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측 접근을 이용한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한수홍 ( Soo Hong Han ),단진명 ( Jin Myoung Dan ),이동훈 ( Dong Hoon Lee ),김영웅 ( Young Woo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4

        목적: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에 있어 배측 접근법만으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골간 인대 복원술 등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로 배측 접근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인대 복원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중 탈구된 월상골이 손목관절을 넘어서 근위부까지 전위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은 설문지를 통한 DASH 점수와 Mayo 손목점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방사선 사진에 의한 주상-월상골간각과 주상골 경유 탈구에서는 골절의 유합 여부를 파악하여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의 DASH 점수는 평균 16.3점 (범위, 10.8~26.7)이었고, Mayo 손목점수는 평균 79점 (범위, 65~90)으로 매우 우수 2예, 우수 7예, 양호 4예였고, 65점 미만의 불량한 결과를 보인 예는 없었다. 방사선 사진상 주상-월상골간각이 평균 49.0° (범위, 35~55°)로 전례에서 정상 범위 내로 유지되었으며, 7예의 주상골 골절도 모두 골유합되었다. 결론: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탈구된 월상골이 손목관절을 넘어 근위부로 전위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치료 시 배측 접근법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the perilunate dislocation and the lunate dislocation which were managed surgically through a dors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views of the 13 patients who had minimum 1-year follow-up after surgical treatment through isolated dorsal approach for their perilunate dislocations or the lunate dislocations were performed. The case that dislocated lunate migrated proximally through the wrist was excluded in this series. We evaluated the DASH score in questionnaire method and Mayo wrist score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Radiologic resul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ement of the scapho-lunate angle, and fracture union was also evaluated in the case of trans-scaphoid dislocation. Results: The mean DASH Score was 16.3 points (range, 10.8~26.7 points) and the mean Mayo wrist score was 79 points (range, 65~90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2 cases of excellent, 7 cases of good and 4 cases of fair in the Mayo wrist score. On the radiologic analysis, the mean scapho-lunate angle was 49.0° (range, 35~55°) and all cas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ll cases of the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achieved bone union. Conclusion: Author`s cases showed satisfactory outcomes in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solated dorsal approach could give anatomical reduction and appropriate internal fixation in treatment of the perilunate dislocations and the lunate dislocations except the rare case of proximal migration of the lunate through the wrist.

      • KCI등재

        진구성 월상골 전방 탈구에서 발생한 수지 굴곡건의 다발성 파열과 압박 신경병증

        박정현(Jung Hyun Park),강홍제(Hong Je Kang),백종석(Jong Seok Bai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월상골 주위 탈구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진구성 월상골 주위 탈구는 6주 이후에 진단된 경우를 말하며 외상성 관절염을 비롯하여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하며 정중신경 압박 신경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중 진구성 월상골 주위 탈구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한 수지굴곡건의 다발성 파열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3예가 보고되었으나 아직 국내 문헌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62세 남자에서 발생한 진구성 월상골 주위 탈구에서 전방 탈구된 월상골에 인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한 수지 굴곡건의 다발성 파열과 정중 신경 및 척골 신경 마비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Perilunate dislocation represents approximately 3% of all carpal injuries and is diagnosed late in 25% of cases. Neglected perilunate dislocation accompanies many complications. Multiple flexor tendon rupture is a very rare complication of neglected perilunate dislocation. Three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s. No case has been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We report on a case of multiple flexor tendon ruptures with compressive neuropathy of median and ulnar nerve caused by neglected volar perilunate dislocation.

      • KCI등재후보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골절 탈구: 배측 접근법을 통한 주상골 나사못 고정 및 월상-삼각 골간 인대 봉합술

        이창호,오진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3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screw fixation of the scaphoid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using a dorsal approach in the treatement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3 to August 2007, 11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ve management of a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8 months. In all patients, screw fixation of the scaphoid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with a suture anchor after open reduction was performed.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measuring range of motion and grip power and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evaluation for functional recovery at the last follow up. Union of scaphoid, change in lunotriquetral distance, and development of any instability and arthritis of wrist joint were radiographically assessed. Results: In clinical outcomes, 89.3% recovery of grip power and 87.5% recovery of range of motion compared to healthy side were observed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range of motions of extension, flexion, ulnar deviation, radial deviation, supination and pronation were 51.8˚, 58.4˚, 21.2˚, 16.2˚, 74.3˚, 75.1˚respectively. Average DASH score was 13.2. Bony union of scaphoid was achieved in all cases at the average of postoperative 19.3 weeks. Lunotriquetral distance after the operation and at the last follow up were 1.9 mm and 2.0 mm, respectively. There were no radiographic evidence of instability or arthritis. Conclusion: Dorsal approach allows reduction of carpal bone, scaphoid fixation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in the treatment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providing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목적: 주상골 골절을 동반한 월상골 주위 탈구에서 배측 접근법을 통해 주상골의 나사못 내고정과 월상-삼각 골간 인대의 봉합을 시행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8±21.2개월이었다. 배측 접근법을 통해 주상골을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월상골을 정복한 뒤 월상-삼각인대를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봉합한 후 핀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최종추시에서 관절 운동 범위와 파악력을 건측과 비교하고,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방사선학적결과의 측정은 최종 추시에서 주상골의 유합 여부, 월상-삼각골 간격의 변화, 불안정성과 관절염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판단하였다. 결과: 파악력은 건측에 비해 평균 89.3%의 회복을 보였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건측에 비해 87.5%의 회복을 보였다. 평균 신전 범위는 51.8˚, 굴곡 범위는 58.4˚, 척측변위는 21.2˚, 요측 변위는 16.2˚, 회외전 범위는 74.3˚, 회내전 범위는 75.1˚이었다. 최종 추시에서 DASH 점수는 13.2점이었다. 주상골은 모든 예에서 평균 19.3주에 일차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평균 월상-삼각골 간격은 술후 1.9 mm였으며 최종 추시에서 2.0 mm로 측정되었다. 불안정성과 관절염이 발생한 예는 없었다. 결론: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골절 탈구에 대한 배측 접근법은 수근골의 정복과 주상골 고정, 월상- 삼각 골간 인대의 봉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우수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with Fractured Carpal Bones in a Child

