권 기표에서 얼굴 돌리기가 필요하다. 독자의 얼굴 돌리기는 특권 기표와는 다른 얼굴을 마주보았을 때 일어난다. 독자가 특권 기표와는 다른 대상과의 얼굴 마주하기가 없다면 탈기표체제를 생성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탈기표체제의 생성에 의한 의미 이해 방식은 이중화와 공명이다. 이중화는 언표행위주체로서의 독자가 텍스트의 언표 주체와 포개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코기토의 의식적 이중화와 커플의 정염적 이중화로 구분된다. 공명은 독자 주체가 텍스트 타자에 공감함으로써 의미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탈기표체제의 생성으로 일어나는 텍스트 의미 이해를 위한 이중화와 공명은 자기만의 의미 세계에 갇히거나 자기만의 탈주선을 탈 위험성이 있다. 독자의 텍스트 의미 이해는 이들 위험성을 경계하면서 탈기표체제를 생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Deleuze and Guattari discuss the regime of signs in < Mille Plateaux >.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ader reads the text and generates a regime of signifiers. The reader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text through the creation of a regime of signifiers. The regime of signifiers in which the reader reads and generates text can be divided into two forms. A regime of signs centered on privileged signifiers and a post-regime of signifiers that escapes from this regime of signs. This discussion focuses on the post-regime of signifiers. The reader's post-regime of signifiers deviates from the meaning that the regime of signifiers reveals and creates its own meaning. The meaning of the regime of signifiers is that the reader follows the expert's interpretation of the text content. The regime of signifiers are gathered in an orderly manner around privileged signifier,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privileged signifier. The regime of signifiers, which is created around this privileged signifier, forms several concentric circles, and each concentric circle reveals its meaning. As a result, the regime of signifiers has a variety of meanings. However, this meaning is limi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privilege signifier. Readers must create a post-regime of signifiers to escape textual understanding limited to this privileged signifier-driven meaning. The creation of a post-regime of signifier requires a face turn from a privileged signifier. The reader's face flip occurs when facing a f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ivileged signifier. If the reader does not face the privileged signifier and other subjects, it does not happen to create a post-regime of signifiers.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by the generation of the post-regime of signifiers takes place in two ways. Redundancy and Resonance. Redundancy is the way in which the reader, as the statement action subject, is folded with the statement subject in the text. This approach is distinguished between Cogito's conscious redundancy and couple's passion redundancy. Resonance is a way for read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by empathizing with text meaning. Redundancy and resonance for understanding textual meaning arising from the creation of a post-regime of signifiers are at risk of being trapped in their own meaning world or riding only their own escape lines.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ual meaning needs to pursue generating post- regime of signifiers while being wary of these risks.

      • 청각장애 학생의 생성이름대기 특성

        강수연,김종현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2010 아동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수화를 사용하고, 동작성 지능이 정상이며 청각장애 외에 부가장애가 없는 12세 이하의 학생 7명과 13세 이상의 학생 15명에 대한 생성이름대기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 산출된 낱말 수는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청력수준 및 수화사용 시기에 따른 낱말 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 각 범주별 산출 낱말 수는 성별에 따라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음소범주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청력수준 및 수화사용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의미범주와 음소범주의 하위요소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의미범주의 ‘동물’ 생성이름대기와 음소범주 간에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었고, 의미범주내의 하위요소 간에는 의미있는 상관이 없었으며, 음소범주 내의 하위요소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신화론으로 본 AI예술의 생성이데올로기

