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공유원리에 따른 가격추론이 질병의 위험지각 및 예방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재휘 ( Kim Jae Hwi ),박태희 ( Park Tae Hee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공동공유원리에 따른 가격추론이 예방행동상황에서 위험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동공유원리는 수요공급에 따른 시장경제원리와 달리, 필요한 사람이라면 개인의 능력과 상관없이 누구나 공유하고, 평등하게 분배되어야한다는 신념을 말한다. 이에 따라 저가격에서 대해서는 다수가 공유해야하고, 접근 가능하도록 책정된 가격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필요로 한다는 신호로 지각되므로 질병의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공동공유원리의 의해 나타나는 위험지각은 접종대상에 대한 다수추론을 통해 지각되므로, 접종할 다수와 접종하지 않은 자신과의 비교는 개인과 관련된 위험을 높일 것이라 보고, 예방행동의도와 정적관계를 보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총 3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1에서는 생명관련 정도에 따라 생명관련 고/저로 수준으로 나누고, 가격수준 고/저에 따른 위험지각을 측정하였다(연구1). 연구결과, 생명관련성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공동공유원리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공동공유원리가 나타날 때, 고가격에서 보다 저가격에서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난 반면, 공동공유원리가 발생하지 않는 생명관련 저 조건에서는 가격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동공유원리가 나타나지 않는 생명관련 저 조건에서는 시장경제원리를 통해 가격을 추론함으로써, 고가격에서는 예방접종에 대한 높은 효과추론이 위험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2에서는 공동공유원리의 효과를 좀 더 명확히 확인해보고자 생명관련 고 조건을 중심으로, 공동공유원리 억제 유/무와 가격수준 고/저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동공유원리를 억제시키지 않았을 때, 고가격에서 보다 저가격에서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공동공유원리가 억제된 조건에서는 가격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3에서는 공동공유원리를 통해 지각된 위험은 예방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일 것이란 가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격수준에 따라 사람들은 다수공유목적 추론을 발생하고, 이는 위험지각(지각된 취약성)을 높여 예방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이중매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pricing inference based on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on perceived risks in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situation. Different from the market economy principle,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indicates the faith that anybody in need should be able to share goods and they should be equally distributed, regardless of individual abilities. The pricing inference of any goods to be shared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For example, low-priced goods should be shared by the majority, and the affordable price is perceived as the sign that many people need the goods. In the context, low price in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situation, is preventive healthy behavior necessary for the majority to prevent diseases to which many people are vulnerable. Such diseases are perceived as risk ones for a low price, while inference may not occur from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for a high price. In addition, it was assumed that a comparison between the majority to be vaccinated and the self not to be vaccinated would increase risks regarding individuals and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ntentions since perceived risks derived from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is recognized by majority inference on vaccination target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a total of four studies were implemented.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can occur, only if the premise of the recognition for sharing should be goods. A preliminary study explains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should be applied, as it is impossible to price the values of divine goods directly related to life, moral things including live, justice and life. In the same vein, it was assumed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may differentially appear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even medical goods are associated with life. This experimentation was conducted to exhibit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does not always occur, even though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s a medical goods, and that effect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ice may differently appear (study 1). To this end, the degree of a relation with life is divided into high and low and perceived risks were measured according to high/low price level.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more prominently appears if the relation with life is high rather than low. When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appears, perceived risks of diseases for a high price are higher than those for a low price, while in the condition of the low relation with life, where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does not occur, perceived risks of diseases for a high price are higher than those for a low price.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condition of the low relation with life, the inference of strong effects on vaccination for a high price has an effect on perceived risks, since price is inferred through the market economy principle. In order to more closely examine effects of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the study 2 conducted two-way ANOVA of whether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is controlled or not and highs/lows of price, around high conditions regarding life. Finally, the study 3 tested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risks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eventive healthy behavior through the communal-sharing principle. Preliminary studies explain that perceived risks are not always connected to preventive healthy behavior, though they are higher. By assuming that a comparison between the majority and me may enhance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ntention by influencing perceived risks (vulnerability) related with m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such a relationship, where a disease may not be led to the preventive healthy behavior intention if it has a weak relation with me, through it is risky. From the findings, the dual mediation result could be verified that the majority inference on vaccination targets occurs in people, leading to preventive healthy behavior by increasing perceived risks (perceived vulnerability).

