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종채의 열하일기 교정과 편집 * - 연암산방본을 중심으로 -

        정재철(Jung, Jaechul)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9 No.-

        박종채(1780~1835)는 연암의 친필 초고본인 행계잡록 에 수록된 <망 양록>을 교정하여 연암집 (가제)에 수록하였고, 3년 상이 끝난 직후인 1807년에 이를 다시 교정하여 고정망양록 을 편찬하였다. 이 두 책은 모두 ‘연암산방’이라는 판심이 박혀 있는 원고용지에 쓰여 있다. 박종채는 고정망양록 을 편집하면서 ‘초고본 계열’이나 충남대본의 35개 단락보다 6단 락이 추가되어 총 41개의 단락으로 만들었고, 내용 또한 원문의 일부 글자를 고치거나 연암의 문장을 큰 폭으로 첨삭하는 등 여러 곳을 수정하였다. ‘외집 계열’과 ‘별집 계열’ 열하일기 에는 이와 같은 고정망양록 의 내용이 그대로 수록되어 있다. 단국대 연민문고와 고려대 육당문고에는 각각 연암집(15) (영본1책)과 열하일기 (영본6책) 등이 소장되어 있다. 이 두 책은 모두 고정망양록 과같이 ‘연암산방’이라는 판심이 박혀 있는 원고용지에 쓰여 있는 것으로 보아, 박종채가 편집한 연암집 외집 열하일기 의 초고로 생각된다. 연민문고 본에는 아직 편차가 부여되지 않았으나, 육당문고본에는 편차가 부여되어 제20편에 수록되어 있던 <환연도중록>이 제7편으로 옮겨져 있다. 또한 연민문고본과 편차가 동일한 이본으로 서울대고도서관본이 있고, 육당문고본과 편차가 동일한 이본으로 전남대본이 있다. 이 두 이본에는 모두 26편이 수록되어 있다. 박종채가 연암집 별집 열하일기 를 편집한 시기는 전남대본과 성호본의 <구외이문>에 쓰여 있는 두주의 내용으로 보아 1816년 이후로 생각된다. 이두 이본은 모두 ‘연암산방’이라는 판심이 박혀 있는 외집을 전사한 것이다. 또한 전남대본에는 제19편에 수록된 <희본명목>의 제목 아래에 <산장잡기> 편입시키라는 주석이 달려 있고, 성호본에는 이것이 <희본명목기>라는 편명으로 제13편에 수록되어 있다. 연암 집안의 가장본(家藏本) 57권 24책을 보충해 필사한 승계문고본에는 <희본명목기>를 <산장잡기>에 편입시키고, 외집 제22편에 수록되어 있던 <금료소초>를 제외시켜 총 24편이 수록되어 있다. 박종채는 당시 사람들이 열하일기 를 전기(傳奇)나 해소(諧笑)의 작품 으로 인식하거나, 이를 잘 읽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그 대의를 깊이 탐구 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는 열하일기 의 문체가 순정하지 못하다는 세간의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하여, 연암집 외집과 별집에 수록할 열하일기 를 편집하면서 원문을 대폭으로 수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암 산방’이라는 판심이 표기되어 있는 연암산방본을 중심으로 박종채가 외집과 별집을 교정하고 편집한 양상과 그 의미를 밝혔다는 점에서, ‘외집 계열’ 및 ‘별집 계열’ 이본들의 개작 양상을 규명하거나 열하일기 의 정본을 완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ark Jongchae(朴宗采, 1780~1835) proofread <Mangyangnok亡羊錄>, which had been included in Haenggaejabnok杏溪雜錄 , the Yeonam燕 巖’s handwriting draft, and corporated it in Yeonamjib燕巖集 (the working title, 假題). After three years of mourning for Yeonam, he edited it again and published Gojeongmangyangnok考定亡羊錄 in 1807. These two books were written on the manuscript paper which had the Pansim(the center of the book plate, 版心) written as Yeonamsanbang燕巖山房. When Park Jongchae published Gojeongmangyangnok , he composed it as 41 paragraphs, adding six paragraphs more to the 35 paragraphs of the original edition series or the Chungnamdaebon(the copy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e also revised several parts of the contents by modifying some letters and sentences drastically from Yeonam’s original edition. Both the Woijib外集 and Beoljib別集 series of Yeolhailgi contained the contents of Gojeongmanyangnok as it was. Yeonmin淵民 Library of Dankook University and Yukdang六堂 Library of Korea University have Yeonamjib(15) (with one wanting