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과 생명의료윤리교육 I - 에리히 프롬의 입장을 중심으로

        정창록 한국의료윤리학회 2014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7 No.2

        This article examines some of the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authoritarianism in the Korean medical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Erich Fromm. The article first describes the authoritarianism inthe Korean medical community using Fromm’s concepts of “alientation” and “escape.” The article thenintroduces Fromm’s concept of “activity” as a means of overcoming some of the problems with authoritarianism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교육이 사회를 반영하듯이, 의료도 사회를 비춘다. 본 논문은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경향이 교육과 의료의 영역에 만연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프롬의 자본주의비판과 관련된 입장들이 한국 의료 사회를 대상으로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이려고 한다. 이 목표를 위해 먼저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개관해 보고, 사례를 통해 한국 의료계를권위주의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해 다루어 본다. 이후 에리히 프롬의 여러 사상적 개념들 중에서 특히 소외와 도피의 개념에 주목하여, 한국 의료계의 여러 현상들에 상식적으로 적용한다. 이때 상식적이라 함은 특별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동원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의료 경험을 통해 수긍할 만한 수준을 뜻한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필자는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프롬의 입장에서 제안하려고 한다. 프롬은 현대인들이 활동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있다고 비판한다. 필자는 프롬이강조한 활동의 회복이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담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일본의 기술자 윤리 교육 현황 분석

        김정식(Cheong-Sig Kim)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공학교육연구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본에서 공학 윤리, 기술자 윤리로 대변되는 공학 윤리의 원리에 대한 교육의 상황과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여러 가지 출판 자료와 관련된 중요 이슈에 대한 상황을 조사하여 나타낸 것이다. 미국 대학의 경우에는 정규 교과 과정으로 공학 윤리, 혹은 기술자 윤리 교육은 1980년대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최근 JABEE(일본 기술자 인정기구)의 출현과 더불어 공학 윤리, 기술자 윤리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공학 윤리, 기술자 윤리 교육의 목적은 공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갖추어야할 기본 소양으 로써 매우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중요한 공학관련 학문의 범주에 들게 되었다. 공학 분야의 윤리교육에 있어서 시작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의 기술자 윤리 교육 현황 분석은 좋은 참고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to display circumstances about importance issues connected with various publication data and engineering ethic principle. It is an investigation study about circumstance and actual conditions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that is spoken by engineering ethics or engineer ethics on present Japan. Engineering ethics principle, or engineer ethics education is continued until present appearing in the 1980s by formal course of study in the case of American university. But, in the case of Japan, along with appearance of JABEE (Japanes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for engineer is proceeded very intensively. At present, the purpose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s heard on important engineering literary category so much so that can emphasize very as basic attitude to prepare everybody if it is a person who is to be an engineer. The present condition and circumstance of Japanes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analysis may become good information in the beginning step on ethics principle education of engineering our country.