      • KCI등재

        소비자의 숙박공유 서비스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 영향 요인 분석: 공유경제 가치 인식 및 위험인지를 중심으로

        최애연,안정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4

        In the midst of rapid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such as the financial crisis, low growth, high unemployment rate, and aging population,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haring rather than excessive consumption and sharing rather than ownership and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the sharing economy market is contributing to shifting consumers' awareness from ownership to sharing. In this study, consumer awareness of the value of sharing economy and risk awareness are related to consumer satisfaction of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 and willingness to reuse,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 using nationwide data. The difference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of the value of sharing economy and consumer perception of risk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lodging sharing service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married people than among single people. Consumers' risk perception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won and over 6 million won. Second, the consumer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 was found to be higher for married people than for unmarried peopl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unemployed housewives or students had a higher rate than employed housewives. Third, the willingness to reuse lodging sharing services was high in the case of unemployed consumers, unemployed housewives, and students. Fourth,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consumers' understanding of the sharing ec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and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perception of risk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environmental values and community values. Fif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ath analysis on the effect of consumers'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and perception of risk on their intention to reuse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s,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understanding of the sharing economy was positive for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onsumer's risk percep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use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surveys and analyzes consumers' perception of value and risk of sharing economy, consumer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 sharing, and willingness to reuse,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actually used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s. 금융위기, 저성장, 고실업률, 고령화 등 급속한 경제 환경 변화 속에서 과다 소비보다는 공유, 소유보다는 나누어 쓰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공유경제(sharing economy) 시장 확대는 소비자들의 인식을 소유에서 공유로 전환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숙박공유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공유 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소비자의 위험인지가 숙박공유 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 및 재이용의사가 소비자의 여러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소비자의 위험인지가 숙박공유 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위험인지는 가계월평균소득이 200만원 미만과 600만원 초과인 경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박공유 서비스 소비자만족도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취업 주부나 학생이 취업한 주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숙박공유 서비스의 재이용의사는 미취업소비자, 취업하지 않은 주부, 학생 등의 경우 높았다. 넷째, 경로분석에 따르면 소비자의 공유경제에 대한 이해도는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는 정적 영향을, 소비자의 위험인지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가치와 공동체가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의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인식, 위험인지가 숙박공유 서비스의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소비자의 공유경제에 대한 이해도는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는 정적인 영향, 소비자의 위험인지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박공유 서비스의 재이용의사에 대해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숙박공유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공유경제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위험인지, 숙박공유 소비자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대해 조사․분석한 실증적 연구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공유경제 숙박서비스 수용에 있어서 인지된 위험의 효과 연구

        고원,유창석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exploits the heterogenous effects of perceived risks on the adoption of sharing economy service, especially Airbnb, using hedonic technology adoption model.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lied to 300 potential customers showed the distinctiv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risk factors and intention to use the sharing economy. Unlike the high concern in the press, physical risk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tention to use Airbnb. Only privacy risk shows direc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ention to use the sharing economy. Also, psychological risk had a indirec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ention to adopt Airbnb. We also found that physical and performance risk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perceived usefulness. This risk paradox can be explained by the disruptive innovation of the sharing economy and the characteristics of risk engagement in tourism.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본 연구는 인지된 위험이 Airbnb로 대표되는 공유경제 숙박서비스의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수용모형의 확장된 모형 중 하나인 헤도닉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잠재적 수용자의 의사결정구조를 살펴보았다. 총 300명의 설문 응답자료를 기반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인지된 위험이 형태에 따라 다르게 공유경제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체적 위험의 경우 언론 등에서 우려하는 것과 다르게 공유경제의 수용의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정보 위험만이 인지된 위험 중 유일하게 공유경제의 수용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심리적 위험은 인지된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공유경제의 수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신체적 위험과 성능 위험은 인지된 유용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위험과 인지된 유용성 간의 양의 상관관계는 기술혁신 이론의 와해성 혁신과 관광학 내에서 위험의 독특한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유경제의 위험인식은 와해성 혁신에 기반한 경쟁전략으로 재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유숙박 소비가치와 소비위험이 공유숙박 공급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 효과와 함께