voulme) and Yeolhailgi (with 6 wanting volumes). As these two books were written on the manuscript paper with the Yeonamsanbang pansimlike Gojeongmanyangnok , it seemed that they are the drafts for the Yeonamjib Woijib of Yeolhailgi edited by Park Jongchae. Although the Yeonmin Library book doesn’t have the table of contents, the Yukdang library book has it and <Whanyeondojungnok還燕途中錄> was moved to Chapter 7 instead of chapter 20. Another copy of Yeolhailgi which has the same sequence with the copy of the Yeonmin Library is kept in the library for old book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one more copy is stored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ich has the same sequence with the Yukdang Library copy. 26 pieces of Yeonam’s works are in these two different books, the Seouldaebon(the cop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Chonnamdaebon. It seems that the period Park Jongchae edited the Yeonamjib Beoljib of Yeolhailgi was after the year of 1816, considering the headnote contents written in <Guwiyimun口外異聞> in the Chonnamdaebon and the Seonghobon(the copy in Seongho Memorial Hall). These two different copies are the books that transcribed the original text of the Woijib with the Yeonamsanbang pansim in an empty notebook. Furthermore, the 19th chapter of <Heebonmyungmok戱本名目> in the Chonnamdaebon had an annotation just below the title to request to incorporate it into <Sanjangjabgi山莊雜記>. In the Seonghobon, this was put in the 13th chapter with the title name of <Heebonmyungmokgi戱本名目記>. The Sunggae勝溪 Library copy was made after replenishing and transcribing 57 volumes and 24 books of Gajangbon家藏本, the copy kept in the household of Yeonam, and was comprised of total 24 works because Heebonmyungmokgi was incorporated into Sanjangjabgi and <Gumryosocho金蓼小抄> was excluded, which was kept in the 22nd chapter in the Woijib. Park Jongchae thought that the contemporary people regarded Yeolhailgi as a biography or a comedy and were not able to understand the profound meaning although they even said they had read it impressively. Therefore, with wishes to eliminate all suspicions that the Yeolhailgi ’s writing style isn’t pure, Park Jongchae corrected the original text very drastically while proofreading Yeolhailgi to compile the Woijib and the Beoljib. This study clarified the aspect and meaning of Park Jondchae’s proofreading of the Woijib and the Beoljib mainly with the Yeonamsanbangbon written on the manuscript papers with the Yeonamsanbang Pansim. In this respect,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could be a help for clarifying the adaption aspect of the different copies for the Woijib and Beoljib series and completing the top copy of Yeolhailgi .

