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계속기업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 영향요인 차이

        박주철 ( Park Ju-cheul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가증권시장의 상장요건과 코스닥시장의 상장요건이 다르므로 유가 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의 재무특성이 다를 것이라는데 착안하여 법적재건인 회생절차개시를 신청한 기업을 대상으로 계속기업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 개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입의 대부분을 감사보수에 의존하는 감사인은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규모가 큰 고객기업이 재무곤경에 처하더라도 고객기업에 불리한 의견인 계속기업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을 개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가능성은 규모가 큰 회사가 다수 상장되어 있는 유가증권시장에서 더 현저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규모 변수가 계속기업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에 미치는 영향이 유가증권시장에서 더 현저한 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대상 기업은 2002년부터 2019년까지 부도 등으로 법적재건인 회생절차개시를 신청한 142개 상장회사이다. [연구방법] 분석방법은 계속기업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를 종속 변수로 하고, 연속감사년수, 감사인이 Big4 회계법인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 총자산(백 만원) 자연로그값, 유동비율, 총자산부채비율, 총자산순이익률, 부채 대비 영업현금흐름비율, 감사보고서일에서 회생절차개시 신청일까지의 월수로 독립변수로 한 로짓회귀분석을 유가 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에 대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경우 기업규모 대용변수인 총자산(백만원) 자연로그값(TOA) 변수가 유의적인 (-), 유동비율(CUR) 변수는 약한 수준(6%)에서 유의적인 (-)였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총자산순이익률(PRO) 변수가 유의적인 (-), 총자산(백만원) 자연로그값(TOA) 변수는 약한 수준(9%수준)에서 유의적인 (-)였다. 따라서 회생절차개시신청 기업에 대한 계속기업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Ⅰ은 채택된다. 둘째, 기업규모 대용변수인 총자산(백만원)자연로그값(TOA) 변수 의 유의확률은 유가증권시장에서는 0.015, 코스닥시장에서는 0.091로서 유가증권시장에서 훨씬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회생절차개시신청 기업에 대한 계속기업존속 불확실 성 감사의견에 기업규모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이 코스닥시장 상장기업보다 더 클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Ⅱ는 채택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은 상장요건이 달라 상장기업 의 재무특성이 다르므로 감사인의 계속기업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 개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도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감사수수료와 같은 경제적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감사인은 고객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재무곤경으로 계속기업존속에 의문이 있더라고 고객기업에 불리한 의견인 계속기업 존속 불확실성 감사의견을 덜 개진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규모가 큰 기업이 다수 상장되어 있는 유가증권시장에서 더 유의적이라는 것을 실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requisite for listing stocks is different between KOSPI market and KOSDAQ market. Therefor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KOSPI market listed firms is different that of KOSDAQ market listed firms. Our first research hypothesis i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going-concern audit opinion between KOSPI market listed firms and KOSDAQ market listed firms. Generally the KOSPI market listed firms are larger in firm size than the KOSDAQ market listed firms. Because of economic view, auditors are less likely to issue going-concern audit opinion where there exists substantial doubt about the continued viability of their larger firm size clients. The economic view argues that audit fee are increased by the firm size of clients. Auditors may be more influenced by their economic view. Therefore auditors with larger firm size of clients are concerned with reporting failures. Reporting failure is defined where the bankrupt company did not receive a going-concern audit opinion from the auditor prior to bankruptcy. Our second research hypothesis is that the influence of client’s firm size to the going-concern audit opinion is more material in the KOSPI market listed firms than in the KOSDAQ market listed firms [Methodology] To verify our empirical hypotheses, We use a logistic regression where the type of audit opinion issued immediately prior to bankruptcy filing is dependent variable(AUD) and audit tenure(CON), auditor scale(BIG), company size(TOA), financial healthy(CUR, DEB), earnings ability(PRO), cash supply by operating activity(OCF), and bankruptcy lag(SPA) is independent variable. [Findings] Ou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SPI market listed firms, the coefficient of client’s firm size(TOA) is strongly significant at p<0.01 and the coefficient of current ratio(CUR) is weakly significant at p<0.06. These results show that auditors are more likely to issue going-concern audit opinion to the smaller size of firms in the KOSPI market. Second, in the case of KOSDAQ market listed firms, the coefficient of return on asset(PRO) is strongly significant at p<0.01 and client’s firm size is weakly significant at p<0.09. These results show that auditors are more likely to issue goingconcern audit opinion to the lower profitability of firms in the KOSDAQ market. [Implication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research model, we conclude that our first research hypothesis and our second research hypothesis are accepted. Our analysis suggests that auditors in the KOSPI market are less likely to issue going-concern audit opinion to their clients of larger firm size more severely than auditors in the KOSDAQ.

