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유교 현황과 현대화 전략

        진성수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3

        Perception of confucianism in Korea is an elaborate collage of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When referring to the glorious five-hundred –year-long history and culture of Joseon dynasty, Confucianism is referred to as spiritual source of class and classiness, composure and appreciation of art built on humbleness of scholars who are known for their righteousness and loyalty. On the contrary, Confucianism is also perceived as outdated social conduct that needs to disappear when it comes up in social issues such as nepotism in family-run business and power trip of those who were born with a silver spoon in their mouth. When a few intellects of our society criticize negative values or cultural phenomenon of the Korean society, they sometimes attribute them to Confucian values and Confucianism which is core part of the Korean culture. Based on this matter, this study reviews studies on Korean confucianism and Confucian culture that were conducted before the 2000s and also examines the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current status of Confucianism in Korea affected by the change in mind-set and values of Koreans post-2000s. Next, based on <Short and Long Development Plan of Sungkyunkwan> conducted by Sungkyunkwan, the study examines major elements of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through SWOT analysis o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at Confucianism in Korea confronts.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he future prospect of Confucianism and the key strategy for its long-term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한국사회에서 유교의 이미지는 긍정과 부정의 교묘한 콜라주(collage)로 보인다. 조선 500백년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말할 때의 유교는 正義・義理를 대표하는 선비들의 품위와 멋스러움, 검소함을 바탕으로 한 餘裕와 風流의 정신적 원천으로 언급된다. 그러나 대기업의 족벌경영이나 금수저들의 갑질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issue)가 될 때의 유교는 아직 청산하지 못한 구태의연한 因襲으로 치부되곤 한다. 우리사회의 적지 않은 지성인들 역시 한국사회의 부정적 가치관이나 문화현상을 비판할 때, 간혹 그 원인을 한국문화의 원형 중 하나인 유교와 유교적 가치관에서 찾는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2000년대 이전에 진행된 한국 유교와 유교전통에 대한 성찰 내용을 검토하고, 2000년대 이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변화에 따른 전통문화의 의미와 한국 유교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한국 유교의 본산인 성균관에서 작성한 <성균관 장단기 발전계획>에 기초하여 한국사회의 유교가 직면한 내・외부 환경에 대해 SWOT 분석을 통해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핵심 요소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유교의 미래 전망과 장기적 발전 및 현대화를 위한 핵심 전략을 모색하였다.

      • 한국 유교의 현황과 成均館 釋奠

        진성수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1 儒敎文化硏究 Vol.- No.19

        한국의 유교문화 중 비교적 오늘날까지 원형에 가깝게 보존・전승되고 있는 것은 조선의 국립대학인 성균관과 성균관의 의례이다. 성균관의 주요 기능과 역할이 성현제사와 인재양성이라고 할 때, 그 중심기관은 文廟와 明倫堂이다. 즉 문묘는 성현에 대한 제사를 담당하고, 명륜당은 후학에 대한 교육을 담당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유교문화의 전개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첫째, 한반도에 유교가 전래된 이후 유교교육이 어떻게 실시되었는지, 특히 역대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에서의 유교 관련 종교 논쟁, 儒敎系 조직과 활동 등을 중심으로 한국 유교계의 현황과 지도자 양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셋째, 한국 유교문화를 상징하는 성균관의 儀禮文化를 살펴보기 위해 석전제를 포함한 儀禮의 유래와 종류, 釋奠 佾舞의 樂章歌詞와 춤동작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유교의 현황과 전개양상을 검토하였다. 한국의 유교문화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成均館의 文廟, 明倫堂, 釋奠, 佾舞, 地方鄕校 등 건축물이나 제사의식 등과 같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有形의 문화이다. 둘째, 예의정신과 선비정신 혹은 제사문화 등과 같이 일정한 형태는 없으나 한국인의 의식 속에 살아있는 無形의 문화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두 가지 유형의 유교문화는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전승되어 왔으며, 역사적 상황에 맞게 變奏되어 오늘날까지 한국인의 삶 속에서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한 · 중 · 일 유교문화 전통적 요소를 사용한 패키지디자인 연구

