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산 김정한의 자기검열과 이념적 모색

        오현석,차윤정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3 No.-

        본고는 한국전쟁기 요산 김정한의 소설 <병원에서는>과 당시 에세이 등을 중심으로 작가의 소설 창작 의식과 그 이면에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요산의 해방기 행적과 의식을 추적하여 한국전쟁기와 연결 지점을 찾고 기존 요산 문학 연구의 방향과 다른 방식의 소설이 전개된 원인을 분석하는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요산 김정한은 부산, 경남 지역에서 해방기 사회주의,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좌파의 대표적인 지식인이었다. 그는 문학, 예술,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좌파 활동을 하며 여러 단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런데 단독정부가 수립되면서 우파가 권력을 가지게 되고, 그의 활동이나 이념도 문제가 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좌파는 남한에서 불온한 사상을 지닌 제거 대상이 되었으며, 요산 김정한도 몇 번의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이념적 전향이 필수임을 깨닫게 되었다. 다음으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요산 문학의 저항성, 민중성, 리얼리즘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그런데 <병원에서는>은 이런 기존의 요산 문학 틀로는 분석하기가 어려운 작품이다. 한국전쟁기 작가들은 국가의 검열에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전쟁에 직접 참여하는 종군작가로 활동하거나 반공작품을 창작하여 이념성을 증명했다. 소설 <병원에서는>도 요산 김정한이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이념적 전향 후 자기검열과 이념 증명의 결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이 소설은 김정한의 작품 중 거의 유일하게 반공의식이 표면화되어 있다.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병원에서는>은 첫째, 김정한이 한국전쟁기에 생명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이었으며, 둘째, 자신의 이념적 태도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함이었으며, 셋째 자기검열을 통한 이념적 모색을 위한 방편이었다. 그런데 1960년대 문단복귀 이후 김정한의 작품은 다시 민중에게로 향한다. 소설에 다시 민중이 등장하고 그들에게 애정을 쏟는다. 그런데 이런 경향이 단순히 회귀로만 읽히면 안 된다. 이념의 전향과 반공문학 창작을 통해 자신을 감추고 살았어야만 했던 김정한이 생존의 위협에서 조금 벗어나면서 민중과 분단 한국의 문제에 목소리를 낸 것이다. 분단은 결국 이념의 문제이다. 이념에 희생된 수많은 동료들과 요산 자신도 이념의 굴레를 벗어나는 것은 어려웠다. 그의 생각은 결국 분단국가를 탈피하는 것과 민중이 중심이 되는 국가로 이어진다. 그래서 요산은 1960년대 이후 분단국가라는 한국 사회의 문제 속에서 민중들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다시 적극적으로 사회에 뛰어들게 되었던 것이다. This paper tried to grasp the artist's novel creation consciousness and the intention behind it, focusing on Yosan Kim Jeong-han's novel “In the Hospital” and essays at that time. To this end, the study carried out research in two aspects: tracking the movements and rituals of the Liberation Period of Yosan to find a connection point with the Korean War, and analyzing the causes of the development of novel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of the Yosan Literature. First, Yosan Kim Jeong-han was a representative intellectual of the left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alist and nationalist movement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Busan and Gyeongnam. He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many organizations, including leftist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art and politics. Howev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government, the right became power, and his activities and ideologies began to be a problem. In other words, there was no way for the left to survive in South Korean society. Since then, the left has become a subject of disarmament in South Korea, and Yosan Kim Jeong-han has realized that ideological conversion is essential as he overcame several deaths. Next,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the resistance, folklore, and realism of Yosan literature. However, “in the hospital”, it is difficult to analyze in the existing Yosan literature framework. Korean war writers could not be free from state censorship. So they proved their ideology by working as a war writer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war or by creating anti-work products. The novel “In the Hospitals” is also the result of Yosan Kim Jeong-han's joining the Confederation of Press, resulting in self-censorship and proof of ideology after ideological conversion. In other words, this novel has almost the only anti-communism in Kim Jeong-han's works.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hospital”, first, Kim Jeong-han struggled to escape the threat of life during the Korean War, second, to show his ideological attitude clearly, and third, to find ideological search through self-censorship. However, after the return of the paragraph in the 1960s, Kim Jeong-han's work goes back to the people. People appear again in the novel and give affection to them. But this tendency should not be read simply as regression. Kim Jeong-han, who should have concealed himself through the conversion of ideologies and the creation of anti-public literature, voiced the problems of the people and divided Korea as he escaped from the threat of survival. Division is, after all, a matter of ideology. Numerous colleagues and Yosan himself who were sacrificed to ideology also had difficulty escaping the bonds of ideology. His thoughts eventually lead to the departure of the divided state and to the state centered on the people. So Yosan has been interested in the lives of people since the 1960s and became actively involved in the society.

