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근희(Hawng Keun Hee),최나야(Cho Na Y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신념 및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총 12곳의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57쌍, 그리고 영어몰입교육을 받는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43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어머니는 조기영어노출과 영어교수자료 활용을 더 많이 지지하고 영어의 긍정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어머니는 한국어와 영어의 균형 발달, 부모의 직접 지도, 비관습적 지도를 지향하였다. 둘째,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서는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요인에서만 집단 차이가 나타나,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들보다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격려와 기대를 더 크게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유아의 영어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 영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외국에 대한 관심, 불안에 대해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preschooler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otally 300 five-year-olds were interviewe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al institution supported more ‘early English exposure’ and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recognized the positive effect of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general institutions tended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parents’ teaching’, and ‘un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between two groups. Children of immers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nly in the factor of ‘perceptions about care-giver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Third,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preferences of English activities, regardless of groups. Fourth,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fluenced ‘recognition of parent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interests about foreign countries’, and ‘anxiety for learning English’, which were sub-factors of children’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 KCI등재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김정원 ( Jung Wo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명이 8주간에 걸쳐 진행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지속적인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연구의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유아다문화교육의 실천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좋은 그림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인 유아들의 문화적 유능감을 향상시키고 유아교사 자신들의 문화적 반응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자료임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다문화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유아들뿐만 아니라 주류문화 유아들을 모두 교육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하며 교육의 목적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이 서로의 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정의와 평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편견을 인식한 후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시작으로 다문화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정의와 평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기 위한 유아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flection journals collected from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 education in N-gu, Seoul, Korea.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eir reflection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ir views on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tud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appreciated the value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s teaching materials in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lso for increasing their own cultural responsivenes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all the children in our society ought to be students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not only the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but also the children in the mainstream culture. A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btained useful idea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ca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a quality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자녀의 재원여부에 따른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대한 인식 비교

        은광주,황혜정 육아정책연구소 2012 육아정책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있어 부모가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특히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예정인 유아의 부모는 어떠한 선택 요인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 소재의 유치원에 재원중인 자녀를 둔 부모 50명,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자녀를 둔 부모 50명,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 취원 예정인 자녀를 둔 부모 100명, 총 200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이들에게 연구목적에 맞게 일부 수정한 ‘유아교육기관의 인식 및 선택 요인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들의 재원여부에 따라 유아교육 이원화와 차이점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기관 선택 시 고려 사항,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선택 요인 및 단점,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에 대한 고려 정도 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자녀의 부모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해서 내용적,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취원 예정인 자녀의 부모는 구체적으로 알기 보다는 피상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으로 하여금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알고 이에 적절하게 대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부모로 하여금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이고 적절한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which parents consider when they choose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ir child, and to compare parent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whether their child attends institution or no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0 parents (50 in kindergartens, 50 in daycare centers, and 100 whose child does not attend any institution yet). The instrument used was an inventory about perceptions and choice factors of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arents whether their child attends institution or not. The parents of school/center-going child perceiv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programs concretely, compared to the parents of child who does not attend school/center yet. In conclusion, this study may give guidelines to both parents how to choose a right program institutions, and schools/centers how to prepare and meet parents’ needs in selecting a program for their chil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김정원,최소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flection journals and project output collected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 education in N-gu, Seoul, Korea.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ir reflection journals and project outpu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felt uncomfortable at first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but came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various material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future.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me to understand the need for a fundamental change of life style as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and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의 과정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4년제 유아교원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명이 8주간에 걸쳐 진행된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프로젝트 결과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연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초기에는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하여 막연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업이 진행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보는 기회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으로는 환경적 영역, 사회적 영역, 경제적 영역과 관련된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연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루고 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리고 미래의 유아교사로서 스스로가 지속가능한 방식의 삶을 살아야 할 필요성을 깨닫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경험

