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대칭 유역형상에 대한 이동강우의 유출영향분석

        전민우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1

        비대칭형상의 유역에서 이동강우로 인한 유출영향을 운동파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동강우 분포형은 균등분포형, 전진형, 지연형 및 중앙집중형을 사용하였고, 비대칭유역형상은 정사각형, 신장형, 및 장방형유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다양한 이동속도를 가진 이동강우가 비대칭유역의 상류, 하류 및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하여 그 특성을 대칭유역과 비교분석하였다. 하류방향에 대하여 신장형유역에서 대칭과 비대칭유역의 첨두유량 차이가 가장 작은 반면에 장방형유역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것은 상류방향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횡방향에서는 대칭, 좌비대칭 및 우비대칭유역 모두 지연형 강우에서 가장 큰 첨두유량을 그리고 전진형강우에서 가장 작은 첨두유량을 보이고 있다. 첨두시간은 장방형유역에서 가장 길게 나타나고 신장형유역에서 가장 짧게 나타났다. The influence of moving rainstorms to runoff was analysed for the nonsymmetric shaped basins using kinematic wave theory. The distribution types of moving rainstorms are uniform, advanced, delayed and intermediate type, the nonsymmetric shaped basins are square, oblong and elongated shape. The runoff hydrographs were sim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symmetric shaped basins for the rainstorms moving up, down and cross the basins with various velocities. The smallest differences of peak runoff of symmetric and nonsymmetric basins are appeared in the case of elongated basin, and the largest differences are shown at the oblong basin for the downstream direction. The identical results are shown for the upstream direction. The greatest peak runoff differences are shown in the delayed type rainstorm and the smallest differences are in the advanced type rainstorm for the crossstream direction. The oblong shaped basin generates the longest peak time and shortest peak time for the elongated shape basin.

      • KCI등재

        유역형상에 따르는 이동강우의 유출영향분석 (Ⅰ) : 대칭유역형상

        한건연(Han Kun Yeun),전민우(Jeon Min Woo),김지성(Kim Ji Sung)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6 No.1B

        유역형상의 변화에 따라서 이동강우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운동파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역형상은 신장형유역과 정사각형유역 및 장방형유역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이동강우 분포형은 균등분포형, 전진형, 지연형, 중앙집중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형상의 유역에 대하여 다양한 이동속도를 가진 강우가 유역내 하천의 상류방향, 하류방향,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강우분포형에 따르는 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하여 그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유출수문곡선의 모양과 첨두시간, 첨두유량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강우와 유역형상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횡방향의 이동강우에서는 상류방향과 하류방향의 경우보다 더 큰 첨두유량이 발생하며, 하류방향 이동강우의 첨두유량은 상류방향의 첨두유량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신장형유역의 경우 하류방향 이동강우의 첨두시간은 상류방향과 횡방향의 경우보다 더 지체되며, 수문곡선의 총유출량과 기저시간은 강우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Using kinematic wave equation, the influence of moving storms to runoff was analysised with a focus on watersheds. Watershed shapes used are the oblong, square and elongated shape, and the distribution types of moving storms used are uniform, advanced and intermediate type. The runoff hydrographs according to the rainfall distribution types were sim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for the storms moving down, up and cross the watershed with various velocity. The shape, peak time and peak runoff of a runoff hydrograph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rainfall and watershed shapes. A rain storm moving in the cross direction of channel flow produces a higher peak runoff than in the downstream direction and upstream direction. A peak runoff from a storm moving downstream exceeds that from a storm moving upstream. For storms moving downstream peak time was more delayed than for other storm direction in the case of elongated watershed. The runoff volume and time base of the hydrograph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storm speed.

      • KCI등재

        측방유입을 고려한 순간단위도의 유역형상별 특성 분석

        박창열(Park Chang yeol),김하영(Kim Ha young),유철상(Yoo Chul sa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측방유입의 고려에 따른 유역 유출응답의 특성 변화를 유역형상별로 살펴본다. 측방유입을 고려한 순간단위도는 지체와 저류로 구분한 Muskingum 하도추적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다양한 형상의 가상유역에 적용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적용 결과, 측방유입을 고려한 순간단위도는 유역형상에 따라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각형 유역에서는 첨두유량의 편차가 큰 반면, 삼각형 유역에서는 첨두유량 발생시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삼각형 유역에서의 저류상수는 사각형 유역의 경우보다 더욱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만일 하천유역을 사각형과 삼각형 유역으로 결합할 수 있다면, 측방유입을 고려함으로서 하천유역의 수문해석 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difference in the runoff response depending on the lateral inflow by basin shape.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IUH) of lateral inflow was used the Muskingum channel routing method composed of a linear combination of the translation and the storage effect. Various imaginary basins were applied and IUH of each basin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of derived IUH wer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basin s shape. While the variation of peak discharge in rectangular basin was larger than the one of triangular basin, there was a difference of time of peak discharge in triangular basin. It shows that the storage coefficient of IUH in triangular basin was more larger than the one of rectangular basi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reduce uncertainties of hydrological analysis considering lateral inflow, if a river basin is combined rectangular and triangular shape.

