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마토 단동온실에서 공기순환팬 설치 방법에 의한 온실 내 온습도 분포 분석

        이태석(Tae Seok Lee),강금춘(Geum Choon Kang),백이(Yee Paek),문종필(Jong Pil Moon),오성식(Sung Sik Oh),권진경(Jin Kyung Kw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폭 7m, 길이 25m, 동고 3.2m의 토마토를 재배하는 온실에 공기순환팬을 설치하고 순환팬이 온실내 온도 및 습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기존의 순환팬 설치 기준(ASAE, 1997)을 참고하여 시험온실에 순환팬 10대를 2열 및 다른 방향으로 설치하여 18시부터 다음날 8시까지 온실 내 온습도를 측정하였다. 온실 내 온습도는 온실을 9개의 격자망으로 나눈 후 온실 중앙부에서는 0.7m, 1.7m 및 2.7m 높이, 온실 좌우측에는 0.7m, 1.7m 높이에 센서를 설치하였다. 공기순환팬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온실 상하부의 온도 및 습도의 평균값은 14.7℃, 74.8%와 13.0℃, 85.6%로 온습도차는 평균적으로 1.7℃, 10.8% 발생하였다. 공기순환팬 10대를 2열 및 다른 방향으로 설치하여 운용했을 때 온실 상하부의 온습도는 14.6℃, 75.9%와 14.5℃, 79.1%로 온습도 차는 각각 0.1℃, 3.2%였으며 순환팬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온실 상하부의 온도 및 습도 차가 감소하였다. 순환팬을 6대 및 5대로 줄여서 운용했을 때 온실 상하부의 온습도 차는 각각 0.3℃, 3.4%와 0.3℃, 4.0%로 나타나 순환팬 10대를 사용했을 때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순환팬 10대를 2열 및 같은 방향으로 설치했을 때의 온실 상하부의 온습도 차는 0.5℃, 4.9%로 팬을 다른 방향으로 설치했을 때보다 온습도 차가 크게 나타났다. 온실 좌우측면, 전후면의 온습도 차를 살펴보면 순환팬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좌우측면의 온습도 차는 0.3℃, 1.7%로 작아 팬을 사용했을 때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순환팬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1.0℃, 4.2%로 나타났던 전후면의 온습도 차는 순환팬을 사용함으로써 감소하였다. 이는 공기순환팬이 온실 내 공기를 순환시켜 온풍난방 시 상부에 정체된 더운 공기나 열손실로 인해 온도가 다른 공기를 교반시킴으로써 온도 및 습도 차가 감소한 것이다. 폭 7m, 길이 25m, 동고 3.2m인 단동온실에서 날개 크기 230㎜, 풍량 11㎥/min의 공기순환팬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순환팬 5대를 2열로 설치하되 각 열을 방향을 다르게 하고 9m 간격으로 설치하여 운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일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circulation fans on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a single-span tomato greenhouse (W: 7m, L: 25m, H: 3.2m). According to standard of fan layout by ASAE (1997), a total of 10 fans were bilaterally arranged in 2 rows in the experimental greenhouse. The distribution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measured from 6 pm to 8 am under different conditions, with and without fans. The measurement heights were 0.7m, 1.7m and 2.7m. Under the condition of “fans off”, the spatial difference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between upper and lower sides were 1.7℃ and 10.8%, respectively. The operation of 10 fans showed their differences to 0.1℃ and 3.2%. The number of fans and installation direction were evaluated their performance on reducing the spatial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experimental layouts were 5 and fans in 2 rows (bilaterally) and 10 fans in the one (same) direction. Under the condition of “6 fans on” and “5 fans on”, the spatial difference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between upper and lower side were 0.3℃, 3.4% and 0.3℃ and 4.0%. The operation of 10 fans in the one direction reduced their differences to 0.5℃ and 4.9%.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under each condi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more economic and effective to install five fans in 2 rows (bilaterally) in the greenhouse (W: 7m, L: 25m, H: 3.2m).

