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실시한 뒤, 예비 과학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및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도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수업 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 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 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도구 활용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기 전에는 본인이 속한 대학교에서 주로 사용한 실시간 화상 강의 도구와 기존의 대면 수업에서 주로 사용된 온라인 수업 도구 위주로만 알고 있을 뿐 다양한 온라인 학습 도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받은 후 예비 과학 교사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도구 중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 자료를 관리하기 용이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호하였다. 예비과학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중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 내용 중 온라인 수업 도구를 선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 과학 교사는 교육 프로그램이 온라인 수업 관련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본인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능력과 수업설계 및 수업 실연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예비 과학 교사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 교육으로서 온라인 수업 도구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o a group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a semester. An inventory of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consisted of five areas includ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such programs,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lesson designs based on online teaching tools, and teaching demonstration skills. The finding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show that they did not know various online learning tools before receiving education on their utilization. They were only familiar with real-time video lecturing tools that they usually used in the college and the online teaching tools used in the face-to-face lessons. After receiving training, however, they became familiar with various online teaching tools and developed a preference for such online learning tools which could be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to induce student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nd to more easily manage learning materials. The study also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found that they had the greatest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of utilizing online teaching tools," which provided experiences of selecting and making use of online teaching tools, in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ere helpful to enhance their online teaching competence and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heir abilities to utilize online teaching tools, design a lesson, and give a teaching demonstration. That 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positive reactions to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eded to consistently run and expand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the utilization of online teaching tools as par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민간경비 교육훈련의 현황 및 개선방안:

        이승철(Lee, Seung-Chal),이상원(Lee, Sang-Wo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7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6 No.3

        2015년부터 도입된 온라인 민간경비 직무교육은 온라인 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교육의 편리성, 관리의 용이성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온라인 직무교육에 참가하는 경비원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2016년 경찰청장의 감독명령에 의해 검정되지 않은 다수의 온라인교육기관이 참여함에 따라 직무교육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온라인 민간경비 직무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온라인 직무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질적인 수준이 담보되지 않은 온라인 교육기관이 직무교육을 수행하여 직무교육의 효과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둘째, 교육학습에 있어서 기술적 지원체계의 미흡으로 원활한 교육진행의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교육현황은 기존의 집체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입한 온라인 교육방법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직무교육의 품질을 개선하고 직무교육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기관에 대한 일정한 규제가 필 요하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현재의 신임교육기관 선정과 유사하게 일정한 수준(교육과정, 전문가 보유, 모바일 교육지원 체제 등)을 유지하고 있는 교육기관을 평가하여 감독기관인 경찰청이 지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일정한 교육의 품질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방안, 둘째, 온라인 민간경비 직무교육을 감독하는 경찰청의 관련 부서에서 검증위원회를 설치하여 위원회에서 일정한 수준의 교육기관을 검증하여 허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on-line security training system has been introduced since 2015, and the number of security guards participating in on-line job training is rapidly due to the convenience of education and the ease of management.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many non-certified on-line education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supervision order of the police chief in 2016,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quality of job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private security professional education is suggested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 The present problems of on-line job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online education institutions that are not guaranteed qualitative level are dropping the effectiveness of job education by carrying out job education. Second, it is difficult to proceed with smooth education due to lack of technical support system in educational learn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does not fully utilize the advantages of the on-line education method introduc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ducation. Therefore, some regulations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job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job education. First, it evaluates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maintain a certain level (curriculum, specialist holding, mobile education support system, etc.) similar to the current selection of the new educational institution, Second, the relevant department of the NPA, which oversees online private security job training, will set up a verification committee to propose ways for the committee to verify and allow a certain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 KCI등재

