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양이론의 상징적 상상력

        안효성(Ahn, Hyo-S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8 No.-

        The dual image of night and day, known in eastern philosophical parlance and the yin and the yang, are the two fundamental archetypes of all the symbols used to comprehend hour 'being'. Recently, some scholars have even claimed that the first human comprehension was not based on the notion of one whole, but a concept of two. In this treatise, I will seek to highlight the Chinese yin-yang philosophy (which I believe is a product of a profound 'imaginative' philosophy concerning the archetype of the yin-yang) under the premise that 'imagination' precedes 'thought(reasoning)',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symbolic imagination. The yin-yang philosophy represents a very advanced theory of comparative, dualistic archetypes, and has become the basis for not only Chinese but East Asian philosophy. It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Chinese thought and modes of expression adopted symbolism as its fundamental characteristic, a characteristic brought on by a combination of the use of ideographic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the world view that regarding all objects as living, synthetic, and organic. As expressed in the well-known symbol called the taiji, the yin-yang theory is based on a system of two concepts juxtaposed but coming together to form a single whole, basically a concept of a single whole with two dimensions, which I will describe it as dualistic monism. If that(duality of one) is indeed true, than how does the two dimensions of the whole interact, remain in opposition, and change? The explanation of the principles said to drive the process were often posited upon material factors such as the five elements (not unlike the four elements), but in this treatise, I shall content that the dynamism of the yin and the yang are not driven by external factors, as the yin-yang is sufficiently self-dynamic to propel the process itself. In other words, the yin-yang already contains as a latent mechanism a dynamic for change. This is something that can be confirmed by traditional texts, and in this treatise, evidence for my argument will be provided by purview of the taiji and the monistic qi mechanism, along with yin-yang symbols from the Book of Changes and the mechanism of the trigrams and the hexagrams they form. 낮과 밤의 대립된 두 개의 이미지, 동양적으로는 ‘음양(陰陽)’으로 압축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미지는 우리가 존재를 이해하는 몇 가지 원형들 중에서도 가장 근원적인 원형일 것이다. 실제로 우리의 최초의 존재 인식은‘하나’가 아니라 ‘둘’이라고 보는 최근의 학자도 있다. 우리는 상상력이 사유 보다 앞서는 것이라는, 훨씬 자유로운 것이라는―그러나 상상력에는 어떤 법칙이 있다―전제 하에서 음양의 원형을 놓고 심원한 상상력의 철학을 구사한 중국의 음양이론을 ‘상징적 상상력’의 구도 위에서 조명할 것이다. 이원대비적 원형 이론은 중국의 음양이론에서 매우 발전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중국철학 나아가 동양철학의 기초가 되기에 이른다. 이것은 중국적 사유와 표현방식이 상징성을 근본적 특성으로 갖는 특수함과도 관련이 있다. 한자라는 문자적 요인, 사물을 생명적·유기적·총합적인 것으로 여기는 사물관 혹은 우주관적 요인이 그러한 특수성을 가져다주었을 것이다. 음양이론은 유명한 태극 도식[☯ 또는 ☯]이 드러내 보이고 있듯이, 음양이 대대(待對) 관계에 있되 그 둘이 모여 하나를 이루는, 또는 통일적 존재인 하나의 다른두 차원이라는 주장을 기본으로 한다. 그래서 그것은 이원적 일원론이라 정리해 볼 수 있다. 그러면 이 두 개의 차원은 어떻게 서로 호응하고 대척하며 변화해 나가는 것인가? 이 두 차원을 움직이는 힘 또는 이 두 차원이 움직여 가는 기본적인 원리에 대한 해명으로 보통은 ‘오행’이나 ‘사원소’와 같은 질료적 요인에 의존 해 왔다. 하지만 우리는 음양의 역동성을 음양 외적 요인에서 찾지 않으려 한다. 음양은 충분히 자기 역동적이다. 음양은 만변하는 역동성을 자기 안에 자기 기제적으로 갖고 있다. 우리는 그것을 전통적인 설명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태극(太極)과 기(氣)일원론적 기제 및『주역』의 음양부호[--/−]와 괘효(卦爻)적 기제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논증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太極陰陽論과 韓國傳統藝術의 美意識

        조민환 한국미학예술학회 2003 美學·藝術學硏究 Vol.17 No.-

        東洋的藝術作品通常都講究恒常之道。一般來說,東洋繪畵作品或是藝術作品都富含着藝術家超越豊富的思想,因此也稱之爲寫心畵。一介藝術家的思想根源來自于對天地自然的理解,而太極陰陽論是其核心理論。韓國從흔早以前就已將陰陽思想運用于傳統的藝術作品之中。我認爲太極陰陽的思想是體現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回顧過去的傳統藝術作品,大多是體現隨意,朴素等直接蘊含大自然氣息的作品。這正是太極陰陽論的立足点也是一種從天地萬物繁衍生長中獲得的對生命意識的感動。在此有三介具體實例。首先是繪?,例如鄭敾的「金剛全圖」。這一作品充分體現了太極的陰陽內涵,幷且含有「周易」中由剝卦到復卦的變化過程中天地自然的繁衍定理。這一作品綜合南北方的繪?手法,蘊含着李珥二氣之妙的繪畵意境。 第二是書法,例如李서的的「筆訣」。李서的書法藝術結合了陰陽論和河圖洛書論。령外李서以隨時處變爲基礎,以不同形式體現時代的變化,創造出富有自己獨特介性的書法體系--東國眞體。最后看一下韓國語字體的創作原理。韓國語字體的原理爲太極,陰陽及五行。發音中含有天地人三才思想。韓國語也正因爲含有太極,陰陽,五行以及天地人三才思想才會散發出與衆不同的氣息。綜上所述,太極陰陽論可謂是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

