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ulti Player: 사용자 캘린더 기반 안드로이드 음성 녹음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박진희,이혜리,한아름,임선영,박은영,박영호 한국정보과학회 2015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1 No.3

        Recently, supply of smart devices is spreading rapidly. Smart devices replace recorder, calculator and other electronics with application on smart devices. One of the features provided by the smart device has a recording function is deteriorated efficiency by providing only simple recording func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Android voice recording application based on user’s calendar information. It provides a wide range of customization features, not just simple recording functionality. The proposed application makes recording file with the file name based on the calendar information, which is entered from a user. It also saves and categorizes similar recording file and finally, it provides bookmark function. For this function, application user can easily find a part of their needs. This functions can help user to use recording application easily.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녹음기, 계산기 등과 같은 기존 전자제품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인 녹음 기능은 단순 녹음 기능만을 제공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단순 녹음 기능만이 아닌 다양한 사용자 맞춤 기능을 제공하는 캘린더 기반 안드로이드 음성 녹음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캘린더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파일명 지정하여 녹음을 수행하고, 유사 녹음 파일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며, 책갈피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녹음 중 책갈피를 넣어 이후 녹음 파일을 다시 들었을 경우 필요한 부분만 찾아서 들을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녹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모바일 한국어 회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솔루션 제안

        김유진(You Jin, Kim),서해슬(Hea Sell, Shu),이단비(Dan Bi, L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문화 적응 실태와 모바일 기기 활용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들의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인간중심적 솔루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중국과 다른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이같은 어려움은 한국인과의 교류 동기 저하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회화 기회의 부족을 야기했다. 이에따라 회화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어플리케이션을 기획하고 중국인들의 모바일 기기활용 양상을 분석하여 세부 기능에 반영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중국인들은 대체적으로 음성 녹음 기능을 사용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고,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타인과 교류하는 데 긍정적인 편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점들을 통해 디자인 가이드 라인을 도출한 뒤 프레젠테이션용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