      • KCI등재

        신자료 『열하일기』 선행본 『연행음청기』(3)·『연행음청록』(4) 연구

        정재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9

        Recently, I confirmed the Yeonghaengumcheonggi燕行陰晴記 (3) and Yeonghaengumcheongrok 燕行陰晴錄 (4) at Dankook University’s Yeonmin Bookstore. It was with a prose work by Park Ji-won. Yeonghaengumcheonggi (3) has a total of 32 pages including the cover and Yeong haengumcheongrok (4) has a total of 30 pages without a cover or list. These two books belong to the “first draft series” among the Yeolhailgi熱河日記 , identified by the author presumed to be the first manuscript or close to that of the Yeolhailgi part 3 「Sunggeonggabgi盛京雜誌」 and part 4 「Ilsinsoopil馹汛隨筆」.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looked at these texts, which have the title “Yeonghaengumcheong燕行陰晴” among the different version of Yeolhailgi collected at home and abroad. And I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version of Yeolhailgi and the precedence and correction patterns of the Yeonghaengumcheonggi (3) and Yeonghaengum cheongrok (4). Dankook University’s Yeonmin Bookstore contains two books: The Yeonghaengumcheong (Gun)(Gon)燕行陰晴(乾)(坤) at Yeonmin Bookstore. Yeonghaengumcheong(Gon) among them has a total of 22 pages. This book starts with entering Gaeseong開城 on May 10th from Yeonam燕 巖 to afforestation on July 30th from Hotaha호타하滹沱河 to Jolim棗林. The schedule of the performance written here is 44 days more than June 24 recorded in the 「Dokangllok渡江錄」 of the Yeolhailgi and Five days are less than August 5th, which is recorded in the 「Gannaejungsa關內 程史」. At the time of writing the Yeonghaengumcheonggi (3) and Yeonghaengumcheongrok (4), Park Ji-won used the contents of the Yeonghaengumcheong(Gon) , which records the 80-day journey, as the main data. And he added the customs and experiences he saw in detail. In Dongyang Bookstore in Japan, there are eight books of Yeonamseolchong燕巖說叢 among the manuscripts with the title “Yeonhui燕彙”. This book is a combination of two books, Yeong haengumcheong燕行陰晴(1)(2) , and six books, Yeolhailgi(1)(2)(3)(4)(5)(6) . Among them, Yeong haengumcheong(1) is a transcription of 「Dokangllok」 and 「Sunggeonggabgi」 and Yeongha engumcheong(2) is a transcription of 「Ilsinsoopil」 and 「Gannaejungsa」. In addition, Dankook University’s Yeonmin Bookstore contains five books on Haenggyejabnok(1)(2)(3)(5)(6) . Among them, Haenggyejabnok(1) is a transcription of 「Dokangllok」” and 「Sunggeonggabgi」 and Haen ggyejabnok(2) is a transcription of 「Ilsinsoopil」 and 「Gannaejungsa」. Yeonghaengumcheong (1)(2) is a transcription of a book in which Park Ji-won corrected the original texts of Yeonghaen gumcheonggi (3) and Yeonghaengumcheongrok (4) to the extent that they were close to the adaptation. And Haenggyejabnok(1)(2) is a transcription of Park Ji-won’s previous correction by re-correcting it. This study is thought to be helpful in clarifying the lineage of the different version of the Yeolhailgi , which is intertwined like a riot.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vestigat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Yeolhailgi and the correction pattern of early copies. 필자는 최근 단국대 연민문고에서 연행음청기 (3)과 연행음청록 (4)가 박지원의 산문 작품과 함께 1책으로 묶여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행음청기 (3)은 표지를 포함해 총 32장으로 되어 있고, 연행음청록 (4)는표지나 목록 없이 본문만 총 30장으로 되어 있다. 이 두 책은 열하일기 이본 중에서 ‘초고본 계열’에 속하는이본으로 열하일기 제3편 「성경잡지」와 제4편 「일신수필」의 최초의 원고이거나 그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이를 확인할 목적으로 국내외에 소장된 열하일기 이본 중에서 표제가 “연행음청”으로 되어 있는 이본들에 대해 알아보고, 이 이본들과 연행음청기 (3)· 연행음청록 (4)의 선후 관계와 교정 양상에 대해살펴보았다. 단국대 연민문고에는 연행음청(건)(곤) 2책이 소장되어 있다. 그중 연행음청(곤) 은 표지를 포함해 총22장으로 되어 있다. 이 책에는 5월 10일 연암에서 개성으로 들어가는 것에서 시작해 7월 30일에 호타하에서조림까지 40리를 이동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책에 씌어 있는 연행 일정은 열하일기 「도강록」에 기록된 6월 24일보다 44일이 많고, 「관내정사」에 기록된 8월 5일보다 닷새가 적은 것이다. 박지원은 연행음청기 (3)과 연행음청록 (4)를 저술하면서 위와 같이 80일간의 연행 여정이 기록되어 있는 연행음청(곤) 의 내용을 활용하여 자신이 본 풍물과 체험을 상세하게 추가하였다. 일본 동양문고에는 표제를 ‘연휘’라고 적어놓은 필사본 중 연행음청(1)(2) 2책과 열하일기(1)(2)(3)(4) (5)(6) 6책을 합쳐놓은 연암설총 8책이 소장되어 있다. 그중 연행음청(1) 은 「도강록」과 「성경잡지」를필사한 것이고, 연행음청(2) 는 「일신수필」과 「관내정사」를 필사한 것이다. 또한 단국대 연민문고에는 행계잡록(1)(2)(3)(5)(6) 5책이 소장되어 있다. 그 중 행계잡록(1) 은 「도강록」과 「성경잡지」를 필사한 것이고, 행계잡록(2) 는 「일신수필」과 「관내정사」를 필사한 것이다. 연행음청(1)(2) 는 박지원이 연행음청기 (3)과 연행음청록 (4)의 원문을 개작에 가까울 정도로 대폭 교정한 것을 후에 누군가가 다시 필사한 것이고, 행계잡록(1)(2) 는 박지원이 앞서 대폭 교정한 내용을 다시 교정해 직접 필사한 것이다. 본 연구는 난마처럼 얽혀있는 열하일기 ‘초고본 계열’ 이본의 계통을 규명하거나 열하일기 의 성립과정과 원문의 교정 양상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열하일기』<옥갑야화> 수록 허생후지 연구

