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기술지 연구에서의 영역 분석

        김필성,김영천 한국질적탐구학회 2015 질적탐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문화기술지에서의 영역 분석 방법(Domain analysis)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기술지는 질적 연구의 가장 오래된 전통으로서 질적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문화기술지에서의 분석 기법들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기술지에서의 영역 분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화 영역 분석은 문화의 총체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 기법으로서 문화와 개인의 행위를 이해하는 기본적 인 방법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문화 영역 분석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 과 분류분석(Taxonomy), 그리고 매트릭스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omain analysis method in ethnography. Even when ethnography takes an essential par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s the longest tradition of it, there are not much analytical techniques of ethnography introduced in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domain analysis in ethnography. As a research technique to understand the entire culture, culture domain analysis is a basic method to review and learn culture and individual’s behaviors. In this aspect,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domain analysis, taxonomy, and matrix analysis as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the culture domain analysis.

      • KCI등재

        이미지 필터와 제한조건을 이용한 문서영상 구조분석

        장대근,황찬식,Jang, Dae-Geun,Hwang, Chan-S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3

        문서영상 구조분석은 문서영상을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분할된 영역을 문자, 그림, 표 등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중 영역분류 과정에서 영역의 크기, 흑화소 밀도, 화소 분포의 복잡도는 영역을 분류하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그림의 경우 이러한 기준들의 범위가 넓어 경계를 정하기 어려우므로 다른 형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분류의 비율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과 문자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영역의 크기, 흑화소 밀도, 화소 분포의 복잡도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메디안 필터를 이용하고, 영역확장 필터(region expanding filter)와 제한 조건들을 이용하여 영역분류에서의 오분류를 수정함으로써 상용제품을 포함한 기존 방법에 비해 그림과 문자의 분류가 우수한 문서영상 구조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Document image layout analysis contains the process to segment document image into detailed regions and the process to classify the segmented regions into text, picture, table or etc. In the region classification process, the size of a region, the density of black pixels, and the complexity of pixel distribution are the bases of region classification. But in case of picture, the ranges of these bases are so wide that it's difficult to decide the classification threshold between picture and others. As a result, the picture has a higher region classification error than others. In this paper, we propose document image layout analysis method which has a better performance for the picture and text region classification than that of previous methods including commercial softwares. In the picture and text region classification, median filter is used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size of a region, the density of black pixels, and the complexity of pixel distribution. Futhermore the classification error is corrected by the use of region expanding filter and constrained conditions.

      • KCI등재

        수능 문법 평가 문항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원분류에 따른 문항 타당성 검토를 중심으로-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2 No.-

        이 연구는 수능 국어 영역의 문법 평가 문항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문법 영역의 이원분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7~2019학년도 출제 문항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원분류표의 체계를 살피고 수능 국어 영역의 이원분류 적용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핀다. 그런 다음 수능 문법 평가 문항의 이원분류표를 문법의 세부 출제 내용을 토대로 구체화하여 출제된 문항에 대한 분석의 틀로 삼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2017~2019학년도의 수능 문법평가 문항을 검토한다.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내용 영역은 ‘단어 범주에 치우친 지문 구성, 온전한 통합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통합형 문항, 담화 및 국어 의식과 같은 태도 관련 문항의 제작 전무’ 등의 문제점이 파악된다. 행동 영역의 경우 이러한 내용 영역에 대응되는 것이 ‘개념’이라는 하위 영역에 치우치고 있어서, 문법의 수행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행동영역의 구성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가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ritically the grammar test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Especially this study grasps features of the specific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grammar domain, and it reviews the validity of items for 2017~2019 school years based on the specifi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looks carefully a system of the table of specification, and it finds out a diachronic application aspect of the specifi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s a result, the grammar domain is found a considerable change in both content areas and behavioral areas by those diachronic aspects. And then, this study materializes the specification of grammar test items on a basis of specific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questions. This specification could be an analysis standard for constructed grammar test items. Based on the specification in the grammar domain, the analysis result for the grammar test items for 2017~2019 school years is following below. In content areas, this study finds out questions about “a biased text constructing to the morphology category, the integration-oriented items not reflecting the whole grammar educational integration, no items related to the pragmatics category and the affective questions like the Korean linguistic awareness.” In behavior areas, this study bring out a fundamental question for the constructing behavior areas which do not mirror the performing features of the grammar education, because the existing grammar behavior areas only reflect the “concept” component coping with the grammar content area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이해」과목의 평가목표 이원분류에 의한 문항 유형 분석