        온라인 대학교육의 공정경쟁을 위한 법정책적 논의 ― 대학온라인교육통합에 따른 사이버대학의 차별을 중심으로 ―

        윤진아 ( Yoon Jinah ),양재모 ( Yang Jae Mo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0 No.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은 대학교육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이버대학 등 원격대학에서 주로 이루어졌던 온라인 교육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비대면 수업의 확대로 인해 일반대학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일반대학에서의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확대는 특히 사회·경제·건강 여건상 비대면으로 대학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학생들에게는 강의 접근성과 편리성의 증대라는 이득을 가져다주었다. 2022년부터는 사이버대학 등의 원격대학에서 주로 제공하던 온라인 교육과정을 일반대학에서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일반대학에서는 학위 취득과 자격증 취득이 연계된 전공이나 정원 관리가 필요한 전공(학과)은 온라인 학위과정으로 운영할 수 없으나 석사과정 및 국내대학과 외국대학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전문)학사과정은 운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문제는 사이버대학의 특수대학원은 오프라인대학(일반대학)의 특수대학원과 동일한 목적으로 설립 운영함에도 불구하고 인가절차에 관하여는 오프라인 특수대학원에 비해 상당히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대학 특수대학원의 설립기준과 오프라인대학 특수대학원의 설립기준에 관한 규정을 헌법상 교육평등권에 반하지 않고 목적을 실현하는 데 적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202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은 대학 등의 원격교육에 관한 기본적 사항과 원격교육 시 교육기관의 책무 및 이에 대한 국가 등의 지원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교육기관에서 양질의 원격교육이 제공되는 데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원격교육 기관들에 대한 통일적인 정책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온라인 대학교육의 통일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관련 규정의 일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온라인 대학교육규정이 일원화되면 관련 정책들도 일원화될 수 있고 관리감독기구 역시 함께 일원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Online education, which was mainly conducted in remote universities such as cyber universities, has expanded to general universities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class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is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in general universities has provided benefits of increasing lectu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especially for stud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live non-face-to-face college life due to social, economic, and health conditions, to increase access to lectures and convenience. From 2022, general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operate online curricula that were mainly provided by remote universities such as cyber universities. In general universities, major (department) that requires degree or qualification management cannot be operated as an online degree course, but master's courses and (professional) bachelor's courses jointly operated by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can be operated. The problem is that even though special graduate schools of cyber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same purpose as special graduate schools of offline universities (general universities), the approval process is quite strict compared to offline special graduate school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standards of special graduate schools of cyber universities and special graduate schools of offline universities to be suitable for realizing the purpose without going against the right to educational equality under the Constitution. The “Basic Act on Revitalizing Digital-Based Remote Education,”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2022, aims to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remote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setting basic matters on remote education such as universities, responsibiliti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pport. However, a unified policy for various remote education institution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For the uniform implementation of online university educatio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unify related regulations. If online university education regulations are unified, related policies will be unified, and management and supervisory organizations will also be unified.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

        노일경(Ilkyung Noh),정혜령(Hyeryung Jung),우영희(Younghee 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운영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이 대학 내 안착될 가능성에 대한 진단과 온라인교육 활성화에 대한 접근 전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 확보의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틀을 구성하여 대학관계자 14명과 관련 분야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서면으로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다수의 대학관계자와 전문가들은 온라인교육이 향후 대학교육의 혁신을 촉진할 주요 기제로 작동하여 대학교육의 뉴노멀이 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온라인교육의 진단과 요구에 관한 결과로 첫째, 교육 콘텐츠 및 관련 시설, 장비의 확충 등은 온라인교육 활성화에 결정적 요소가 아니며, 오히려 대학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시스템 고도화 등이 더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둘째, 온라인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내 제도 마련 및 교강사 역량 제고 등이 가장 긴급하고 영향력 높은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온라인교육에 대한 수용감과 참여역량은 높았지만, 교강사 및 대학의 수행 역량은 낮아서 학생들의 기대 및 만족 정도에 부합하는 온라인교육을 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뉴노멀로서 대학 내 온라인교육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 정책 및 제도 시행을 통해 대학 내 온라인교육 시행 안착의 마중물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이 자율적으로 온라인교육 활성화의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교육의 인프라 조성, 관계자 역량 향상 등에 필요한 투자 재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온라인교육 시행의 효과를 지속하여 검증하고, 그 효과성을 대학 내에 공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diagnosis of the possibility of online education being settled in universities as a new normal in the post-corona era university operation and awareness of access strategies for promoting online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an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4 university officials and 10 experts in related field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university officials and experts recognized that online education could function as a new norm for university education by acting as a major mechanism to promote future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and demand of online education, first,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facilities and equipment is not decisive in revitalizing online education, but rather, data-based system advancem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universities is more meaningful. Second, despite establishing an in-university’s policies and enhancing teachers capabilities are the most urgent and influential factors to revitalize online education, they are found to be the most insufficient at the moment. Finally, students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in online education are high, while teachers and universities performance are low,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online education that meets student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online education as a new normal,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a prim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government policies and systems, and universities should voluntarily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And, in order to secure stable investment resources required to create infrastructure for online education and improve the capabilities of officials,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verified and shared within universities.