        Jong-Hun Ji(지종훈),Mohamed Shafi,Weon-Yoo Kim(김원유),Jin-Young Kim(김진영),Nong Kyoum Ahn(안농겸)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5

        소아에서 수근골 경유 골절 및 탈구는 문현상에서 드문 보고를 보이고 있다. 이 증례 보고는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탈구 및 두상골과 삼각골의 골절을 동반한 10세 남자 환자의 예이다. 탈구의 도수정복과 골절에 대한 후방도달 이후 관혈적 정복과 내고정을 하였다. 골절의 유합과 탈구의 정복이 잘 유지되었으며, 수근관절의 기능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흔하지 않은 유형의 손상에 대한 증례 보고로 향후 더 나은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ranscarpal fractures and dislocations in children are rarely reported in the orthopedics literature. This is a case report of a 10-year-old boy who sustained a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with fractures across the carpal structure: these included injuries to the capitate and triquetrum bones. Treatment consists of a closed reduction for the dislocation and using the dorsal approach, an 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 of the fractures. The injury healed well with a full return of good wrist function. This unusual pattern of injury is described so that it may be more readily appreciat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주상골 골절에 대한 관혈적 배측 접근법을 이용한무두 자가압박 나사 고정술

        강호정,원유건,권지원,고일현,최윤락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3

        Purpose: We present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scaphoid fracture with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via dorsal approach.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5 patients who have a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on nonunion of scaphoid fracture without previous operation, 2 patients who have a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on nonunion of scaphoid fracture with previous operation and 8 patients who have a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We figured out a mechanism of injury, and clinical symptom, radiologic findings. The surgery was done with open dorsal approach which is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internally, with or without bone graft. We analyzed the result by Maudsley method, in terms of bone union, duration for union, radiologic finding, clinical outcomes. Results: After surgery, 22 of 25 patients had union result on fracture and other 3 patients had nonunion result. It took 12 weeks to achieve bone union on average. Based on radiograhs, we had one case of partial avascular necrosis of proximal fragment without clinical symptoms. We had one case of each scaphoid nonunion without previous operation, with operation and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had arthritic change and non-symptomatic nonunion result. In terms of clinical outcome, 22 patie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nd 3 patients had slight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Conclusion: Retrograde headless screw fixation with or without bone graft for the treatment of scaphoid fracture is recommendable. 목적: 저자들은 주상골 골절 치료에 있어 무두 나사를 수배측 접근술로 주상골의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역방향 내고정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주상골 골절 후 불유합 15예, 주상골 골절 내고정 후 발생한 불유합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2예 및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탈구로 수술한 8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원인, 임상적 증상, 방사선학적 양상 등을 조사하였다. 수술은 수배측 도달법을 이용하여 근위부에서 원위부 방향으로 무두 나사로 내고정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를 Maudsley와 Chen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급성 및 불유합 주상골 골절 25예 중 총 22예에서는 유합을 얻었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88%에서 우수 및 양호,12%에서 보통 및 불만족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주상골 불유합과 주상 골절 및 월상골 주위 탈구 치료에 있어 수배측 도달술로 접근하여 주상골의 무두 나사로 내고정 시행하는 것은 추천할 만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월상골 주위 탈구 및 골절-탈구

        이정일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3

        Perilunate dislocations and perilunate fracture-dislocations are one of the most severe forms of wrist injuries and are generally caused by high-energy trauma such as falls from a height or traffic accidents. Prompt recognition and immediate, gentle closed reduction are critical, but diagnosis can often be missed at the initial presentation. The current standard management is open reduction, ligamentous and bony repair, and supplemental fix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repair. The pathomechanics of the injury, diagnosis by plain wrist radiographs, closed reduction techniques, current surgical treatments, and complications are presented in this review. 월상골 주위 탈구 및 골절-탈구는 고에너지 손상으로 손목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연부조직 및 골성조직의 손상을포함하는 손상이다. 단순 방사선 사진을 자세히 검토하여 빠르게 진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진단 후에는 가능한한 빨리 도수 정복을 시도하는 것이 좋으며, 정복 후에는 수배부 혹은 수배부, 수장부 동시 접근을 통해 인대 봉합 및 골편 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현재까지는 적절한 치료에도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관절운동의 제한 및 악력 감소의 발생은 피할 수 없다. 그럼에도 빠른 진단 및 정복, 적절한 인대 봉합 및 골절 고정이 좋은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해 중요하다.

      • KCI등재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

        김희수,오원택,고일현,최윤락,강호정 대한수부외과학회 202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6 No.2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otal cases of perilunate injuries, are common in young patients and occur as a result of high-energy injuries, and improper management can impair wrist alignment and function. Understanding the related wrist anatomy and pathomechanics may help surgeons evaluate and diagnose patients. Early operation to reduce and fix the injuries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optimal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this review article, we present an overview of wrist pathoanatomy, the pathomechanics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operative treatment options including an arthroscopic procedure, and repor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