      • KCI등재

        PISA(2009)에 나타난 도덕교육 현황과 의미

        박장호(Jang-Ho Par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4

        PISA 2009의 참여 국가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도덕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reading)와 역경극복능력(resilience) 성적에서 중상위 40개 국가의 67.5%가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을 필수교과로 가르치고 있다. 또 이 40개 국가 가운데 가장 강력한 형태의 도덕교육인 <종교교육>만을 실시하는 국가까지 포함하면, 도덕교육을 의 무적으로 실시하는 국가는 80%에 이르며, <종교교육>교과가 <윤리학>교과로 대체되는 경향 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윤리학>이나 <종교교육>을 배제하고 <공민성>을 필수로 규정하는 국가는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공민>교과의 경우에도, 도덕과 성격을 담고 있는 교과가 늘 어나고 있는 반면, 사회과 과목의 일부로서의 사회과학적 교과를 가르치는 국가는 제한적이 다. <철학>교과의 경우, 초, 중학교에서 다루는 국가는 전무하고, 일부 극소수 국가에서 고등 학교 상급학년에서 가르치는 정도이다. 둘째, <도덕교육>이나 <윤리학>이 특정 학년에 집중 이수되는 국가는 보이지 않으며,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나선형 교육과정을 통 해서 단계별로 교육되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셋째, <도덕교육> 혹은 <윤리학> 교과의 국 가교육과정에서의 필수화 현상은 최근 들어 크게 확산되고 있다. 넷째, <도덕교육>의 유형에 있어서 동양권의 <도덕․윤리>유형와 북유럽의 <종교/윤리학>유형을 실시하는 국가의 성적 이 북미와 프랑스의 <사회/공민>유형의 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그간 우리가 실시해온 <도덕>이나 <윤리>교육에 대해 스스로 정당성과 긍 지를 갖게 해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도덕>과 <윤리>교과를 홀대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와 세계에 등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among the nations or cities participated in PISA 2009 through analyzing those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67.5% of 40 nations or cities which ranks 1-40 grade in terms of reading or resilience, subject matter <moral education> or <ethics> is stipulated as a requisite or independent subject matter. Having included the five nations which imposes <religious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which is considered as strongest type of moral education against secular moral education, there would be about 80%. Meanwhile, the nations which excludes either <moral education> or <religious education>, but imposes only <civics> or <citizenship> as a requisite subject matter, remain only 15%. Second, There is no nation which has so called 'the short term intensiv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which students should learn it only during one or two semester or one school year grade, instead of studying it every semesters or grades i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In general, almost nations have the spiral curriculum that students gradually should learn it step by step through 1~6 or 1~10 grades. Third, it is recent trends in europe countries that <moral education> or <ethics> subject matter becomes a requisite subject matter or a subject matter in national curriculum. Last, oriental type of <morality/ethics> education as well as Northern European type of <religion or ethics> education seem to have more positive relationships to high scores in PISA than American types of <civics> education. These phenomena seem to give academic legitimacy to korean moral education system which traditionally has continued to keep <morality/ethics> as a requisite and independent subject matter, but leave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would go against this direction a task to re-exam and reflect itself seriously.

      • KCI우수등재

        경영자를 위한 기업윤리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적 반성과 제안

        정원규(Won-Gyu Jeong) 한국철학회 2007 哲學 Vol.90 No.-

        「기업윤리」 본연의 교육목표는 바람직한 기업 운영 방식은 어떠해야 하는 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경영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업윤리 교육은 이러한 내용보다는 사회의 윤리적 압력에 기업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를 학습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그런 만큼 교육의 주제도 주로 국제 사회나 정부, 시민단체 등의 압력과 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기업 운영 방식에 대한 탐구라는 기업윤리의 적극적 측면을 외면하고, 이처럼 소극적, 방어적 태도만을 강조하는 것은 순간적으로 사회적 비난을 회피하는 기술만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결국 윤리적 무임승차자만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상황인식 하에 본고에서는 그간의 경영학계의 연구성과를 포용하면서 철학적 윤리 원칙을 반영하여,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기업윤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교육과정의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교육과정은 교육의 주체와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철학적 내용이 가미된 기업윤리 교육과정이 국내에서는 거의 처음으로 제안되는 점을 감안하여 「기업윤리」 단일교과로, 대학 학부 수준에서, 미래의 경영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전공강좌를 우선적인 대상으로 상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절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기업윤리 교육의 현실과 기업윤리 교육의 목표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특히 철학자들의 나태로 인해 학제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구성에서 어떤 질곡이 발생했는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3, 4절에서 각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윤리적 리더십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구성, 제안하였다. 3절은 투명성, 공정성, 공익성, 실행성이라는 CSR 4원칙을 토대로 CSR과 관련된 이론적 쟁점들, 세계화, 인권, 시장/정치 시스템, 윤리 경영을 중심으로 교육주제를 선정하였고, 4절에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기업의 목표 설정, 운영 방식, 리더/추종자의 덕성, 윤리적 리더십의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주제를 선정하였다. The primary aim of business ethics education is to examine what business is for. However, current curriculums in business schools are focused on teaching how to respond to social pressur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nstead, and this may contribute to produce ethical free-riders. At this point, we need some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business ethics curriculum for CBA students. Such reflections can show that the business ethics has something to do with ethical leadership as well as CSR. Thus, I suggest a new business ethics curriculum. I suggest the curriculum is to consist of CSR and ethical leadership. The former covers five subjects : ethical theories, globalization, human rights, market system, and ethical management. The latter contains four subjects : ethical leadership in a corporate goal, ethical leadership in a corporate administration, leader/follower virtues, and ethical leadership about a performance appraisal.