        김진구,이종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tem types by the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on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to identify question trend and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item type.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 and behavioral areas of the 360 items taken 18 times(6 in the CSAT, 12 in the preliminary CSAT) from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since year 2005, vocational education test was first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the CSAT, to 2010, and conducted SME group surveys and experts committee to ensure validity of the standards classifying content and behavioral areas of each item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ME group validity surveys, the items ensured validity were 330 in the content areas and 280 in the behavioral areas with 80% of positive ratio and more than 0.56 of CVR. The main factors of low validity were the intervention by subjective viewpoints according to overlapping learning contents between chapters in contents area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viewpoints in behavioral areas. Second, after analyzing the item types by the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integrated lesson uni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content areas with the content system characteristics. 14 types were embodied in behavioral areas, 3 types of Knowledg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were accounted for 60%. Third, after embodying the item types based on the sub-factors of evaluation in each behavioral area, various types mixed with more than 2 kinds of evaluation factors were found. For example, among the types of measuring a single behavioral area, Knowledge type was embodied into 17 types. The majority of them was the type which measuring the ability of memorizing realistic contents, most taken from the unit of Foreign Farming. Among the types of measuring mixed with more than 2 kinds of behavioral area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ype was embodied into 31 types. The most of them was the type which measuring the ability of summarizing data at a new point of view by memorizing the contents on the terms and conceptions, most taken from the unit of Task Activities and the unit of Agriculture and Career. As the result, there was identified some different from the item types of behavioral area which measuring each contents area(Units, Chapters). 이 연구는 평가목표 이원분류를 기준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직업탐구 영역 「농업 이해」에서 출제되었던 문항들의 문항 유형을 분석하고, 각 문항 유형별 출제 경향 및 주요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직업탐구 영역이 처음 수능에 도입․시행된 2005학년도부터 2010학년도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의 18회 시험(수능 6회, 모의평가 12회)에서 출제되었던 「농업 이해」의 360문항에 대한 내용영역 및 행동영역을 분석하였고,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개별 문항의 내용영역 및 행동영역 분류 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타당성 설문조사에서 긍정률 80%, CVR값 0.56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었던 문항은 내용영역 분류 안 330문항, 행동영역 분류 안 280문항이었다. 둘째, 평가목표 이원분류에 의하면, 내용영역은 입문(入門)적 성격 및 학습내용 중복과 같은 내용체계 특성으로 대단원 간 통합형이 가장 많았다. 행동영역은 14가지 유형으로 구체화되었는데, 이 중 지식, 지식+이해, 이해 등의 3가지 문항 유형이 전체 분석대상의 60%정도를 차지하였다. 셋째, 각 행동영역에서 측정하고자하는 하위 평가요소를 기준으로 문항 유형을 구체화한 결과, 14가지의 행동영역 유형별로 2개 이상 평가요소가 혼합된 다양한 형태의 문항 유형들이 발견되었다. 이 중 단일 행동영역만을 측정하는 유형 중, 17가지 유형으로 세분된 지식형은 사실적 내용을 기억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고, 6가지 유형으로 세분된 이해형은 자료를 새로운 관점에서 요약하고 자료에 내포된 함축적 의미 등을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이 유형의 50%정도는 과제활동의 뜻 중단원 및 대단원 간 통합으로 출제되었다. 2개 이상 행동영역이 혼합된 형태의 유형 중 31가지 유형으로 세분된 지식+이해형은 용어와 개념에 관한 내용을 기억하여 자료를 새로운 관점에서 요약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내용영역(대단원, 중단원)별로 측정하고자하는 행동영역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학 비교