      • KCI우수등재

        최근 기상데이터를 반영한 냉난방 설계용 외기 온습도의 재산정

        남아영,김영일 대한설비공학회 2019 설비공학 논문집 Vol.31 No.4

        환경의 변화에 따라 외기조건도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설계용 냉난방 외기조건은 냉난방 시스템을 설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최근 기상데이터를 반영한 외기조건으로 설계가 이루어져야 초기투자비 및 운전비가최적화될 수 있다. 현재 사용 중인 국토교통부 설계용 온습도 외기조건은 1983년~1994년에 근거한 값이므로 본연구에서는 국내 1982년~2015년 기상데이터를 활용하여 표준 외기조건을 재산정하였다. 최근 기상데이터를 포함하여 건물 냉난방 부하 설계용 온습도 외기조건을 1997년 이후 ASHRAE Bin 방법으로 재산정하여 국토교통부제시 온습도 외기조건과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최근 기상데이터를 포함하여 34년간(1982~2015)의 데이터로 설계용 조건을 산출한 값과 국토교통부 제시조건을 비교하였을 때, 설계용 냉방 온도조건에서 산출한 온도 조건이 대전에서 최대 0.8℃ 차이로 온도가낮았으며 평균 0.3℃ 낮았다. 설계용 난방 온도조건에서는 산출한 온도 조건이 울산에서 최대 2.1℃ 높았고평균 1.5℃가 높았다. 최근 기상데이터 포함여부에 따라 설계용 온도 조건에서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2) 국토교통부 제시 습도 조건과 비교함에 있어서 온도 조건과 비교할 때처럼 냉방은 1.0%에 대한 값, 난방은99.0%에 대한 값으로 비교하였다. 국토교통부 제시 습도 조건과 산출한 냉방 MCWB 및 난방 MCWB를이용하여 환산한 상대습도를 비교하였을 때, 냉방 습구온도가 평균 1.6℃ 낮고, 난방 상대습도의 경우는평균 0.8% 낮았다. 냉방 습구온도는 서울에서 2.5℃로 가장 큰 온도 차를 보였고, 난방 상대습도에서는울산이 18.2%로 가장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3) 기상변화에 따라 외기조건도 변화되었으므로 최근 기상데이터를 반영하여 재산정된 본 연구의 결과인온습도 외기조건을 이용하여 냉난방 부하를 계산할 것을 제안한다. Standar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that reflect the local climate conditions are important for making accurate prediction of cooling and heating loads. The current standar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were calculated and compil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using old weather dat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pdate the outdoor climate design conditions by including recent weather data. Weather data of 8 representative regions (Seoul, Busan, Daegu, Daejeon, Incheon, Gwangju, Ulsan, Jeju) of Korea were acquired from the open portal site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ASHRAE Bin method for a one-year period was used to recalculate the design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hen recalculated temperatures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MOLIT standard, the average differences in heating and cooling temperatures were 1.5℃ and 0.3℃, respectively. Differences in heating relative humidity and cooling wet bulb temperature between the results of this work and the MOLIT data were 0.8% and 1.6℃ in average, respectively. As changes in weather are inevitable due to changes in natural environment,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newly calculate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design conditions for optimal design of heating and cooling loads.

      • 온습도 및 피부온도 日記를 통한 중간기(봄) 대학생의 열쾌적 특성 관찰

        오근숙,조은경,정근주,임영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The enhancing of Thermal comfort(TC) was a physical issue of the student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In generally, the HVAC system was not operated for the university classroom during spring season in the temperate region. However, there often was occured uncomfortable TC in the university classroom because recently there was high daily temperature range that effected the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a necessary work and research that enhancing of TC in the classroom at the midseason(spring). But, there was insufficiency data for the TC of near the university student body. This study aim is to enhancing data for improvement of TC in the university classroom through the observation on characteristic of TC of university student during spring season through diaries of skin temperature and ambie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conclusion, sometimes midseason(spring) was also necessary HVAC caused by the results what subject's skin temperature and thermal sensation scale get to be large range by the Climate Change, individual activity and over cooling. Therefore, research about HVAC for midseason(spring) was necessary.