      • KCI등재

        유가증권 공정가치정보와 유가증권 관련 손익의 주가관련성

        김길훈,김지혜 한국상업교육학회 2010 상업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유가증권 공정가치정보와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주가관련성이 있는지 여부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유가증권의 공정가치와 취득원가의 차액인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과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이 취득원가(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과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을 차감한 장부가치)에 대해 추가적 정보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당기순이익으로 계상한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과 유가증권처분손익이 미래초과이익을 예측하는데 유용한지 여부를 실증분석 하였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회사를 대상으로 2003년부터 2007년도까지의 기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을 취득원가로 평가했을 때의 장부가치(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과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을 차감한 순자산가치)뿐만 아니라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와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가 모두 유의적인 양(+)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가증권평가손익 정보는 취득원가 정보에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가증권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가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유가증권손익처분손익이 주가를 설명함에 있어서 장부가치(자본)에 대해 추가적 정보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검정하기 위한 추정결과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와 단기매매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 및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로 볼 때 일시적인 영업외손익인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유가증권처분손익 정보는 미래초과이익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아니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air value accounting on securities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fair value of securities is value relevance, a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has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s for acquisition costs (net asset value before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an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gains/losses related to securities, which was unrealized holding gains/losses on trading securities and the gains/losses on disposal of securities were value relevance when book value was controlle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2,117 observations (firm-years), which are selected from the public companies that listed on the Korean Exchange with December fiscal year-end over the period of 2003-2007.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ot only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book value (book value after deducting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but also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can be inferred that information on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s for acquisition costs. Second,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and the gains on disposal of trading securities, and the gains on disposal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are not value relevance when book value controlled.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and gains on disposal of securities do not have an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s for book value.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and gains on disposal of securities are temporary non-operating gain and they are not useful to forecast future abnormal earn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usefulness of fair value accounting on securities was empirically analyzed after year 2003, when the new accounting standards for securities were established, and thus, the fair value accounting on securities was expanded and the criteria to classify security categories had been altered.

      • KCI등재

        유가(儒家)의 죽음 담론을 통해 본 삶과 죽음의 연속(連續)

        鄭炳碩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1 No.-

        생명의 不朽를 추구하는 것이 유가 생사관의 핵심이다. 개체적 자연 생명으로서의 개인이 사후에도 불후할 수 있는가의 여부는 유가가 근본적으로 고려하는 입장은 아니다. 유가가 참으로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사회적, 문화적인 의미를 지닌 이른바 ‘三不朽’, 즉 입언 입공 입덕이다. 유가가 연속적 생사관을 통하여 강조하려는 것은 결코 개체적 자연생명의 불후가 아니라, 生生이라는 다양한 연속적 지평을 통한 죽음의 초월에 있다. 유가가 죽음을 초월하는 生死連續의 다양한 지평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孝이다. 개인의 자연생명은 비록 끝이 나지만, 생명은 오히려 血脈을 통하여 끊어지지 않고 이어진다. 이것이 바로 “비록 죽었으나 여전히 살아있는” 것으로 관건은 바로 조상을 모시고, 후손을 이어가는 효의 실천에 있다. 두 번째는 개체의 생명을 사회국가라는 대생명 속에 집어넣어 치국평천하하여 자신의 이름을 역사 속에 기록하는 사회적 不朽이다. 이것은 “비록 죽었으나 여전히 영광스러운” 것이다. 세 번째는 天人을 소통하는 것이다. 小我의 생명을 우주의 대생명 속에 집어넣어 영원함을 얻는 것이다. 이것은 “비록 죽었으나 영원히 존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바로 도덕 또는 內聖外王의 실천여부이다. 이런 유가의 죽음과 生死觀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 우선 유가에서 말하는 尊生과 죽음, 죽음 현상에 대한 유가의 관점, 유가의 禮에 보이는 생사관, 불후와 죽음의 초월 등의 문제를 통하여 삶과 죽음이 어떤 방식으로 연속되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儒家生死觀的重心在於對生命不朽的追求上. 儒家根本不考慮到個體的自然生命死後的不朽與否的問題, 他們眞正所關注的只是具有社會的·文化意義的所謂三不朽而已, 那就是立言·立功·立德. 儒家要通過連續的生死觀來强調的並不是個體自然生命的不朽, 而在於通過生生的不同連續的視域的超越死亡的層面上. 儒家超越死亡的不同生死連續的視域, 可以分爲三個層面. 其中一個是孝 . 個人自然生命雖然必在某時歸於結束, 但在血脈中却綿延不絶, 此爲“雖死猶生”. 做到這一點的關鍵, 正在踐履孝. 二是將個體的生命溶入社會國家之大生命中, 治國平天下, 從而載入歷史, 是爲不朽, 此爲“雖死猶榮”. 三則是溝通天人, 將小我的生命匯入自然宇宙之大生命中, 此爲“雖死而永存”. 做到這一點之關鍵, 在於踐履道德或內聖外王上. 要討論儒家關於死亡與生死觀, 在此通過儒家所言的尊生和死亡·儒家對於死亡現象的觀點·儒家禮儀中的生死觀·不朽和超越死亡的問題, 來考察生與死如何被連續的.