        이종철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AI영상플랫폼을 이용하여 나타나는 생성이미지의 신화론적 의미분석을 통한 AI생성예술에 대한 연구로써, 본 연구자가 제작한 드로잉과 콜라쥬 작품을 AI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AI생성플랫폼에 텍스트로 입력된 프롬프트의 형식과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재해석하고, 이를 신화론적 의미작용 모형에 적용시켜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AI생성예술의 이미지에 대한 의미작용 분석과정은 AI생성이미지가 프롬프트 텍스트에 의해 2차적 의미작용이 변화하여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AI생성예술의 의미작용모형은 바르트의 의미작용모형 구조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드로잉 이미지의 1차적 의미작용의 범위와 AI생성이미지의 2차적 의미작용의 범위가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작가의 작품에 담긴 <창의>와 AI생성예술에 나타나는 <생성>이라는 두 신화의 의미작용 차이를 통해 AI생성예술이 가지는 창작도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AI생성예술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기대와 우려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on AI generative art through analysis of the mythological meaning of generative images using an AI moving image platform. The drawings and collage works I created were semiotically analyzed using the images generated by applying them to an AI generation program. The research method wa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format and content of the prompt entered as text into the AI generative art platform and apply it to the mythological signification model for an experiment. Through this, the signification analysis process for images of AI generative art showed that AI generative images appear as secondary signification changes due to the prompt text. As a result, the semantic model of AI generative art is somewhat different from Barth's semantic model structure, and the scope of the primary semantics of drawing images and the secondary semantics of AI generative images have changed.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e potential of AI generative art as a creative tool through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the both myths, <creation> in the artist's work and <generative> in AI generative art, and to determine the artistic value of AI generative art. The aim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 KCI등재

        기표체제와 독자의 텍스트 이해 -의미 구성 읽기관 비판-

        김도남 ( Kim Do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2

        기호는 체제를 이루어 의미작용을 한다.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기호의 질서 있는 조직을 기호체제라 한다. 의미를 드러내기 위한 기표들의 조직은 기표체제이다. 독자는 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기표체제를 생성한다. 이 논의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호체제에 대한 논의를 독자의 텍스트 읽기에 적용하여 텍스트 이해에 대한 설명을 시도했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표적 내지 의미적 기호체제’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독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하여 생성하는 기표체제의 특성을 검토했다. 이는 독자가 텍스트를 읽고 생성하는 의미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를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것이기도 하다. 독자는 텍스트를 읽고 기표체제를 생성한다. 이 기표체제는 특정한 경향성을 띤다. 특권 기표 또는 전제군주 기표를 중심으로 의미의 작용이 일어난다. 이 독자의 기표체제는 특권 기표에 초점화된 의미를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이 특권 기표가 드러내는 의미의 특성을 얼굴성 또는 안면성이라 한다. 기표의 얼굴성은 기표 자체보다 더 많은 기의를 지시한다. 이를 잉여성이라 한다. 독자가 생성하는 기표체제는 특권 기표의 잉여적 의미를 얼굴성으로 내세운다. 그래서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차이 그 자체의 특성을 갖기보다는 특권 기표에 예속된다. 이러한 기표체제 생성 중심의 텍스트 읽기는 주제를 찾는 읽기나 의미 구성을 강조하는 읽기와 맞닿아 있다. 이들 읽기는 특권 기표의 얼굴성을 드러내는 잉여적 의미에 예속된 텍스트 이해에 머물기 때문이다. 독자의 텍스트와 관련된 예비적 지식이나 학습으로 습득한 배경지식이 특권 기표의 얼굴성에 예속된 의미 구성을 하게 한다. 이 논의에서는 기표체제의 생성으로 이루어지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의 한계만 짚어보았다. 독자의 기표체제 생성으로 이루어지는 텍스트 이해의 한계는 탈기표체제의 생성으로 넘어설 수 있다. 탈기표체제 생성에 대한 논의는 다음 논의에서 다룬다. Signs form a regime and act to create meaning. The orderly organization of signs that reveal meaning is called the regime of sign. The organization of signifiers to reveal meaning is the regime of signifier. The reader reads the text and creates a regime of sign to understand its meaning. In this paper, we attempt to explain understanding the text by applying the discussion of Deleuze and Guattari's the regime of signifier to reading. I Based on Deleuze's and Guattari's discussion of the “signifier or semantic sign regime”, the regime of signifier created by readers to understand the text is reviewed. It is also a critical discu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 that the reader reads and creates. The reader reads the text and creates a regime of signifier. The perception of reading about the creation of this signifier regime has a certain tendency. The regime of signifier is centered around the signing of a privileged or despotate monarch. This reader's signifier regime reveals a meaning focused on privileged signifiers. The characteristic of a privileged signifier can be called faciality. The faciality of the signifier indicates more signifier than the signifier itself. This is called a surplus property. The signifier regime created by the reader puts forward the meaning of surplus as a privileged signifier. Thus,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subject to privileged signifiers rather than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 itself. In this discussion, only the limitations of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s, which are made through the creation of a signer system, were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text comprehension through the creation of the reader's signing system can be overcome by the creation of a post-regime of signifier. The discussion of the creation of a post-regime of signifier is dealt with in the following discussion.