      • KCI등재

        요산 김정한의 「사하촌」 담론분석적 연구

        오현석 ( Oh Hyoun-su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5 No.-

        본 논문은 요산 김정한의 소설 「사하촌」을 둘러싼 표면적, 이면적 담론의 질서를 분석하여 담론의 질서에 속박된 요산 김정한 소설 해석의 폭을 확장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요산 김정한의 「사하촌」은 1930년대 지주와 소작농 관계에서 핍박받는 농민들의 삶을 조명한 농촌소설로 평가받아 왔다. 그 이유는 당대현실과 요산 김정한이라는 소설가에 초점을 둔 결과이다. 1930년대 중반 카프가 해체되었지만 여전히 그 의식은 문학장 속에서 강력한 목소리로 숨 쉬고 있다. 여기에 요산 김정한의 민중의식, 저항정신이 결합되어 하나의 담론으로 작동했다. 그 결과 「사하촌」(1936년)은 요산 김정한의 대표적 농촌·농민 소설이자 민중소설로 우리에게 각인되었다. 연구자들의 연구 역시 이러한 지배 담론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끊임없이 담론의 질서가 반복되고 있다. 하지만 당대 사회 현실, 권력 관계 등 소설의 이면으로 들어가 보면 또 다른 담론을 읽어낼 수 있다. 불교적 관점에서 「사하촌」은 1930년대 일제강점기 하에서 한국불교의 상황과 함께 파악해야 그 본질에 접근할 수 있다. 1930년대 한국불교는 사찰령의 영향으로 급속히 전통불교가 무너지고 일본불교가 자리잡아가던 시기였으며, 이에 대한 저항도 끊임없이 사찰 내 · 외부에서 일어났다. 「사하촌」에 등장하는 불교와 사하촌은 한국 전통불교가 무너지고 일본 불교의 영향으로 세속화한 친일불교이다. 즉, 김정한은 「사하촌」을 통해서 불교라는 종교 그 자체에 대한 비판보다는 불교의 세속화와 친일불교화 문제를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문화적 담론의 관점에서는 선비정신으로 민중과 소외자들에 대해 평생 관심을 가지고 작품 속에 형상화한 작가의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현실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인간주의적 사고의 전환을 끊임없이 갈망하는 작가의 요구도 동시에 담겨 있다. 이를 통해 종교적 관점에서 한층 더 나아가 인본주의적 관점도 읽어낼 수 있다. 담론의 질서와 이면적 담론들은 모두 지향점은 같다고 할 수 있다. 각 담론들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현실을 만들기 위한 방법론적인 부분이 조금 다른 것일 뿐이므로 이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요산 문학의 이면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도출해야 한다. 작가의 본질적 의도는 비틀어져 왜곡된 세계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 것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농민문학, 민중문학, 불교문학 등 각 담론의 층위에서 분리된 채 작품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지엽적인 담론 논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담론의 질서로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담론의 층위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담론 사이에 막혀 있는 벽을 확인하고 해체하고자 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and the breadth of Yosan Kim Jeong-han's interpretation of novels bound by the discourse by analyzing and revealing the order of the surface and two-sided discourse surrounding Yosan Kim Jeong-han's novel “Sahachon”. In chapter 2, the possibility that a new field of discourse can be formed is analyz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order of discourse in which Yosan Kim Jeong-han's novel “Sahachon” has been interpreted so far. “Sahachon” is a novel about the lives of farmers who are persecuted in relations between landlords and peasants in the 1930s. In the mid-1930s, KAPF was disbanded, but peasant literature and ethnic literature were needed. “Sahachon” was expressed as a discourse by combining Yosan Kim Jeong-han's folk consciousness and resistance spirit. As a result, “Sahachon” was imprinted on us as a representative rural and peasant novel by Yosan Kim Jeong-han and a folk novel. Researchers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central discourse. In chapter 3, “Sahachon” was analyzed as a Buddhist discourse. The artist criticized Japanese Buddhist paint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further accused the issue of pro-Japanese unification of Buddhism. However, Kim Jeong-han did not criticize Buddhism from an anti-religious point of view, but insisted on seeing the deterioration of Buddhism and returning to Buddhism. In chapter 4,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point connected to the study consciousness of Yosan Kim Jeong-han, the rural and folk consciousness mentioned in chapters 2 and 3, and Buddhist discourse. In the work of Kim Jeong-han of Yosan, the interest in humans expressed in anthropocentricism is spread throughout his work. Therefore, the problem of reality that he pointed out in his work should also be solved by considering human beings and various discourse topologies. Through this study, the existing discourse order of 'Sahachon' was considered in detail to secure the diversity of discourses to view new works through Buddhist and sociocultural discourse. The order of discourse is not a fixed order, but a direction that can be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constantly creating order. Through discourse analysis, the field of interpretation of uric acid literature can be expanded in various ways.