        심관섭,양동우 한국창업학회 2019 한국창업학회지 Vol.14 No.6

        This study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 and risk from consuming P2P(peer to peer) shared accommodation platforms such as Airbnb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upply of shared accommodation, and analyzes whether consumer innovation will be regulated in the participation of shared accommodation as a means of the main job by paying attention to the basic principle of sharing economy that can generate new income by utilizing idle resourc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value, cultural value, and the value of the transaction among the consumption value of shared accommod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upply, but the social valu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upply. Second, the consumption risk of shared accommod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rovision, whereas the economic risk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rovision. Third, consumer innovation has shown that the consumption value and risk of shared accommodation do not moderate the effect on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upply of shared accommodat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thw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upply to Airbnb, a shared accommodation platform that has become a successful shared economy business model, and may be available as a useful analysis tool for future analyses targeting P2P (peer to peer) shared economy businesses in other areas. 본 연구는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소득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유경제의 기본원리에 주목하여 공유숙박 서비스의 긍정적·부정적 소비경험이 손쉬운 부업 및 본업으로서 공유숙박 공급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에어비앤비와 같은 P2P(peer to peer) 공유숙박플랫폼을 소비하면서 얻는 소비가치 및 위험과 공유숙박 공급 참여의도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와 소비자 혁신성이 이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인가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유숙박의 소비가치 중 경제적 가치, 문화적 가치, 거래의 가치는 공급 참여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사회적 가치는 공급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공유숙박의 소비위험 중 시설·안전 위험은 공급 참여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었으나, 경제적 위험은 공급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소비자혁신성은 공유숙박의 소비가치와 위험이 공유숙박 공급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은 공유숙박플랫폼 에어비앤비 등에 공급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냄으로써 향후 다른 분야의 P2P(peer to peer) 공유경제 비즈니스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포트폴리오 자국편의와 위험공유

        김병준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4

        In this paper, I analyzed effects of portfolio home bias on international risk sharing through cross-sectional regression. This analysis can be used to check the compatibility of market equilibrium condition in the sense of international CAPM with that in the macroeconomic sense of Arrow-Debreu world. For the estimation of income risk sharing (IRS) and consumption risk sharing (CRS) in 25 developed countries and 19 emerging market economies, country level data were utilized such as per capita GDP, per capita GNI, and per capita consumption during the year 1990 and 2009. The nine year averages from 2001 till 2009 for 44 individual countries' equity market home biases (EHB) and bond market home biases (BHB) were chosen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cross-sectional regression on the international risk sharing estimat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it is significantly confirmed that reduction of portfolio home bias and increase in international risk sharing move hand in hand, supporting the integration hypothesis between asset market equilibrium and international macroeconomic equilibrium. Second, portfolio home bias is proved to affect CRS more significantly than IRS. This can be explained that portfolio home bias act as more influencing factor to consumption smoothing process through borrowing or lending of each household and government rather than to income smoothing process through international trade of equity and debt. Third, it is verified that EHB affects the estimated CRS more significantly than BHB does in the developed market region while, on the contrary, BHB affects the CRS more clearly than EHB does in the emerging market region, initiating the possibility of frontier function of bond market especially in the emerging market zone in the process of capital market integration. 본 연구에서는 1990~2009년간의 연간 시계열자료를 바탕으로 25개 선진국 및 19개 신흥국에서의 국제적 위험공유(Risk Sharing) 현황을 측정해 보고 이를 2001~2009년간의 연간 포트폴리오 자국편의(Home Bias) 측정치와 연관시킨 회귀분석을 행하였다. 위험공유는 거시경제적 균형 하에서 범세계적 실질소득 또는 실질소비의 증가율이 동조화되어 소득의 평활화(Income Smoothing) 또는 소비의 평활화(Consumption Smoothing)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각국별 2000년 불변가격을 기준으로 실질소득과 실질소비의 측면에서 국별 위험공유를 측정하였다. 한편, 국제적 자본자산가격결정 모형(International CAPM)에 의하면 자산시장의 균형은 세계 각국이 모두 동일한 세계시장 포트폴리오를 보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세계시장 포트폴리오에서 이탈하여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자국으로의 투자가 과도하게 진행된 상태를 포트폴리오 자국편의로 정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2001~2009년 동안23개 선진국과 19개 신흥국을 대상으로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을 구별하여 연도별 포트폴리오 자국편의를 측정하였다. 이때 거시경제적 균형과 자산시장적 균형을 통합적으로 해석할 경우에는 포트폴리오 자국편의가축소될수록 국제적 위험공유는 더욱 확대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이 관측되는가를살펴보기 위해 포트폴리오 자국편의가 국제적 위험공유에 미치는 효과를 횡단면 회귀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국편의가 위험공유에 일정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비교적 일관되게 입증되었다. 한편 이 같은 결과는 전체적으로 소득의 위험공유에서보다는 소비의 위험공유에서 더욱 명확하게 확인되었고 권역별로는 선진국에서는 주식시장의 자국편의가, 그리고 신흥국에서는 채권시장의 자국편의가 각각 위험공유에 더 유의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소비자의 소비자민감성 및 공유경제 서비스 특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역할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미현,이영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3