        김옥남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recently D. R. Krathwohl who was a co-writer of Bloom's original taxonomy published the revised book with L. W. Anderson. So This study purpos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taxonomy studies by comparing and analysing Bloom's original taxonomy with the recent alternatives, and in this study all four taxonomies - Bloom et al(1956),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were examined. Three alternatives raise commonly two points of Bloom et al.'s taxonomy, which are irrelevance of 'knowledge' category and hierarchical relation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In which, Hauenstein(1998) propose 'conceptualization' instead of 'knowledge' and put 'synthesis' after 'evaluation', and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propose 'knowledge dimension', and Marzano exclude 'evaluation' category, and Anderson & Krathwohl(2001) establish 'create' as the highest level. The result of comparing, it was reasonable and suggested that a alternative having two dimension structure is more proper rather than others. And It is worth to consider interchanging the place of 'synthesis' or 'create' with 'evaluate', and including meta-cognition as the major-category or sub-category of objectives. And the directions of educational taxonomy study are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axonomy and difference of cognitive objectives in school level. They can be answering by educational taxonomy, so taxonomy studies must refine educational taxonomy.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이 인지적 영역에서,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목표분류학의 의의와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loom 등의 분류학을 살펴본 후 그 대안으로 제시된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과 Krathwohl(2001)의 분류학을 비교하고 논하였다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은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두 가지 공통된 문제제기를 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식’ 범주의 부적절성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Hauenstein은 ‘개념화’라는 범주를 제안하여 ‘지식’과 ‘지적 능력 및 기능’이 아닌 ‘지적 능력 및 기능’으로 목표들의 성격을 단일화하여 위계성을 도모하였다. 이에 비하여 Marzano와 Anderson과 Krathwohl은 별도의 차원으로 분리시켰다. 둘째, ‘분석’, ‘종합’, ‘평가’의 관계 설정에 관한 것으로, Hauenstein은 ‘분석’을 ‘평가’의 하위 유목으로 포함되게 하고 ‘평가’보다 ‘종합’을 더 수준높은 목표로 설정하였다. Marzano는 ‘분석’에 ‘평가’적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평가’를 범주에서 제외하였다. Anderson과 Krathwohl 역시 ‘창안하다’를 최상위 수준의 목표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 Bloom 등의 분류학과 그 대안적 분류학들을 살펴보면서 앞으로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분류학으로서의 체계성과 복잡성을 가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떤 요소들을 가져야만 분류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또한 우리 교육에서, 각 학교급별로 추구해야 하는 인지적 목표가 같은지, 실제로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답을 찾는 데에 중요한 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분류학으로서의 체계를 보다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 학습자 분류 방법

        조성욱 ( Sung 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습자 분류 방법들을 검토하여, 지리과 학습에 유용한 학습자 분류 방법을 찾고자 했다. 기존 학습자 분류 방법인 뇌활용 영역에 의한 방법, 정보처리 방법, 다중지능에 의한 방법, 정서적 측면의 분류 방법을 검토하여, 정보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정보수용, 정보처리, 정보표현의 3단계로 재구조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적 유형 분류 방법과 단계별 유형 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각 유형의 공통적인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는 뇌활용 영역에 의해서 통합적 분류 방법으로 학습자를 ‘좌뇌형’과 ‘우뇌형’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그리고 단계별 유형 분류 방법으로는 학습자의 정보처리 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학습자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교수-학습 처치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보수용 단계에서는 2개의 분류기준(청각형과 시각형: 경험형과 사고형)으로 4개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둘째, 정보처리 단계에서는 2개의 분류기준(나무형과 숲 형: 관찰형과 실험형)으로 4개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셋째, 정보의 표현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에 근거하여 5개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이 두 가지 방법은 보완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학교 현장의 적용 과정에서는 1차적으로 학습자를 뇌활용 유형에 따라 좌뇌형과 우뇌형으로 전반적인 유형을 파악하고, 2차적으로 정보처리 단계에 따라 보다 세밀한 학습자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맞는 교수-학습 처치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new classification method for geography learners, through review the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 In the first, review the conventional method of learner classification by brain use area, information process, MI(multiple intelligences), emotional aspects. And it was restructur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three steps which are information receive,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formation represent. It is proposed two methods, one is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method by brain use area and the other is 3 step classification method by information processing. Integrated classification method is classified by the brain use area of learner, that is ‘the left brain-type’ and ‘right brain type’. Step by step method is classified information processing in 3 steps, those are information receive,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expression. Information receive step is extracted the 4 types by 2 criteria (auditory and visual type : experience and thinking type). Information processing step is extracted the 4 types by 2 criteria(tree and forest type : observation and experiment type). Expression step is extracted the 5 types by 5 MI. But these two methods has a complementary nature, and need to grasp the overall type by brain use area firstly, and classify 3 step by information processing stage secondary step.

