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치매 유형에 따른 인지 기능, 운동 기능, 기능적 활동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의 비교

        유서정(Seo-Jeong Yu),이규창(Gyu-Chang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한 문제들 중 치매는 가장 주요한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치매 의 유형, 치매 유병 기간, 개개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손상과 문제점들 등의 특징들이 다양하여 적절한 관리가 쉽지 않다. 그래서 치매 환자들의 특징을 유형 등의 기준으로 가능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치매 환자를 적절하게 관리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 병원에 입원 중인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매 유병 기간 및 치매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 기능, 운동 기능, 기능적 수준,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하여 치매 환자의 적절한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ethods: 본 연구에서는 모집된 151명의 대상자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124명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적합한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치매 유병 기간, 치매 유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인지 기능, 운동 기능, 기능적 수준, 그리고 삶의 질 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인지 기능은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Clinical Dementia Rating (CDR)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운동 기능은 10-meter Walking Test (10MT),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 test (TUG)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기능적 활동 수준은 Barthel Index (BI), Kats Index (K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Quality of Life Scale (GQOL-D)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치매 유병 기간 및 치매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인지 기능, 운동 기능, 기능적 활동 수준, 그리고 삶의 질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Results: 본 연구의 결과 치매 유병 기간에 따른 인지 기능은 1년 이상에서 3년 미만의 치매 환자들이 MMSE에서 15.86(4.48)점, CDR에서 1.76(0.53)점, GDS에서 4.46(0.93)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운동 기능은 5년 이상의 치매 환자들이 BBS에서 35.00(13.58)점, TUG에서 20.46(10.00)초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기능적 활동 수준도 BI에서 72.62(21.13)점, KI에서 15.31(3.25)점으로 5년 이상의 치매 환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질(GQOL-D)은 32.88(7.98)점으로 6개월 이상에서 1년 미만의 치매 환자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유형에 따른 인지 기능은 MMSE에서 19.00점, CDR에서 1.00점, GDS에서 3.00점으로 파킨슨병 치매 환자들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운동 기능, 기능적 활동 수준, 그리고 삶의 질도 BBS는 48.00점, BI는 86.00점, KI는 17.00점, 삶의 질은 37.00점으로 파킨슨병 치매 환자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를 통해 치매 유병 기간이 길수록 운동 기능과 기능적 활동 수준은 높으나 삶의 질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매 유형 중 파킨슨병 치매 환자들이 인지 기능, 운동 기능, 기능적 활동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집된 자료를 기술 통계만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본 결과만을 가지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치매 환자들에 대한 정확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후의 연구들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만성뇌졸중환자의 운동기능수준과 사회참여의 상관성

        김은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9 재활복지 Vol.2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motor function level and social participation with chronic stroke. In this study, Korean version of the Fugl-Meyer Assessment (K-FMA) and 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were administered to 74 chronic strok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and were living in a community for more than 12 months. The SPSS 21.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otor function level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used. According to the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motor function was related to affected side, and social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type of lesion (p < .0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otor function level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correlations showed that motor function level moderate and marked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ocial participation (p<.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interven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motor function of the chronic stroke patients, to promote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to carry out their role with a sense of existence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It should be possible to maintain a balanced life.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환자의 운동기능수준과 사회참여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발병 12개월이상 만성뇌졸중환자 74명을 대상으로 운동기능수준은 한글판 Fugl-Meyer (Korean version of the Fugl-Meyer Assessment: K-FMA)를 사용하였고, 사회참여는 사회참여 척도(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였고, 운동기능수준과 사회참여 간의 상관관계분석은 피어슨상관분석(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기능과 사회참여에서는 운동기능에서는 발병부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사회참여에서는 발병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대상자의 운동기능수준과 사회참여 비교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운동기능수준 normal, slight, severe에서는 민감성 -.210, -.442, .293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moderate, marked에서는 민감성 .667, .64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만성뇌졸중환자의 운동기능수준에 따라 중재 방향성을 고려하고, 사회참여를 촉진시켜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존재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삶의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을 높여 균형있는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Skill Level Differences in the Use of Exercise Imageryin Korean and American Golfers

        최만식(Man Sik Choi)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3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골퍼의 운동심상 사용에 대한 기술수준차이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운동심상도구(Exercise Imagery Inventory, Giacobbi, Hausenblas, Fallon, Hall, 2005)와 인구학적인 설문지가 115명의 미국과 87명의 한국 골퍼들에게 배부되었다. 다차원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모/건강 하위요인은 미국골퍼들을 위한 운동심상 기능의 강력한 예측인자로 나타났으며, 한국골퍼들에게는 운동 자신감 하위요인이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3개의 하위척도에서는 한국과 미국 그리고 기술수준에 대해서 예측인자로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국가간 차이에 대한 MANOVA에서 외모/건강 심상요인과 운동 감정 심상에서 국가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운동심상 사용을 위한 중재전략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중학교 남자 테니스 선수의 운동기능수준별 시합 전 경쟁상태불안

        남인수,최인태,전중기,윤재만,고성경,이종삼,임승현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人文科學硏究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level of motor skill before the game and to provide the players with basic data for the mental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20 men's a middle school tennis player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superior players group and inferior players group. And then by using a CSAI-2 questionnaire, three subfactors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or cognitive state anxiety, somatic state anxiety and state self-confidence were measured. The method of measure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or one week, one day and two hours before the g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bout both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omatic state anxiety, inferior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uperior players. Second, About state self-confidence, superior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ferior players. Third, As the game was around, both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omatic state anxiety which all the players including superior and inferior players had increased. But the state self-confidence of all players decrea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체활동수준이 동일한 중년여성의 소도구 저항운동시 노동형태에 따른 등속성 근력, 근지구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안계명,정환종,이상현,김기홍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resistance movement for the pre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labor group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 people in the physical labor group and 13 people in the non-physical labor group with the sam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fter recruiting subjects, resistance exercise with small tools was conducted for 8 weeks. Knee isokinetics and equilibrium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After the 8-week small tool exercise program, the physical work group's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the non-physical work group's muscle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showed no change. In addition, after the 8-week small tool exercise program, the balance of the physical work group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the balance of the non-physical work group showed no change. As a result, the group that had the same level of physical activity but continued physical activity through exercise and the group that continued physical activity through labor had the same level of physical activity, but the group that continued physical activity through labor also had the sam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t is thought that performing correct resistance exercise will help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