      • KCI등재

        Hack의 법칙과 소하천의 지형학적 특성분석

        유광태,전환돈,이지호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2

        In this study,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river basin were evaluated using Hack’s law and the shape factor. For this purpose, the basin area and river length were classified by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scale parameter of Hack’s law was estimated. In addition, we understand the basin shape though the shape factor and examine the effect of shape factor on the empirical formula which is applied for the design flood estimation of small river basin. As result, we found the small river is the straight river close to the square river basin shape. The result of empirical formula evaluation for design flood estimation, the time of concentration and the storage coefficient have a relation of 1.37 and Russel coefficient is 0.73. It means that the time of concentration and storage coefficient is estimated smaller compared with the middle-big basin.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the empirical formula which is suitable to domestic small river basin if the rainfall and discharge analysis and additional research are carried out. 본 연구에서는 Hack의 이론과 형상계수를 적용하여 소하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유역면적과 유로연장을 군집분석을 통해 분류하고 Hack의 이론에 근거하여 규모별 거동특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아울러 형상계수를 통해 유역형상을 파악하고, 형상계수가 소하천 설계홍수량 산정시 국내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경험식과의 관계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Hack의 h와 형상계수를 통해 국내의 소하천은 정사각형 유역형상에 가까운 직선하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소하천의 홍수량 산정을 위한 경험식을 검토한 결과 집중시간과 저류상수와 관계는 1.37의 관계를 갖으며, Russel 경험식 α는 0.73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집중시간과 저류상수의 경우 소하천 유역이 중·대규모 유역과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산정됨을 의미한다. 향후 소하천의 유역에 대한 강우-유출 해석 및 추가적 유역특성분석이 수행된다면 국내 소하천 유역에 적합한 경험식 개발이 가능할 거라 판단된다.

      • KCI등재

        불투수층 사면에서의 도달시간

        유동훈,전우용 한국수자원학회 200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3 No.2

        도달시간 산정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요소에는 유역형상과 흐름상태, 유출특성 등이 있다. 한편 Singh(1976)은 지표면흐름을 Kinematic Wave 이론으로 해석하였으며 유역형상을 평면형상과 수렴형상, 발산형상으로 분류하여 유역형상에 따른 도달시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ingh이 제시한 평면형상에서의 도달시간 산정식에 기초하여 불투수 지표면 유출에서의 도달시간 산정을 다루었다. 이를 위한 이론식 유도는 흐름을 개수로 흐름(층류 Many types of factors were devised to calculate time of concentration. Singh(976) derived time of concentration of overland flow using kinematic wave theory for plane, converging, and diverging geometric configurations.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d the

      • KCI등재

        유역형상을 고려한 도시 단위 소유역의 유출 해석

        허성철,박상식,이종태 한국수자원학회 200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1 No.5

        도시 배수구역의 유출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서는 유역의 지형특성 및 유출경로를 고려하여 소유역을 분할하고 배수계통에 대한 유출량을 분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 소유역의 도달시간과 시간-면적곡선은 유역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므로, 이로 인한 유출특성 또한 크게 변화하게 된다. SWMM 및 ILLUDAS 모형에서는 유역형상을 단순 직사각형으로 가정하여 해석함으로써 유역의 기하학적 형상이 지표면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개선하 In order to describe runoff characteristics of urban drainage area, outflow from subbasins divided by considering topography and flow path, is analyzed through stormwater system. In doing so, concentration time and time-area curve change significantly acc

      • KCI등재

        유역형상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부하량 추정

        이철규,현인환,정정렬,심재현,Lee, Cheol-Kyu,Hyun, In-Hwan,Jeong, Jeong-Youl,Shim, Jae-Hyun 한국방재학회 200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4 No.4

        우천시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수(CSOs)에 의한 오염부하량을 감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차집량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오염부하량 감소를 위한 대책으로 우수를 전량 차집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시설의 규모와 기타 유지 관리면에서 합리적이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구역의 유역형상, 면적, 강우시 차집량 등을 변화시키면서 이로 인해 변화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랑과 수질 등을 분석하였으며, 계획차집량의 변동에 다른 CSOs의 영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합류식과 분류식을 각각 비교해 봄으로서 하천에 방류되는 오염부하량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It is muck important to determine the intercepting capacities as measures for reducing the load of contamination influenced by CSOs during wet weather period. Intercepting and treating the whole rainfalls can be best measured for reducing the contamination load, but it is not desirable in view of scale and preserv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water in the combined sewer by method of changing the type and size of drainage basin and intercepting capacities in rainfalls, estimate the influence the other CSOs at the change of planned intercepted quantity, and compare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load between the combined system and separate system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other CSOs at the change of planned intercepted qua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