        정재철(Jung, Jaechul)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8 No.-

        박종채가 『연암집』을 편찬하기 위해 필사한 『연암집초고보유(9)』에는 연암이 지은 <서허생사후>가 수록되어 있다. 이 글은 옥류산장본 『열하일기』의 <진덕재야화>에 수록된 연암후지를 옮겨놓은 것이다. 그런데 연암은 이 허생후지를 행계집 에 옮겨쓰면서 <진덕재야화>의 제목을 <옥갑야화>로 바꾸고 내용 또한 다른 것으로 교체하였다. 이어 그는 『잡록(하)』,『열하일기(정)』에서 <옥갑야화>의 제목을 <옥갑야어>로 바꾸고 이곳에 교체한 허생후지를 수록하였다. 현재 박영철본 열하일기 의 <옥갑야화>에는 위와 같이 연암이 교체한 허생후지가 수록되어 있다. 연암은 <진덕재야화>에 쓴 허생후지에는 다음 세 가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첫째, 허생의 이야기를 의로운 행동을 하였거나 나라에 공을 세운 염시도, 배시황, 완흥군 부인 등과 함께 언급하여, 허생이 의로운 인물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 것이다. 둘째, 윤영에게서 허생의 이야기를 듣고 ‘詭奇怪譎’하다고 말하거나 허생의 처세에 대해 ‘玩世不恭’하다고 말하여, 사람들이 연암 문장을 비판하는 증거로 삼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셋째, 허생 이야기를 들려준 윤영이 폐족이거나 좌도 이단으로 세상에서 도피한 사람이라고 말하여, 연암이 불순한 무리와 어울린다는 빌미를 제공한 것이다. 연암이 <옥갑야화>에 다시 쓴 허생후지는 글의 구성이나 주제의 표현에 있어서 다음 세 가지 내용이 주목해볼 만하다. 첫째, 이 글의 첫 부분을 ‘或曰’이라고 써서 <옥갑야화>를 구성하고 있는 일곱 가지 일화에서 다른 일화의 하나를 추가하여, <허생전>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낸 것이다. 둘째, 이 글의 주인공인 조계원의 역할이 비판하는 인물에서 비판을 당하는 인물로 전환하여, 북벌론의 허구성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낸 것이다. 셋째, 주인공인 조계원이 망한 명나라의 장수로 설정된 승려들에게 조롱당하는 장면을 묘사하여, 당시 국제 정세에 등한했던 북벌론자들의 무능력과 무지함을 드러낸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열하일기 이본들에서 <진덕재야화>와 <옥갑야화>에 각각 다른 내용으로 쓰여있는 허생후지를 대상으로, 연암이 <진덕재야화>에 수록된 허생후지를 교체한 이유와 함께 <옥갑야화>에 수록된 허생후지에서 보여준 주제의식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열하일기 의 이본이나 <허생전>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Yeonamgipchogoboyou(9)燕巖集草稿補遺(9) written by Park Jongchae to compile Yeonamgip燕巖集, he wrote “Seoheosaengsafu書許生事後” written by Yeonam燕巖. This text is a transcription of Heosaengfuji 許生後識, which was included in the “Jindeokjaeyahwa進德齋夜話” in the Okryusangangbon玉溜山莊本 Yeolhailgi熱河日記. But Yeonam changed the name of “JindeokjaeYahwa” to “Okgapyahwa玉甲夜話” while transferring Heosaengfuji to Haenggyejip杏溪集. He then changed the title of “Okgabyahwa” from Japrok(ha)雜錄(下 ) and Yeolhailgi(Jung)熱河日記(貞 ) to “Okgabyaeo玉甲野語.” Currently, the “Okgapyahwa” of Park Yeong-cheol朴榮喆 s Yeolhailgi contains Heosaengfuji replaced by Yeonam. This article is currently included in the “Okgabyaeo” of the Yeolhailgi by Park Young-chul. I thought there were three problems with the contents of “Heosaengfuji”, which was written in “Jindeokjaeyahwa” in Yeonam. First, Yeonam, the Yeom Si-do廉時道・Bae Si-hwang裵是晃・The wife of Wanheunggun完興君, etc. who made a righteous act of Heosaeng s story or made a contribution to the nation, and This leaves room for people to understand that Heosaeng was also a righteous figure. Second, after hearing Heosaeng s story from Yun Yeong尹暎, he said ‘ulcerated ulcer , and He said he was ’Irreverence by casting upon the world’ about the situation of Heoaeng. This allowed people to use it as evidence to criticize the Yeonam sentence at the time. Third, Yeonam said that Yun Yeong, who told the story of Heosaeng, was either a closed family or a left-handed heretic who fled the world. This explains to those who watched Yeonam s behavior at the time, such as Honggukyeong, that he was associated with an impure group. “Heosaengfuji”, which Yeonam rewrote, deserves attention to the following three conte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article and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matter. First,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starts with a letter ‘Some say或曰’, In addition to the seven anecdotes that make up the “Okgapyahwa”, The theme of “Heresaengjeon許生傳” is more clearly revealed. Second, the role of Jo Gye-won趙啟遠, the main character of this article, was changed from a criticized person to a criticized person, The fictional nature of the Northern Expeditions has been revealed more clearly. Third, the main character, Jo Gye-won, was ridiculed by monks who were set up to be masters of the Ming Dynasty, It revealed the incompetence and ignorance of Northern Expeditions activists who were neglected b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at time. As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eosaengfuji, the only two species left in Yeolhailgi. And the reason why Yeonam replaced Heosaengfuji, which was included in the “Jindeokjaeyahwa”,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theme consciousness of Heosaengfuji s correctional process included in the “Okgapyahwa”. In this regard, I think this study will help to study a different version of the Yeolhailgi or “Heresaengjeon”.