      • KCI등재

        요산 김정한 소설에 나타나는 불교 사상과 불교적 세계관 고찰

        오현석(Oh, Hyoun-Suk)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9 No.-

        요산의 작품에 드러나는 저항 의식과 민중의식은 기본적으로 작가 자신의 삶과 관련이 있다. 지금까지 김정한 소설 연구는 민중 지향성과 저항성 등에 초점을 맞춰서 유교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경향이 대다수였다. 그런데 본 연구자는 요산의 소설이 꼭 유교적 시각이 아닌 불교적 관점 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작품들이라고 생각했다. 그 근거들이 몇 가지 있다. 첫째, 김정한은 어린 시절 서당을 그만 둔 후 범어사에서 설립한 명정 학교에서 2년간 공부했다. 이 기간에 김정한은 불교에 대한 긍 · 부정적의식을 모두 가지게 되었다. 그는 당시 친일 세력에 의한 타락한 불교를 비판하며 불교의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즉, 김정한이 불교 그 자체를 부정적으로 본 것이 아니라 부처의 가르침을 벗어난 불교인들에 대한 비판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들을 통해서 볼 때본 연구는 김정한의 소설을 불교적 관점에서 해석할 필요성이 있다. 두번째, 김정한이 남긴 여러 글과 말을 통해서 그는 불교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그는 종교인은 아니지만 민중들에게 정신적 지주로서 의미를 가지는 부처를 인정하고 있다. 셋째, 그의 후기작품 중에 「축생도」, 「수라도」, 「지옥변」, 「사밧재」 등 소설은 불교적 세계관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 소설들은 모두 불교적 세계관과 관련 있는 제목이고 등장인물들의 의식 역시 불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불교적 세계관의 근본은 윤회에 따른 인과응보이 다. 자신이 세운 업보가 자신에게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스스로 선업을 닦아야 한다는 것이 불교적 세계관의 주된 내용이다. 이런 세계관을 바탕으로 작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인간존 중과 인간성 회복이다. 민중들을 지켜내기 위해서 불교 사상을 소설 속에 숨겨놓고 암시하고 있다. 작가는 민중을 위해서 불교사상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수라도」에서 가야부인과 「축생도」의 수의사는 모두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실천하는 인물이다. 또 「지옥변」은 존재의 높고 낮음은 없다는 무유고하(無有高下)를 실현해야 지옥을 벗어날 수 있음을 알려주었고 「사밧재」는 현실 세계를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의 공(空)을 깨닫고 행해야 함을 요청하고 있다. 이처럼 김정한의 소설에서 불교적 세계관은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지닌 불교사상을 표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됨을 알 수 있다. Resistance consciousness and folk 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works of Yosan are basical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artist himself. The Kim Jeong-han novels tend to interpret Confucian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folk orientalism and resistance. However, this researcher has a question here. Kim Jeong-han studied at Myeongjung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temple for two years after leaving the Seodang. During this period, Kim Jeong-han learned about Buddhism.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cessity of interpreting Kim Jeong-han s novel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Kim Jeong-han has a keen knowledge of Buddhism. He is not a religious person but affirms a ministry that has meaning as a spiritual landholding of the people. So, there are many contents related to Buddhism in his work. Novels such as “Congratulations”, 「chugsaengdo」, 「Sulado」, 「jiogbyeon」, 「sabasjae」 all be interpreted from a Buddhist perspective. In these novel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artist is respect for humanity and humanity. Kim Jung-han embraced Buddhist thought in novels to protect the people. I also felt that I needed to practice these Buddhist ideas.