        오단(Wu, Dan),박종빈(Park, Jongbin)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4

        유교문화는 한국, 중국, 일본 등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인 특수 문화현상이 있는 동양문화이다. 유교 사상은 정치 · 사상 · 문화, 나아가 경제생활의 각 방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아시아 각 국가의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전통 장식 문양은 문화예술의 한 측면으로서 유교문화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전통적인 문양 요소로서 꽃, 나뭇잎, 구름 등 상징적인 요소에 정신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본 연구는 유교문화의 특징, 패키지디자인의 개념 및 중요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제품의 종류와 사용되는 유교문화를 대표하는 문양을 조사하고, 전통문화와 유교문화에 대한 이해가 다른 배경의 한국, 중국, 일본의 패키지디자인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문화의 패키지디자인 활용을 더욱 잘 구현하기 위하여 제품 종류에 대하여 일정한 유교문화사상을 지닌 3가지 제품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유교문화의 문양 선택은 유교문화에서 사람과 자연이 조화롭게 통일되어야 한다는 이념에 따라 자연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꽃, 잎, 구름 원소를 채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은 제품 종류와 사용하는 유교문화의 문양 종류가 같다는 전제 아래 국가별로 5가지 패키지디자인 사례(총 3가지 경우: 꽃문양을 사용한 주류 제품의 패키지디자인, 잎 문양을 사용한 차 류 제품의 패키지디자인, 구름 문양을 함유한 식품 제품 선물 상자의 패키지디자인)를 제시하고 패키지디자인에 사용된 디자인 요소(예를 들어 패키지디자인에 사용된 색상, 이미지, 도안의 표현 방법 등)를 비교 분석하였다. Confucian culture, an oriental culture, occupies a dominant position in Asian countries’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It has a profound impact on the culture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world. Therefore, traditional decorative patterns are greatly influenced by Confucianism in the aspects of culture and art. This study uses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culture,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as theoretical backgrounds. The types of products and the patterns representing Confucian culture were investigated, while the commonality and the differentiation of package design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analyz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nd Confucian culture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In this study, in order to better implement the use of the package design of Confucian culture, three products that has ideological connotation of Confucian culture were selected. The symbolic patterns of Confucian culture selected in the study include flowers, leaves, and cloud elements. Under the premise that the product type and the pattern type of Confucian culture used are the same, I compa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roduct packaging design betwee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e.g., package design of liquor product using flower patterns, package design of tea product using leaves patterns, package design of food product using cloud patterns on its gift boxes) and compared design elements in the aspects of color, image, and expression method used in package design.