      • KCI등재

        온라인 SW영재교육 시행을 위한 플랫폼 선호도 조사연구

        이재호(Jaeho Lee),전우천(Woochun Jun),예홍진(Hongjin Yeh),전미란(Miran Chun),진석언(Suk-Un Jin),김유진(Yujin Kim),장준형(Junhyung Jang)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코로나-19 사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온라인 일반 교육은 2020년 하반기 들어 비교적 안정화되는 추세이나 SW 코딩 실습과 과정 중심의 산출물 지도 등을 시행해야 하는 SW영재교육 분야는 온라인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SW영재교육 분야 역시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되었다. 따라서, SW영재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SW영재학급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은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 선호도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온라인 SW영재교육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플랫폼에서 지원해야 하는 주요 기능을 플랫폼 선호도 조사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의 주요 이용자는 교사와 학생이기에 이들에게 친숙한 플랫폼을 온라인 SW영재학급 플랫폼 선호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선호도 조사 실시용 온라인 조사지를 개발하고, 101명의 교육 분야 전문가들에게 온라인 조사용 사이트 주소를 발송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선호도 기준별로 분석하여 온라인 SW영재교육에 적합한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tforms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at a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W gifted education. Online education, which began due to the outbreak, is stabilizing now owever, it is difficult to actively accept online education in areas where SW coding practice and process-oriented output guidance are required. Despite the situation, the SW gifted education sector has also actively considered the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crisi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which online platform was best suited for use in class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 department that specializes in SW gifted education. The online platform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the main functions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criteria. As a result, five preference criteria were established: teaching and learning management, educational content, community, accessibility, and performance. Second, the main users, familiar platform selected as subject of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EBS eSop, SW-centered society, Google Classroom, Naver EDWITH, e-learning site, band, and Kakao Channel. Third, we developed an online survey site conduct preference surveys and sent the site address to 101 experts in education. Finally, we analyzed the opinions of experts by preference criteria and propose a platform suitable for online SW gifted education.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을 통한 국어과 온라인 교육의 방향 탐색

        변숙자 ( Byeon¸ Sook-ja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7

        본 연구는 초·중·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에 관한 수행 경험 및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온라인 교육을 위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의 문제점으로, 쌍방향 의사소통 단절 및 온라인 교육 시스템 부실, 교사 역량 부족 및 수업 환경 미흡 등을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하였고, 이에 대한 보완점으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환경 구축 및 교사 전문성 강화, 제도적 지원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온라인 교육의 좋은 점으로, 가정 환경에 기반한 편리성과 시간 활용의 자율성을 가장 긍정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어려운 점으로는 실시간 질문 및 의사소통 제한에 따른 학습내용 이해력 부족을 가장 강하게 인식하였다. 온라인 교육의 공통적 문제점은 의사소통의 단절로서, 의사소통 도구 교과인 국어교육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쌍방향 온라인 수업 플랫폼 활용 확대, 온라인 기반 의시소통 교육 방안 재구조화, 온·오프라인 병행 및 융합 교수·학습 모델 개발,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문화교육 강조를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nline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derive certain implications for onlin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teacher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education system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as a problem of online education, and as a complementary point, the two-way communication break. The students presented the most positively about the convenience of online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time use based on the home environment, but the difficult point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due to real-time questions and restrictions on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mon problem of online education is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ommunication tool subject, it was found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prepare a plan to activate communication.