        공유경제는 남은 자원을 나누어 사용한다는 기본적인 가치를 넘어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은 개인간에 가치 교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유경제는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요인으로는 소비자민감성 변수로서 체면 민감성, 가격 민감성 변수와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 변수로 공유경제 소비자교육경험, 지각된 혜택, 지각된 위험, 플랫폼인식 등의 변수를 구성하여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소비자의 개인적, 사회적 역할태도가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비자민감성과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 변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본 결과, 전공, 소비자 체면민감성, 소비자교육경험, 지각된 혜택, 지각된 위험, 플랫폼(App)인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소비자 역할태도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소비자의 개인적, 사회적 역할태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장에서의 공유경제 서비스의 확산을 위한 소비자들의 이용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소비자들에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련 교육과 정보제공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더불어 정부에서는 공유경제 서비스관련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과 소비자의 역할태도의 중요성이 강조된 결과를 통하여 건전한 사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Sharing economy is now spread into new business area, jumping over its original starting value of sharing the spare. Especially with various platforms appeared from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the personal exchanges of values have been facilitated and sharing economy is now spreading very quickly. At this point, this study researched users’ intention to use sharing economy services, focusing on consumers who are currently university students. There are several influence factors of intention of using sharing economy services like social susceptibility and price susceptibility as part of consumer susceptibility variable, experience of consumer education for sharing econom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danger and platform recognition as part of variables related to sharing economy service.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how such variables affect using intention for sharing economy services and what kinds of controlling effect for the consumer’s personal and social role attitude exist among 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variables related to sharing economy service and consumer susceptibility variabl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ve influence of relevant variables of using intention if sharing economy service, it was shown that variables such as major, consumer’s social susceptibility, experience of consumer education, perceived benefit, perceived danger, and platform(App)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controlling effect of consumers’ role attitude for using intention of sharing economy service, it was shown that consumer’s personal and social role attitude had partially significant controlling effect. It wa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solutions to increase consumers’ using intention to spread sharing economy service in the market. Also, necessity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sharing economy is emphasized to be provided to consumers. Additionally, the government should make a solution to prevent service- related problems of sharing economy, and to make policy to develop sound social environment, keeping the importance of consumers’ role attitude shown in the results in mind.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유경제의 위험관리

        김창기 ( Changki Kim ) 글로벌금융학회 2020 글로벌금융리뷰 Vol.1 No.1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공유 경제 활동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고찰하고 그에 대한 위험관리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공유경제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내용, 그리고 발전 방향들을 살펴보고, 공유경제의 확산이 미래사회,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미치는 영향과 도래할 위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유경제는 실물자산을 타인과 직접 공유하기보다는 언택트 방범과 안전의식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다. 하지만 미래의 공유경제는 다양한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유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위험들과 위험관리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that can emanate from shared economic activities in the post-COVID19 era and to suggest risk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curb them.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various definitions and contents of the sharing economy and its development directions as well as the impact of the expansion of the sharing economy on the future of the society especially for the post-COVID19 era and its attendant risks. The sharing economy in the post-COVID19 era will develop in the direction of ‘untact’, and response to safety awareness, rather than the direct sharing of real assets with others. Nevertheless, the sharing economy of the future will still come along with a number of risk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risks associated with the sharing economy and corresponding risk management measures to mitigate them.

      • KCI우수등재

        공유숙박 잠재적 이용자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을 적용-

        이예진,윤지환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5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volved into a sharing economy as a global trend. Shared economy users are increasing at an extremely fast rate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y. Despite such growth, the number of users not-yet a part of the shared economy still outweighs the users by far.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potential users throughout the sharing economy, in particular Airbnb. To achieve this, a survey methodology was implemented based on a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perceived risk and divided this concept into platform risk and host risk. The results indicate that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ositive/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all positivel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Airbnb via desire. In respect to perceived risks, platform risk positively influences host risk and negatively influences the intention to use Airnb. In addition, host risk negatively influences desire. This study explicates how our approach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sharing economy market. 최근 공유경제는 ICT의 발전과 더불어 세계적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 공유숙박은 관광 및 환대산업 분야에서 이용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공유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유경제를 이용해본 경험자보다는 이용해보지 않은 비경험자가 전반적으로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공유숙박, 그 중 Airbnb를 대상으로 아직까지 Airbnb를 이용해본 경험이 없는 관광객이 향후 Airbnb를 이용함에 있어 어떠한 요소들을 중요하게 고려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이 공유숙박 이용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까지의 심리 프로세스를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규명하였다. 더불어, 잠재적 이용자들이 Airbnb 이용 과정에서 장애물로 인지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플랫폼 위험과 호스트 위험으로 구분하여 추가하였다. 설문 기법을 통한 연구 결과, 소비자의 태도, 주관적 규범, 긍정적/부정적 기대감정은 열망을 통해 Airbnb 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지된 위험의 경우, 개인이 인지하는 플랫폼 위험은 호스트 위험에는 긍정적 영향, 열망에는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호스트 위험은 Airbnb 이용의도에 부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잠재적 공유경제 이용자를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연구결과를 기초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적 신사회위험에 대응하는 기독교 사회복지 실천방안 연구