      • KCI등재

        문화 : 명리학(命理學), 미신인가 학문인가? -음양오행론과 관계하여-

        김학목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5 No.-

        하늘과 땅이 일정하게 반복하며 생장하고 소멸하는 흐름(行)을 木·火·土· 金·水라는 다섯 가지의 상징적인 부호로 나타낸 것이 五行이다. 하늘의 흐름은 氣의 변화이고, 땅의 흐름은 質의 변화인데, 그 하나하나의 흐름을 陽과 陰으로 더 兩分하여 나타낸 것이 10天干과 12地支이다. 天의 흐름을 양과 음으로 양분할 경우 木은 甲과 乙로, 火는 丙과 丁으로, 土는 戊와 己로, 金은 庚과 辛으로, 水는 壬과 癸로 되니, 이것이 10천간이다. 그런데 地의 흐름은 土가 木·火·金·水가 양분된 끝에 하나씩 들어감으로써 木은 寅·卯와 辰으로, 火는 巳·午와 未로, 金은 申·酉와 戌로, 水는 亥·子와 丑으로 되니, 이것이 12지지이다. 氣의 흐름은 맑고 가벼워 분출하는 木과 확산하는 火의 陽運動에서 수렴하는 金과 응축하는 水의 陰運動으로 바뀔 때 戊·己라는 土가 한 번만 중계하여 전환하면 된다. 그러나 質의 흐름은 탁하고 무거워 木·火·金·水의 각 흐름마다 매번 중계하여 전환시켜 주어야 한다. 천간이 10개이고 지지가 12개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다시 말해 천간은 氣의 흐름으로 변화가 쉬워 분출하고 확산하는 목과 화의 양운동에서 수렴하고 응축하는 금과 수의 음운동으로 바뀔 때만 중계·전환하면 되는데, 지지는 質의 흐름으로 변화가 어려워 각 계절마다 다음 계절이 이어지도록 중계·전환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10천간과 12지지는 음양오행으로 단순히 시간의 흐름을 나타낼 뿐만 아니 라 공간 속의 氣와 質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상징적인 기호이다. 명리학은 바로 이와 같은 음양오행론을 토대로 성립한다. 四柱는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기와 질의 흐름인 천간과 지지로 치환하여 일간을 중심으로 음양오행의 生剋 관계를 따져 그 사람의 성격·부귀·건강·배우자·자식 등을 추론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의 사주에서 日干이 戊土일 경우, 甲·乙·寅·卯와 같은 木은 土를 剋하는 官星으로 명예나 직장 등을 상징하니, 木의 흐름이 그 사람의 운 곧 대운과 세운에서 어떤지를 살펴 그 사람의 관운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것이다. 사주는 태어난 연·월·일 ·시를 여덟 자의 간지로 나타낸 것으로 그 하나하나의 글자가 그 사람의 기와 질의 흐름을 나타내는데, 본인을 상징하는 일간을 중심으로 나머지 간지들과 생극을 따져 그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 일간과 오행이 같은 간지는 比劫으로 형제·친구·동료·연적 등을, 일간을 생하는 간지는 인성으로 모친·학문·종교·수행·자격·문서·도장 등을, 일간이 생하는 간지는 식상으로 재주·기술·생식기·논밭이나 공장과 같은 일터·여자에게는 자식 등을, 일간이 극하는 간지는 재성으로 재물·시장·부친·남자에게는 여자 등을, 일간을 극하는 간지는 관성으로 명예·직장·남자에게는 자식·여자에게는 남자 등을 상징한다. 일간에 비겁·식상·재성·관성·인성 다섯을 합한 것을 육친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가지고 그 사람의 성격·부귀·가족관계 등 모든 것을 추측한다. 남자의 사주에서 배우자의 운을 알고자 하면 여자를 상징하는 재성에서 처에 해당하는 간지를 찾아 그 운을 살피면 되고, 자식의 운을 알고자 하면 자식을 상징하는 관성에서 자식에 해당하는 간지를 찾아 그 운을 살피면 된다. 나머지 부모·형제·재물·건강 등도 동일한 방법으로 살피면 된다. 물론 해당 간지가 사주 속의 다른 간지와 어떻게 부딪히고 합하는지 또 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관계를 함께 살펴야 하니, 이것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정리하는 것이 바로 명리학이다. 사주에서 일간을 사주 당사자로 보는 이유는, 시진이 모여 일이 되고 일이 모여 월이 되며 월이 모여 연이 되니, 연주를 수많은 조상으로 월주를 부모로 일지를 배우자로 시주를 자식으로 보기 때문이다. 