      • KCI등재후보

        TV 광고에서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내러티브의 의미생성 연구

        김은주(Kim, Eunju)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2

        광고에서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품판매 혹은 브랜드 및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인과관계와 사건을 연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내러티브 구조와 이를 구성하는 요소와 요소들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행위소 모델과 기호학적 시각형 구조로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TV 광고의 내러티브가 강한 것으로 호감도와 신뢰감, 친밀감에 우수하다고 평가를 받고 있는 광고를 기준으로 한다. 광고에 대한 내러티브는 두 계층 구조로 의미를 생성하고 있다. 브랜드의 본 속성은 물론 감성적 의미를 생성하는 동시에 사회적 의미를 생성한다. 이러한 감성적 사회적 의미 대한 구조는 유기적 작용을 하여 브랜드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제고하여 그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이것은 내러티브가 형성되고 이 형성된 내러티브는 제품의 이미지를 더욱 강하게 인식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소비자들에게 긍정과 신뢰감의 이미지를 갖게 해줌으로써 브랜드를 기억하는데 있어서 효과적 전략적인 방법이 되고 있다.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자연스러운 주변 이야기는 소비자들이 자기 자신을 보는듯한 감정이입을 느끼는 동시에 강한 공감과 유대감을 형성하게 된다. 분석결과를 보면 내러티브는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한 의미생성, 사회계층에 대한 의미생성, 감성적 의미생성의 구조 계층을 구성하여 브랜드의 이미지에 유기적 작용을 한다. 사회적 문화적으로 이미지를 구축 하는 동시에 감성 가치를 부여한다. 이러한 것을 광고에 대한 내러티브의 의미 생성은 이야기에 사회적 문화적 감성적 가공을 통해 소비자가에게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영향을 준다. Composing narrative is very important in advertisement. It is about comprising series of causal relationship and event to increase product sales and improve image of brand or company. In this study, narrative structure for improving brand image and organic connection between comprising components are analyzed with Actant Model and Semiotic rectangle structure. For analysis object, TV advertisement with good preference, reliability, and friendliness is selected as a standard. Narrative in advertisement is creating with two class compositions. Original character of brand is creatingemotional and social meaning at the same time. This organic connection in emotional and social meaning composition improves perception of consumers to brand image, pursuing its value. Once narrative is created, the narrative strongly impresses the importance of product image, bringing positive and reliable perception, and it is used as effective and strategic method to make consumer remember brand. Ordinary stories of daily routines and social lives help consumers feel as if they are watching themselves and develop strong empathy and bond. Narratives are analyzed to deeply related to brand image establishment by generating socio-cultural significance, social-class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significance. That is, narratives can design socio-cultural images and created emotional values upon those images at the same time. Such narrative-based value generation in advertisement processes ordinary stories by adding socio-cultural context and emotional significant to help improve consumers’ awareness of corporate brand image.