      • KCI등재후보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漢文’영역 평가 방향

        金王奎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대수능) 개편안은 한문 교육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변화의 국면을 제기하였다. 곧 현행 '제2외국어' 영역을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개편하고, '한문'이 추가되어 총 8개의 교과목(제2외국어 7개 교과목 및 한문) 가운데 한 과목을 선택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2005학년도 대수능 개편안 가운데 '제2외국어/한문' 영역 신설에 따른 '한문' 영역의 도입에 주목하고,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 및 목적을 포함한 한문 영역의 평가 방향에 대하여 학계의 관심을 제고하고, 구체적인 출제 방식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은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와 기초적인 한문의 독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곧, 한자·한문이 대학 교육에서 사고력 형성 및 도구 과목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을 반영하여, 대학에서 인문·사회 계열을 포함한 제반 학문을 효과적으로 공부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한자·한자어 이해와 한문 독해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그 성격을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 한문 영역의 출제 방향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한문'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학교 교육을 통해 배양된 기초적인 한자·한문 이해 및 활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한자·한문에 대한 단편적 지식보다는 한자·한문의 이해 및 활용 능력에 중점을 두어 평가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영역별 난이도 조정과 선택 과목의 과도한 편중을 막기 위해 한문 영역의 출제 방식은 기본적으로 제2외국어 영역의 출제 방식과 기본적 틀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는 제2외국어 7개 과목과 한문 중에서 어떤 과목이든 하나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일부 대학에서는 과목을 지정할 수도 있겠지만) 8개 과목 사이의 난이도를 조정하는 것은 중요한 점이다. 난이도 조정이 실패할 경우 수험생들은 특정 과목으로 몰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끝으로 한문 영역의 평가 목적 및 성격을 설정한 다음, 평가 영역, 평가 목표 이원 분류표, 출제 범위 등을 포함한 한문 영역 출제 지침을 개발해야 한다. 개발된 출제 지침은 현장 교사들뿐만 아니라 한문 교육 관련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야 할 것이다. The revised 200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ill likely have a great impact on Classical Chinese(Hanmun) education. The revision indicates that chinese will be added into second foreign language section, thus the present second foreign languages changing into second foreign languages and chinese. Students can choose one subject of all these eight subjects, seven second foreign languages and chinese, on CSAT.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chinese test on CSAT, this study attempts to raise interests on the characteristics and aims of chinese test on CSAT around the academic world and to suggest some basic ideas for discussion about specific guidelines on chinese test.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hinese tests on CSAT is to examin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basic written texts which is necessary for studying in university. Chinese is not only a instrumental subject but also helpful one for mental power in university education in that it is required for studying humanities and societies. Therefore, chinese test should evaluat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basic written texts. In addition, chinese test also should follow the content and level of chinese on 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Thus the direction of chinese test also should be to evaluat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s and their using skills acquired through school education. It should not assess the parial knowledge of chinese, but its comprehension and suing skills. In order to adjust the difficulty of each subject's test and to prevent any paricular subject from outweighing, the guidelines on chinese test should be outlined with that of other second foreign languages. There is a possibility for universities to demand one out of seven second foreign language and chinese: there is also a possibility for some universities to demand one particular subjec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difficulty levels between each subjects. If the difficulty levels of eight subjects are different, students will likely choose more easier one, making one subject test outweigh another. Eventually this can cause abnormal implementation of national curriculum. Finally, we should also develope specific guidelines on constructing chinese test such as test areas, two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test objectives, test scope and so on. These guidelines should be reviewed by school teachers and chinese education specialists.