      • KCI등재

        환경교육과 환경커뮤니케이션 관점을 적용한 온라인 환경교육의 인식 및 전략 연구

        이혜선,조재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9 No.1

        This study used an induc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people’s perception abou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actical strategies of progressing it, mainly based on perspectives from both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mmunication. For this investigation, in-depth interview was used to collect opinions from eleven experts who had experiences abou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Participants stated tha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paid major attention to media, environmental topics, and functions. In particular, as those experts were forced to emphasize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but experience a lack of external supports, they began to see negative factors related to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required individuals to have multiple competencies such as media literacy and active interactions with instructors.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interviewees, the experiences from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linked to the offline experiences from the face-to-face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that eco-friendly behaviors in people’s daily lives also led to online interactions.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meaningful for trying to integrate perspectives from both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mmunication. 본 연구는 환경교육과 미디어에 관한 기존 논의가 온라인 환경교육을 포괄하기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환경교육과 환경커뮤니케이션 관점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온라인 환경교육의 인식 및 전략에 관한 귀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주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환경교육⋅환경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온라인 환경교육 관련 연구 및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근거이론 코딩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뒤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환경교육⋅환경커뮤니케이션 분야 전문가들은 온라인 환경교육을 미디어, 환경 주제, 기능 중심으로 인식하였으며, 온라인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은 면대면으로 이루어지던 기존 환경교육과의 비교과정에서 구성되었다. 특히 온라인 환경교육으로의 갑작스럽고 강제적인 전환경험과 지원의 미비는 온라인 환경교육 관련 부정적 요소를 인식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온라인 환경교육은 미디어 리터러시나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등 복합적 역량이 필요하며,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미디어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할 가능성도 논의되었다. 더불어 온라인 환경교육이 제공하는 경험과 면대면 방식으로 진행하던 기존 환경교육의 물리적 접촉 경험을 연계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학습자의 일상생활 속 친환경 행동이 온라인에서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질가능성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환경커뮤니케이션 관점을 반영한 온라인 환경교육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 활용 실태 분석 연구

        김성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국가 수준의 공공성을 가지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지원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에듀넷 티클리어’, ‘학교알리미’, ‘학생평가지원포털’, ‘고교학점제 사이트’의 5개 사이트에 대하여 활용 현황과 개선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주사용자인 교사(초등 860명, 중학 1,223명, 고등 1,308명) 총 3,3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보면, 교육과정 정보의 주요 습득 경로는 ‘국가 운영 사이트’가 40.8%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 활용 정도는 학교알리미,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에듀넷 티클리어, 학생평가지원포털, 고교학점제 사이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주된 활용 이유는 ‘교과 교육과정 계획’이었고, 특히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와 고교학점제 사이트는 학교 교육과정 방향 설정 시 ‘국가 교육과정 이해’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과정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활용 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 장학사 25명, 초・중・고 교사 51명(총 7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질문의 주요 내용은 국내 5개 사이트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관련 업무 활용 사례와 보완・추가가 필요한 메뉴나 기능이 무엇인지를 묻는 것이었다. 각 사이트별 요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료 업데이트 요구, 검색 및 피드백 기능 강화 요구, 메인 화면의 단순화 및 정보 접근성 제고 요구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five websites operated by government for public interest: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Edunet T-clear’, ‘School Information’, ‘Student Evaluation Support Portal,’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order to examine the use of the five curriculum online support systems, a total of 3,391 teachers (860 elementary school, 1,223 middle school, and 1,308 high school) who are the target users of the systems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means for acquiring curriculum information was through ‘online systems operated by government’, with the highest user rate at 40.8%. Second, curriculum online support systems were utilized the most in the order of ‘School Information’,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Edunet T-clear’, ‘Student Evaluation Support Portal’,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the reason for using an online curriculum support system was to plan the curriculum, which was the reason ranked in the top three for all the sites. It was found that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are mainly being used to understand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setting the direction for school curriculums. For an in-depth analysis on the use of curriculum online support systems, a monitoring group of 25 educational officers in cities and provinces and 51 elementary/middle/high school teachers (total of 76) was formed. The study suggested what menus, functions, and practice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need to be supplemented or added to the five websites.