      • KCI등재

        『유가론기』(瑜伽論記)의 연구 현황과 과제

        박인석 ( Inn Suk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0

        20세기 이후 이 문헌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된다. 이 문헌에 대한 관심은 1934년 중국에서『금장(金藏)』이 발견됨으로써 매우 고조되었다.『유가론기』에 대해서는 이 시기에 특히 일본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유가론기』의 저자인 둔륜의 이름, 국적, 사자 (師資) 관계, 그리고 판본의 전래 등에 대한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둔륜이 신라 출신의 승려라는 점이 명확해지면서『유가론기』에 나오는 주석가들 가운데 신라 출신 승려들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 작업이 진행되었다. 또한『유가론기』의 주석적 특징을 고찰하여 둔륜 당시『유가사지론』의 연구가 이미 2기로 접어들었다고 보는 등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관점들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의 연구는 더 이상 활발하게 지속되지 못하다가, 1980년대 이후 일본, 중국, 한국 등지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유가론기』에 나오는 십여 명 이상의 신라 출신 유식학자들에 대한 연구는 답보 상태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당(唐)뿐만 아니라 신라 불교의 감춰졌던 면모들을 드러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유가론기』는 한국불교를 연구하는 데 있어 주목해야 할 문헌 임에 틀림없다. Yugaron-gi (瑜伽論記Commentaries on the Yogacarabhumi-sastra) by Dunryun(遁倫, or 道倫, Doryun) is the oldest literature in existence that was annotated for the whole collection, 100 books of Yogacarabhumi-sastra (瑜伽師地論). There has been already pointed out that this documen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on the study of Vijnapti-matra in Tang (唐), as many annotations by prominent Buddhist monks studying the study of Vijnapti-matra around 8C in Tang and Shilla (新羅) dynasty are shown in this literature. And also, some people have been interested in the part that names of over 10 buddhist monks from Shilla and their theories on the study of Vijnapti-matra are shown in Yugaron-gi though, it didn``t go for a long time, and still there are only few researches on Yugaron-gi in Korea so far. So, I think that it would be a meaningful work to suggest a subject to come and arrange the research histories on this literature since 20C. The concerns for this document were heightened after finding Jin Tripitaka (金藏) in 1934, China. On Yugaron-gi, the studies on Dunryun``s name, nationality, a relationship with his teacher (師資), and introduction of woodblock-printed book etc focusing on especially Japanese researchers in this period were made in earnest. Particularly, the fact that Dunryun was from Shilla was getting obvious, a concrete review for buddhist priests from Shilla among the exegesis in Yugaron-gi was taken. And also, some basic and important perspectives were shown, studies for Yogacarabhumi-sastra already went to the 2nd stage in the time of Dunryun by having a consideration into the annotative characteristic of Yugaron-gi etc. But researches in this period were not actively done any more, since 1980``s,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sporadically made in Japan, China, and Korea. Now, the study for over 10 scholars in the study of Vijnapti-matra from Shilla shown in Yugaron-gi was at a standstill. But when it comes to the point that an attention and a research on them are able to largely devote to reveal the concealed parts of Shilla Buddhism and also in Tang, Yugaron-gi is absolutely the literature to be focused to study Korean Buddhism.