      • KCI등재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후처리 방안과 분할된 영역들의 분류에 대한 연구

        오준택,김보람,김욱현,Oh, Jun-Taek,Kim, Bo-Ram,Kim, Wook-H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6 No.1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영역들간의 공간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사전에 정의된 수만큼의 군집들로 분할하기 때문에 영상의 과분할을 유발하며, 이에 실제적인 응용분야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의해 획득한 군집들을 대상으로 보다 나은 분할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후처리 방안으로, 비동질적인 군집의 재분류와 베이시안 알고리즘에 의한 유사영역의 합병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의해 분할된 영상의 군집들에 대해서 가장 비동질적인 군집을 선택하여 이를 나머지 군집들 중 하나로 재분류하며, 최소평균내부거리값에 의해 결정된 군집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여전히 존재하는 유사한 인접영역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영역간의 Kullbeck-Leibler 거리값을 기반으로 베이시안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역 합병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의 유효함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할된 영역들의 우세컬러와 텍스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반 영역분류시스템을 설계한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실험영상들에 대해서 단계별 더 나은 성능을 보였으며, 분할된 영역들의 분류에서도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 제안방법의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Some clustering algorithms have a problem that an image is over-segmented since both the spatial information between the segmented regions is not considered and the number of the clusters is defined in advance. Therefore, they are difficult to be applied to the applicable fields. This paper proposes the new post-processing methods, a reclassification of the inhomogeneous clusters and a region merging using Baysian algorithm, that improve the segmentation results of the clustering algorithms. The inhomogeneous cluster is firstly selected based on variance and between-class distance and it is then reclassified into the other clusters in the reclassification step. This reclassification is repeated until the optimal number determined by the minimum average within-class distance. And the similar regions are merged using Baysian algorithm based on Kullbeck-Leibler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regions. So we can effectively solve the over-segmentation problem and the result can be applied to the applicable fields. Finally, we design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segmented regions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The segmented regions are classified by SVM(Support Vector Machine) using the principal colors and the texture information of the segmented regions. In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 showed the validity for various real-images and was effectively applied to the designed classification system.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과 평가 방향