        임예지(Yeji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유아교사들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속에서 유아문학교육을 실제로 어떻게 직접 실시하고 있는지 경험을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0명으로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문학교육」 과목 수강생이다. 참여자들이 놀이중심교육과정을 실시하면서 유아문학교육에 대해 경험하고 느낀 바에 대한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놀이중심교육과정에서의 유아교사의 유아문학교육 경험을 분석해 본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문학을 위한 물리적, 시간적, 공간적인 환경을 지원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유아를 위한 문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노력했다. 교사의 개인 배경과 기관의 상황에 따라 교육과정 안에서 문학교육이 갖는 비중은 다양했고, 교육과정과는 별도로 문학교육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놀이와 유아문학교육이 서로 연계되거나 조화롭게 운영되기도 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들의 유아문학교육 경험과 이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내실있는 유아문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의 유아문학교육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a 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Gyeonggi-do, who were taking the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A University. The participants collected reflective journals about what they experienced and felt about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ile implement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alyzed the data, and then qualitatively analyzed it.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irstl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upported the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i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made efforts to conduct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ile opera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Depending on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and the situation of the institution,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urriculum varied, and literature education was carried out independently from the curriculum, or play and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linked or operated in harmon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ir thoughts were examin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necessary basi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eek ways to implement substantial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promote the quality improvement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field.

      •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윤지선,고영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아산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만 5세 1학급 유아 14명과 I어린이집의 만 5세 2학급 36명으로 총 50명(남: 25명, 여: 25명) 이었다. A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14명(남: 7명, 여: 7명)을 실험집단으로, I어린이집의 유아 36명 중 18명(남: 9명, 여: 9명)을 비교집단A로, 18명(남: 9명, 여: 9명)을 비교집단B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5년 7개월이었다.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도구는 이현경(2004)이 개발한 자아개념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 신체적 자아의 4개 하위요소 총 7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총 16회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일정은 2016년 3월 7일부터 5월 13일까지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처치는 2016년 3월 14일부터 5월6일까지 8주간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오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어린이집 및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을 각각 총 16회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A는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어린이집에서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총 16회의 인성교육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B는 어린이집 연간교육에 의한 인성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개념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점수를 일원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어린이집 연간교육에 의한 인성교육을 실시한 비교집단B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5.666, p=.0026). 둘째,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A와 비교집단B의 유아에 비해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자아(F=3.629, p=.034), 사회적 자아(F=4.094, p=.023), 정서적 자아(F=3.567, p=.036), 신체적 자아(F=7.446,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은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 뿐 아니라 하위요인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

        황지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ompetency fo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ment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ompetency enhancement were carried out by applying the ADDIE development model process. To this en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The needs of learners and educational experts were analyzed.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apstone design class model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lesson design model was applied to the capstone design clas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2 in Gyeonggi-do D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finally developed by applying student satisfaction and feedback from education experts in the evaluation st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earner analysis, educational environment analysis,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 and development, teaching/learning model application, learner satisfaction survey, and education expert evaluation. It contains the overall contents of the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proces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ed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apstone design, which started from the engineering department, are appropriately opera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instructors who plan and operate capstone design class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위한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은 ADDIE 개발모형과정을 적용하여 교수설계모형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에 대해 문헌을 분석하고 학습자 및교육 전문가의 요구조사 분석 후 창의ㆍ융합적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체계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를 경기도 D대학 2022년 1학기 유아교육과 전공필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적용하였다. 이후 평가단계에서 학생 만족도 및 교육 전문가의 피드백을 적용하여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이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주요결과인 학습자 분석, 교육환경 분석, 교수학습모형 설계 및 개발, 교수학습모형 적용, 학습자 만족도 조사 및 교육전문가 평가 등 유아교육과의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과정의 전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 모형은 공학계열로부터 출발한 캡스톤 디자인의 성격을 유아교육 영역에 적합하게 운영 할 수 있도록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과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계획 및 운영하는 교수자에게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육철학의 연구동향 분석 : 전문학술지 중심으로