      • KCI등재

        『열하일기』초고본 계열의 이본 연구

        정재철 한국실학학회 2023 한국실학연구 Vol.- No.46

        현존하는 『열하일기』의 이본들은 초고본 계열,『열하일기』 계열, 『연암집』외집 계열,『연암집』별집 계열 등 네 가지 계열로 나눌 수 있다. 그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초고본 계열의 이본들이다. 필자는 현재『열하일기』초고본 계열 이본으로 추정되는 이본으로 총 12종 22책을 확인하였다. 이중 『열하일기』1책과 『곡정필담』 1책 등 2종 2책은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연행음청(건)(곤)』 2책을 포함한 10종 20책은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열하일기』초고본 계열 이본에서 『연행음청(곤)』1책, 『양매시화』1책, 『열하피서록』1책 등 3종 3책을 제외한 9종 19책을 대상으로 이본의 형태와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 이본들은 Ⓐ 유형에서 Ⓚ 유형까지 11유형의 판식을 갖춘 烏絲欄紙에 54편이 씌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54편은 연암이 친필로 쓴 초고본, 초고본을 정리하여 바로 잡은 釐正本, 후에 새로 추가된 증편본 등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고본은 세 유형에 12편이 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연행음청기(3)』·『연행음청록(4)』의 「성경잡지」, 「일신수필」 등 2편, 『열하일기』의 「황교문답」, 「행재잡록」, 「반선시말」, 「희본명목」 등 4편, 『잡록(하)』의 「곡정필담」, 「구외이문」, 「산장잡기」, 「환연도중록」, 「금료소초」, 「옥갑야어」 등 6편 등이 있다. 이 12편은 모두 연암의 친필본인 것으로 추정된다. 釐正本은 다섯 유형에 35편이 있다. 그중 「동란섭필」은 네 차례 수정되었고, 「망양록」, 「심세편」 등 2편은 세 차례 수정되었다. 또한 「환희기」, 「피서록」, 「곡정필담」, 「옥갑야화」 등 4편은 두 차례 수정되었다. 이와 같은 釐正本 35편은 주로 대필로 쓴 필사본에 연암이 수정을 가한 것으로, 그중에는 연암의 친필본도 다수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증편본은 세 유형에 7편이 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연행음청(건)』의 「황도기략」 1편, 『황도기략(1)』의 「황도기략」, 「알성퇴술」, 「앙엽기」 등 3편, 『황도기략(2)』의 「황도기략」, 「알성퇴술」, 「앙엽기」 등 3편이 있다. 그중 『연행음청(건)』의 「황도기략」, 『황도기략(1)』의 「황도기략」, 「알성퇴술」, 「앙엽기」 등 4편은 모두 연암의 친필본인 것으로 추정된다. 『열하일기』의 교정은 연암을 거쳐 그의 아들 박종채로 이어졌다. 박종채는 초고본 계열의 이본에 수록된 「망양록」을 교정하여 연민문고본 『연암집』(가제)에 수록하였고, 1807년에 이를 다시 교정하여 『고정망양록』을 편찬하였다. 이어 그는 『연암집』외집 『열하일기』와 『연암집』 별집 『열하일기』를 차례로 편집하였다. 그가 『연암집』별집 『열하일기』를 편집한 시기는 1816년 이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연암에 이어 아들 박종채까지 2대에 걸쳐 진행된 『열하일기』의 교정 양상을 규명하기 위한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마처럼 얽혀 있어 그 실마리를 찾기 어려웠던 『열하일기』 초고본 계열 이본의 실체를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계열로 이루어진 『열하일기』이본의 선후 관계와 교정 양상을 규명하는 데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朴趾源의 古董書畵 인식과 鑑賞之學