      • KCI등재

        『유가론기(瑜伽論記)』의 달사(達師) 연구

        박인석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4 No.3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to take a look at the whereabouts of Dalsa (達師) and the tendency of his annotation that are quoted 97 times in Yugaron-gi (瑜伽論記), which had been compiled by Dunryun (遁倫). Although Dalsa is a figure that gets mentioned the seventh most in Yugaron-gi, because, until now, the materials regarding him have nearly not been delivered, regarding his origin and the contents of the annotations, they nearly could not be researched. First, regarding the preexistent assumption that Dalsa could be a Buddhist monk from Silla, although this manuscript, too, could not definitely decide, the range could be narrowed. Also, at the time (647-648) when Yugaron (瑜伽論, Skt. Yogācārabhūmi-śāstra), ) had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it looks like Dalsa had personally attended a lecture by Xuanzang (玄奘). And it seems that his commentary of Yugaron appeared after the year 659, when Chengweishi-lun (成唯識論) had been translated. In addition to this, in the two type’s of woodblock-printed book of Yugaron-gi, by examining the phenomenon in which Dalsa (達師) and Wonsa (遠師) were entangl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Yugaron-gi, which had been passed down to Japan were accurate. Regarding the annotations tendency of Dalsa, centered on the fifth section of Yugaron (攝事分), the three kinds were taken a look into. First, the annotations of Dalsa have been in charge of the role of supplementing the view of Gyeongsa (景師), which becomes the pivot annotations of the fifth section of Yugaron. Except, it was able to confirm that, regarding the annotations of Dalsa, Dunryun had been sticking to a kind of the critical attitude. Secondly, among the diverse concepts that come out in the fifth section of Yugaron, Dalsa has been very specifically explaining regarding the point that looks contradictory or that is thought to have a problem with the context. Through this, we can find out that he had been a figure who had possessed the very specialized knowledge regarding the terms that come out in Yugaron. Thirdly, in the fifth section of Yugaron, Dalsa has been presenting a very detailed Gwamok (科目). This is even more detailed than Dunryun and Gyeongsa. Hence, although it had not been existing, we can try assuming that the commentary of Yugaron by Dalsa are very detailed with regard to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annotations but, also, with regard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본고의 목적은 둔륜(遁倫)이 찬집한 유가론기 에 97회 인용되는 ‘달사(達師)’의 행적과 주석의 경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달사는 『유가론기』에서 일곱 번째로 많이 언급되는 인물이지만, 그간 그에 대한 자료가 거의 전하지 않아 그의 출신이나 활동 시기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못했다. 우선 달사가 신라출신 승려가 아닐까라는 기존의 추정에 대해 본고 역시 확정하지는 못했지만, 그 범위를 좁힐 수 있었다. 또한 달사는 『유가론』이 한역되던 시기(647-648)에 현장(玄奘)으로부터 직접 강의를 들었던 것으로 보이고, 그의 『유가론』 주석서는 성유식론(成唯識論) 이 번역된 659년 이후 출현한 것 같다. 이와 더불어 『유가론기』의 2종 판본에서 ‘달사(達師)’와 ‘원사(遠師)’가 착종된 현상을 검토하여, 일본에 전래된 『유가론기』의 내용이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달사의 주석 경향에 대해서는 「섭사분」을 중심으로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달사의 주석은 「섭사분」 주석의 주축이 되는 경사(景師)의 견해를 보완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다만 둔륜이 달사의 주석에 대해 일종의 비판적 태도를 견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달사는 「섭사분」에 나오는 다양한 개념들 가운데 모순되어 보이거나 혹은 문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지점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가 『유가론』에 나오는 용어에 대해 매우 전문적 지식을 가졌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달사는 「섭사분」에서 매우 상세한 과목(科目)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둔륜, 경사보다 더욱 세밀하다. 그러므로 현존하지는 않지만, 달사의 『유가론』 주석서가 주석의 내용뿐 아니라 분류 체계에 있어서도 매우 상세했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

      • KCI등재

        유가의 정통성에 관한 연구 - ‘中’을 중심으로 -

        박종하 ( Park¸ Jong Ha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유가의 正統性에 관한 논의의 본질적 목적은 ‘中’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 계승을 통하여 세계와 인간에 대한 도덕적 완성과 대중이 성인이 되는 유가적 목표를 구현하려는데 있다. 모든 존재의 정통성(Legitimacy)은 이념적 가치로서뿐 아니라 실존적으로도 그 생명성의 본질이 된다. 인간사회의 道德 秩序規範에 대한 보편성의 근거는 동서양 공히 理性 또는 正義 등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에 바탕 한 내면의 주관적 승복은 궁극적으로는 良心에 귀결된다. 따라서 인간의 양심에 근거한 보편가치는 존재에 대한 正統과 異端을 가르는 지표가 된다. 서구의 정치·사회학적 정통성은 개인의 도덕성보다 집단의 사회·정치적 필요성에 더 주목하여 집단의 유지와 결속을 위한 내부 구성원의 자발적 승복이라는 필요성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비해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왕조적 국가와 사회의 체제 유지를 위한 필요성과 더불어 개인의 도덕적 완성을 위한 인간 본질에 보다 중심을 둔다. 따라서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이념적 가치에만 머무는 것도 아니고, 정치, 사회적 집단의 유지와 결속을 위한 실효성에 치우치는 것도 아니다. 결국 유가의 정통성에 대한 논의는 현실의 주체적 인간이 실현하여야 할 이상적 목표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선결요건이다. 이러한 정통성의 의미 정립에 대한 논의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 본질적 내용은 결국 인간과 만물의 존재적 始原性에 대한 연원과 그것을 유지하고 계승하는 실천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귀결된다. 유가의 정통성으로서 ‘中’이 지닌 보편규범성은, 유가적 正統性이 理念的 價値로서의 뿐만 아니라 實存的으로도 그 生命性의 본질이 됨을 나타낸다. 결국, 유가의 正統性은 堯·舜으로부터 이어지는 ‘中’에 대한 始原的 가치나 사상의 脈을 유지하고 계승하는 ‘道統’의 개념이며, 유가의 道統은 ‘中’의 계승을 통한 학문적 正統性의 유지이자 存在論的 질서에 대한 生命性의 보존이다. 이에 유가 도통론에서 老佛에 대한 비판의 초점은 노불의 주장이 유가적 규범의 실체적 표준이 되는 ‘中’의 근거가 박약하다는 점과 노불의 주장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유가적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향해 있다. 그러므로 유가 道統論에서 유가의 정통성으로서 ‘中’이란 학문적 존립근거이자 선결조건이 되고 동시에 脈으로서의 生命性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間斷없이 이어지고 치열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The legitimacy of all beings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not only as an idealistic value but it existentially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as well. The discussion on orthodoxy and heresy in the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is about legitimacy that comes from nature as a basis of existence for the ought (das Sollen) and the is (das Sein). Western political and sociological legitimacy is more concerned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needs of the group than the individual morality and therefore is linked to the need for voluntary subordination of internal members for the maintenance and solidarity of the group. Discussions on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place more emphasis on the essence of human beings for individual moral completion than on the need to maintain the dynastic state and social system. Therefore, the discussion on the Confucian legitimacy does not remain only at the idealistic value, nor does it not merely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maintaining and bounding political and social groups. In the end, the discussion on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s a prerequisite required for achieving the ideal goal that human beings, who are realistic subjects, should realize, and a discussion on the indispensable elements of moral practice. The discussion on establishing the meaning of legitimacy may vary depending on time and place, but the essential contents are ultimately concluded with the origin of the existential inception of human beings and all things and the practical method of maintaining and inheriting it. The basis of universality for the moral norms of human society is expressed as the reason or the justice and the like in both East and West, and the subjective subservience of the inner side based on this ultimately comes to conscience. Therefore, universal values based on human conscience are indicators of orthodoxy and heresy. The universal norm of “Zhong(moderation)” as Confucian legitimacy is to indicate that the legitimacy of the Confucianism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not only as an idealistic value but it existentially becomes the essence of its vitality as well. In the end, th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s the concept of “orthodoxy” that maintains and inherits the inceptional value or thinking of “moderation” that derives from Emperors Yao and Shun, and the orthodoxy of Confucianism is the maintenance of academic legitimacy through the succession of “moder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the vitality of the ontological order. Therefore, the focus of criticism on Taoism and Buddhism in the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is that the statements of Taoism and Buddhism are weak as the basis of “moderation” which is the substantive standard of Confucian norms, and that the statements cannot achieve the goal of Confucianism ultimately. Therefore, as the “moderation” as the legitimacy in Confucian orthodoxy theory is the academic basis and prerequisite and at the same time is the vitality as the kernel, the discussion on “moderation” continue without interruption and is bound to be fierce. In the end,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Confucian orthodoxy theory is to realize the moral completion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and the Confucian goal of making people become saints through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succession of “Moderation.”