        임상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cademic jour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 total of 165 research papers on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70 and 2012 were analyzed by research theme, by domain, and by research method of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was larger in and after 2000, and there was greater diversity in research themes during this period as well. Common research themes on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ed direc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aith, and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terms of the domain of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ates of metaphysics, norm theory and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were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domains. Concer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ate of literature analysis was higher, and survey research, observational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all implemented in the domain of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To boost research efforts in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kinds of research themes that are directly link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and a wide variety of research methods should be employed. 본 연구는 유아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철학의 연구동향을 탐색하였다. 1970년부터 2012대년까지 출간된 유아교육철학 연구논문 165편을 10년 단위에 따라 유아교육철학의 연구주제별, 영역별(형이상학, 규범론, 인식론, 분석론, 비판론, 포스트모더니즘, 유아철학교육, 기타), 연구방법별(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철학의 전체적 연구동향은 2000년대 이후로 연구편수, 연구주제의 다양성 면에서 타 연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철학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유아교육의 방향, 유아교육과 신앙, 유아교육철학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철학의 영역에서는 형이상학, 규범론, 유아철학교육이 상대적으로 타 영역에 비하여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철학 연구방법론은 문헌연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지만, 유아철학교육 영역에서는 연구방법에 다양성이 있었다. 유아교육철학의 연구논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구주제가 유아교육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는 연구로, 연구방법에서는 다양성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2007-2016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조현근 ( Jo Hyun-geun ),이병인 ( Lee Byoung-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3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통합교육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국내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8곳의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물 중 177편을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유형으로 분류하여 연도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유아통합교육 실천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통합 현상을 알아보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통합교육 기관의 일과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전략 및 중재 방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통합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활동적 통합, 사회적 통합의 실효성을 위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교육과정적 통합,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의 긴밀한 협력, 교사양성과정에 있는 예비교사의 인식 개선에 관한 연구 등 실천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아통합교육 현장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와 요구 관련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통합교육의 주체로서 유아의 부모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 유아통합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아통합교육 관련 연구자 및 현장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6 . For this end, total 177 articles published in eighteen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7 to 2016 in Korea were selected, and were also analyzed by analysis of frequency according to topics of research, subjects of research, and types of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researches that show practical inclusive phenomena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should be conducted by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econd, research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 that can be applied in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setting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Third, for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al` researches should be more conducted by integrating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showing clos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d also conducting researches to improve perception on `disability`. Fourth, survey researches related to situation and needs on physical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should be also conducted. Finally, researches dealing with parents and families of young children as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Thes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effectively used and utilized to help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유아안전교육 관련 예비유아교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제안

        배지희,정효진,이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1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safety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suggestions for pre-service training.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2 kindergarten teachers revealed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s differed based on the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used in safety education courses. The teachers felt that safety education courses that included actual cases of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helped them increase knowledge and skills in safety. Most of the teachers, however, mention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ed to be improved. Their suggestion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offer an independent safety education course that deals with concrete examples of safety issues. Second, the safety education course should help increase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to integrate safety education into the context of children's daily lives. Third, the teachers suggested that pre-service training sh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to cope with safety issues through repetition and direct experience. Lastly, the teachers mentioned that evaluation in safety education courses should be extended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safety skills and knowledge.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유아안전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들이 안전교육과 관련해서 어떠한 교육을 받았고,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어떠한 제안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이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수강한 안전교육 교과목의 개설 형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따라 경험이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안전교육 교과목이 아닌 다른 교과목에서 안전교육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배운 경우와 독립된 안전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경우, 이론과 지식 중심의 내용을 주로 배운 경우와 교육현장에서의 실제 사례들에 대해서 배운 경우, 강의중심교육을 받은 경우와 체험중심교육을 받은 경우에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도가 다르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안전교육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독립된 안전교육 교과목이 제공되어야 하며, 안전 민감성을 길러주기 위한 현장 밀착형 교육, 안전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한 체험과 반복 중심의 체득교육, 그리고 교과목 평가 방식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