      • KCI등재

        김정한 소설과 문학교육

        김명석(Kim, Myung-Seok)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50 No.-

        이 글은 요산 김정한 소설의 문학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목적으로 씌어 졌다. 요산은 작가 데뷔 이전부터 교사로서 일제 식민지하에서 민족교육에 앞장섰고, 교사로서 전하지 못한 당시 농촌의 현실과 민중의 고통을 작가의 목소리로 대변하는 리얼리즘문학을 평생 일관성 있게 추구하였다. 따라서 민족문학으로서, 또 리얼리즘 소설로서 갖는 김정한 소설의 문학사적 가치는 문학 교육의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제5차 교육과정 이래 현재의 이르기까지 「사하촌」, 「모래톱 이야기」, 「수라도」등 세 작품이 꾸준히 수록되어 왔다. 그런데 제7차 교육과정 국어과의 심화 과정으로서 문학 교과에서 추구하는 학습자 위주의 수업이 텍스트 중심이 아닌 학습활동 위주의 지도 방법을 선택하면서, 김정한 소설이 다루어지는 방식도 변화하게 된다. 문학사적으로 인정된 정전으로서의 작품 자체의 이해를 위해 작가의 생애와 연관된 문학적 지식과 작품의 독해 및 감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에 따른 활동 위주의 수업을 위한 제재로 선택된 것이다. 본문에서는 학교 문학교육의 교과서 내에서 학습목표에 따라 요산 소설의 어떤 점들이 강조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모래톱 이야기」는 첫째, 문학의 갈래의 소단원으로 서사 갈래의 본질을 특성을 이해하게 만드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따라 학습활동으로 꼼꼼히 읽기를 통해 자아와 세계의 갈등, 인물, 서술자 등을 이해하고, 시야 넓히기를 통해 소설과 신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다. 둘째, 문학의 수용과 창작의 소단원으로 창의적으로 문학 작품 수용하기를 위한 학습활동으로 신문 만들기 활동을 시도한다. 「수라도」는 소설의 인물과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단원에서 직접적 인물 제시방법의 사례로 소개되며, 학습활동에서는 주인공 가야부인의 형상화에서 전통적 여인상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생각해보고, 「토지」의 주인공 서희와의 비교 등을 통해 상호텍스트적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아울러 문학 논술 텍스트로서의 「사하촌」의 현재성과 가능성을 점검해보았는데,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작품 선택은 아닐지라도, 농민들이 스스로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주체적인 투쟁에 나서는 과정에 대한 사실주의적 묘사의 교육적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이점에서 이 작품은 독서 및 논술 교재에서 토론을 위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본문의 논의를 바탕으로 마지막 장에서는 김정한 소설의 문학교육 의미를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해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교사로서 작가로서 민족 교육과 민중의 자각을 위해 평생을 일관하였던 김정한의 문학 세계가 지니는 문학적 의미는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는 지금도 여전히 현재성을 가지고 있다. 요산의 문학수업은 계속되고 있다. This writing's purpose was to find about Yosan Kim Jeonghan's novel's cultural educational significance. Before he comes out as a writer, Yosan leaded nation's education under the Japan's settlement, and he kept pursuit realism literatures for all his life, to speak by proxy for the rural community's actuality and pain from populace. So, his writings, such as Sahachon, A village under the Buddhist temple, Moraetop story, A Story of sandy plain and Surado, A scene of utter confusion has been kept contained since the 5th educational process, as his writing has been acknowledged as importance of the nation's literature and realism novel and also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But since the 7th educational process in the language depart, as a deepen progress, the way of treating Kim Jeonghan's novel has changed from aimed to students to not concerning about the text but the activity. Not like reading and impression of the literary knowledges and works to understand the book which has acknowledged in a literature history but they choose the book as a subject of the activity classes by goals of the study. In the body of the writhing, we've look closer about what part of Yosan's novel has been emphasized followed the goals of the study. About the Moraetop Story, firstly, it focused to understand about the essential branch of prologue as a small unit of the literature's branch. As the studying activity, read the book carefully, and understand narrator and the characters and the complications between the world and the "I". Also, by the enlarge of the vision, find out the differences and sameness between the novel and the newspaper. Secondly, As a expropriation and creation of the literature, try to make a newspaper as a study activity to expropriate the literature, creatively. Surado has introduced as an example of direct introduction of the character at the unit of understanding and founding about characters in the novel. As the study activity, thinking about main character, Madam Kaya, as a negative way, and find out differences with the main character in the novel Toji, to scheme of understanding about mutuality of the text. At this point, the book give us the things to think about and discuss about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reading and essay. So, as the teacher and as the writer, Kim Jeonghan, who kept pursuit nation's education and popular's consciousness for whole his life, and his writing's literary meaning has the nowness until even now, a hundred's year of anniversary of birth. Yosan's literature class is continued.