      • KCI우수등재

        <유가론기>의 신라인법사(新羅因法師)와 신라국법사(新羅國法師) 연구

        박인석(Park, Inn-Suk)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6 No.-

        ≷유가론기≸의 2종 판본 중 신수대장경에 수록된 판본에 따르면 ‘新羅○法師’의 형식 으로 나오는 신라출신 불교학자는 총 8인이지만, 금장(金藏)에 수록된 판본에는 앞의 8 인 중 ‘국법사(國法師)’가 나오지 않으므로 총 7인이 된다. 2종 판본을 비교해보면 이런 혼란은 신라인법사(新羅因法師)와 신라국법사(新羅國法師)에게서 발생한다. 이들의 인용횟수는 총3회로서, 그 빈도수는 낮은 편이지만, 그간 잊혔던 신라 출신의 불교학자의 정체를 해명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와 목록 등을 검토해보면, 현재로서는 신라출신의 불교학자 가운데 국법사는 발견되지 않고, 금장본에서도 국법사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추가로 발견한 ‘인법사’의 ≷무량수경≸ 주석 5곳, ≷성유식론≸ 주석 1곳이 본고에서 다루는 신라인법사의 주석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유가론기≸ 2종 판본에 나오는 인법사와 국법사의 2인이 실제로는 인법사 1인일 수도 있다는 가정 아래 주석 내용 3회를 전면적으로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의 몇 가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유가론≸에 나오는 총3회의 주석은 모두 ≷유 가론≸ 본문에 대한 직접적 주석이라기보다는 논쟁이 되는 주제에 대한 참고할만한 해석으로 인용되고 있다. 둘째 ≷유가론기≸에서 하나의 쟁점으로 다뤄지던 보살의 2종류, 즉 ‘일생소계(一生所繫)’와 ‘주최후유(住最後有)’에 대한 주석이 일관되게 등장하는 것을볼 때 이를 제기한 인물이 신수본의 국법사가 아니라 금장본에 나온 인법사 1인일 가능 성이 크다. 셋째 둔륜이 인법사의 주석을 인용하는 방식을 보면, 그가 기존의 ≷유가론≸ 의 주석서들뿐만 아니라 여러 유식학자들의 다양한 저술 가운데서 ≷유가론≸과 관련된 의미 있는 진술들을 모두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법사의 활동 시기 등을 추정해 보면, 원측, 규기보다는 후대에 활동했고, 둔륜이 ≷유가론기≸를 작성하던 705년 이전에 저술을 남긴 신라 출신 유식학자였다고 볼 수 있다. Among the two different prints of Yugaron-gi ( 瑜伽論記 Commentaries on the Yogacārabhūmi-śāstra), the print included in the Taishō shinshū daizōkyō ( 大正新 修大藏經 ), shows total of 8 Buddhist scholars referred as “Shilla○beopsa ( 新羅 ○ 法 師 )” but the print included in Jin Tripitaka ( 金藏 ) excludes the “Gukbeopsa ( 國法 師 )” from the 8 scholars, making it total of 7. When comparing the two prints, this confusion comes from Shillainbeopsa ( 新羅因法師 ) and Shillagukbeopsa ( 新羅國法 師 ). They are quoted 3 times in total, which is not frequent, but they are critical evidence in identifying the identities of unsung Buddhist scholars of Shilla. In research from existing studies, Gukbeopsa is not found among Buddhist scholars from Shilla, and even in the Jin Tripitakabon print. With the assumption that one scholar is quoted as both Gukbeopsa and Inbeopsa in the two prints of Yugaron-gi, this study reviewed the 3 annotates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ll 3 annotates made from Yugaron-gi are not direct annotates of the paragraph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 瑜伽師地論 ) but are quoted as interpretations which supports the agenda being discussed. Second, annotates on the two kinds of Bodhisattvas, Bodhisattva bound to a single life ( 一生所繫 ) and Bodhisattva in his final lifetime ( 住最後有 ), which are discussed in the Yugaron-gi, are identical,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scholar who presented them is not Gukbeopsa from the Taishō shinshū daizōkyō, but is Inbeopsa from the Jin Tripitaka. Third, considering how Dunryun ( 遁倫 ) quotes annotates of Inbeopsa, it appears that he has referred to various statements from annotate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as well as from records related to Yogācārabhūmi-śāstra. Furthermore, considering the period of Inbeopsa, he was an active scholar during the Shilla period, who had been engaged in writings during the period later than Woncheok ( 圓測 ) and Kuiji ( 窺基 ), and had wrote records prior to year 705 when Dunryun wrote Yugaron-gi.