      • KCI등재

        儒敎文字圖의 사상체계와 변천과정에 대한 재검토

        이경남(Lee Kyung-nam)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본 연구의 목표는 유교문자도(儒敎文字圖)의 사상체계와 변천과정에 대한 재검토이다. 우리의 민화 가운데 유학적인 사회질서 유지를 표방하는 분야의 예로는 문자도, 책가도, 감모여재도 등이 있다. 이 중 문자도는 그림과 글자가 결합된 민화의 한 부분으로 문자를 회화적인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문자도가 발생된 초기에는 수(壽)와 복(福)과 같은 길상적(吉祥的)인 문자가 유행했으나 점차 유교의 덕목이 표현되는 문자도가 유행했다. 본 연구자는 문자도가 삶의 염원과 유학적인 이상의 염원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유교문자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유교문자도(Confucian Ideographs)는 유교적 윤리관과 삼강오륜의 사상이 반영된 효(孝)ㆍ제(悌)ㆍ충(忠)ㆍ신(信)ㆍ예(禮)ㆍ의(義)ㆍ염(廉)ㆍ치(恥)의 윤리덕목을 희화(戱畵)하여 그린 그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8폭 병풍으로 만들어져서, 집안을 장식하거나 그 덕목을 되새기는 용도로 사용됐다. 그림의 소재는 각 글자의 의미와 관련된 일화나 고사, 혹은 일화와 관련된 상징물이 주를 이룬다. 조선 초기에 발간된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에서 인용하거나, 조선후기의 고전 언해 사업의 영향으로 인하여 『시경』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했다. 이런 소재들은 종종 글자 획(劃)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여백에 곁들여졌다. 유교문자도는 18세기부터 일반 민중에 유통됐고, 19세기 후반에는 글자의 의미보다 장식성을 중시하여, 문자의 형태가 아주 단순화되고 회화성이 부각됐다. 문자도가 성행한 시기는 공교롭게도 주자학 일변도의 학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학문적인 반성이 풍미했던 때로 이런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문자도의 변천과정은 처음에는 글자 안에 그와 관련된 인물화를 취했다가 점차 글자 안의 그림이 그와 관련된 상징물로 단순화되고, 그 상징이 글자의 획을 대신하는 변화를 겪게 된 다음에는 일정한 양식이나 규칙이 깨져 희화된다는 점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 문자도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교문자도에 담긴 유교의 덕목이 어떻게 발생되고 이해되어 발전되었는가에 대한 사상체계에 대한 접근이 우선시 된다. 다음으로 유교문자도의 원형과 고유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연구의 목표이다. 따라서 유교문자도 인접 학문과의 종합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hosun dynasty in the 18 century was full of freedom and opennes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This factor of freedom and openness urged to come out some popular atmosphere in the art; people’s preference for folk painting rather than classical pictures. At those ages, folk painting was very important methods to express people’s wishes and emotions energetically because folk painting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ordinary life of people. For examples, people pursued earthly happiness, achievement of their desires, blocking misfortunes and wishing longevity. Folk painting was the very passage of those pursuit. In particular, the Confucian Ideographs were a sort of representative to show us the trends of folk painting at that time. In fact, people could not imagine that the holy chinese character be used as materials for decoration and pictures.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framework of thoughts appeared on the Confucian Ideographs containing the 8 foundational characters of Confucianism: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ty, trust, propriety, righteousness, integrity and sensibility. These characters encourage service to one’s parents, friendship for brothers and neighborhood, contribution to nations and country, trust and faith to others, regulations and disciplines for public order, sacrifice for others, clean and frugal life, and sense of honor in our life. First time, the Confucian Ideographs started to educate people the value of Confucianism. At least, the goal of eight-fold panel was to disseminate the philosophy of Confucian values rather than to enjoy the pictures or wishing one’s happiness. However, in the 18 century, the trends were changed severely. Under the impact of folk painting from China, the Confucian Ideographs started to express their artistic features rather than the meaning of characters. Particularly, in the early 19 century, the Confucian Ideographs showed various models of each province. An interesting case was that the Confucian Ideographs consisted of 2 characters lik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were disseminated by governors and aristocratic class who were afraid of devaluation of traditional Confucianism.