      • KCI등재후보

        요산 소설의 지역성과 동아시아적 시각

        하상일 ( Ha Sang Il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4 No.-

        본 논문은 요산 김정한 소설의 지역성을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쟁점화하여 요산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넓혀나가고자 하는 데 있다. 요산은 식민지 근대가 만든 왜곡된 보편주의에 대한 비판과 해방 이후 국가주의의 폭압적 제도화에 대한 거부를 통해, 특정 권력에 의해 포섭된 왜곡된 역사가 암묵적으로 조장해온 근대의 허구성을 넘어서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소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보았다. 그는 평생을 살아온 터전인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부산과 경남을 배경으로 소설 창작을 지속적으로 했지만, 그에게 이러한 지역적 기표는 특정한 장소나 공간으로서의 소재적 차원을 넘어서 왜곡된 추상성과 식민화된 보편성을 확장함으로써 동시대적 ‘세계성’을 공유하려는 역사적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 상태를 벗어나 독립을 이루었던 아시아 국가 대부분이 전후 극복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경제개발과 근대화 정책으로 민중들을 억압하고 통제함으로써 국가적 폭력을 정당화 했다는 데서, 특정 국가의 일국적 단위를 넘어선 국제주의적 민중 연대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했던 것이 요산 소설의 ‘세계성’의 방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요산 소설에서 지역성은 단순히 자신이 평생을 살았던 실재적 장소의 구체화라는 의미를 넘어서 동아시아적으로 사유하고 인식해야 할 소설적 거점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그의 소설을 민족주의적으로 읽고 지역적으로 사유해온 그동안의 논의들은 일정 부분 타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요산의 소설 지평을 특정 시공간에 가두는 동어반복을 답습한 한계를 지닌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요산의 소설은 제국과 식민의 기억, 자본과 국가의 근대적 폭력을 견뎌온 민중들의 이야기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서사적 과제는 동시대의 유사한 역사적 상처와 고통을 겪어온 아시아 민중들에 대한 연대의식과 전혀 무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요산 소설의 지역성을 ‘동아시아적’ 주제를 실천하는 지역적 장소성의 확대로 바라봄으로써, 동시대의 역사를 공유한 아시아 민중들의 국제주의적 연대와 실천이라는 가능성의 관점에서 쟁점화해보고자 했다. This study has as an objective to make an issue of regionality of novels by Yosan Kim Jeong-han(요산 김정한) through East Asian viewpoints and to broaden the new horizon of research on Yosan. The novelist Yosan saw that, through criticism on universalism created by the colonial modern times and resistance against institutionalization violently oppressed by nationalism in the post-liberation times, the true direction of novels lied in overcoming fallacies of the modern times silently instigated through the warped history embraced by specific powers. Though he continued to create novels with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s surrounding the Nakdong River as backdrops where he built his entire life, the geographical symbols went beyond specific locations or spaces as the subject, expanding distorted abstractness and colonized universality, as his novels based on the historically critical mind of sharing contemporary “globalism.” Under the pretext of post-war restoration, the majority of Asian nations that liberated from colonialism after the second World War oppressed people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policies, justifying national-level violenc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globalism” of Yosan’s novels was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people’s solidarity, which surpassed the boundary of a specific nation. In this regard, regionality of Yosan’s novels went beyond the mere materialized meaning of the realistic location where he lived all his life and offered an important meaning as the novelistic footing, which should be contemplated and recognized by all East Asians. Thus, arguments of the past that his novels were regarded as ethnological and regional were only partly vali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viewed that the horizon of Yosan’s novels was limited to imitations of tautology confining them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Yosan’s novels focused on stories of people who endured the memories of the empire and colonialism, capitalism and nation’s modern violence. Such an epic homework cannot be irrelevant to the awareness of unity concerning Asian people who experienced historically similar scars and pains of the contemporary. Based on such critical minds, by viewing the regionality of Yosan’s novels as expansion of the region and the location that realized “East Asian” themes,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viewpoints of possibilities through which Asian people sharing the contemporary history realized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practice.

