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사업 참여기업의 연구개발 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기술 확보 방식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허정,최무이,여찬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4

        Recently, the global market growth rat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is showing a sharp rise. Not only Korea, but also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regar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key growth engine for future industries, and are making competitive efforts to secure technology, talent, R&D, and legal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hat can revitaliz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On the other hand, since artificial intelligence became an academic topic, there have been many user-related studi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products using it, but studies that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t the industrial level targeting specialized companies are ra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I R&D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domestic AI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how the method of technology acquisi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st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mmercialization of a company,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whether run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main business will moderate the effect of R&D expenses on business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chi-square test and bootstrapping analysis on moderation effect were performed on 271 companies that were confirmed to be conducting artificial intelligence business in Korea as of 20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joint research in the R&D stage was relatively higher than in the planning stage, where self-development was the main technology, and that there was a lot of technology acquisition through external introduction in the final profit creation sta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D expenses had a great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companies that were not the main business than thos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was the main business. The main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government support is required to utilize technology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commercialization level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AI ​​business, and that manufacturing companies rather than the companies whose main business are AI. It can be said that industry-level performance can be achieved more quickly by inducing and supporting investment in R&D activities for companies within the infrastructure convergence industry. 최근 인공지능산업의 글로벌 시장성장률은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국들은 인공지능을 미래 산업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간주하고 인공지능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술, 인재, 연구개발, 법·제도 인프라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반면 인공지능이 학문적인 화두가 된 이후 인공지능 기술 및 이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사용자 관련 연구는 많았으나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산업 차원에서 특성을 확인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국내 인공지능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연구개발 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인공지능 사업화 단계에 따라 기술 확보 방식이 어떻게 상이하며, 인공지능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지가 연구개발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인지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기준 국내에서 인공지능 사업을 영위하는 것으로 확인된 271개 기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과 조절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획 단계에서는 자체 개발이 주된 기술 확보인 것에 비해 연구개발 단계에서 공동연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며 최종 수익 창출 단계에서도 외부 도입을 통한 기술 확보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공지능이 주 사업인 기업에 비해 주 사업이 아닌 기업에서 연구개발비용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정책적 시사점은 인공지능 사업에 참여하는 주요 기업들의 사업화 수준에 따라 기술 확보를 위해 차별화된 정책 지원을 필요로 하다는 점과 인공지능 사업이 주 사업인 기업에 비해 주 사업이 아닌 제조 기반 융합산업 내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활동에 투자를 유도하고 지원함으로써 산업 차원의 성과를 좀 더 빠르게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ADHD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 분석

        고은영(高恩英),정소라(鄭소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국내에서 ADHD 아동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비약물적 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3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고, 각 연구에서 다루어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특성을 살피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판별준거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연구에서 활용된 구체적 연구방법 및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대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 남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과반수이상이었고, ADHD 진단을 받은 아동과 경향성을 보이는 아동이 각각 절반이었다. 둘째,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결과 반전설계를 사용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한 연구는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편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의 측면을 분석한 결과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그리고 유지 및 일반화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 않은 연구가 과반수를 차지한 반면, 대다수의 연구에서 관찰자간 신뢰도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재 PND 값이 70이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ADHD 아동 중재연구 방법, ADHD 아동 선정,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중재효과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본 연구의 함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nd synthesized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for non-medic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DHD in Korea since 2000. A total of 23 articl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perties of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for each study, and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 and criteria for identification of subjects. Also, specific methods an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each study were consider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subjects in these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and boys. Moreover, half of them were diagnosed as ADHD, while others just have a tendency to ADHD. Second, almost of studies have used reversal design, and very few studies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 Beside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reliablilty and validity, a majority of studies haven’t clarified its feasibility of intervention, social validity, and the results of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hough, almost studies have verified reliability between observers. Third, as comparing the effect sizes for intervention, the PND scores of the greater part of studies were over than 70 and it could be said that it is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methods for intervention study for children with ADHD, selection for children with ADHD, an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which is based o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s discussed. And implication in this study and future study issues are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김태희(Tae Hee Kim),김인호(In-ho Kim),안성봉(Sung Bong Ahn),이계석(Kye Suk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1