      • 온라인 불교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FGI를 중심으로

        정지권(Ji-kwon Jeong)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학습자의 온라인 불교교육 관련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불교교육에 참여한 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온라인 불교교육과 관련된 학습자의 요구는 ‘온라인 불교교육 이용 동기’, ‘온라인 불교교육 참여 경험’, ‘온라인 불교교육의 현장 활용가능성 증대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온라인 불교교육 이용 동기’에서 ‘불교공부에 대한 욕구’, ‘심리적 안정감 획득’, ‘도반들과의 소통’, ‘신행생활 욕구’, ‘비대면으로 인한 불교 콘텐츠 접근성 강화’가 도출되었다. ‘온라인 불교교육 참여 경험’에서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수업방식’, ‘다양한 수업 콘텐츠 활용’, ‘진도위주의 수업’, ‘구체적인 수업’, ‘비대면 수업에서의 소통’이 도출되었다. ‘온라인 불교교육의 현장 활용가능성 증대를 위해 필요한 지원’에서 ‘비대면 수업을 위한 시스템 개선 필요’, ‘매력도가 높은 비대면 콘텐츠 개발’, ‘소통 가능한 소그룹 활동 수업 개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소통 강화’, ‘비대면 불교 교육과정 체계화 필요’, ‘온라인 수업 평가 필요’, ‘비대면 상담에 대한 고려 필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 대상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온라인 불교교육의 구성,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방향성 도출 및 불교 관련 연구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arners’ needs related to online Buddhist education.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with seve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Learners’ needs related to online Buddhist education were centered around ‘motivation to use online Buddhist educatio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and ‘support needed to increase the field usability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From the ‘motivation for using online Buddhist education’, ‘desire to study Buddhism’, ‘acquiring psychological stability’, ‘communication with believers’, ‘desire to live a spiritual life’, and ‘strengthening accessibility to Buddhist content through non-face-to-face’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various teaching methods through online’, ‘use of various class contents’, ‘progress-oriented classes’, ‘specific classes’, and ‘communic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were derived. From ‘Support needed to increase field usability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to ‘Need to improve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Development of highly attractive non-face-to-face cont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small group activity classes’, ‘Instructors and learners’ ‘Strengthening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Need to systematize non-face-to-face Buddhist curriculum’, ‘Need to evaluate online classes’, and ‘Need to consider non-face-to-face counseling’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d to deriving directions for the composition, content, and methods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and diversifying Buddhism-related research methods by conducting a needs analysis of learners.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전중원 ( Jeon Joongw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 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코로나 19로 인해 변화된 사회에 따른 교육 정책 수립, 교육 대학의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수립 근거 등의 다방면에 종합적이며 합리적인 대안 및 정책 입안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온라인 수업 시 기존 자료를 이용한 콘텐츠 활용 중심 온라인 수업을 주로 사용하며 선호하였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에 따른 준비 영역의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에 따른 경험 영역의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습 준비 및 실제 수업 시간은 온라인 수업과 대면 수업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 만족도 영역의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문항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인식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과 추후 학기에 계속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 속 학생의 학습 및 참여, 평가 방법, 학습 성과에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의 차이는 준비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평균 점수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 19로 인한 세계적 전염병 유행 상황에서 초등학교 현장의 수업 방법에 대한 설정 및 교사 대상의 연수 프로그램 내용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online used teaching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33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First, approximately half of elementary teachers have used the online lesson using already made contents. Elementary teachers prefer the online lesson using already made contents. Second, the results of the o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used teaching method Preparedness,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positively. Third, the results of the o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used teaching method Experience,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positively. However teachers have a negative perception on the amount of time to teach a lesson online and face to face environment. Fourth, the results of the o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used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Teachers demonstrate a positive perception on their overall online used teaching method level of satisfaction, preference to online used teaching method in next semester. Teachers demonstrate a negative perception on the Improving student learning and engagement, current assessment method used during online teaching, the outcome of the online teaching. Fifth, In the Preparedness, there is difference between people in their 20s~30s and over 40s. The average score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in the Preparedness is higher than those in their over 40s. The findings in this analysis are discussed on terms of online used teaching metho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future research, Limitations to the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