곧 수많은 조상님들 이 계셔 결국 나의 부모를 낳게 되었고, 부모가 나를 낳으시니, 내가 배우자를 만나 자식을 낳으며 살다가 사라지는 것이 인생이기 때문이다. 또 음양오행의 생극관계로 육친을 나누는 것은 일간 곧 사주 당사자를 둘러싼 간지들이 그 사람의 특성 및 환경임을 쉽게 알기 위함이다. 곧 그 사람이 사주에 있는 기질의 특성과 환경을 가지고 운과 부딪히며 살아가는 것이 바로 그 사람의 인생이라는 것이다. 10천간과 12지지는 천지가 기와 질로 일정하게 생장하고 소멸하며 반복하는 것을 음양오행의 기호로 상징해서 나타낸 것이다. 천지의 변화를 오행으로 나타낸 이유는 오행의 하나하나의 흐름이 상생하고 상극하는 것이 끝없이 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하늘과 땅이 상생·상극의 법칙 아래 일정하게 순환·반복하며 끝없이 생장·소멸하니, 10천간과 12지지는 그 부호의 시간에는 사물이 그런 영향을 받는다는 상징적인 부호이다. 명리학은 이상의 언급처럼 음양오행의 기호로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그러니 명리학은 근거 없는 미신이 아니라 음양오행의 논리적 틀을 갖춘 학문 이라는 것이 이 논문의 주제이다. 五行用木、火、土、金、水五種象征性符號來表達天地壹定反復地生長和消滅的運行。 天的運行爲氣的變化, 而用陽和陰來二分其運行的就是十天幹;地的運行爲質的變化, 而用陽和陰來二分其運行的就是十二地支。 把天的運行用陽和陰來分的話, 木分成爲甲與乙, 火分成爲丙與丁, 土分成爲戊與己, 金分成爲庚與辛, 水分成爲壬與癸, 這就稱謂十天幹。 然把地的運行用陽和陰來分的話, 土在木、火、金、水後근隨著, 所以木分成爲寅、卯與辰, 火分成爲巳、午與未, 金分成爲申、酉與戍, 水分成爲亥、子與醜, 這就稱謂十二地支。 氣的運行又淸又輕, 從噴出的木和擴散的火到收斂的金和凝縮的水, 就是從陽運動到陰運動的變換時, 擁有戊和己的土來壹次中繼而轉換就行。 但質的運行又濁又重, 給木、火、金、水個個運行中繼而轉換才行。 天幹有十個而地支有十二個的道理就在這裏。把五行근季節變化連接來看, 把春(木)夏(火)中繼而轉換爲秋(金)冬(水)的就是長夏(土)。 然秋和冬不用土的中繼和轉換而變成春夏, 因爲好像水凍結成氷塊時其體積膨脹起來的壹樣, 凝縮力强 了就自然引起陽運動的。 從這點看, 十天幹和十二地支不僅僅是表達時間流動的而且也是壹種表達氣和質在空間中變化的象征性旗號。命理學以陰陽五行論爲基礎而成立的。 所謂四柱就是先把某人出生年、月、日、時置換成氣和質運行的幹支後, 以日幹爲中心分析陰陽五行的生克關系, 而推論其人性格、富貴、健康、配偶和子女等等的。 假如某人四柱中日幹爲戊土時, 因爲甲、乙、寅、卯等木爲克土的官星, 就象征著名譽、職業等, 所以用木的運行來分析其人大運和歲運而判斷其人官運如何的。四柱爲把出生年、月、日、時用八個字的幹支來表示的, 而其壹個字壹個字都是表達其人氣和質的運行的, 因而以象征其本人的日幹爲中心可以分析其幹支之間的生克關系。其陰陽五行同日幹壹樣的幹支稱謂比劫, 象征著兄弟、朋友、同事、戀愛上敵人等等。 與日幹相生的, 幹支爲印星, 象征著母親、學問、宗敎、修行、資格、文書、印章等等。 日幹相生的幹支爲食傷, 象征著才能、技術、生殖器、田地或工廠等工作場所、對女人來說是子女等等。 日幹相克的幹支爲財星, 象征著財物、市場、父親、對男人來說是女人等等。 與日幹相克的幹支爲官星, 象征著名譽、職業、對男人來說是子女、對女人來說是男人等等。在日幹加比劫、食傷、財星、官星、印星五種合起來叫做六親, 而分析六親來推測其人性格、富貴、家族關系等。 在某個男人四柱裏要査看配偶的運就在象征著女人的財星上조屬於妻子的幹支來分析才對。 要觀察子女的運就在象征著子女的官星上조屬於子女的幹支來分析就行。其他父母、兄弟、財物、健康等也可以用同樣的方法來査看。 當然要觀察某幹支和別的幹支즘마沖合?在命運上有什마作用?等等, 壹定要근其關系壹塊兒分析。 對於這些, 有系統地硏究整理的叫做命理學。把日幹當作本人的理由是, 累積時辰爲日, 累積日爲月, 累積月爲年, 所以年柱象征無數祖先, 月柱象征父母, 日柱象征配偶, 時柱象征子女。 因爲存在了無數祖先才有了父母, 父母生我, 我才遇到配偶而生子女維持生命, 這才是人生的。 用陰陽五行的生克關系來分別六親的原因就是圍繞本人幹支的日幹可以表達其人特性及環境的。 就是說, 其人帶著其四柱裏的其氣質特性和其環境팽著運氣而生活的, 這就是其人活自己人生的。幹支就是把天地的氣和質壹定反復地生長和消滅的運行用陰陽五行的旗號來表達的。 五行的個個運行以相生相克來永遠進行, 所以把天地的變化用五行來表達。 五行表達天地在相生相克的規律下壹定地循環反復著永遠生長和消滅的, 那마, 十天幹和十二地支就是說明著其符號上的時間裏事物必須受到那樣影響的象征性符號。命理學就是以陰陽五行的旗號來要判斷人的命運的學問。 所以命理學竝不是沒有根據的迷信而是具有陰陽五行論理體系的、有系統的學問。 這就是本論文的主旨。