        최근 유가급등, 실물경제 위기 및 에너지 환경 위기 시대에 직면하여 공공부문에서의 효율성 증대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그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은 개별 사업별 절대적 성과치를 근거로 재량적으로 판단되어 온 경우가 많은 점을 인식하고, 본 연구는 사업별 비교를 통해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도출함으로써 객관적 결과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사업인 기초연구개발사업, 특정연구개발사업 및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성과보고서에 제시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문헌검토와 관련이론을 통해 분석방법 및 모형을 설계하였다. 한편 상대적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이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증진방안을 세부사업별로 제시하였다.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측정을 위하여 자료포락분석법이 활용된 사례가 없는 만큼, 동 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자료포락분석법이 적용된다면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efficiency of public sector confronting with increasing oil price, economy crisis and energy-environment problems. In consideration that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gram has been subjectively evaluated, this paper focuses objective validity by relative efficiency through a comparison among R&D programs in Korea. To implement this study, data published in national reports on R&D programs is used and analyzing method is induced by related books and theories. At the result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this paper suggests the wa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nuclear R&D program. This study is the first on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grams applied DEA method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exploring the more efficient way of program management if more sophisticated DEA c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 KCI등재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이상희(Lee, Sang-Hee),박애스더(Park, Esther)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1998년부터 2018년 2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21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동향으로 연구 대상, 연구 유형, 프로그램 설계 및 결과, 중재 방법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은 장애위험 영아 14편, 장애 영아 7편으로 나뉘고, 실험 연구가 18편으로 다수였다. 프로그램은 주로 가정에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효과의 유지 여부를 검토한 연구는 10편으로 과반에 못 미쳤다. 독립변인은 자연적 환경 중재 전략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인은 어머니와 영아 또는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의 변화를 시도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전반적으로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방법은 부모를 대상으로 개별적 접근을 통해 과제 점검과 시범(모델링) 등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적절한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적 지원 실행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the sociability developmental programs targeting infants with disability and those at risk, by analyzing twenty-on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8 to 2018. Our major focus in researching the studies was to analyze their research target, research type, program designs and results, as well as their mitigating methods. As a result, they were classified into 14 studies that involve infants at the risk of developing disability and 7 studies involving the infants with disability. As for the type of research, 18 studies were identified as research with experiments. In terms of program design, most of research setting was home. There was relatively a small portion of research, with 10 studies examining the maintaining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implemented naturalistic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dependent variable, it appears that many of studies attempted on using changes i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infant or the teacher and the infant. The overall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positively effected on the sociability development of the infant. Parents were individually contacted to inspect and demonstrate the project.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and the support for infant’s optimal development in sociability will be needed and should be sustained in the future.

      • KCI등재

        미국 대학기관연구(Institutional Research) 사례 분석 및 시사점:연구중심대학을 중심으로

        신현석,전재은,유은지,최지혜,강민수,김어진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고등교육의 대학기관연구(IR)에 대한 소개와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고등교육에서의 대학기관연구(IR) 필요성과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대학기관연구(IR)의의미, 역사와 기능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후, 미국 연구중심대학 3개의 대학기관연구부서(OIR) 운영사례를 조사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최근 국내 대학 현장에서는 고등교육 행정의 전문화와 질 관리 및 책무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국 대학기관연구(IR)와 같이 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 분석하고 대학의 주요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과 이를 수행할 중앙화된 대학기관연구부서(OIR)의 설치가 필요하다. 논의 및 시 사점으로 국내 대학의 대학기관연구(IR)와 관련된 상황을 살펴본 후, 국내 대학과 정부를 위한 시사점 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need for institutional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Korean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introduction and case studies on institutional research in US higher education. After the overview of institutional research in US higher education on its meaning, history, and functions, we conducted case studies an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Office of Institutional Research at three research intensive universities in the US. In Korean higher educa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demanded for the advancement of administration, quality of education, and accountability. In order to respond to this demand and change, we need the function of institutional research and its central location at the institution to collect, manage, and analyze relevant data systematically, and thereby to support decision-making for the institution. For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 reviewed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institutional research in Korean higher education briefly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지역의 기술혁신을 위한 공동 연구장비 구축 패턴에 관한 연구