        정훈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문화 Vol.0 No.88

        The article aims to re-examine Park Ji-won’s records on antiquities, calligraphy and painting(古董書畵) left behind and discuss art criticism(鑑賞之學) in detail. Park Ji-won(1737-1805) has written a wide range of observations on antiques and art works and his thoughts on them in Yeonam-jip and Yeolhailgi. First of all, Park Ji-won diagnosed the trend of collecting antiques and art works that rapidly flowed from China and spread widely around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formation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hich is the basis of antique and art flavoring, was recorded in detail. In addition, Park Ji-won wrote about the qualities that enthusiasts need to enjoy antiques and artwork. Park aimed to remind Joseon’s antique and artwork lovers that the important thing in enjoying antiques and artworks is art appraisal and CheongGong(淸供). Park’s record on antiques and art works is at the heart of the reconstruction of art criticism. First he tried to break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antiques were auspicious. He then suggested that the culture of enjoying antiques and art works as a medium for measuring the situation in China, not only in aesthetic areas. Finally, Park Ji-won discussed art criticism compared to nine grades official selection system(九品中正). Through this perspective, he was wary of the independence and ahistoricity of art. This marks a very unique status in the logical geography of Joseon’s artistic criticism at the time.

      • 李忔의 燕行과 燕行錄 朝天日記의 觀光學的 考察

        宋基憲(Song, Gi-Hyon)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09 관광산업연구 Vol.3 No.1

        Yi Heul, a civil minister under King Myeongjong of the Joseon Dynasty, was sent to Yanjing as an Envoy of Gratitude. He took a sea route and crossed the Western Sea and Balhae not only on his way to China but also on his return to Joseon. He traveled about 6,950 li (2,780 km) for one year, three months and seventeen days. It is difficult to find out in detail how Yi managed to eat and sleep, for one can rarely find the records about it in Jocheon Ilgi, his travel journal. Instead, he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cultural things of the areas he was going through and documented them. Compared with Park Jiwon's visit to China, Yi Heul traveled shorter distance for a longer time. Park followed a land route both when he went to China and when he returned to Joseon. He traveled 8,000 li (3,200 km) in total for five months and three days. The distance Park traveled is longer for he made a round trip to Yeolha, which was about 570 li apart from Yanjing. Yi Heul's visit to China and his Jocheon Ilgi are very meaningful in tourism studies. As Yi, different from other contemporary envoys, took a seaway, we can see what sea routes between Joseon and Ming or Ching were like. Moreover, we can learn not only about the accommodations of Ming or Ching, but also about the psychology of tourists of those times.