      • KCI등재후보

        儒家美学思想在朝鲜白瓷作品中的体现研究

        易璐 한국도자학회 2015 한국도자학연구 Vol.12 No.2

        본 논문은 한국조선왕조시기의 백자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동방전통미학사상중에 유명한 유가미학사상을 연구시각으로 한다. 또 본 논문은 유가미학사상과 조선백자에 대한 논술을 통해 유가의 전형적 미학사상을 결합하여 그 미학사상이 조선백자작품에 나타난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선 백자작품의 심미연구에 있어 더 유익한 이론적 참고를 제공하였고 동시에 한국 도자기예술사업의 혁신과 발전에도 도움이 되었다. 본 논문 중에 드는 모든 실례는 모두 조선백자 중에 대표적인 우수 작품이다. 전통유가사상을 철학기초로 삼은 유가미학사상은 중국에서 기원하며 일찍이 서기 1세기 전에 벌써 조선반도에 전래되어 조선반도의 정치, 윤리 그리고 예의에 큰 영향을 끼친다. 조선백자는 조선왕조의 정치, 생활 그리고 문화의 캐리어로서 유가미학사상이 기물의 창작 및 설계에 반영된 직접적인 표현이다. 조선백자작품에 나타난 유가미학사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세부분으로 나뉘어 연구한다. 첫째, 유가미학사상이 조선반도로의 전파와 발전의 역사 및 유가미학사상에 대한 연구. 둘째, 조선백자의 기원과 발전 그리고 조선백자의 특징에 대한 연구. 셋째, 조선백자작품의 조형, 장식, 색깔 등 면에 나타나는 유가미학사상에 대한 연구. 조선백자작품에 나타난 유가미학사상은 다음과 같은 세부분이 있다. 첫째, 조선백자작품이 나타난 ‘진선진미’(盡善盡美)인 유가미학사상. 둘째, 조선백자작품이 나타난 ‘중화지미’(中和之美)인 유가미학사상. 셋째, 조선백자작품이 나타나 ‘천인합일’(天人合一)인 유가미학사상. In this paper, white porcelain works of Korea Dynasty are the main study objects. The famous Confucian aesthetic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al aesthetic thought is the research perspective. It summarizes Confucian aesthetic thought and Korean white porcelain, and then analyzes some related excellent white porcelain works of Korea Dynasty according to the classic Confucian aesthetic thought. To provide further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aesthetic study of white porcelain works of Korea Dynasty, and it is benefit to the further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eramic art. Korean white porcelain is a direct embodiment of the Confucian aesthetic thought in the creation and design of objects. There are three main parts of the study on the thought of Confucian Esthetics, which is expressed by the works of Korean white porcelain. First, the study on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history and the connotation of Confucian aesthetic thought. Second, the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history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white porcelain. Third, the study on the Confucian aesthetic thought that is expressed through the shape, decoration and color of some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inly three parts, on which the thought of Confucian aesthetic is expressed by the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First,“To reach the acme of perfection”. In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they express as the inheritance and promotion of eastern political education, traditional culture and noble character. Second,“Beauty of neutralization”. In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they perform as simple and clear modeling, quiet and peaceful colour, succinct and chaste decoration. Third,“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 In Korean white porcelain works, they exist in the way of creation by using natural things as themes, in which there are specific meanings, making metaphors of things like people, and taking advantage of a scene to express one’s emotion.

