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학부모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준오(Jo, Jun-Oh),장미연(Jang, Mi-Yeon),김나리(Kim, Nar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를 위한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정보윤리교육 요구도 조사 분석을 통해 유아 학부모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 1차 시안을 개발하였다. 1차 프로그램 시안에 대해, 정보윤리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포커스그룹은 2그룹으로, 각각 6명씩, 총 1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인터뷰를 바탕으로 1차 시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유아 학부모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 내용 및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영역은 정보사회와 정보윤리, 인터넷의 순기능과 역기능, 인터넷 역기능 대처, 인터넷의 대안 활동으로 크게 나누었다. 둘째, 교육영역을 바탕으로 교육목표는 발달특성을 고려하고 유아가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방향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내용은 인터넷 사용의 균형을 맞추고 생활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교수매체는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활용한 매체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유형 및 수업시간은 학부모의 여건을 고려하여 2차시 120분의 단기간 프로그램으로 최종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of childhood.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eceding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infant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we have developed a primary draft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program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For the primary draft program,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to target the professional information of ethics education. Into two groups, each of six people each, focus group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2 people. It has developed a final program by modifying the supplement of the primary tentative plan based on the interview. As a result,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program of parents of infants that have been developed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education, and disability order functional information ethics and information society, the Internet, deal with the dysfunction of the Internet, it was divided into the activities of the place of the Internet. Secondly, based on the area of education,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educational purposes is apparently trying a direction that can be adjusted in their infants. Third. The content of education, life education is to be able to match the balance of the Internet. Fourth, media professor suggested not only offline, the media utilizing online. Finally, school hours and the type of popul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status of the parents, was last presented to the short-term program of 120 minutes 2 tea.

      •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김옥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을 지원하는 사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유치원현장실습을 완료한 예비유아교사 277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32개 교육내용 모두 현재수준과 요구되는 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값을 계산하여 32개의 교육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실습생의 역할 및 태도, 유치원현장실습에 대한 이해, 하루일과 운영의 실제, 교육계획안 작성법, 유아-교사의 올바른 상호작용, 부모와의 관계 맺기 및 상담,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술,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 사전유치원 현장 관찰하기의 9개 교육내용이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교육내용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할 교육내용을 명료화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김숙자,구혜현,홍희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도와 경북지역 소재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354명이다.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 관련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지오방법, 지원내용에 대하여 설문하였으며, 설문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재, 에비유아교사는 교육목표 5가지 중에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중감을 가진다에 대한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비유아교사는 교육내용 20개 중에서 배려, 기초예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질서, 책임감 순서로 나타났으며, 통일과 생산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는 영향요인 12개 중에서 교사의 가치관과 유아의 가정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원장의 교육철학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는 지원내용 4개중에서 공공기관이나 전문가의 협조와 지원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가장 높았으나 대학교 교육과정에 공존교육 관련 과목 개설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유아 교사의 영재교육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조은영(Cho, Eun-young),고운정(Koh, Un-ju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5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소재 유아교육기관 중 총 18명의 교사에게 개념도 분석법을 적용하여 2차에 걸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설문은 계층적(Ward)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개념도로 생성되었고, 이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진술문을 확정하고, 분석한 결과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2개의 차원과 5개의 군집으로 생성되었다. 둘째,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최종진술문을 바탕으로 면담을 실시한결과 영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언급하였고, 예비교사 단계 및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영재 판별과 교수 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의 재교육뿐만 아니라 예비 유아영재교육 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재고와 교수-학습 설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concept of gifted education for teachers of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this end, a total of 18 teachers of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 Province were required to collect data on two occasions by applying the concept-mapping analysis method. The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for childhood was created through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nd the results of a qual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l statement was confi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was created in two dimensions and five clusters. Second, the survey conducted based on the final report on the education of gifted childhood revealed that while acknowledging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gifted childhood, it mentioned concerns about the side effects, and hoped for the screening and teaching of gifted childhood for pre-teacher stages and incumbent teachers. This study will be a basic material that can present the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design and a reconsideration of the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as well as the re-education of incumbent teachers.