      • KCI등재

        질문생성교재 · 의미연결성 · 선행지식이 고등학생의 설명적 교재의 중심내용 이해에 미치는 효과

        문선모,차시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실험 참가자로 하여 질문생성 조건과 교재 의미연결성 수준과 선행지식 수준이 설명적 교재의 중심내용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ㆍ검증한것이다. 독립변인은 질문생성 조건(사고질문ㆍ기억질문ㆍ무질문), 교재 의미연결성 수준(하위ㆍ상위) 및 선행 지식수준(하위ㆍ상위)이며, 실험요인의 배치는 3 × 2 × 2의 요인설계로 하였다. 세 독립변인 모두 피험자간 변인이었다. 종속변인은 주요점 회상 점수와 글 전체 및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 점수였다. 이상의 독립변인들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었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h 신호단어를 사용하여 생각을 요구하는 사고질문을 생성하면서 글을 읽는 것은 질문을 생성하지 않고 글을 읽는 것보다 읽은 글 내용의 주요점 회상과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을 촉진시켰다. 그리고 기억질문을 생성하면서 글을 읽는 것은 질문을 생성하지 않고 글을 읽는 것보다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을 촉진시켰다. 한편, 주요점 회상, 글 전체 및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에서는 사고질문 생성 조건과 기억질문 생성 조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교재 의미연결성의 높고 낮음의 효과는 주요점 회상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의미연결성이 높은 교재보다 낮은 교재가 글 전체의 중심내용 파악을 촉진시킨 반면에, 의미연결성이 높은 교재는 낮은 교재보다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을 촉진시켰다. 셋째, 질문생성 조건, 교재 의미연결성 수준 또는 선행지식 수준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사고질문 생성이 무질문 조건보다 주요점 회상과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을 촉진시킨 효과는 교재 의미연결성 수준과 선행지식 수준에 관계없이 나타나며, 또한 교재 의미연결성 수준 간에 글 전체 또는 단락의 중심내용 파악이 차이가 있음은 선행지식 수준에 관계없이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은 Wittrock의 생성학습이론과 Kintsch의 교재이해이론과 상황모형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부사격조사에 대한 생성어휘론적 접근 - 부사격조사 '-에서'를 중심으로 -

        우창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1

        이글은 부사격조사들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어떻게 설명하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것을 ‘-에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양한 문법 의미들이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다양한 문법 의미들이 나타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글에서는 Pustejovsky(1991)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성어휘론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부사격조사가 가지는 기능과 문법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Pustejovsky(1991)에서는 단어의 의미들이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문장에서 다른 단어들과 결합하였을 때 다양한 의미들을 생성해낸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다양한 의미들을 생성해 내는 문법적 장치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Pustejovsky(1991)의 생성어휘론에서는 어휘가 ‘논항구조(Argument Structure), 사건구조(Event Structure), 특질구조(Qualia Structure), 어휘상속구조(Lexical Inheritance Structure)’로 구성된 것으로 전제하고 강제유형일치(Type Coercion), 선택적 결속(Selective Binding), 공동 합성(Co-copmposition)과 같은 생성 기제들이 이들을 특정한 문맥에서 주어진 어휘 요소들의 합성적 해석을 제공하는 것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글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참고하여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서’의 문법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은 ‘-에서’의 문법 의미가 실제 문장에서 서술어 등과의 결합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 ‘공부하다, 받다, 출발하다, 주최하다’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공부하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에서’의 ‘(구체적)장소’의 문법 의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받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수여자’의 문법 의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출발하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출발점(출발하는 장소)’의 문법 의미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최하다’와의 결합을 통해서는 ‘행위자’의 문법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ways to explain the various meanings of adverbial partic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adverbial particle ‘-eseo’. Particularly the reasons as to why there are various grammatical meanings and the appropriate ways to explain the same. It examines the function and grammatical meaning of adverbial particle (case) using the generative lexical approach proposed by Pustejovsky (1991). He suggests that words have complex internal structure and produces various meanings when combined with other words in a sentence and further discusses the grammatical devices that lead to the production of such various meanings. In Pustejovsky’s (1991) Generative Lexicon Theory, a lexical item consists of Argument Structure, Event Structure, Qualia Structure and Lexical Inheritance Structure. And generative devices such as Type Coercion, Selective Binding and Co-composition provide a composite interpretation of a given lexical element in a particular context. In view of this, this paper discusses the grammatical meaning of Korean language adverbial case marker ‘-eseo’. The paper further works on finding the various meanings of ‘-eseo' when combined with the predicate of a sentence such as ‘공부하다 (to study), 받다 (to receive), 출발하다 (to depart), 주최하다 (to host), etc. The result shows that when ‘-eseo’ is combined with 공부하다 (to study), the grammatical meaning of ‘-eseo’ is that of a ‘specific place’ and when combined with 받다 (to receive), the grammatical meaning of ‘-eseo’ shows that of ‘the recipient’. With출발하다 (to depart), ‘the starting point (place of departure)’ and finally, with주최하다 (to host), ‘a doer or performer’.