      • KCI등재

        「설괘전」의 물상이 팔괘에 배당되는 원리

        정석현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4 No.-

        본 논문은 「설괘전(說卦傳)」의 물상(物象)이 어떻게 팔괘(八卦)에 배당될 수 있는지 알 아보려고 한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팔괘의 특징과 물상이 가지는 특징적인 면을 알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팔괘의 특징은 그것이 [陰]⚊[陽]의 3중 조합이기 때문에 음양의 특징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앞선 연구인 음양과 팔괘 및 64괘의 형성과정과 이를 통해 밝혀 본 음양의 특징을 상기해 본다. 즉 음양과 팔괘와 64괘는 자신 에 배당되는 사물들의 공통성(共通性)을 모사한 것이며 이에 따라 음양의 특징은 네 가지 원칙에 따라 추론된다. 즉 음양의 특징은 자신으로부터 느껴지는 인상이 되어야 하고, 그 인상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성질도 포함되어야 하고, 상호 상대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어떤 관점(觀點)에서 그런지 명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팔괘도 음양과 같은 맥락에서 형 성되었기 때문에 그 특징을 추론하기 위해서도 이 네 가지 원칙은 그대로 준용되는데, 여 기에는 하나의 원칙이 더 추가된다. 즉 팔괘의 특징은 네 쌍의 반대-괘(卦)들 간에 동일 한 음양의 특징을 적용하거나 아니면 각기 다른 음양의 특징을 적용하여 추론해야 한다. 이는 팔괘의 특징은 동일한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둘째 원칙에 따른 음양의 특징은 재차 추론한 특징이므로 그로부터 팔괘의 특징을 추론하 는 것은 비약이 된다. 따라서 다음으로 이 논문은 이 다섯 가지 원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첫째 원칙에 따른 음양의 특징을 적용하여 관점별로 팔괘의 특징을 추론한다. 그런 뒤 이 논문은 이들 관점별 특징과 관점별로 분류되는 「설괘전」의 물상이 가지는 특징적인 면이 서로 부합됨을 확인함에 따라, 물상이 팔괘에 배당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wùxiàng(物象) in Shuōguàhuán(「說卦傳」) is allocated to bāguà(八卦). However, in order to do,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ùxià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should be inferr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Yīn(陰) and ⚊Yáng(陽) as it is a triple combination of Yīn-Yáng(陰陽).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calls the formation process of Yīn-Yáng, bāguà, and liùshísìguà(64卦), which were studied earli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inferred in this process. that is, Yīn-Yáng, bāguà, and liùshísìguà imitated the commonality(共通性) of things allocated to them, so the characteristics are inferred according to the four principles: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should be the impression felt from themselves, it should also is included image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impression, it should be express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it should be specified which points of view it is based on. Accordingly, since bāguà was formed in the same context as Yīn-Yáng the four principles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infer its characteristics. And there is one more principle added to this;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should be inferred by applying the same Yīn-Yáng characteristic to each of the four pairs of opposite-guàs(反對-卦), or by applying different Yīn-Yáng characteristics.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must be express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same points of view. Howeve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based on the second principle are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secondarily inferred, it is a leap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from them. Therefore this paper next infers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by points of view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based on the first principle as long as these five principles are observed. Then this paper confirms that these characteristics by points of view can be 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ùxiàng in 「Shuōguàhuán」 classified by points of view, revealing that the wùxiàng can be allocated to bāguà.