        이창운,김용환,전성규,장필호,정명진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이 연구에서는 지역이 어떠한 산업을 육성하려 했는지 살펴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를 통해 연구개발의 투입(input) 요인인 동시에 수명이 다하는 기간까지 존속하는 스톡(stock)의 의미를 갖는 연구장비가 지역에 얼마나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구축 패턴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공동연구장비 데이터셋(Dataset)을 분석한 결과 총 7,794대가 연간 가용시간의 57.4% 시간 동안 가동되고 있으며, 1대당 연평균 9.8개의 외부기관이 활용하고 있어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구축된 연구장비가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지역의 연구개발에 상당부분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별 구축 패턴을 분석한 결과 주력산업 육성을 위한 기계가동/시험장비와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화합물전처리/분석장비 및 전기/전자장비가 균형되게 구축되었고, 용도별 구축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응용·개발 단계와 제품 사업화 단계의 수요가 꾸준하고, 시험·인증·검사 등 소정의 자격을 갖췄거나 연구장비를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전문가를 통해 이용할 수밖에 없는 시험장비와 분석장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구축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대만에서 중국연구의 현지화 및 연구방법에 대한 논점(論點)

        임규섭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4

        Korea's China Studies has been developing mainly under the academic influence of the U.S., Japan, China, and Taiwan, etc. Among them, Taiwanese study experienc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researchers by presenting not a few research results and fruitful outcomes. In some periods, researchers who had studied in Taiwan used to play main roles in China Studies in Korea. This thesis reviews the history and status of the Taiwan's Studies related to China. And it analyzes the trend of Taiwan's China Studies by focusing on the points at issu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developing procedure.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mainly lays in the identity change of China studies and the debate of research method. Since Taiwan's na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is differ from Korea, it started its China Studies with different epistemology and finality.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different point of view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China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aiwan's China Studies. 한국의 중국연구는 주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및 대만 등 국가의 학술적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왔다. 그중 대만의 중국연구 경험도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적지 않은 연구결과와 성과를 제시하였다. 어느 시기에는 대만유학파도 한국의 중국연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다. 본 논문은 대만에서 중국연구의 정의, 명칭 및 그 역사 과정을 살펴보고, 1990년대 이후 중국연구의 현지화 및 연구방법의 논점을 연구목적으로 삼는다.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한국과 다른 환경에 처한 대만의 중국연구는 다른 인식론과 목적성을 갖고 출발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국내·외 변화로 인해 대만은 중국연구의 시각이 다른 국가 연구로 전환하였으며, 대만의 장점을 찾아 대만특색의 중국연구를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중국연구의 정체성이 변하고 탈서구화 경향도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 대한 다양한 논쟁도 진행되었다. 주요 논점으로 지역연구와 분과학문 간의 관계, 내부자적 시각, 중국중심주의, 감정이입법, 질적 연구, 현장경험, 미시적 연구, 학술연구와 정책연구 능력 겸비 등이 있다. 그러나 대만의 중국연구는 탈서구화를 외치면서 학문적 탈식민주의 연구경향을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하였지만, 결과적으로 그러한 논리방식도 미국의 인문·사회과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미국의 학문적 성과에 대한 반응적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한국 교류분석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장회(Jang Hoi, Kim),임점섭(Jeom Seob, Lim),허진영(Jin Young, Heo),이현정(Hyun Jung, Lee)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1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교류분석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가 나아갈 방향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류분석의 주요개념을 활용하여 총 6차에 걸쳐 자료를 검색․분류한 결과, 1981년부터 최근까지 40여 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는 학위논문 211편, 학술논문 186편으로 총 397편으로 나타났다. 최종 선정된 논문 387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132), 자아상태(.128), 인생태도(.099)의 순으로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시기적으로 2010~2019년에 집중되었고, 연구유형에서는 효과연구(43.6)%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75.1%)가 많았고, 학술논문은 교류분석상담연구(26.9%)의 비중이 높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 향후 연구 과제, 교류분석상담에 대한 함의 및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way to go and tasks to resolve of related researches henceforth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transactional analysis. All 6 steps were executed that utilized major concepts of transaction analysis to search and classify materials. Total 397 pieces, which 211 dissertations and 186 thesis of transaction analysis related researches appeared for 40 years in this count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utilized in analyzing final 387 researches.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nection centrality appeared in order of program(.132), ego state(.132), and life position(.099). Research publishing year centered in 2010~2019, and effect study(43.6%) was in the majority in terms of study type. Quantitative study(75.1%) was the most common. The majority of the thesis were in the journal of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and research(26.9%). Based on the results, academic development plan, future research tasks, implications on transaction analysis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etc were discussed.