      • KCI등재

        의미 중의성을 고려한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타의 자동 생성

        최정화(Jung-Hwa Choi),박영택(Young-Tack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11

        인터넷의 발전으로 방대해진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맨틱웹 기반의 메타데이타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메타데이타 생성 시 의미 중의성을 가진 정보가 존재하며 이 문제의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순차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단어들의 확률 모델을 이용하여 문서와 같은 정보에 포함된 의미가 애매한 단어를 관련성이 높은 모델의 개념으로 메타데이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 메타데이타를 생성 할 때, 온톨로지에 정의된 개념들 간의 중의성을 고려하고 명칭(named entity)의 일부 단어에 대한 인식을 위해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을 사용한다. 먼저 온톨로지에 정의된 각 클래스(class)의 인스턴스(instance)를 인식하기 위한 마르코프 모델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문서로부터 의미가 애매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상황정보(context)를 생성하고, 상황정보에 포함된 단어들의 순서에 대응하는 최적의 마르코프 모델을 찾아 메타데이타 생성시의 중의성 문제를 해결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전산학관련 논문에 대해 의미가 애매한 7개의 단어를 추출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상황정보에 존재하는 개체(entity)의 의미부류들 중 가장 빈번한 의미 부류로 애매한 단어의 의미를 선정한 SemTag보다 정확도 면에서 18%정도의 나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cessity of Semantic Web-based metadata that helps computers efficiently understand and manage an information increased with the growth of Internet. However, it seems inevitable to face some semantically ambiguous information when metadata is generated. Therefore, we need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for automated metadata generation with the help of a concept of class, in which some ambiguous words imbedded in information such as documents are semantically more related to others, by using probability model of consequent words. We considers ambiguities among defined concepts in ontology and uses the Hidden Markov Model to be aware of part of a named entity. First of all, we construct a Markov Model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med entity of each class defined in ontology. Next, we generate the appropriate context from a tex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semantically ambiguous word and solve the problem of ambiguities during generating metadata by searching the optimized the Markov Model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of words included in the context. We experiment with seven semantically ambiguous words that are extracted from computer science thesis. The experimental result demonstrates successful performance, the accuracy improved by about 18%, compared with SemTag, which has been known as an effective application for assigning a specific meaning to an ambiguous word based on its context.