      • KCI등재

        김수영의 「풀」에 나타난 음양적(陰陽的) 상상력

        이종옥(Lee, Jong-Ok)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본고는 김수영의 시 「풀」에 나타난 음양(陰陽)적 상상력에 주목하면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하게 된 이유는 김수영 시의 특징을 해명하기 위한 각축이 「풀」을 통해 개진되었다할 만큼 중요할 뿐 아니라, 반복적 대립을 통해 드러나는 '풀'의 활동은 음양(陰陽)의 사이클을 닮음으로써 작품자체가 '음양적 상상력'을 유발시키는 세계이자 상징이기 때문이다. 김수영의 「풀」은 부사와 동사에서 드러나는 변역(變易)과 더불어 풀↔바람, 눕다↔일어나다, 울다↔웃다 등에서 나타나는 동사의 역동성은 음양(陰陽)의 대립적 운동성과 일맥상통할 뿐만 아니라 일음일양(一陰一陽)의 양상과 동일한 것이다. 김수영의 시 「풀」에서 음양(陰陽)적 상상력의 핵심은 '눌린 만큼 용출하는 木(풀)의 동정(動靜)운동'이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발전적 변화를 일으킬 때 방해요소인 '억압'과 전진하려는 모습인 '분발(반발)'이 모순 → 대립 → 조화를 반복하는 동정(動靜)운동을 한다. 김수영의 「풀」에서 보이는 동정(動靜)운동은, 바람(陽)은 풀(陰)을 만나기 위해 하강(억압)하고 풀(陰)은 바람(陽)을 만나기 위해 상승(분발)하는 가운데 교감(조화)한다. 음양(陰陽)조화의 결과는, 새로운 탄생이 아니면 성장(발전)이다. 이는 '풀'의 운동성이 불러일으키는 생명감'의 원천은 음양(陰陽)적 상상력이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풀」에 투영된 음양(陰陽)적 상상력은 '억압' - '분발(반발)' - '교감(감응)' 등 '풀'의 동정(動靜)운동 중에 생성되는 이미지를 통하여 실존적 존재의 성장 혹은 희망을 포착하게 해 주었던 것이다. 화자의 시선이 줄곧 '풀'의 운동성을 응시함으로써 소묘적 회화성 속에 내재된 발화의 진실은 실존적인 존재의 성장(발전)을 통하여 삶의 주체'로 거듭나는 것임을 명료하게 보여 줄 수 있었다. 음양오행(陰陽五行)적 관점은 「공자의 생활난」으로부터 시작된 김수영의 유가적 시창작 태도가 마지막 작품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는 모더니즘 시인이라 불리는 김수영이 전통을 부정하는 시인이 아닌 전통 계승적인 창작활동을 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김수영의 문학은 물론, 한국현대시사에서 갖는 의미도 적지 않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imagination of Yin-Yang for several reasons. First, Kim, Soo-young's poem, "Grass," is important in that most discussions to explain his poetic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ducted around that poem. Next, his works themselves are both the world and symbols which promote 'an imagination of Yin-Yang' in that the same nouns and verbs, which resemble the cycle of Yin-Yang characterized by circulation and repetition, are repeated continuously. Particularly, though the dynamics shown in the transformation of 'lying -> crying -> laughing' and the repetition or the comparison of 'lying↔ standing up' or 'crying ↔ laughing' has the form of one-Yin and one-Yang, and it is consistent with the Yin-Yang's movement of repetition and comparison, it is hard to find explanations about his poetic world which are suggested in terms of Yin-Yang The core of the imagination of Yin-Yang described in "Grass" is the movement within stillness. Everything in the universe encompasses both 'promotion,' the shape of progress, and 'repression,' the disturbing factor, when they make developing changes; they do a movement within stillnes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repetition of 'contradiction → comparison → harmony.' His poem "Grass" shows a movement within stillness in that both Yin and Yang consensually respond to each other, while, on the one hand, "wind" (Yang) intends to descend (repression) to meet "grass" (Yin), on the other hand, "grass" (Yin) intends to ascend (promotion) to meet "wind" (Yang). The result of the harmony (connection) between Yin and Yang is a new birth or growth and development. In this sense, it can be thought that, on the basis of the imagination of Yin-Yang, Kim, Soo-young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xistential beings'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struggles in lives encompassed in images of 'repression,' 'promotion (resistance),' and 'consensual response (responsive action).' The imagination of Yin-Yang reflected in "Grass" enables us to see the essence of life that is expressed in his inner world. In this context, "Grass" shows his perception of reality or the response to the reality embedded in the image of grass field. The poetic speaker in "Grass" continuously gazes the movement of 'grass.' It implies that the reality which the poet tries to reveal is human struggles in real lives. Thus, the tranquility of existential beings is inevitable result. That is, what his inner world pursues is to rebirth into a new subject that can secure a sense of safety. Additionally, the perspective of Yin-Yang and Five Element Theory that is based on I Ching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es that Kim, Soo-young's Confucian attitude of poetic creation, which was derived from Confucius' hard living, was continued to his final work. It suggests that, though he is called a modernism poet, he created his works in terms of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not in terms of the denial of the tradition. These points are meaningful in Kim, Soo-young literature and the history Korean poem.