        남궁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heck over the trait and the dir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hinese tests are not only academic test concerning chinese subject but also have in common with SAT Ⅱ in U.S.A. In addition, chinese tests play roles i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norm-referenced test. I think chinese tests also should follow the content and level of chinese on 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Thus the trait of chinese test also should be to evaluat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s. The objectives of chinese test should focus on abilities to read and write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to obtain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s. Two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test objectives follows such as content areas, behavior areas. Content areas were divided section as reading, writing,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 and traditional culture. Behavior areas were divided parts words, knowledge in language, understanding, practical application. Assessment elements in reading areas consist of sound, understanding in chinese character and choosing main ideas, checking key sentences and details, and searching for cause-effect and prediction. Also Assessment elements in writing areas are made up of writing as sound, completing sentences and cloze test. Chinese test should be outlined with new following paragraph, not textbook. If possible length of following paragraph is shorter than usual, if necessary revise them. Also choose good following paragraph, not redundancies or unpractical contents. 본고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 시험 대강에 걸쳐 논쟁이 될 만한 것들 즉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은 어떻게 규정되어야 하는가, 적정한 범위와 수준은 무엇이며 시험의 내용은 무엇들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다룬다. 한문 영역 시험은, 1993학년도부터 실시되어 온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본 성격인 통합교과적이고 고등정신능력 측정 중심의 평가와 달리, 한문이라는 개별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학력 평가의 성격을 띤다. 또 한문 영역 시험은 미국의 자연 과학, 사회 과학과 제2외국어를 평가하는 시험인 SATⅡ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SATⅡ(미국 대학수학능력시험)는 학교에서 배우는 학과목 중에서 특정 과목을 선정하여 이 교과에 관한 지식, 기능을 측정한다. 한문 시험이 제2외국어와 함께 선택 대상이 된 것은, 전통 문화와 한문 전적 접근 가능성이 높은 학과 지원 학생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시험에 응하게 하는 상황을 조성하였다. 한편 한문 영역 시험은, 개인의 지식․기술․성취의 현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가르치고 배운 내용을 얼마만큼 알고 있느냐를 측정하는 학업 성취도 검사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끝으로 한문 영역 시험은, 응시생을 서열화하고 표준점수로 성적을 기록한다는 면에서 규준참조검사적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성격들을 바탕으로 필자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을 기초적인 한문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한문이 대학 교육에서 도구 과목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한자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을 반영하여 고등학교 ‘한문’ 과목에서 학습한 내용과 수준을 토대로 대학에서 학문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한문의 읽기 및 쓰기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라고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한문 영역 시험의 목표를 한문을 읽어 이해하는 능력과 간단한 한자의 쓰기 능력 그리고 한자․한문과 관련한 기초적인 지식에 대하여 평가하며 더 나아가 선인들의 삶의 총체인 전통 문화에 대하여 평가하는 데에 둔다. 필자는 내용 영역을 읽기, 쓰기, 한자 한문 지식, 전통 문화 등 4개 영역으로 나누고 다시 읽기 하위 영역으로 성어, 속담․격언, 한시, 산문, 국한혼용문을 제시하였으며 쓰기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한시, 산문, 국한혼용문을 두었다. 행동 영역은 어휘력, 지식, 이해(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종합적 이해), 적용 등으로 구분 고안한 이원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읽기 영역의 평가 내용은 단순히 한자들의 독음을 읽어 내는 것으로부터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한자를 이해하는 능력과 대의 개괄 능력, 중심 생각 파악과 세부 내용 파악, 인과 관계 파악, 예측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 쓰기 영역의 평가는 제시된 독음에 알맞은 한자 쓰기, 한시 대우 완성하기, 빈칸 메우기 등을 평가하도록 한다. 한문 영역 시험을 출제할 때 어휘 출제 비율을 축소하고, 원칙적으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평가 범위로 하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한다. 교과서 소재 지문 출제는 공정성 시비 등 문제 발생의 소지가 있고 학생들이 10종류의 교과서 전체를 학습해야 하는 부담을 야기하므로, 아예 한 교과서만 착실히 학습하여도 해결이 가능한 수준의 교과서 밖 지문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제 지문 길이는 학생들의 역량을 고려하여 제한하고 필요한 경우 원문을 생략 또는 수정 제시하는 방법 ...

      • KCI등재

        공공디자인 결과물 유형화를 통한 분류체계 개선 방향 연구

        설영동,장영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디자인은 공공을 위한, 공공에 의한, 공공의 디자인이라는 철학을 토대로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시도하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공동체와 사회가 직면하는 다양한 현상을 탐색하고 소통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는 디자인의 문화적 가치를 확산해 가고 있다. 특히 그간 개별적으로 시행되던 공공디자인 관련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의 제정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다만, 법 제정 이전부터 다루어졌던 공간, 장소, 프로그램 등이 공공디자인 범주로 인정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공공시설물로 국한된 분류방식은 보완해야 할 과제로 남겨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지향 가치와 목적 중심에서의 접근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확장 가능성을 고찰하고, 분류체계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영역을 살펴보고, 변화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결과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법률이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류체계의 현황분석을 통해 새로운 분류체계 정립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디자인 사업의 특성을 분석하고 결과물의 유형화를 통한 시사점을 토대로 분류체계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현재의 분류체계는 물리적 대상으로 편중되다 보니 공공디자인 영역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다양한 범주를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공공디자인 과정에서 도출되는 행위와 결과물을 분석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 커뮤니티웨어 측면의 확장된 활용 영역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물리적 영역 위주의 범주에서 무형의 가치를 더하고 개인과 공동체 등의 삶의 질과 역량 강화의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써 분류체계의 의미와 목적의 확장, 다양한 범주를 고려할 수 있는 분류기준의 수립, 교육, 컨설팅, 평가 등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활용방안 마련 등을 개선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공공디자인은 물리적 대상을 조형적으로 실체화하거나 문제 해결을 위한 단일 프로젝트에서 활용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이 필요하다. 이러한 흐름에서 공공디자인 분류체계의 정립은 공공디자인의 독자성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동인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과정으로부터 수반되는 결과물의 유형화 과정을 통해 현상을 개념화하고 체계화함으로써 공공디자인의 이론을 형성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