      • Clara Howard(허길래)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연구

        김윤자,이성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유치원을 보급, 확대하고 질적 향상에 공헌한 Clara Howard(한국명: 허길래)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Howard의 생애(1895-1995)와 유아교육사상과 실천에 따른 업적을 조명하여 한국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Howard의 유아교육 사상, Howard의 유아교육 실천, Howard가 한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Howard의 유아교육 사상은 경건하고 보수적인 기독교 신앙을 고수하는 가문의 영향으로 기독교적 봉사정신을 기반으로 하게 된다. 또한 앤드류 여자대학(Andrew Female College), 스카릿 성경대학(Scarritt Bible and Training School), 피바디 사범대학(Peabody Collage for Teachers)의 수학과정을 통해 학생선교자원운동, 경건주의 신학사상, 복음주의 신학사상을,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Columbia Collage in the City of New York)에서 진보주의 교육과 아동중심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둘째, Howard는 미국 남 감리회 해외 선교부 파송 선교사로서 1923년 9월에 내한하여 1965년 선교사 임기를 마치고 미국으로 귀국하기까지 40여년을 기독교 선교정신에 입각하여 아동중심 유치원 교육을 전개하였다. 첫 부임지인 송도(현: 개성) 호수돈 여학교 부설 4개 유치원 책임자를 시작으로 1930년까지 개성을 중심으로 유치원 운영관리 및 후진을 양성하고, 1930년부터 한국 감리교단 전국 유치원 책임자로서 만주를 포함한 102곳 유치원을 설립, 장학하였다. 해방 후 남한 전역에 걸쳐 유치원을 설립하고 부모교육을 실행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계에 부모교육의 전문화에 기여하였다. 1948년 국제어린이교육협회(A.C.E.I) 한국 지부, 기독교 가정생활운동(새가정 운동)을 전개하여 교사교육 및 어머니 교육의 질적 확대와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였다. 1955년, 대전보육초급대학을 설립하여 전국적으로 예비교사를 양성하여 발달에 적합한 유아 교육을 보급, 실행하였다. 셋째, Howard는 현직 교사를 재교육하고 대학에서 교사를 양성하여 한국 유아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부모교육을 강조하여 유치원 교육과 가정교육과의 연계를 통해 유치원 교육의 효과가 확대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Howard는 기독교 선교정신과 진보주의 교육관을 접목하여 한국 유치원의 보급과 확대 및 교사교육과 부모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함으로서 한국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근간을 설정하여 유아교육의 전문화, 유아교육의 실제, 교사교육의 활성화, 부모교육의 저변확대에 공헌하였다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아동중심 교육의 도입과 실천에 기여한 한국 유아교육 초기선교사의 사적을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는 앞으로 한국유아교육의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활동에 대한 이론적 탐색