      • KCI등재

        계량서지 정보 분석을 통한 과학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 동향 탐색

        김형욱,송진웅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3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 on science self-efficacy through a bibliometricinformation analysis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science self-efficacy. To this end, we selected 210 papers on science self-efficacy from Web of Science (WOS) and analyzed them by using thebibliometric package provided by R-Studi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studies published inrepresentative science education journals on science self-efficacy increased drastically from 2010. Additionally,Bandura's publications and the paper of Betz & Hackett (1983) were most cited papers analyzed. A network analysiswhich identified cited literatures, key word, and the network of co-authors revealed the central characteristics of eachcluster and showed that researchers in various groups had limited networks. The historical connectivity among theauthor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branches, a student-directed branch as well as a teacher-directed branch as the subjects of science self-efficacy. A mapping of research themes through Keyword Plus showed that basic themescould be distinguished from professional ones. Based on the findings, we could suggest further studies on scienceself-efficacy, such as integrated approach among various aspects of science self-efficacy, cooperative research amongdifferent research groups and longitudinal studies on the effects. 본 연구는 과학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국제 연구 동향을 계량서지 정보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향후 이루어질 과학 자기효능감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Clarivate Analysis의 WoS에서 과학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 논문 210편을 추출하였으며, R-Studio에서 제공하는 bibliometrix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과학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에 게재되는 추세가 2010년대에 들어와서 급격하게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한 논문에서는 Bandura의 문헌을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으며, Betz & Hackett(1983)의논문이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었다. 네트워크 분석은인용한 문헌, 키워드 발생, 공저자 네트워크를 확인하였는데 각 클러스터의 중심되는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연구자들의 다양한 그룹이 한정된 네트워크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자들 간의 역사적인 연계성은 크게두 갈래로 나누어지는데 과학 자기효능감의 연구 대상에 있어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가 중심이 되는 갈래가있음을 확인하였다. 키워드 플러스를 통한 매핑은 기본및 전문 테마를 구별하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 자기효능감의 다양한 분야와의 통섭적인 접근 및 연구 집단의 협력적인 태도, 종단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생각해볼 수 있었으며 향후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집단에 따른 연구개발집중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안정(Chung, An Jung),박삼복(Park, Sam Boc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7

        일반적으로 연구개발비 지출은 미래 수익성을 향상시키고 기업의 시장가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Lev and Sougiannis 1996; 조성표와 정재용 2001; 백원선과 전성일 2004). 연구개발비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경쟁기업에 비해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 경쟁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다품종 소량생산의 마이크로 트렌드 시대에서는 중소기업이 보다 민첩하게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무형자산의 가치창출에도 보다 유연한 조직 형태일 수 있다(김병기 2008).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집단과 중소기업 집단의 연구개발집중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는지와 총 연구개발집중도 중 비용화/자본화한 연구개발집중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표본은 한국거래소 상장 제조업을 대상으로 2003년에서 2011년까지의 10,340개(기업-연도)를 실증에 이용하였다. 실증결과 첫째, 대기업 집단의 연구개발집중도가 중소기업 집단의 연구개발집중도 보다 기업가치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집단의 비용화/자본화한 연구개발집중도는 중소기업 집단의 비용화/자본화한 연구개발집중도 보다 기업가치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 집단과 대기업 집단 내의 자본화한 연구개발집중도가 비용화한 연구개발집중도 보다 기업가치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 연구개발 담당자가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하거나 정책 담당자들이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지원 확대 또는 축소 등에 대한 정책의 수립과 당면한 연구개발 지원체계를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general, R&D expenditures improve the profitability in the future and greatly effect on firm’s market value (Lev and Sougiannis 1996; Jo and Jung 2001; Paek and Jeon 2004). The more large firms of R&D scale, compared to competitors, product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is higher. On the other hand, in the micro-trend era of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the small business can respond more quickly to change in, and it also may be in the form of a more flexible organization to create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Kim 200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R&D intensity and firm value may be influenced by the business group size. And to test whether firms’ decisions to capitalize vs expense of R&D expenditures affect firm value along the business group. The sample consists of manufacturing firms on Korean Stock Exchange from 2003 to 2011.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2,050 firm-year observations are as follows: First, R&D intensity for the large business groups are related more greater to firm value than those for the small business groups. Within the small business groups, size effect is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Second, capitalized R&D for the large business groups are related more greater to firm value than those for the small business groups. Third. capitalized R&D for the large business groups and the small business groups are related more greater to firm value than expensed R&D for the large business groups and the small business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elpful for practioner to make decisions on R&D costs based on their business plan and policy-makers of the corporate support for R & D policy making to zoom in or out and establishing support system for faced research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