      • KCI등재

        『열하일기』 정본화 작업의 제문제 -신자료 소개를 겸하여-

        김혈조 ( Kim Hyul-jo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1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는 『열하일기』 교감 정본화 과정에서 발견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를 다루었고, 후반부는 『열하일기』의 새로운 필사본 자료를 소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필자는 연암 박지원의 저작집인 『연암집』의 정본화 작업에서, 『열하일기』 부분을 맡아서 그 1차년도 작업을 완료하였다. 1차년도의 작업 성과를 보고하면서 교감 정본화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 중 다섯 가지를 거론하여 여러 학자들의 질정을 구하려고 하였다. 1차년도의 오류를 수정 보완하고, 또 2, 3차년도의 작업에 완벽을 기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아울러 정본화 작업의 한 전형을 보여주는 새로운 『열하일기』 필사본 자료를 소개하였다. 지금까지의 어떤 필사본과도 그 성격이 다른 이 책자는 그 내용과 교감의 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자료이다. This paper consists of two main topics. The first half dealt with the important problems that were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the "Yeolhailgi(熱河日記)" symmetry, and the second half was to introduce new manuscript data of "Yeolhailgi(熱河日記)". The author completed the first year's work by taking charge of the "yeonamjip(燕巖集)" section in the composition work of the "In reporting the first year's work performance, I tried to get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by mentioning five problems in the process of making a symposium. It is aimed at correcting errors in the first year and perfecting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work. In addition, I introduced a new manuscript document that shows a typology of authorship. This manuscript, which is different from any previous manuscrip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its content and method of sympathy.

      • KCI등재

        燕巖 朴趾源 手稿本 『燕行陰晴』(坤)의 의미와 가치

        박철상 한국실학학회 2023 한국실학연구 Vol.- No.46

        This paper discusses the meaning and academic value of 『Yeonhaengeumcheong(燕行陰晴)』〔gon(坤)〕, which is housed in the newly discovered Dankook University's Yeonminmungo. First, a bibliographic review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starting Park Ji-won's Yeonhaeng(燕行, Going to Yanjing, Qing Dynasty as a envoy), which was not known in 『Yeolhailgi(熱河日記)』. In addition, two previously unknown new articles by Yeonam have been identified.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Yeonhaengeumcheong(燕行陰晴)』〔gon(坤)〕, and 『Yeolhailgi(熱河日記)』 was examined. In the diary included in the 『Yeonhaengeumcheong(燕行陰晴)』〔gon(坤)〕, only the main schedule or simple contents, including the weather, are recorded. Park Ji-won included many materials, including other people's writings, and added a sense of realism by inserting her own experiences and thoughts during Yeonhaeng(燕行). Through this process, Park Ji-won's Yeonhaeng(燕行) diary was transformed into a new literary work. Yu Deukgong(柳得恭) saw 『Yeolhailgi(熱河日記)』 earlier as a Fable(寓言) rather than a simple Yeonhaeng(燕行) diary. In particular, Yu Deuk-gong viewed 『Yeolhailgi(熱河日記)』 as a book that teaches the method of Iyonghusaeng(利用厚生, to serve the requirements and to enrich the lives of the people) using the description method of Unofficial biography(外傳) and Fable(寓言). Until now, Yu Deuk-gong's remarks have not received attention, but the true meaning of his remarks about the reality of 『Yeolhailgi(熱河日記)』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Yeonhaengeumcheong』〔gon〕. The true academic value of 『Yeonhaengeumcheong』〔gon〕 is also here.