        성신형(Shin Hyung Seong),김성호(Seong Ho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9 No.-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사회의 신사회위험에 대응하는 한국기독교의 사회복지 실천 방안에 관한 모색을 하는 것이다. 신사회는 1970년대 이후 후기자본주의가 시작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경제체계의 변화와 사회인구적인 변화로 인한 인간의 삶의 모습이 총체적인 위기의 상황으로 몰고 갔다. 신사회의 위험은 실업과 빈곤을 동반한 극단적인 양극화, 전통적인 가정의 붕괴, 주거의 문제와 환경의 파괴 등의 여러 가지 위기의 상황을 만들어내고 있다. 한국사회는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서 서구사회가 경험한 복지국가로의 이행을 경험하지 못하고 경제위기를 경험함으로 구사회위험과 신사회위험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사회복지는 여러 가지가 복합된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의 현대사 속에서 한국기독교는 한국사회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기독교의 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은 디아코니아 신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가 만들어낸 그늘진 모습들을 돕고 봉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실천의 방향은 신사회위험에 직면하게 된 오늘날의 상황에서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디아코니아 신학을 바탕으로 봉사와 섬김이 중심이 되었다면, 이제는 공동체의 회복에 초점을 맞추어서 선교적 교회론에 바탕을 둔 기독교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을 만들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공유경제 개념을 바탕으로 한 경제공동체 만들기, 느슨한 가족공동체를 형성과 사회서비스를 실천, 타인과 공감하는 영성이 바탕이 된 건강한 영성공동체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실천은 앞으로 한국기독교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 way of Christian social work practice in order to respond to New Social Risks of the Korean society. New society has been prevailing since the post-capitalism started about the 1970"s, and many social changes has occurred such as socio-economic crises and demographic crises. For instance, it caused the issue of unemployment and poverty related to the issue of extreme polarization,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homes, the housing problems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It also changes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system from the traditional social welfare models like public relief and social security to the model of the social services. Interestingly, the South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the social dynamics of both the Old and New social risks because of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occurrence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midst of this situation, the social welfare system has developed and the Korean Christian society has been joining in this social welfare services. Traditionally, the direction of the social practice of Korean Christian has based on the theology of Diakonia which focuses on sharing and serving for those who are in need. This direction has to be changed into the missional community building paradigm in order to endure and overcome the crises of this New Social Risks. The new paradigm is to build a new missional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a sharing economic community, a loose family community to formulate the social services, and the spiritual community. This practice will be an important foundation of Korean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e future.

      • KCI등재

        소비자의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정보요구의 영향요인 연구

        이영희,류미현,이승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4

        세계적으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유경제라는 경제시스템이 등장하였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공유경제 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만족 과 불안 및 불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비자정보 측면에서의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소비자들의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변수인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인식, 주관적 지식, 이용 편의성에 대해 파악 하고,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정보요구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변수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소비 자들의 공유경제 서비스 정보요구에서는 직접적인 이용과 관련된 이용방법, 결제, 가격에 대한 정보요구가 높았 으며, 개인정보보호, 피해구제관련 정보요구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공유경제 서비스 정보요구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공유에 대한 신뢰관련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인식, 이용 편의성, 주관적 지식과 월평균소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향후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용이성 및 유용성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며,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공유경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 new economic system, sharing economy, has emerged to overcome the worldwide economic crisis, and with the recent increased interest in the sharing economy in South Korea,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Accordingly, the need of research in terms of consumer information is highlighted to ensure consumer satisfaction with and reduce consumer anxiety and complaints about sharing economy services.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er variables in relation to sharing economy services, which are perceived risk, perceived awareness, subjective knowledge, and ease of use, and analyzed information needs for and factors influencing such services.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in relation to sharing economy servi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among consumers’ information needs for sharing economy services, the information needs for method of use, payment, and price that are involved in direct use of these services were at a high level, while thos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damage relief were relatively at a low level. Third, when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examined, perceived risk to confidence in sharing, perceived awareness, ease of use, subjective knowled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wer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These findings may be helpful in increasing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sharing economy services and assist companies in systematically building and providing sharing economy services-related information that meets consumers’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