        최은설,정정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검증을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I 유치원의 유아 60명 중 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10주간 16차시 프로그램 적용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결과는 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의 사후점수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 차이는 수·연산, 기하, 대수, 통계, 측정영역에서 각 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바깥놀이터에서 수학교육은 실내 교실에서만 가능한 수학교육이 아니라 실외 환경에서도 유아들이 자연과 놀이를 통하여 즐겁고 행복한 교육적인 수학교육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이 선호하는 바깥놀이를 통해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점은 매우 가치롭고 의미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시의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바깥놀이 수학교육은 실내에서 제공하는 수학교육에 비해 유아들이 보다 다양한 수학적 경험과 풍부한 수학학습 자료가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앞으로도 바깥놀이를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력 함양을 위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과목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유진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5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력 함양을 위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과목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과목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과목 프로파일을 개발하고 경기도에 위치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56명을 대상으로 15주간 개발된 교과목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교과목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는 수업 초기에 관찰의 본질적 의미와 관찰 자의 존재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고, 수업 중기에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관찰을 탐색하였으며, 현장실습을 통하여 관찰과 연구를 통한 교육과정 실행 과정을 직접 경험하고, 수업 후기에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연구자로 성장하고자 다짐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력 변화를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식적 측면에서 관찰이 교육과정 시행 그 자체임을 이해하게 되었고, 기술적 측면에서 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실행을 위하여 노력하게 되었으며, 가치 및 태도 측면에서 열린 마음으로 유아의 존재와 놀이의 가치에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 실행력을 함양하기 위한 유아교사양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nge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 Study」 subject to culivate curriculum execu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veloped a profile of the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 Study」 subject based on prior research and applied the subject developed for 15 weeks to 5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3rd grad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Looking at the changes in pre-servie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appeared in the course of the subject appl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re-childhood teachers reconsidered the essential meaning of observation and the existence of observer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nd in the middle of the class, they explored observation for the curriculum execution of child⋅play centered curriculum. They directly experienced the process of curriculum exeuction through observation and research through field practicum, and pledged to grow into researchers for curriculum execution of child⋅play centered curriculum. in the latter half of the class. Second,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early childhood and play- 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me to understand that observation was the curriculum execution itself in terms of knowledge, made efforts to curriculum execution that supported early childhood learning in terms of technology, and listened to the existence of young children and the value of play with an open mind in terms of values and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sought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to cultivate curriculum execution 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와 유아음악강사의 음악교수효능감 및 유아음악교육실제에 대한 연구

        권오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유아음악강사의 음악교수효능감 및 유아음악교육실제의 차이를 비교하고 음악교수효능감 및 유아음악교육실제의 관계를 교사전체 및 교사 유형별에 따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51명과 유아음악강사 59명이며 두 교사집단에게서 최종 수집된 110부의 설문자료를 기초로 교사집단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 유아음악교수실제 분석, 음악교수효능감과 유아음악교수실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교수효능감 전체에서 유아음악강사가 유아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교수효능감과 유아음악교육실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실제의 하위요인 중 노래 부르기와 소리듣기는 유아교사가, 악기탐색 및 교육평가는 유아음악강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아음악교육실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 유형별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 유아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성교육의 내용에 대한 연구

        우민정(Woo, Min-Jung)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1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알아보고, 그들이 제안하는 유아 성교육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사립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10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유아 성교육이 어려운 이유로는 성교육에 대한 지식 및 이해의 부족, 성교육 실시 중의 수줍음과 당황스러움,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과 자료의 부족, 성교육 실시 후의 부작용을 이유로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현재의 유아 성교육의 내용 외에 ‘내 몸의 소중함’에 대한 내용 강화, ‘친구의 몸을 소중히 여기기’에 대한 태도 첨가,‘유아들의 눈높이에 맞는 성교육’의 내용 실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유아 성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어려움과 요구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었으며, 향후 유아 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difficulties in sex 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ex education which they suggest.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concretely in which they feel difficulty,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sex education to children, in Seoul and the Gyeonggi region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views of difficulties in sex education. The content consisted of difficulties in sex education and requirements that needed to be added in the fiel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permission of the teachers, their kindergarten an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were written and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sex education because they have a lack of knowledge, programs and materials relating to sex education, and feel shy and embarrassed during sex education with childr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one's body, having a right attitude toward their friends' body and managing the content that the children are curious about are the requirements that should be added to the current content of sex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sex education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and find out the sex education content that they need. Thi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future sex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강성리(Kang, Seong-Ri),조현근(Jo, Hy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PBL 기반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45명이다. PBL 기반 장애 유아통합교육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문제중심학습은 3개의 PBL 문제로 구성하여 총 9주간 진행하였다.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PBL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t=-6.80, p<.001)과 교사 효능감(t=-8.11,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에 대한 학습 만족도는 높은 수준(M=6.71, SD=.4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통합교육 관련 교원양성 과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fec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teacher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is class. The PBL-based class used a mixture of lecture-based classes and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consisted of three PBL problems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weeks. A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it and their self-efficacy. For data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learning satisfaction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s’ beliefs(t=-6.80, p<.001) and their self-efficacy(t=-8.11, p<.001)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at a high level(M=6.71, SD=.47).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teacher training cours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