      • KCI등재후보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음양오행(陰陽五行) 비교 연구

        조석연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49 No.49

        Yin-Yang and Five Elements School(陰陽五行說) is the basic and major ancient theory of Eastern philosophy, which explains all phenomena of the universe and human world through the principles of Yin-Yang Forces. It is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theory in Traditional Korean and Oriental Medicine. And it is applied as the frame of reference in treatment and therapy of Oriental Medicine, regarding the five viscera (of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五臟), the five bodies(五體), the five cardinal colors(blue, yellow, red, white, black, 五色), the five direction(五方) etc. Also the five sounds(五聲, 五音: 宮, 商, 角, 徵, 羽) hold a key position in the Yin-Yang Theory. And this paper has researched the interrelation consistenc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黃帝內經)』 and 『Illustrated Text on Traditional Music(樂學軌範)』. 음양오행설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양의 원리를 통해 사물을 설명하고 우주만물을 형성하는 원기로 동양철학의 기본이 되고 있다. 특히 음양오행설은 한방의학에서 중요한 기초이론이며 오장, 오체, 오색, 오방 등과 결부되어 한방 진료 및 진단에 중요한 준거이론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중 오성(五聲)과 오음(五音) 역시 음양오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를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통해 음양과 오행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황제내경』의 음양이론과 마찬가지로 『악학궤범』에서는 12율명의 탄생이 상서로운 동물의 음양의 조합에 의해 정해졌으며, 양률과 음려의 음양 합성에 의해 만들어졌다. 또한 상생과 하생의 삼분손익법에 의해 음과 양의 6률과 6려로 12율이 결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황제내경』의 다섯 5가지 물질의 상호 발생관계를 설명하는 오행설은 음악체계인 궁상각치우에 잘 나타나 있다. 소리가 비장(脾臟)에서 나와 입을 다물고(合口) 통한 것을 궁(宮)이라 하고, 폐에서 나와 입을 벌리고 토(吐)하는 것을 상(商)이라 하고, 간에서 나와 이를 벌리고 입을 솟구치는 것을 각(角)이라 하고, 심장에서 나와 이를 다물고 입술을 연 것을 치(緻)라 하고, 신(腎)에서 나와 이를 벌리고 입술을 모은 것을 우(羽)라 하라 한다. 조선시대 때 이제마가 중국의 『황제내경』에 기록된 바와 같은 음양철학과 역리(易理)에 기초해 우리나라 고유의 체질의학인 사상의학(四象醫學)을 만든 것과 같이, 『악학궤범』에 기록된 시용궁상각치우(時用宮商各緻羽) 역시 중국 오성의 음양이론을 바탕으로 기록된 실용적이고 한국적인 음악체계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한국 고유의 사상의학과 같이 『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도 시용궁상각치우(時用宮商各緻羽)는 동양 음양오행설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국인이 사용하는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를 중국 치조(徵調)와 우조(羽調)를 이용하여 사용한 흔적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음양오행이 중국의 학문 및 교육에 미친 영향

        김덕삼 ( Dug Sam Kim ),이경자 ( Kyung Ja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1

        음양오행(陰陽五行)은 동양과 중국에서 철학적 사유의 출발이자 자연과학의 토대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다루지 않았던 음양오행이 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음양오행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오행이 음양보다 먼저 생겼지만, 역사적 변천과정을 통해 음양과 오행은 하나로 합쳐지면서 철학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중국의 교육과 문화에 영향을 주면서 확대·재생산되었고, 마침내 중국과 동양의 문화를 지지하는 토대가 되었다. 음양오행의 학문적 영향은 다양하다. 구체적으로 음양가(陰陽家), 유가(儒家), 도가(道家)를 비롯하여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학문 그리고 의학, 정치, 예술, 건축학, 천문학 등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근대 교육의 변화를 이끌었다. 특히 서구의 과학과 민주주의를 앞세워 자리 잡은 서구식 교육은 음양오행을 낡은 전통의 산물로 간주하였다. 물론 음양오행의 지나친 상관적 사유라든지 교조적 자세는 문제점으로 지적받아야 한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폐기된 음양오행을 포함한 전통문화에 대한 주체적인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를 통해 음양오행이 중국 교육문화 속에서의 문화기재(文化器材)로서 그 역할을 해왔음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유가 중심의 중국 교육 연구에 다양성을 제공하고, 음양오행이 동양문화에 미친 영향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Yinyangwuxing was beginning of philosophy thinking and a base of natural science in the East and China. Studies of Yinyangwuxing progressed until the present can be classified in two cases. One is directly researched case researching oriental medicine or qigong. Another is study of philosophical approach focused on yinyang jia. This study is about influence of Yinyangwuxing on education that has not been researched by existing studies. For this stud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Yinyangwuxing were considered. Wuxing was formed before Yinyang, but Wuxing and Yinyang were combined through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and they got meaningful and abundant philosophical meaning. Then this was reproduced expansively by influencing on Chinese education and culture and finally become a base supporting Chinese and Oriental culture. Academic influence of Yinyangwuxing progressed diversly. Concretely, it influenced on study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cluding school of naturalists, ru jia and dao jia, and medicine, politics, art, architecture, and astronomy. These influence experienced a great change through change of modern education. Especially, western education settled by western science and democracy considered Yinyangwuxing old tradition. Of course, excessive correlative thinking and dogmatic character of Yinyangwuxing should be criticized. However, there should be independent self-reflec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including suddenly discarded Yinyangwuxing. By this study, there is an expectation to realize that Yinyangwuxing has played as cultural medium in Chinese education culture. Also, there is an expectation to provide diversity to Chinese education study focused on confucianism and to contribute to study of influence of Yinyangwuxing on eastern culture.

      • KCI등재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 탐색

        장상지(Jang, Sang-Jee),윤재웅(Youn, jae-wo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소설교육을 위해 음양오행 이론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논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음양오행의 물질적 상상력과 과학적 정합성을 밝힐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음양오행은 자연사물과의 경험적 인식과 상상적 체험을 통해 자연사물이 갖는 의미와 작용을 탐구하여 만물의 이치를 이해하도록 하는 자연과학의 철학이다. 한편, 음양오행과 관련한 일련의 논의들은 생태학과 연결된다. 생태학에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즉 자신과 관계 맺고 있는 것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적응하고 공존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고민은 음양오행의 자연의 이치를 인간의 좋은 삶과 긍정적인 관계유지에 적용하고 있는 명리의 학문적 성찰의 목적과도 일맥상통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교육의 입장에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와 관련하여 동양의 음양오행 이론과 접근법을 고민하고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음양오행을 적용한 실제 사례와 한계를 분석해보았다. 음양오행 소설 교육적 적용의 한계를 파악하고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ovel interpreting education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It is meaningful to try the academic approach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reveal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cientific coherence of the viewpoint of the Myeongri-hak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direction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for the novel education. By discussing the directions for the theory of the Yin-Yang and the Ohaeng theory for novel education, ultimately it is meaningful to attempt an academic approach to reveal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cientific coherence of the viewpoint of science. Yin-Yang Ohaeng theory. is a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that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ll things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natural things through empirical perception and imaginary experience. Myeongri-hak is a practical study to look at human beings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discussions related to the Yin-Yang Ohaeng theory is linked to ecology. In ecology,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that can surround itself and adapt and coexis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ings that are related to oneself. This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academic reflection of Myeongri-hak which applies the nature of Yin-Yang Ohaeng theory to the good life of human beings and maintaining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is study, I try to explore the approach of the study of the Oriental Yin-Yang Ohaeng theory in relation to how to read from the standpoint of nove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practical examples and limitations of applying the Yin - Yang Five - Elements around modern novels. I have identified the limits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novel by Yin-Yang Ohaeng theory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 KCI등재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해석한 태권도 동작의 유형분류에 따른 자유품새 구성방안