      • KCI등재

        『瑜伽師地論』의 알라야식 存在 論證에 관한 『瑜伽論記』의 주석- 제1상 依止執受證을 중심으로 -

        추인호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0 No.-

        This paper explores the first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n˜āna in the Notes on the Yogācārabhūmi (Yugaron-gi, 瑜伽論記) writtenby Sillan Master Doryun (道倫). This part is usually called the “ProofPortion” of the “Ālayavijn˜āna Treaties” in the Yogācārabhūmi. The fullproof consists of an eightfold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the ālayavijn˜āna. However, this paper only focuses on the first argument, which iscomprised of fivefold subarguments. The Songzang yizhen (宋藏遺珍) version was adopted as a mainsource of the Notes on the Yogācārabhūmi. Then that version wascollated using the Taishō edition and A Summary Concise Compendiumof the Yogācārabhūmi (瑜伽師地論略纂) to correct typos. Explanationsof the Commentaries on the Vijn˜aptimātratāsiddhiśāstra (成唯識論述記)were introduced to enrich discussions in related parts. Both A SummaryConcise Compendium of the Yogācārabhūmi and the Commentaries onthe Vijn˜aptimātratāsiddhiśāstra were written by Chinese Master Jī (基)There are five results from this research:First, the Notes on the Yogācārabhūmi adopts interpretations of ASummary Concise Compendium of the Yogācārabhūmi especially in this“Proof Portion.” Second, the Notes on the Yogācārabhūmi contains othermasters’ explanations that are not included in A Summary ConciseCompendium of the Yogācārabhūmi. Third, both the Notes on theYogācārabhūmi and A Summary Concise Compendium of theYogācārabhūmi make full use of the Buddhist logic to express their arguments and to refute other opinions. Fourth, both texts are relateddeeply to the Vijn˜aptimātratāsiddhiśāstra and its Commentary written byMaster Jī (基). Fifth, both texts do not make mention of a tenfoldargument of the Vijn˜aptimātratāsiddhiśāstra or the argument of theMahāyānasaṃgraha (攝大乘論). On the other hand, the Commentaries onthe Vijn˜aptimātratāsiddhiśāstra rates its tenfold argument high incomparison with the eightfold argument in the Yogācārabhūmi. 본 연구에서는 『유가사지론』 「섭결택분」의 알라야식 존재 8증명 가운데제1상, 의지집수증의 다섯 가지 하부 항목에 관한 『유가론기』의 주석을 비교주석학적으로 검토했다. 『유가론기』는 해동 흥륜사 사문 도륜의 저작으로알려져 있으며 판본 사이에 차이가 많고, 해당 부분의 서술이 소략하다. 필자는 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송장유진본, 대정신수대장경의 종교대학장본과금릉각본, 그리고 『유가사지론약찬』으로 교정본을 만들었다. 또한 『성유식론』과 『성유식론술기』를 참고하여 논의를 진행했다. 다만, 교정사항이 많아이 연구에서는 결과만을 제시했다. 이 부분에서 『유가론기』의 주석을 검토한 결과 다음 사실을 확인했다. 첫째, 『유가론기』는 『유가사지론약찬』의 해설을 대체로 수용했다. 둘째, 『유가사지론약찬』에서는 泰師, 備師 등의 견해를 알 수 없다. 그러나 『유가론기』에서는 이들의 견해도 소개했다. 셋째, 『유가론기』와 『유가사지론약찬』은 논증식을 적극 활용했다. 넷째, 『유가론기』와『유가사지론약찬』에는 『성유식론』,『성유식론술기』를 근거로 해석 가능한 부분이 많다. 다섯째, 『유가론기』와『유가사지론약찬』에서는 『성유식론』이나 『섭대승론』의 증명을 직접 언급하지않는다. 반면, 『성유식론술기』에서는 『유가사지론』의 8증명과『성유식론』의10증명을 비교하고, 『성유식론』의 증명이 뛰어나다고 평가한다.

      • KCI우수등재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혜경(惠景)의 사상경향 분석 -「五識身相應地」와「意地」의 주석을 중심으로