      • KCI등재

        한국 사회학계의 유교연구 10년 : 1997~2006년

        이영찬(Lee Young-Ch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본 논문은 지난 10년(1997~2006)간 한국 사회학계의 유교연구 현황을 수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결과 사회학자로서 유교연구에 참여한 학자는 모두 28명이고, 그들의 저서가 26편, 연구논문이 144편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개설적 연구가 13편, 방법론과 이론형성 연구가 35편, 개념ㆍ이념ㆍ인간관ㆍ세계관 연구가 18편, 현대적 삶과 사회현상 연구가 19편, 유교적 가치와 민주주의ㆍ자본주의 연구가 18편, 사회제도와 공동체 연구가 19편, 사회사상 연구가 13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논문이 발표된 학술지는 모두 50종이며, 이 중 절반이 사회학 전문 학술지를 통해 발표되었다.<BR>  10년간의 연구 업적은 부록으로 첨부했으며, 분석 결과 유교사회학계가 주목해야할 몇 가지 과제를 발견하였다.<BR>  첫째, 연구 자원이 지속적으로 충원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연구의 발전적 계승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BR>  둘째, 유교사회학적 연구가 이론적 지향에 치우쳐 있다. 실증적 연구로 보완하여 현실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적 지식을 창출해야 한다.<BR>  셋째, 유교사회학적 연구가 사회학계 내에서 보다 소통되고 널리 공유될 필요성이 있다.<BR>  넷째, 유교사회학적 연구의 지식사회학적 토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유교에 대한 현대적 해석은 역사적 맥락 속의 유교를 끌어내어 현대적 이념으로 재생시킴으로써 가능하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present status of confucian studies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sociology statistically for the last 10 years(1997~2006).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ociolog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confucian studies were 28 persons and they wrote 26 books and 144 papers. Classifying these papers by the subjects, there were 13 papers on the subject of general studies, 35 papers on the subject of methodology and theory formation studies, 18 papers on the subject of conception, ideology, human view and world view studies, 19 papers on the subject of modern life and social phenomena, 18 papers on the subject of confucian value and confucian democracy/capitalism, 19 papers on the subject of social institution and community, 13 papers on the subject of social thought study. These papers were published in 50 sorts of academic journals, and the half of the papers appeared in academic journals of sociology.<BR>  The researched academic achievements were appended at the end of this paper. Several tasks to which confucian sociologists should keep attention were found. <BR>  First, there lacks of constant supply of new confucian sociologists to achieve developmental succession in this academic field.<BR>  Second, the confucian sociological study inclined heavily toward theoretic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lternative knowledge of the present society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BR>  Third, it is necessary for confucian sociologists to understand each other and to share interests in confucian studies.<BR>  Forth, it is necessary to consolidate the basis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in the study of confucian sociology.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ism can be realized by recreating a modern ideology from the historical confucianism.

      • KCI등재

        유교 가족윤리와 욕망의 문제

        전병욱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허구적 욕망에 기초한 가족주의가 유교 가족윤리의 가면을 쓰고 있는 상황을 진단하고 유교 가족윤리를 새롭게 조명하여 현대사회에서 순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 연구이다. 전통적인 유교사 회에서 윤리체계를 제정하는 데 있어서 인정(人情)은 천리(天理)와 함께 중요한 기준이 되어왔다. 유교의 가족윤리는 유교사회 속에서 인간이 구체적으로 가지는 욕망에 의거하여 제정된 것이었기 때문에 초역사적인 보편성을 가진 다기보다는 그 특정한 시대적, 사회적 환경 속에서만 규범으로서 가치를 가진다. 현대사회의 가족관계는 전근대의 유교사회와는 판연하게 달라졌다. 현대 사회의 한국인은 더 이상 유교사회 속에서 살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유교 윤리를 지키고 사는 이는 드물다. 새로운 시대에 맞는 규범이 아직 온전히 형성되지 못한 오늘날의 상황에서 유교의 윤리에 대해서는 계승하고자 하는 측과 배격하려고 하는 측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유교의 가족윤리는 그중에서 평가가 가장 극렬하게 갈리는 지점이다. 한쪽에서는 유교의 가족윤리를 만악의 근간으로 비판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하루 속히 회복해야 할 가치로 간주 한다. 이 글에서는 유교 윤리를 부정적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서는 논의를 유보하고 유교윤리 회복을 주장하는 측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유교의 가족윤리는 유교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개인의 도덕수양을 출발점으로 삼아 그 윤리를 준수하려는 도덕적 욕구가 형성되어야만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는 데 주목하여, 이런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유교의 가족윤리를 주창할 경우 한낱 허구적 욕망에 근거를 둔 부적절한 강요로 변질된다는 점을 밝혔다. 현대사회는 유교사회가 아닌 이상 유교 가족 윤리의 구체적인 조목들을 실행하기는 어려우므로 유교 가족윤리의 궁극적 지향을 재조명하는 과정 속에서 유교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이 담고 있는 주장이다. 這篇文章是關于儒家家族倫理和人的欲望之間的相關性問題的探討。這个主題一般都是由女性硏究者來討論的。所以這个主題的硏究結論經常認爲, 儒家社會的家族是爲男人的欲望而組成的。在家族里, 女人的欲望經常受到壓制。 其寘,現代社會經過近代化過程,發展到跟前近代社會完全不一樣的面紙家族關系和家族制度也是跟隨着這种現象發生巨大的變化。但是, 現代韓國社會有很多人利用儒敎倫理而捏造成“家族愛”的觀念性欲望, 進而用這种觀念性欲望來 充足自己个人的欲望。家庭內的性不平等和家族利己主義, 加上类似家族義, 到處時時出现, 有的硏究者要探索這个現象的儒家哲學來源。可是, 儒家作爲前近代社會的哲學思想, 跟這个現代社會現象沒有太大的關系。 現代社會的韓國人, 對作爲儒家的核心倫理觀念的“孝’, 沒有足够的了解。這篇文章, 特別注重分析儒家傳統的“孝’觀念和現代社會韓國人的"孝’觀念之間的不同点。通過這个分析說明儒家倫理不能直接利用到現代社會的理由。作爲儒 家核心倫理的“孝”, 跟家族利己主義有个鴻溝, “孝”不能当成敎訓別人的道具, 而要当成各个人在道德修養途程的一个强有力的動机。