      • 공간 보간 기반 온습도 추정 기법의 강인성 연구

        이정규 ( Jungkyu Lee ),임은정 ( Eunjeong Em ),강동현 ( Donghyun Kang ),이동훈 ( Donghoo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시설원예 재배 시 온습도는 작물 성장 및 생산성, 병해충 관리에도 많은 영향이 있다. 겨울철 저온을 제외하면 대부분 측장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온습도를 제어하기 어렵다. 외부 환경인자 유입으로 인한 온실내부 인자의 분포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정밀 제어를 위한 환경인자 모니터링이 필요하나 많은 센서로 계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인자의 빅데이터를 수집함에 있어 실험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미계측 공간의 예측 정확성 확보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2019년 6월 8~14일은 박스형 센서 모듈에 DCFan(SMC83341935mm, Gdstime Thechnology, China)을 장착하여 센서부 외부 공기를 순환하였고, 16~22일은 센서부 커버를 탈거하여 자연환기 상태에서 환경인자를 측정하였다. 테스트 베드는 청주시 소재 베리원딸기농장의 아치형 비닐하우스(10 m × 100m)로 총 45개의 센서 모듈을 설치하였다. 센서 표기는 온실 입구를 기준으로 입구부터 반대쪽까지 x축 1,2,3,4,5, 우측에서 좌측으로 y축 1,2,3, 바닥면부터 천장까지 z축 1,2,3 순으로 지정하여 3차원 좌표계를 완성하였다. 환경인자를 측정하기 위해 오차 범위 ±0.2 ℃, 습도는 ±2%를 나타내며, 측정 가능한 온도는 -40∼165 ℃, 습도는 0∼100% 의 분해능을 지닌 온습도 센서(HDC1080, Texas Instruments, USA)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취득은 무선 MCU모듈(CC1352R, Texas Instrument, USA)을 통해 Sub-1 GHz 방식으로 Gateway와 통신하고 2초 간격으로 측정된 data를 저장하였다. 데이터 처리는 x좌표 2,4번 센서의 실제 측정값과 1,3번 3,5번의 선형보간을 진행한 값의 상관관계 예측 성능을 평가하였다. 두 모델의 데이터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Fan 사용시 실측치와 예측치 분석결과는 온도 r2=0.79, 습도 r2=0.92의 결정계수를 RMSE는 0.8484, 1.7228을 나타냈다. 커버 탈거시의 분석결과 온도 r2=0.93, 습도 r2=0.86의 결정계수와, 0.7759와 2.2752의 RMSE 값을 도출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온도는 직사광선을 피한 개방상태에서의 측정, 습도는 Fan을 이용한 센서부 주변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측정한 값의 공간예측 결과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시설온실의 센서 위치에 의한 다른 지점의 환경인자를 예측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스마트팜의 정밀제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토마토 재배 온실의 환경조절에 따른 온습도 균일도 분석

        남상운(Sang-Woon Nam),김영식(Young-Shik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3

        공기유동 제어기술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토마토 재배 온실의 냉난방과 환기 및 공기유동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 온실유형과 난방방식별 온습도 분포를 실측하여 균일도를 분석하였다. 충남부여 세도지역의 토마토 재배 온실 136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동 플라스틱 온실의 천창 설치 비율이 낮고 환기팬과 유동팬 설치비율도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설치제원도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치형 단동 플라스틱온실의 천창환기 구조의 개발보급과 연동곡부의 천창도 지붕상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개별 천창구조 및 환기팬과 유동팬에 대한 설치 가이드라인의 제정이 요구된다. 냉방설비를 설치한 농가는 하나도 없었으며 난방방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온풍난방에서 덕트의 설치제원 역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온풍덕트의 배기풍속 및 배기온도 또한 거리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관측되었다.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품질의 생산물을 연중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온실냉방기술의 보급이 절실하며 난방방식이나 덕트설치 방식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내 온습도 분포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최대 편차와 실제 균등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균일도와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주간에는 직선식으로 야간에는 2차곡선식으로 다르게 표현되었다. 온습도 분포의 균일한 정도를 판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된다면 최대편차 대신 균일도를 지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유형과 난방방식에 따라 온습도분포의 균일도가 상당히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야간에는 온수난방의 경우 이랑배관으로, 온풍난방의 경우 온풍덕트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주간에는 환기와 공기유동을 통하여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heating, cooling, ventilation, and air-flow and experimental measuremen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 in tomato greenhouse were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required in the development of air-flow control technology. In single-span plastic houses, which account for most of 136 tomato greenhouses surveyed, roof windows, ventilation and air-flow fans were installed in a low rate, and installation specs of those facilities showed a very large deviation. There were no farms installed greenhouse cooling facilities. In the hot air heating system, which account for most of heating type, installation specs of hot air duct showed also a large deviation. The exhaust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hot air duct also were measured to have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heater. We are using the maximum difference as indicator to determine whether temperature distribution is uniform. However if the temperature slope is not identical in greenhouse, it can't represent the uniformity. We analyzed relation between the maximum difference and the uniformity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 The uniformity was calculated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data from 12 measuring points. They showed high correlation but were represented differently by linear in the daytime and quadratic in the nighttime. It could see that the uniformity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 was much different according to greenhouse type and heating method. The installation guidelines for ventilation and air-flow fan, the spread of greenhouse cooling technology for year-round stable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air duct and heating system, etc. are needed.