        박인석(PARK, Inn-suk)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9 No.-

        이 논문의 목적은 신라 출신 승려 도륜(道倫)이 편찬한 『유가론기』에 나타난 경사(景師)의 이름과 출신지, 저술, 사상의 경향과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유가론기』는 무엇보다도 신라 출신 승려들의 주석이 대량으로 등장하는데, 이 중에는 신라 출신임을 명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경사(景師)를 신라 출신의 승려인 혜경(惠景)으로 추정하였는데, 본 논문 역시 이 주장의 연장선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경사가 신라 출신이 명확한 원측(圓測), 순경(順憬) 등과 나란히 거론되고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이런 추정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혜경의 저술과 사상적 경향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오식신상응지」와「 의지」에 나타난 혜경의 주석을 분석해보았다. 이 두 부분에서 주석이 인용된 순서를 본다면 단연 ‘혜경-규기’의 순서가 많았고, 그 다음으로 ‘삼장-혜경’의 순서가 많았다. 전자를 통해 보면, 도륜이『 유가론기』의 주석을 구성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 바로 혜경과 규기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규기는 혜경의 견해를 적극 수용하는 바탕 위에서 자신의 관점을 정립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점은 기존의 연구성과에서도 확인된 모습으로, 『유가사지론』주석에 있어 혜경의 권위를 찾아볼 수 있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혜경의 주석 내용을 보면, 우선 그가 대소승 아비달마의 교학에 매우 정통했던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속선근(續善根)’과 ‘색법(色法)’ 등에 대한 주석을 보면, 그가 이들 개념에 대한 대승과 소승의 규정 방식 및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 정확히 지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혜경이 인용하는 문헌 가운데 진제가 번역한 논서 및 진제가 붙인 소(疏)가 빈번히 등장하는 점 역시 특징적이다. 이로서 보면, 그는 신역 유식학 논서에도 정통했을 뿐만 아니라, 진제가 번역한 구역 논서에도 정통한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특징들을 통해 경사(景師)는 『유가사지론』의 주석서를 남긴 인물 일뿐 아니라, 현장이 656년『 대비바사론』을 번역할 때 증의로 참여했던 “서명사사문 혜경(西明寺沙門慧景)”일 가능성도 높으며, 『동역전등목록』에 나온 “攝大乘論疏 .卷【景法師 天親古論】” 역시 경사의 저술로 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보면, 경사 곧 혜경은 원측과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고, 주로 구역 논서에 의해 공부하였지만, 신역 경론이 번역될 때는 주로 『유가사지론』과 관련된 연구에 매진한 명망 있는 학승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가사지론』과 관련된 부분은 『유가론기』에 빈번히 인용되는 경사의 『보궐(補闕)』 곧 『유가론보궐(瑜伽論補闕)』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identity of Gyeongsa 景師 as mentioned in the Yugaron-gi 瑜伽論記: his name, hometown, writing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 of his thought. The Yugaron-gi, or Commentaries on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was written by Doryun 道倫, a monk from Silla. Importantly, the Yugaron-gi contains many commentaries written by monks from Silla, but only some explicitly mention their Silla nationality on the annotations. In previous studies, most researchers have considered Gyeongsa 景師 as being Hyegyeong 惠景, a monk from Silla. In this paper, I also develop my discussion as an extension of this argument.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act that Gyeongsa was mentioned together with Weoncheuk 圓測 and Sungyeong 順憬, who were definitely from Silla, I think this assumption is very persuasive. To understand Hyegyeong's writing and the trends of his thought, I first analyze Hyegyeong's commentary shown in the Stage Associated with the Five Bodily Consciousnesses 五識身相應地 and Stage of Mental Consciousness 意地. Examining the orders these commentaries were quoted, there were many cases, naturally, with the order of 'Hyegyeong 惠景 – Gyugi 窺基', and less commonly, the order of 'Samjang 三藏 – Hyegyeong'. Through the former case, it is clear that the most important figures that influenced Doryun's composition of the Yugaron-gi were none other than Hyegyeong and Gyugi. Gyugi in particular demonstrates that he established his points of view on a foundation of actively accepting Hyegyeong's opinions. This fact is also corroborated in previous research, clearly showing Hyegyeong's doctrinal authority in the Commentary on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瑜伽師地論. Looking into Hyegyeong's commentary, it proves that he was very conversant with scholarship of Mahayana and Theravada Abhidharma. For example, looking at his commentary on 'Connecting the wholesome roots of virtuous merit 續善根' and 'Matter 色法', he exactly points out the differences of defining these concepts between Mahayana and Theravada. Next, it is also very distinctive that Jinje's 眞諦 commentaries 疏 and translations appear frequently among the literature Hyegyeong quotes. This fact shows that he was not only conversant with new translations of Yogâcāra treatises, but also with the old ones translated by Jinje. Through these findings, it is likely that Gyeongsa was not just a figure who left commentaries on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he was in fact 'Seomyeongsa Monk Hyegyeong 西明寺沙門慧景' who served as initial checker when Xuanzang was translating Da piposuo lun 大毘婆娑論. The Commentary note of Seopdaeseungron-Gyeongbeopsa Cheonchingoron 攝大乘論疏 ⼞卷– 景法師 天親古論 shown in Dongyeok jeondeung mokrok 東域傳燈目錄 may also be written by Gyeongsa. In conclusion, Gyeongsa, or Hyegyeong, worked in the same period of time to Weoncheuk. Although he mainly studied the old treatises of Yogâcāra, when the new translations of Yogâcāra were translated, it appears that he became a learned monk famous for his study of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This part related to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can be verified through Gyeongsa's Yuga ron bogweol 瑜伽論補闕, frequently quoted in Yugaron-g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