      • KCI등재

        과학기술 시대에 윤리교육의 방향과 과제

        홍은숙 한국도덕교육학회 2013 道德敎育硏究 Vol.25 No.3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many benefits to human beings. However, it also has brought various problems. Underneath those problems lie ethic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s in suggesting the directions of ethical education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showing the tasks of ethical education, and discussing its implications on ethical education. In the chapter 2, I criticized the myth of value-neutra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 argued that science necessarily implies morality, and thus it is important to teach ethics in science. In the chapter 3, I analysed the ambiguity of the term 'professional ethics', arguing to restore its desirable meaning. I suggested putting focus on teaching internal goods of the practice of science. In the chapter 4, I explored the tasks of eth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society, tasks for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society, and globalized society. Finally, I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our discussion on school curriculum of ethical education.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에게 많은 유익을 주었지만 동시에 여러 문제도 야기했다. 과학기술의 문제 저변에는 윤리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 시대에 윤리의 중요성 및 윤리교육의 방향을 밝히고, 보다 나은 과학기술 시대를 위한 윤리교육의 과제 및 학교 윤리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살펴본다. 제 2장에서는 과학기술 시대에 윤리 경시 풍조에 대응하여 윤리의 중요성 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제 3장에서는 ‘전문직 윤리학’ 접근의 애매성을 분석함으로써 윤리교육의 방향을 모색한다. 제 4장에서는 과학기술 시대의 특징에 따른 윤리교육의 과제를 정보사회, 지식사회, 세계화사회의 세 측면에서 고찰한다. 끝으로 이러한 고찰이 학교 윤리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 KCI등재

        연구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 및 대학생 대상 연구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의 학문 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표절을 위시로 한 연구윤리문제들은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연구자들의 연구 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연구윤리교육의 철저한 실시이며, 어린 시기부터 글쓰기 윤리를 시작으로 성인 연구자에 이르기까지 연구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연구윤리교육은 대학에서 일회성 특강의 수준으로 이루어지고있는바, 향 후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윤리교육의 목표, 내용, 교육의 원리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초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윤리 교육의 목표를 총괄 목표와 하위 목표로 제시하였고, 연구 윤리 교육의 내용은 학문정직성, 올바른 인용, 인간 대상 연구 시 주의할 점, 저자권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윤리 교육 방법으로는 토론식, 이야기식, 역할놀이식 교수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rogram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ollege students. Today the problems of research ethics like scholars`` plagiarism have become a serious issue in academic society.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a key to enhance the sensitivity of research ethics. It is necessary that educators teach the research ethics students from early school year to adult researcher. In reality, the ethics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for college level occasionally.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research education is needed. This study provided a basic level``s program for ethics education including aims, contents, principles, and instructional methodology. The aims are divided as whole aim and sub aims. The content deals with academic integrity, citation, human subject participation, and authorship. The method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presented as discussion, storytelling, and role playing.

      • KCI등재

        연구윤리교육에서 연구부정행위와 연구윤리 주제 분류

        김태경(TaeKyoung Kim),장동익(Jang Dong-i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3