        이동희,전정우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4

        Taegeuk (Great ultimate), Eumyang (Yin-yang) and Palgwa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underlie the oriental mindset intrinsically, which is also represented at official Poomsae (some sequences of action representing attack and defence in Taekwondo) in linkage with spiritual philosophy. And yet connections of the current Taekwondo movements and Poomsae with Oriental principle couldn't be technically convinced so far and Poomsae players' ability is being upgraded in general these days. As a result, adoption of free-style Poomsae is required. Thus, this study classified technical types of Taekwondo according to the concept of Eumyangohaeng (Yin-Yang and Five elements) to explore the connection with Poomsae skills, and building on the result, sought to suggest the methods to compose the content of free-style Poomsae of Taekwondo as basic data.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concept of Eumyangohaeng via literature research, classify Taekwondo skills based on this and apply them to free-style Poomsae through verification of three Taekwondo experts and two Oriental philosophy experts. The study had findings as below. First, Eumyangohaeng could be interpreted by the ratio and flow of activity and inactivity, Second, the elements - types of Taekwondo skills - were represented by preparatory posture, one-time attack, continuous attack, slow move and defense move. Third,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t the time of composing free-style Poomsae. Finally, research tasks applicable in the future study can be proposed as follows. Firstly, Oriental philosophy like Eumyangohaeng allows diverse interpretations, making its generalization based on this study hard. For this reason, should it be interpreted through diverse interpretations and analysis, such study may draw more meaningful findings. Secondly, as Eumyangohaeng is a universal principle, there is no need to prove it only by skills of Taekwondo. Thirdly, the study believes, should other elements of Oriental philosophy such as Sasang (Four phases), Palgwae be interpreted as types of Taekwondo skills, the more diverse and deeper Taekwondo skills and philosophy could be suggested. 동양인들의 사고유형 기저에는 태극(太極), 음양(陰陽), 팔괘(八卦) 등 이 내재되어 왔으며, 이는 태권도의 공인품새에서도 정신철학을 접목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태권도 동작 및 품새 전체 진행 간 동양철학과의 연관성을 기술적으로 설득력 있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품새선수들의 실력이 상향평준화되면서 자유품새 종목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태권도 기술의 원리를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개념에 따라 기술유형을 분류하여 태권도 기술과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품새의 내용을 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태권도 자유품새 구성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 및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태권도 기술의 유형을 분류하고 태권도 전문가 3인과 동양철학 전문가 2인의 검증을 통해 자유품새에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음양오행(陰陽五行)은 정(靜)과 동(動)의 비율과 흐름으로써 해석된다. 둘째, 요소들은 태권도 기술유형으로 준비자세, 단발성 공격, 연속 공격, 느린 동작과 방어 동작 등으로 표현된다. 셋째, 자유품새 구성 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후속 연구에 반영할 수 있는 연구과제에 대하여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양오행(陰陽五行)과 같은 동양철학은 각자 해석이 다양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해석과 분석을 통해 적용하고자 노력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음양오행(陰陽五行)은 보편적 원리이기 때문에 태권도만의 기술철학으로 증명할 필요는 없다. 셋째, 음양오행(陰陽五行)뿐만 아니라 사상(四象)이나 팔괘(八卦) 등 동양철학의 다른 요소들도 태권도 기술의 유형으로 해석하면 더 다양하고 깊이 있는 태권도 기술과 철학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음양오행적 상상력에 기반한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 연구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음양오행과 관련된 문화적 상상력이라는 참조 체계를 활용하여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을 연구하였다. 음양오행의 상상력은 오랜 세월 생활문화뿐만 아니라 예술문화의 생성과 향유에도 영향을 끼쳤다. 