      • 고령자 맞춤 온습도 컨트롤을 위한 거실공간의 행위패턴과 온습도 분석

        문선영(Moon, Sun-Young),심민경(Shim, Min-Kyeong),이현수(Lee, Hyun-S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have direct effects on prevalence rate and death rate of the elderly peopl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iving roo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custom-mad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system for the elderly by analyzing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data in the living room space. Living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easured every 1 minute using the sensor, and the activities of the test subjects were directly recorded in the activity diary by themselves every 10 minutes. The analysis of the elderly in their living rooms revealed that, they spent the longest time a day in living room except for the bedroom where they slept. All the active behaviors which can happen in their living spaces were found to be made in living room. Most of their leisure activities were also made in living room. The analysis of living room temperature data showed that, even if the temperatures were proper for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t is desirable to reduce it to some ext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almost all of active behaviors of the elderly take place in living room. Humidity levels in living room were much lower than what is recommended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seems urgent to adopt a proper humidity regulating system, given the physiological attributes of the elderly who are not sensitive to humidity.

      • 온실 내 온습도환경관리를 위한 제어인터페이스 성능평가

        장영균 ( Young-kyun Jang ),카말라술 ( Kamal Rasool ),밀론초두리 ( Milon Chowdhury ),정재혁 ( Jae-hyeok Jeong ),정선옥 ( Sun-ok Chu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우리나라는 과채류, 화훼 등의 작물을 집약적으로 생산하는 시설원예 온실이 1950년대부터 2000년도까지 온실 규모가 급증가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도 이전부터 네덜란드의 ICT 기반의 스마트팜 기술이 도입된 스마트 온실이 보급, 활용되었고, 시설원예 환경관리를 위한 복합환경제어기는 대부분 네덜란드, 이스라엘 등의 수입산이며, 초기 구축비용이 고가제품으로 고장시 수리 또한 힘들어 실질적으로 농가가 사용하는 불편함이 많이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실 내부 구동기가 센싱 값에 따라 자동제어가 가능한 H/W를 설계, 제작하고, 자동제어알고리즘을 적용하여 PID 제어방법으로 온실 내 온습도 관리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인터페이스를 저가형으로 오픈소스 형태이고 간편 교체가 가능한 아두이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제어장치의 고장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릴레이 교체 또는 추가를 통해 손쉽게 구동기 교체가 가능하도록 10A 릴레이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어인터페이스는 온실 내외부의 온습도 환경요인을 센서를 통해 자동 측정하고, 제어기에 입력된 환경관리 목표값에 따라 각종 구동장치를 가동시켜 온실 내부의 환경을 최적 관리하며, 센싱 값에 대한 구동기가 희망온도 27℃, 희망습도 60%를 설정하고 온도를 관리하는 유동팬, 냉난방기, 습도를 관리하는 제습기, 가습기를 작동시킨 결과, 1시간 이내에 온도 5%, 습도가 오차범위 2% 이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목표 수치에서 온습도 변화에 따라 잦은 구동이 반복되기때문에, PID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온도, 습도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밀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감성공학 DB 구축을 위한 열적쾌적성 측정 시스템 개발

        한화택 ( Hwa Taik Han ),박명규 ( Myung Kyu Park ),이성수 ( Sung Su Lee ),천효성 ( Hyo Sung Cheon ),박성준 ( Sung Jun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02 추계학술대회 Vol.2002 No.-

        인간 감성변화의 기본인 피부온도 및 피복내 온습도 측정을 위한 시스템과 감성공학적 해석을 위한 보다 정밀하고 안정성이 있는 센서의 응답성 및 회로의 선형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의복내 환경평가 및 실내 온습도 측정등의 다양한 감성공학적 해석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는 손쉬운 온습도 변환장치와 풍부한 저장능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온습도 측정기와 이에 필요한 센서를 개발하고 측정기의 선형화특성을 평가하였다.