      • KCI등재

        요산 김정한 질병서사 연구

        장민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 No.55

        본고는 김정한의 질병서사가 주목받지 못한 이유를 해명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김정한의 질병서사는 지금껏 흩어져 연구된 탓에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기 어려웠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질병을 소재로 한 다섯 편의 소설 「옥심이」, 「묵은 자장가」, 「모래톱 이야기」, 「제3 병동」, 「인간단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중 세 편은 한센병을, 두 편은 장티푸스를 소재로 한다. 해당 연구를 통해 김정한이 오랜 시간 질병에 많은 관심을 가졌음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김정한의 질병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정한의 기존 연구는 김정한의 생애와 시대상에 기대어 민족, 지역, 저항, 농민의몇 가지 키워드로 반복 연구되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한정된 주제어가 반복되던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나아가, ‘질병’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김정한소설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리라 기대한다. 질병서사에 관한 김정한의 관심을 해명하는 작업은 김정한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는 차원에서도, 문학작품 속의료인문학의 적절한 사례를 발견한다는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 KCI등재

        요산 김정한의 신문 매체에 대한 인식과 소설 창작 방법 연구 - 「어떤 유서」를 중심으로

        오현석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7 No.-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Kim Jeong-han's novel 「some suicide note」 and a newspaper article. In this study, Kim Jeong-han's consciousness of writing and novel-writing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Kim Jeong-han is well known as a writer of realism. He was interested in the social issues covered on newspaper articles. So he took a newspaper article very seriously because newspapers are meaningful media that can show people's lives realistically. On June 3, 1974, an article from Dong-A Ilbo and 「some suicide note」 cope with a very similar case. With this, It seems that Kim Jeong-han has created a novel 「some suicide note」 based on newspaper articles. Both deal with the problem that men of power deprive the farmland of peasants. At the time of industrialization, The farmland was destroyed for development. The farmers were expelled from the space where they had lived because of the men of power and Kim Jeong-han criticizes this reality. In addition, 「some suicide note」 also contains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The elderly criticize that the younger generation live in conformity with reality. Kim Jeong-han is a writer based in Busan, and also most of his novels are set in the Busan. This is why Kim Jeong-han's novels shows the locality. However, the locality of his novels are not limited just a region but shows the universality in that his novels deal with the problems that all people can suffer. Like this, his novel-writing is an active expression of writer’s consciousness that accuses the absurd reality. Newspaper articles were effective tools for expressing this consciousness of writer. 이 연구는 김정한의 소설 「어떤 유서」와 신문기사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김정한은 평생 신문을 가까이 하고 신문기사를 소설에 창작에 활용하기도 했다. 특히 「어떤 유서」와 동이일보의 기사는 소설 플롯의 전개와 신문기사의 사건 발생 개요가 정확히 일치한다. 이런 특징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어떤 유서」와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김정한의 작가의식과 소설 창작 방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김정한은 리얼리즘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신문기사를 통해서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관심 있게 지켜보았다. 그래서 그는 신문기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신문은 민중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1974년 6월 3일 동아일보의 기사와 「어떤 유서」는 매우 유사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김정한은 신문기사를 자료로 소설 「어떤 유서」를 창작했다고 볼 수 있다. 신문기사와 「어떤 유서」는 권력자가 농민들이 토지를 빼앗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산업화 시기 농토는 개발을 위해서 파괴되었다. 농민들은 권력자 때문에 자신이 살던 공간에서 쫓겨났다. 김정한은 이런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또 「어떤 유서」는 세대 간의 갈등도 담고 있다. 젊은 세대들이 현실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을 노인들은 비판한다. 김정한은 부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작가이고 대부분의 소설이 부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김정한의 소설은 대부분 지역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김정한 소설의 지역성은 하나의 지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지역을 의미하는 보편성이다. 그 이유는 그의 소설이 모든 민중들의 겪을 수 있는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그의 소설쓰기는 언제나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해 주는 적극적인 작가의식의 표출이다. 신문기사는 이런 작가의식을 표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요산 김정한의 소설집 『낙일홍』과 작가의식