        연구 윤리교육의 내용은 연구 윤리 주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연구 윤리 주 제 그 자체를 연구 윤리 교육의 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연구 윤리 교 육의 내용은 다양한 학문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정 학문에서 흔 히 발견되는 연구 부정행위는 여타의 학문에서는 전혀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먼저 연구 윤리 주제와 연구 윤리교육이 밀접하지만 별개의 내용으로 구성 되어야 할 필요성을 탐색해 볼 것이다. 그리고 학문의 특성에 따라 여러 연구 부정행위가 학문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모습을 조명해 볼 것이다. 연구 윤리 부정행위들이 각 학문의 특성에 따라 어떤 윤리적 문제점을 보이는지 해명하고, 이를 통해 특정 부정행위가 학문 의 특성에 따라서 연구 윤리교육에서 중시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면 표 절은 사실학문의 사실적 자료에서는 흔히 발생하지 않지만, 가치의 학문의 비사실적 자료 에서는 흔히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여, 표절이 어떤 학문영역에서 강조되어 교육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런 특징에 따라서 연구자 개인의 도덕성에 중점을 두어야 할 연구 윤리교육과 연구 주제에 중점을 두어야 할 연구 윤리 교육을 개괄할 것이다. Content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are fully dependent on research ethics subject. But Contents of research ethics subject is not same as content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because content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is composed of on considerations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other many sciences. Here I will show there is a need that research ethics education are composed of on independent on research ethics subject though they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And it is shown that research cheating is differed on oth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sciences and thereby we can know which research cheating is emphasized in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it is known here we should acknowledge there are the morality of individual researcher and the morality of research subject in research ethics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박은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107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who belong to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by researchers based on ‘the NAEYC (2004)’s code of ethical conduct: supple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method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highly apparent in order of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colleagues’, and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Also, the practic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erceptional levels of professional ethics in all areas. Second,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areas of professional ethics, such as care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children and families’,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adult learners’, ‘universities and training agencies’, positions and ‘sites providing practicum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and ‘colleagues’, and ‘community and the field of earl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levels on professional eth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should be provided systematically to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과 그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라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와 전문대학의 유아교육 및 관련학과 교수(강사) 107명이며, 연구도구는 ‘NAEYC 윤리강령의 유아교사교육자들을 위한 추가조항’을 연구자가 번역 후 우리나라의 맥락에 맞게 의역하여 구성한 설문지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윤리 하위영역별 유아교사교육자의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는 유아와 가족, 실습기관, 지역사회와 유아교육현장, 학생, 동료, 대학과 연수기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직윤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천수준이 인식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따른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 현장경력은 ‘학생, 실습기관, 대학과 연수기관, 유아와 가족, 지역사회와 현장’, 직위는 ‘실습기관’, 교직윤리 학습경험은 ‘동료, 지역사회와 현장’에 대한 인식 및 실천수준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직윤리 인식 및 실천수준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교직윤리교육이 유아교사교육자의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학윤리 교육의 확대에 따른 기독교 종합 대학의 과제

        이대성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EEE) in Korean universities, as a requirement of the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for Korea) which was founded in 1999.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is to identify serious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EEE and to come up with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As the influence of ABEEK increased, more universities in Korea wanted to be considered for its accreditation. As a result, great number of EEE courses were created without enough preparation. Many problems were reveal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EEE. Most of EEE courses were developed in isolation, without any organic connection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ularly in Christian universities, when EEE courses are taught without a tight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goal of the institution, the founding principles of the universities can be neglected or challenged. Because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now necessary to redesign the EEE. In this paper, I survey the history of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 briefly. Then, I examine the theoretical debates about the necessity and definition of Engineering Ethics. The argument for the necessity of EEE, and the goal and content of EEE will be followed. Next, I will describe the problems and the limitations of the EEE. And I will conclude this paper with a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of EEE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The most important argum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imitations of the EEE so far: (1)Focused on the micro-level ethics, (2) No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3)Not aware of the ethical issues in the ABEEK system itself.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요구에 따라 2000년 이후 국내 대학에서 시행되는 공학윤리 교육의 배경과 실태 및 한계를 살펴봄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위한 기독교적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ABEEK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공과대학이 공학교육인증을 받으려 했고, 이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공학윤리 과목이 급하게 개설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공학윤리 교육이 대학 전체의 일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의 유기적인 연관 없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결과 다른 과목과 내용이 중복되거나 입장이 상충되는 경우도 있어왔다. 이런 현상은 대학 전체로 볼 때 막대한 교육 기회의 상실로 받아들여진다. 특별히 기독교 종합대학의 경우 학교의 교육이념을 구현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학윤리 교육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고, 공학윤리의 필요성 및 정의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 후,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내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안을 소개한 후, 결론적으로 기독교종합대학에서 어떻게 공학윤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것인지에 대한 제안을 하려고 한다. 이 논문의 중요한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존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 (1)미시적 윤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2)대학 내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지 못했다. (3)공학교육인증제도 자체가 갖고 있는 윤리적인 문제점을 간과했다. 기독교 종합대학에서 공학윤리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제안: (1)공학윤리 교육은 기독교 대학 이념 교육과 밀접한 연관 속에서 시행돼야 한다. (2)기독교 종합대학 내의 신학부가 기독교적 교육 이념에 대해 다른 학제와 심도 있는 대화를 평소에 하는 것이 이와 유사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비하는 방안이다. (3)기독교적 윤리학은 인문학 일반이나 윤리학보다 더 효과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도의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