      • 온습도지수 및 암모니아 농도가 계절별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대훈 ( Daehun Kim ),이승훈 ( Seunghun Lee ),김은종 ( Eunjong Kim ),이명성 ( Myeongseong Lee ),위지수 ( Jisoo Wi ),안희권 ( Heekwon Ah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강제환기가 적용되는 육계사를 대상으로 계절별 온습도 지수 및 암모니아 농도에 따른 육계의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육계농가는 120m(L)*15m(W) 크기의 무창계사로 Cobb broiler 4만수(사육밀도 약 38.5kg/m2)를 사육하고 있었다. 육계사내 온도 조절 목적으로 터널 배기팬(지름 1m) 14개와 2개의 측면배기팬를 가동하고 있었으며, 환기수준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다. 사료는 사양단계에 따라 초기(0~7일), 전기(8~23일), 후기(24~34일)를 구분하여 급여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장치를 통해 자율적으로 음수가 가능하게 하였다. 육계사내 암모니아 농도와 온·습도는 실험실에서 자체개발한 실시간 악취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구를 기준으로 30m, 60m, 90m, 117m 떨어진 위치에서 바닥의 1m 상층 지점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온·습도지수는 계절별로 여름 80, 가을 76, 겨울 77로 문헌에 보고된 적정 온습도지수(60~70)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여름 15ppm, 가을 20ppm, 겨울 26ppm으로 환기량이 낮은 겨울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특히 사육후기 단계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폐사율은 겨울(4.22%), 가을(3.43%), 여름(2.98%)순으로 암모니아 농도가 높을수록 폐사율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사료효율은 가을이 63%로 여름, 겨울철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암모니아 농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상조건 및 온습도지수가 젖소의 유질에 미치는 영향

        양인정,한광우,윤호백,이준희,이원재,전상곤,김진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6

        Increasing in ambient temperature by global warming is likely to reduce milk yields and negatively affect milk quality in dairy cows.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would impact on dairy industry since production costs would increase with reductions in milk production. In Korea, dairy farmers are pai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raw milk components (milk fat concentrations, somatic cell counts and bacteria cell counts). In this study, to assess changes of milk quality caused by ambi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Gyeongbuk province), the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was calculated on the base of the equation suggested by Schoen's model.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THI on milk quality. Increased temperature and THI significantly reduced milk fat concentrations from 4.0-4.1% during the winter to 3.6-3.7% during the summer. Occurrence ratio of the 1st grade somatic cell counts (1st SCC) was lower during April to September compared to that of annual average. The THI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milk fat concentrations (r=-0.8914) and 1st SCC (r=-0.6067) in the overall Gyeongbuk region.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temperature and THI on milk fat concentrations and 1st SCC. Whereas occurrence ratio of 1A bacteria cell counts (1A BC) had no correlation with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THI. To make predictions for milk fat concentrations and 1st SCC, th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fit data.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I is a useful and easy way to assess the risks of heat stress and is a candidate parameter to predict milk quality. 지구 온난화에 따른 외기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은 젖소의 유질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원유의 유지방함량, 체세포수 및 세균수를 기준으로 유대가격을 산정하고 있어 궁극적으로 여름철 온도의 상승은 젖소농가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외기온도와 상대습도을 조사하고 외기온도와 상대습도에 따른 온습도지수 (THI)를 도출하여 유질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지방 함량은 겨울철 4.0-4.1%에서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3.6-3.7%로 저하하였고 동시에 온도와 THI가 상승하였다. 체세포수 1등급 출현율은 4-9월이 다른 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는 유지방 함량과는 r=-0.8914, 체세포수 1등급 출현율과는 r=-0.6067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세균수 1등급 출현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을 보이지 않았다. THI에 따른 유지방함량 및 체세포수 1등급 출현율을 예측할 수 있는 공식을 단순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을 종합하면, 온도 및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도출한 THI는 젖소의 고온스트레스를 분석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