        오현석 ( Oh Hyoun-su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8 No.-

        본 논문은 요산 김정한의 첫 소설집인 『낙일홍』(세기출판사, 1956)을 중심으로 작품 수록과 배제의 맥락을 분석하고 앞서 발표되었던 판본들과 낙일홍 본을 비교하여 1950년대 당시 작가 의식을 읽어내고자 했다. 김정한은 『낙일홍』을 발간했던 1950년대 개인적, 사회적으로 아주 혹독한 시기를 겪었다. 해방기 뚜렷한 좌익 활동과 보도연맹 가입 경력이 1950년대 전쟁기에 그를 위험에 몰아넣었다. 이처럼 죽음의 순간이 이르기도 했던 그가 1956년 『낙일홍』을 발간한 이유를 단순히 그간의 작품들을 추슬러 정리하고자 했던 것으로만 볼 수는 없다. 작가가 작품 발표 이후 다시 수정하거나 개작하는 경우에 작가의 의식 변화나 당대 변화한 시대의식을 작품에 반영하기도 한다. 김정한은 1950년대 중반 개인적으로는 집안의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존을 책임져야 했고, 사회적으로는 부산대에 출강하면서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했다. 그 이면에는 해방기 그의 삶의 행적에 대한 해명이나 이념의 순결함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1950년대 김정한의 삶과 『낙일홍』의 발간 사이에는 유의미한 접점이 존재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작가가 작품집을 만들면서 의도했던 바를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했다. 첫 번째는 작품집에 수록, 배제된 작품들의 선택과 배제 논리를 분석했고, 두 번째는 판본 별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낙일홍』에 수록된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김정한은 과거 자신의 좌익 활동으로 인한 사상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관을 작품집에 담고자 했다. 이는 자기검열을 통해 수록과 배제의 논리가 소설집 작품들에 숨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작가가 1950년대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고민했던 흔적을 『낙일홍』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작가는 일제강점기를 10여년 지난 시점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발표했던 작품들이 1950년대 당대에도 생명성을 지닐 수 있도록 『낙일홍』 수록 작품들을 수정 및 편집을 했다. 여성 등장인물의 주체적 삶을 응원했고, 전쟁 이후 인간의 생존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드러냈으며, 궁핍하고 소외된 이들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즉, 김정한의 소설집 『낙일홍』은 개인적으로는 작가의 가장으로서의 삶과 자신의 생존이 걸린 문제를 타파하고, 사회적으로는 전쟁기를 거치면서 변화한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하여 작품에 생명성을 불어넣는 방식으로 발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ad the author's consciousness at the tim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mong previously published editions of works, focusing on “The Red of the Setting Sun” published by Segi Publishing Co., Ltd., the first novel by Yosan Kim Jeong-han in 1956. Kim Jeong-han went through a very severe period personally and socially in the 1950s when he published “The Red of the Setting Sun”. Since liberation in 1945, he has been clearly left-winged and his career as a member of the National Guidance Alliance incident put him at risk during the war in the 1950s. The reason why he published “The Red of the Setting Sun” in 1956, when the moment of death was early, would not be just for the produc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The novelist's work may remain the same as it first appeared, but if it is revised or adapted through the artist's hand again after the presentation, it may reflect the change of the artist's consciousnes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In the mid-1950s, Kim Jeong-han was personally responsible for the survival of his family as the head of the family, and socially, he had to fulfill his role as an educator while attend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this regard, there is a significant point of contact between Kim Jeong-han's life in the 1950s and the publication of “The Red of the Setting Sun”. Planning the publication of a novel, selecting works, and modifying works did not simply mean releasing a single book. Therefore, in this paper, what he intended to make a workbook was analyzed focusing on changes by e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s contained in “The Red of the Setting Sun”, Kim Jeong-han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ideology caused by his left-wing activities in the past.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novels contained through self-censorship. It also reveals awareness of human survival and death after the war, and interest in the needy and marginalized.