      • KCI등재

        유교에서 한학으로

        이황직(Yi Hwang Jik)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1

        이 연구는 1960년대 중반까지 한국 정치에 큰 영향력을 가졌던 유교정치운동이 1970년대 이후 쇠퇴하여 형해화한 오늘에 이른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서 1960년대 유교계의 상황을 당시 정치변동을 포함한 사회체계 전체의 변화 속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4·19 혁명 참여의 연속선에서 김창숙의 카리스마와 권오돈의 실행력이 결합되어 유교인들은 1960년대 초반까지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비판적 정치 운동에 참여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한학자 또는 고전번역자로 알려진 권오돈, 임창순, 조규택, 성낙훈, 이민수(이석구) 등을 해방정국에서 196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정치·사회운동의 중요 활동가로서 복권시킬 수 있었다. 이는 근대의 유교 지식인들에게 여전히 정치와 학문의 일체로서 유교 정치 이상이 작동되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둘째, 1965년 재경유림단 성명을 끝으로 이후 유교는 현실 정치와의 접점을 상실하며 내면화되기 시작했음을 밝혔다. 유도회 조직이 유명무실해진데다 유교의 비판적 정치성을 포기하고 수세적으로 정권에 대응하면서, 유교는 종교성을 상실한 채 전통 학문(한학)으로 축소되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유교 정치는 내면화와 보수화의 과정을 밟았다. 근대화론의 위세와 산업화 정책의 성공에 따라 한국 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했는데, 유교는 당시 정치와 경제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정치 측면에서 유교는 당시 재야 세력의 반근대적, 반산업화적 가치를 정당화하는 관념을 제공했지만, 이후 재야 세력의 주도권이 기독교계와 진보 세력에 의해 주도되면서 영향력을 상실했다. 반면에 경제적 측면에서 유교는 자본주의 산업화에 기능적인 가족주의 관념의 기반을 제공하면서 본래의 비판적 정치 이상과의 연결성을 포기한 채 개인과 가족 중심의 관념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내면화와 보수화 과정은 이후 유교 정치운동의 쇠퇴, 나아가 종교로서의 유교 자체의 쇠락을 재촉했다. Although many scholars in Korea regard confucianism as a reactionary ideology for authoritative regime, some researchers at home and abroad began to regard it as a pro-democratic value for providing sources of democratic-communitarian thought. This study attempted to restore the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movements in the 1960’s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confucian fall since 1970’s. Through this work, we could learn more about modern Korean confucianism and the relation with confucianism and Korean politics.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ly, Confucian intellectuals participating ‘April 25th professors demonstration’ contributed to succeed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Banking on its success, some confucian intellectuals took a challenge with progressive political organization, Minjatong. Kim Chang-Suk and Kwon Oh-Don were their leaders. During that period, modern confucians were faithfully maintaining the point of contact with real politics. Secondly, after ‘Seoul Confucian declaration’ against ‘1965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confucian intellectuals lost the traditional political ideal for moral community and retreated into an isolated academic fields. Collapse of Yudo-Hoe made confucian coping with regime oppression passive. As a result, the nature of confucianism transformed ‘from religion to literature.’ Thirdly, although confucian languages and values had provided oppositional political coalition with rebellious mentality, confucians lost initiative in respect to real politics and ideology in the 1970’s. Since then, confucian circles were rapidly conservatized for their survival. Through these serial procedure, confucianism was doomed to an inevitable decline.