김만중이 <구운몽>을 쓸 때에도 이러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인물과 관계, 인연을 이루는 사건들을 구성했을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김만중이 아직 팔선녀들의 이름과 개성을 구체화하기 전의 구상 단계에서 갑녀, 을녀, 병녀, 정녀 등으로 순서를 정하고 해당 천간(天干)이 지닌 음양오행적 속성을 고려하여 형상화 작업을 시도하지 않았을까 가정하였다. 다양한 천간의 특성을 핵으로 삼아 개성적 인물을 만들어낼 때, 중첩되는 인물 창조를 피하고 이들이 만드는 다채로운 관계의 양상과 사연을 구성하기 용이한 까닭이다. 위 표는 천간에 대응되는 <구운몽>의 인물을 배치한 것이다. <구운몽>은 각 천간적 특성을 인물 개성의 핵심으로 삼아 등장하는 시기와 배경, 인물의 성격과 분위기, 인물이 겪는 갈등의 원인과 주요 사건 등을 구성하였다. 초봄의 버드나무를 연상시키는 갑목의 진채봉은 솔직하고 적극적인 한편, 분칠한 담을 배경으로 하여 만개한 앵두꽃 같은 을목의 계섬월은 을목 답게 섬세하고 부드럽다. 해로 비유되기도 하는 병화의 정경패는 화려한 정사도 집의 무남독녀로서 모든 것을 환히 비추는 병화의 능력을 발휘하여 양소유가 연주하는 곡의 의미와 의도를 꿰뚫어보기도 한다. 또 정경패는 예(禮)를 중시하고 화를 참지 못하는 병화의 성격으로 양소유에게 속아 체면을 잃은 것에 대한 앙갚음을 반드시 하고야 만다. 병화가 한낮의 작렬하는 태양이라면 정화는 밤에 빛나는 달이나 촛불에 가깝다. 정화의 가춘운은 단아하고 신비로운 정화의 매력으로 양소유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수시로 변화하는 불꽃처럼 여선이 되었다 귀신이 되었다 하는 등 연기에도 능하다. 영웅호걸을 마음대로 고르기 위해 자신을 창가에 팔거나 양소유를 따르기 위해 연왕의 천리마를 타고 도주하는 적경홍은 자주적이며 결단력 있는 경금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칼과 같이 날카로운 신금에 대응하는 인물인 심요연은 서늘한 기운과 함께 양소유 앞에 등장하여 창검 빛으로 화촉을 대신하며 그와 인연을 맺었다. 계수의 백능파는 물과 관련된 애욕으로 인한 고난을 겪으며 반사곡이란 차갑고 깊은 계곡에 유폐된 신세였다. 마지막으로 난양공주 이소화는 물처럼 아래로 흘러 하방(下方)의 존재를 감싸는 겸손함과 포용력으로 2처 6첩이 서로 자매로 일컫는 평등한 관계를 만들어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한편, 무토는 성진에, 기토는 양소유에 해당한다. 기토인 양소유는 무른 흙으로 팔선녀와 스며들고 동화되어 각색의 인연을 만들기에 적합한 기질을 갖추고 있으며, 그림의 ‘여백’처럼 자신은 비어 있으나 대상의 정을 비춰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무토인 성진은 너르고 단단한 무토의 기질답게 팔선녀와 양소유의 꿈[九雲夢]을 너른 흉중에 품고서 단단한 자신중심을 지키며 불도에 정념하고 자기를 따르는 도반(道伴)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었다. 개개 인물뿐만 아니라 서사세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구운몽>은 음양오행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음양오행에 따라 오악(五嶽)을 배치한 작품의 서두에서부터 작동시키는 음양오행적 상상력은 천간적 특성을 갖는 인물들의 개성을 감지하게 하는 생성적 틀로 작용하며, 나아가 인물의 개성이 잘 발현된 대화 장면에서 생동감 있게 움직인다. 인물의 형상뿐만 아니라 인물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오행의 상생상극의 기운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또 음과 양이 꼬리를 무는 미시적 사건의 연쇄, 양과 음의 세계를 오가는 거시적인 서사의 움직임, 그리고 음과 양이 서로를 품고 있는 구조 등을 갖춘 서사세계에 노닐며 수용자들은 마음속의 태극도가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이런 점에서 <구운몽>은 추상적 음양오행론을 서사적으로 구현한 커다란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작가인 김만중이 음양오행의 원리(道)를 의도적으로 상징화하려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 역시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되어 이미 다른 학문과 종교 영역에 습합된 음양오행적 상상력의 자장(磁場) 안에 있는 존재였으며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구운몽>의 당대 향유자들도 마찬가지이다. 굳이 이 소설을 분석적으로 읽지 않아도 그들은 자연스럽게 음양오행적 상상력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익숙한 세계관과 인간관이 강화되는 쾌감을 얻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Kuwoonmong (九雲夢) using a reference system called the cultural imagin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Yin-Yang (陰陽) and Wu Xing (五行). When Kim Manjung wrote Guwoonmong, he may have composed figures and events based on this imagination. In particular, when he designed the eight seonnyeo (팔선녀), he set the order such as Gap (甲), Eul (乙), Byeong (병), Jeong (丁), etc. and characterized them according to the celestial stem (天干). Thus it was easy to avoid overlapping of characters and to construct various stor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table below shows the characters of Kuwoonmong corresponding to the celestial stem. In not only the individual person but also the narrative world, Kuwoonmon demonstrates Yin-Yang and Wu Xing's imagination. In this respect, Kuwoonmon can be considered a large symbol encompassing the abstract theory of Yin-Yang and Wu Xing. Of course, the writer, Kim, Manjung would not have tried to symbolize the principle intentionally. However, he was also present in the environment of the cultural imagination that has been formed over the years. The same is true for the contemporary recipients of Guwunmong. They would have had a pleasant experience applying the cultural imagination and strengthening their familiar world view and human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