      • KCI등재

        1960년대 ‘동래 금강공원’의 로컬리티

        박형준(Park Hyung Jun)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이 논문은 1960년대 ‘동래 금강공원’을 재현하고 있는 소설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지역 장소성의 변모 양상과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고찰하는 글이다. 향파 이주홍과 요산 김정한은 같은 시기에 ‘동래 금강공원’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하였다. 전자의 「동래금강원」(『신동아』, 1969.2)과 후자의 「굴살이」(『현대문학』, 1969.9)가 그것이다. 근대 국민국가의 물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화’와 ‘도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던 1960년대 후반에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두 작가가 동일한 배경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는 사실은 쉽게 보아 넘길 문제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부산지역에 위치해 있는 동래 금강공원의 역사적 내력과 장소성의 변화 양상을 향파의 「동래금강원」과 요산의 「굴살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60년대 부산 ‘동래 금강공원’의 공간적 표상 변화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던 한국 사회의 내재적 모순과 부조리를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징후이다. 먼저, 향파는 「동래금강원」을 통해 1960년대 이후 크게 변모한 금강공원의 장소성을 파탄난 사랑/예술의 공간으로 그려내고 있다. 순수하고 오염되지 않은 장소로서의 ‘금강공원’과 욕망과 쾌락으로 점철된 ‘온천장’을 분별하면서, 사랑과 예술(문학)이 이루어질 수 없는 타락한 공간으로 온천장을 형상화했다. 이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된 도시 개발/오염이 순수하고 정갈한 인간 생의 의지(사랑/문학)를 좌초시키는 사회적 병폐임을 감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요산 김정한은 「굴살이」를 통해 1960년대의 도시 개발과정에서 떠밀려나거나 추방된 존재를 예민하게 감각하고 있다. 관찰자 ‘나’를 통해 재구성되는 ‘굴댁’의 처참한 사연이란, 우리 사회 속에서 자기 자신의 자리를 부여받지 못한 이들의 삶이 얼마나 쉽게 부서지고 찢어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증례와 다르지 않다. 특히, ‘밤순’이가 ‘굴댁’으로 몰락하는 과정에는 1960년대의 도시 팽창과 자본/투기의 문제점이 반영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ocial culture and the transformational Patterns of Local Places. By analyzing how to represent ‘Dongnae Geumgangpark’ in 1960 s novel. Lee juhong wrote a novel 「Dongnae Geumgangpark」(1969.2) and Kim Junghan wrote a novel 「life of cave」(1962.9). Two works material is same. it s ‘Dongnae Geumgangpark’ It s important that two writes who presenting Busan publish the works by using the same material ‘Dongnae Geumgangpark’ at the same time. By the end of the 1960s whe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ere underway in order to ensure the material base of the modern nation-state. This paper studys the historical contents and the changing mode of the placeness of ‘Dongnae Geumgangpark’, focusing on Lee juhong s 「Dongnae Geumgangpark」(1969.2) and Kim Junghan s 「life of cave」(1962.9). 1960 s space tranformation of tne Geumgangpark is social and cultural symptom to showing Contradiction and absurdity in Korean society. First, Lee juhong considerd placeness of Geumgangpark where greatly changed after 1960 s as a breaking sign of pure thing(love and art) He separated the park, as a pure uncontanminated place and Dongnae hot Springs filled with desire and pleasure. In addition Dongnae hot Springs was described a place of depravity where love and literature can not be achieved. Eventually, Lee juhong wanted say, pure and innocent life can’t be achieved in polluted space. In other words he predicted the evil of urbanization that will be frustratd the will of the pure and neat human life. Next, Yosan is keenly aware of the existence of being thrown out or deported from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 of the 1960s through 「life of cave」. The observer ‘I’ reconstructs ‘Guldaek s’ horrific story. This shows how easily can be broken the lives of those who have not received their status in our society.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Bamsun’ becoming ‘Guldaek’ reflected the problems of urban expansion and capital / speculation in the 1960s. This shows the realistic creative attitude unique to Yosan. In this way, 「life of cave」contains a common question about how our society will live with the persons who has not settled dow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