      • KCI등재

        Postmodernity of Confucian Sociology

        ( Lee Young-chan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4

        本文的寫作目的在于通過儒敎社會學理論的構成, 在后現代社會里擴展韓國社會學的硏究范圍。爲此, 首先通過理氣論與陰陽論硏究了儒敎社會學的范式特征。理氣論爲理論構成的世界觀, 陰陽論運用爲理論的模型。以儒敎社會學范式爲基礎, 階層論與變動論爲中心, 構成了儒敎社會理論, 幷考察了其后現代的意義。 當今對傳統思想的儒敎引起關注的原因在于値得重視其――非儒敎之前現代性的――后現代性。韓國社會所面臨的后現代社會需要代替現代西歐社會學的理論。儒敎在韓國文化的深處仍行使着很大的影響力。從而, 以儒敎世界觀與邏輯體系爲基礎, 使儒敎思想加以理論的體系化, 爲韓國社會學的生根發芽做出貢獻。幷且, 儒敎具有克服現代世界諸多問題的后現代性智慧。好多學者預見21世紀爲亞洲的世紀, 因而, 社會學也需要新的理念與挑戰。我們可以從儒敎中找出其解決問題之線索。 結果, 不可否認儒敎所內在的前現代性界限, 而又可發現很多超越現代之界限的理論資源。儒敎階層論中, 儒敎在現代階級社會提供人格資本、社會資本的資源, 提示非競爭的共同體的生活, 在這一点上包含着后現代性。儒敎社會變動論中, 否定了現代社會學的變動理論之主要對立点――作爲變動理念的矛盾論與技能論, 作爲變動類型的循環論與進步論, 作爲變動的主體與客體之間的單方式中心主義, 從這一点上可看出其后現代性。然而, 不能只靠其后現代性理念就主張具有未來的挑戰性。因爲, 比起現代性, 后現代性的問題反而會更嚴重。儒敎社會學的后現代性對西歐后現代談論中所提到的倫理性與价値觀的混亂、解體之后的理論對策之不在、文化的低級化與虛无主義等問題提供着崭新的解決視角與方案。 What we called “confucian sociology” is the sociology for confucian society where the confucian ideology and thoughts have still great influences on the depths of society. Confucian sociology is established to understand the confucian society of Korea, and it is expected to be a passage of communication between east-asian sociology based on eastern thoughts and world sociology which is presently led by western sociology. In addition, confucian sociology will become a useful social theory to suggest the vision and hope of confucian culture to the postmodern society which the cultural aspect becomes more dominant. For such reasons, I try to construct the confucian theory of social stratification and social change through the Li-ki theory of Neo confucianism and Yin-yang theory of Book of change. Finally, this paper is attempt to suggest the postmodern implications of confucian sociology for the sake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korean society.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