      • KCI등재

        『열하일기』 연행노정의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고찰

        강창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Yeonam (朴趾源)’s regional perception o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route) in the 『Yeolhailgi (熱河日記)』, explored the geographical meaning of the major places and landscapes, from the Abrok river to the Beijing.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eonam’s experience of the route from May to October 1780 was edited of 『Yeolhailgi』 in 7 diary prose books and 21 subject-specific prose books, with the most content on the Yeolha. Second, the route divided according to regional perception was described 「Dogangrok (渡江錄)」, 「Seongkyongjobji (盛京雜識)」, 「IlsinSupil (馹汛隨筆)」,「Gwannaejeongsa (關內程史)」, 「Makbukhaengjeongrok (漠北行程)」 and 「hwanyeondojungrok (還燕道中錄)」. Third, major places or landscapes such as Abrok river and Joyangmun have becom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where the regional perceptions of Yeonam are being conflicted or changing. Finally, at the boundary point where positive and negative views coexist, Yeonam reflected himself in the ways of seeing based on the habit of observing in detail. This is an empirical example of the attitudes and ways of seeing that travelers to other regions should have. In the 「Yeolhailgi」, ‘Yeolha’ metaphorizes not only the unknown land far north of Peking Province, but also both the unfamiliar and new Qing Dynasty’s prosperous realities observed and experienced by Yeonam. 본 연구에서는 『열하일기』 연행노정에 대한 연암 박지원의 지역인식을 살펴보고, 압록강에서 연경까지의 주요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의미를 답사,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암의 1780년 5월에서 10월까지의 연행 체험은 일기체 산문 7권과 주제별 산문 21권의 『열하일기』로 편차되었고, 열하에 대한 내용 비중이 가장 높다. 둘째, 연암의 지역인식에 따라 연행노정은 「도강록」, 「성경잡지」, 「일신수필」, 「관내정사」, 「막북행정록」과 「환연도중록」으로 구분된 일기체 산문으로 서술되었다. 셋째, 압록강에서 조양문에 이르는 주요 장소나 경관은 연암의 소중화나 화이 등의 인식이 갈등, 변화하는 지리적이고 심리적인 경계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긍정과 부정의 시선이 공존하는 경계 지점에서 연암은 관찰유근을 바탕으로 혜안, 평등안, 여시관 등의 보기 방식으로 자신을 성찰했다. 이는 다른 지역을 유람하는 여행자가 갖추어야 할 지역인식의 태도와 방식의 실증적 사례이다. 『열하일기』에서 ‘열하’는 북경성 밖 멀리 북쪽에 있는 미지의 땅 뿐만 아니라, 연암이 관찰하고 체험한 낯설고 새로운 청나라의 번성한 실상 모두를 은유한다.

      • KCI등재

        여행 체험 중심의 《열하일기》 교육 내용 연구 -<도강록(渡江錄)>을 중심으로-

        이효정 ( Lee Hyo-jung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9

        여행은 일상에서 벗어나 다른 장소를 방문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새로운 사람과 문화를 만나 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나라 간 이동이 쉬워지면서 여행은 현대인이 가장 좋아하는 여가 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행교육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학교교육에서는 수학여행이나 체험학습 등을 활용해 여행교육을 하며, 최근에는 교과교육에서 여행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사회 변화에 맞추어 국어교과에서 기행문학교육의 내용을 여행자를 중심으로 재조직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특히 고전기행문학이 현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현상을 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여행자의 여행 체험과 정서를 중심으로 한 고전기행문학교육의 내용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열하일기》를 대상 텍스트로 삼아 교육 내용을 여행자 중심으로 재조직하였다. 연암의 여행 체험은 현대 학습자에게 여행의 의미와 가치를 생각해보게 한다. 교통수단이나 여행의 방법이 발전하지 않은 시대에 새로운 문물을 보고 배우기 위해 온갖 어려움을 무릅쓰는 모습은 여행을 떠나는 의미와 여행자가 지녀야 할 태도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또 사절단의 일원이라는 자부심을 바탕으로 청나라 사람들과 교류하는 연암의 모습은 문화 간에 생산적인 교류를 이끄는 주체적인 여행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열하일기》는 여행에 대한 현대 학습자의 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교육 제재로 효과적이다. 특히 여행 체험과 여행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 《열하일기》 교육은 고전기행문학 교육의 내용과 범위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ravel refers to activities that move away from everyday life, visit other places to relax, meet new people and culture, an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 world.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ravel became easy and travel became one of the favorite leisure culture of modern people. As interest in travel increases, so does the need for travel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ravel education is mainly made by using school trips or experiential learning. Bu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change in subject education as a subject of trave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tent of travel literature needs to be reorganized around trips in accordance with these social changes. Especially, it was suggested that classic travel literature should not provide the interest of modern learner as a problem and suggested the contents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travel experience as a way to improve it.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education centering on travel literature were prepared. The experience of travel shown in the 《Yeolhailgi》 allows modern learners to think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travel. In the age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r travel do not develop, the challenge of trying to learn new cultures allows u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ravel and the attitudes that travelers should have. In addition, the pride of acting as a member of the 'yeonhaeng' group shows the appearance of a subjective traveler who creates productive exchanges between cultures. The Yeolhailgi is effective as an educational them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learner about the travel. And the Yeolhailgi education centering on the travel experience and the attitude of the traveler diversifies contents of the classic travel literatur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