      • KCI등재

        차연적 읽기의 교육적 접근 방향 탐색

        김예진 ( Kim Yej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 연구는 자기 이해 지향의 읽기 측면에서 독자의 이해 확장을 돕는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의미의 중심성에 기반한 텍스트 이해와 지식의 획일화로 학습자의 다양성을 제한하는 읽기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읽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차연(디페랑스: differance)을 읽기와 접목한 ‘차연적 읽기’의 교육적 접근 방향을 탐색한다. 자크 데리다는 모든 대상이 텍스트에 해당하며, 텍스트에는 차연의 논리가 내재하여 있음을 설명한다. 차연의 구조는 하나의 기의(시니피에: signifie)가 여러 기표(시니피앙: signifiant)들과 대응하는 모습으로, 각각의 기표는 기의의 일면을 지시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의 의미는 차연으로 인하여 한 가지로 고정되지 않고, 다른 텍스트와 접목되는 진행의 과정에서 드러난다. 이때 드러나는 의미는 차이를 기반으로 한다. 읽기 과정에서 독자가 생성하는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의미 본질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드러난 의미 이외의 차이 의미들은 뒤로 밀려나 흔적으로 존재한다. 독자는 텍스트들의 접목을 이루는 주체로서, 자신의 자아를 반영하여 텍스트 의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차연적 읽기를 통해 학습자는 의미의 중심성에서 벗어나 텍스트의 차연 되는 의미들을 밝혀 텍스트 이해를 확장한다. 학습자의 독자 자아는 고유한 특성과 가치관을 가지므로, 독자 자아에 따라 학습자가 주목하는 기표가 결정되고, 기표가 기의를 지시하는 과정으로써 학습자는 텍스트 의미를 생성한다. 학습자는 텍스트 의미 생성 과정에 반영되는 독자 자아를 인식함으로써 자기 이해를 실현하고, 유의미한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나간다. 본고에서는 데리다의 차연 이론과 텍스트 읽기를 접목하고 차연적 읽기의 특성과 과정을 논의하여 차연적 읽기의 교육적 의미를 정립한다. 또한 차연적 읽기를 위한 원리를 설정하여 차연적 읽기의 지도 절차와 주요 지도 전략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ading instruction method to help readers (learners) expand their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reading that enable readers to make meaningful changes in their l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uggesting a new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which breaks away from a form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centrality of meaning and uniformed knowledge which restrains learner's diversity. According to Jacques Derrida, all objects are texts, and the logic of Differance operates in all texts. Differance is a term for a structure of language in which a single signifie responds to countless signifiants, and each signifiant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signifie. The structure of Differance, therefore, makes the meaning of the text, not fixed as one, but revealed in a progressive way through a process which grafts one text onto another continually. In such process of reading, the meaning of the text generated by the reader is only a part of the essential meaning, and other parts are pushed back and present as traces. The reader is the subject of grafting text, who generates the meaning of text by reflecting his or her reader-self to it.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the theory of Differance reveals the parts of the meaning which are delayed by Differance, so that the learner may break away from the centrality of meaning and expand his or her understanding. The learner’s reader-self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values. This determines the signifiant which the learner pays attention to, an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signifiant moves towards the signifie, the learner generates the meaning of the text. In the process of meaning generation of the text, learners can achieve self-understanding by recognizing their reader-self reflected and make meaningful changes in their lives. This study combines the practice of reading and the theory of Differance. It discusses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reading based on the theory of Differance and present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addition, this study developed a reading instruction process in and teaching strategies in Differential reading based on the theory of Differance.

      • KCI등재

        중년기 남녀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생성감, 의미발견, 영성의 매개효과

        지은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tivity, meaning presence and spirituality between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391 middle-aged adults(156 males and 235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found the fully-mediated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Generativity mediated the effect of search for meaning on meaning presence, while meaning presence mediated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spiritu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vi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subjective well-being for male participants was stronger than that of female participant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성인 남녀의 삶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생성감, 의미발견,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 경로에서 나타나는 남녀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의 40세에서 65세 중년기 남녀 성인 391명(여자 256명, 남자 156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생성감, 주관적 안녕, 영성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모형을 통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한 뒤 중년기 남성과 여성 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년기 남녀 집단의 의미발견은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중년기의 생성감과 영성은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의미발견과 함께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중년기 성인이 의미추구를 할 때 생성감, 의미발견, 영성을 거쳐 주관적 안녕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매개효과 모형에서 남성과 여성은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성의 경우 영성은 의미발견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였으며 영성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강력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년기 삶의 의미가 주관적 안녕에 이르는 경로와 함께 남녀 성차를 밝히는 데 기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