        한국의 자살 문제와 유교사상

        이영경(Lee, Young-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2 No.-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높은 자살률의 문제는 치명적인 인간의 위기이다. 자살의 문제는 생명을 단절케 하고, 공동체의 삶을 뿌리째 뒤흔들 수 있을 정도로 악성적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의 극복은 한국인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제이다. 인간다운 좋은 삶의 지향을 본질로 삼는 유교사상은 자살과 같은 치명적인 삶의 문제, 인간의 위기 문제에 대해 실제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이의 해결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치유적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교의 본령은 현재 한국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자살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사상은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의 해소나 극복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입장에서, 그 정당화의 맥락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 사회의 자살의 양상과 자살을 촉발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자살 문제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의미있는 유교의 대응 입장에 접근하는 토대적 논의로서, 죽음과 자살 문제에 대한 유교의 입장을 非意志的 죽음과 意志的 죽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살 문제의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유교의 입장을 大同社會의 구현과 같은 유교적 도덕 복지사회의 실현, 仁의 실천을 통한 연대감의 강화, 가족 공동체의 가치를 중시하는 문화의 확산, 유교적 義의 실천으로 사회 正義 구현, 持敬과 省察같은 유교 수양론을 활용하는 것 등으로 제시했다. 유교를 활용하여 현대의 자살 문제와 같이 인간의 치명적인 위기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유교의 가치를 강화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유교가 이러한 우리 사회의 긴박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의미있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장차 유교는 과거의 사유와 문화로만 남게 될 것이다. Korean suicide rate is almost the world"s highest level. Based on these facts, Korea can be said to face a very serious crisis which is fatal to human and life. Therefore, Overcome this very serious problem is absolutely necessary for making Korean happy life. Confucian idea is the thoughts that offer human right way of life and resolve present personal & social problems. So Korean confucian task is to enter and cope the suicide problem, that is currently most serious problems of Korean society. In this theses, we aims to find ways to solve the Korean suicide problem on the viewpoint of confucian thoughts. So first, we examin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suicide and the triggered causes of suicide. And as a meaningful groundwork on the solve suicide problem, we research the non-volitional death and volitional death on the confucian thoughts. Finally, we suggest the Confucian principles for overcoming the Korean suicide problem, those are as follows ; 1)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fucian moral welfare society that is "Great Harmony Society(大同社會)" 2)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Humanity(仁) strengthen human solidarity 3) Attach importance to family values and norms 4) Through the practicing of the righteousness(義) realize social justice 5) Use of confucianism self-culture as the Practicing Piety(持敬) and Reflection(省察).

      • KCI등재

        유교의 종교성 연구

        전병술(田炳述) 한국양명학회 2006 陽明學 Vol.0 No.16

        이 논문은 유교만이 갖는 특수한 형태, 즉 종교와 학문 그리고 문화적 특징을 모두 담보하는 유교의 특수성을 종교와 철학의 구분을 통하여 명확히 설명해보고자 노력한 글이다. 현대 유학을 전공하거나 혹은 유학에 관심을 가진 학자들은 근대 이후 서구 과학문명으로부터의 개인주의 문화를 받아들인 점을 비판하면서, 유교가 갖는 고유한 人文精神을 부각시킴으로서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유교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주장일 수도 있겠으나, 한편으로는 가족중심주의나 연고주의 혹은 지역주의에서 출발하는 유교문화가 비민주적인 정의 실현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유교문화라는 단어 안에서도 종교적 의미가 거의 드러나지 않는점을 감안하여 볼 때, 유교의 종교성과 철학적 특징들을 구분하기란 좀처럼 쉬운 작업이 아니었다. 이에 유교의 종교성과 초월성을 양명학적 관점에서 비교 구분하고자 논지를 전개하였으며, 전통 유가에서 말하는 ‘聖人’의 정의에 따라 인간의 종교적 존재 의미로서 매듭지었다. 즉 유교에서 말하는 聖人은 도덕적으로 또는 인격적으로 완성자라 할 수 있으며, 세계의 질서를 세우는 창조주이고 나아가 세계 전체에 대한 궁극적 관심의 실천자로 표현된다. 그리고 인간이면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살펴 볼 때, 유교에서의 인간이라는 존재 의미는 모두 종교적 인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