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공연의 연구 동향 분석

        시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무용공연 관련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토픽모델링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무용공연 마케팅전략 및 발전방안 연구, (2)무용공 연 공간 및 공연만족 재관람요인 연구, (3)무대환경이 무용공연의 대중성 활성화와 기여도 연구, (4)무용공연 현황 및 무용단 운영사례 융합 연구, (5)다양한 소셜미디어 활용한 무용공연 확정성 연구, (6)기술적용 무용공연 콘텐츠 방향 및 개발 연구 6 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에 무용공연을 비롯해 무용 분야 관련 연구의 시기, 사회 변화에 따른 연구 트렌드와 주제를 파악하고, 연구자들의 변화 관심 주제의 주요 핵심어를 추출해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시기별 주요 키워드를 비교 분석하였 다. 이에 다각화되고 융합되면서 신기술이 적용되는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발전적 연구의 필요성을 고민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nce performanc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big data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 results derived from topic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1) Six major topics were derived: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plans for dance performances, (2) a study on the re-watching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spa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3) a study on the popularity and contribution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stage environment, (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convergence of dance group operations, (5)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dance performances using various social media, and (6)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applied dance performance contents. Accordingly, research trends and topics related to dance, including dance performances, social changes, key keywords of researchers' change interests were extracted, and keywo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academic change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the need for research to apply new technologies was emphasized as it diversified and fused.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9년∼2018년 학술지 중심으로

        송건(Song Jian),정진자(Chung Jin-Ja)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의 연구 분야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의 최근 10년간(2009∼2018)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학술지 논문 33편을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학술지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시각장애연구지, 중국은 现代特殊教育이 연구중심지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 수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2인 공동연구, 중국은 단독(1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대학교수, 중국은 특수학교 교사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는 한국과 중국 모두 통합교육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중국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유아 연구동향 분석 연구 또는 다른 장애유형 유아 연구 동향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시각장애 유아에 대한 조기교육, 진단평가, 교육환경 및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는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amine th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tudy of Korea and China s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 last 10 years(2009-2018) in Korea and China Journa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sociated with the serving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re were treated with 33 journal articles section of the final selection of Korea and China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z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journals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Korea showed the research center for the visual impairment and China for modern speci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Korea has the most two-person research and China has the highest number of independent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researchers,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by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in China was the largest.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study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Fifth, the type of trend research results are Korea s research, China showed the greatest literature. Sixth,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Korea and China had the most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themes. Seventh, as a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Korea and China showed the most themes that studied inclusive education for infants. Eigh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Korea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opics for inclusive education us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China us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studies ne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disorders or to compare them with other trends in young childhood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tents of early educ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and to apply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in China.

      •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 :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오혜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관련 연구과제를 발굴,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주제 학술논문 264편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자 동향, 학술지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주제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 동향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2011년부터 2013년의 3년 동안 연구가 매우 활발하였다. 둘째, 연구자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 연구가 상당수였고 연구자 대부분은 교수, 대학원생 등 대학에 소속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 동향을 살펴본 결과, 문헌 연구로의 연구방법 편중이 심했다. 넷째, 연구주제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초반에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의 개념과 정체성, 역할, 이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근거, 관련 역사 등의 주제가 활발히 다루어진 반면 2010년대부터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실천(사역) 전략과 방법, 구체적 프로그램 또는 사업, 사역의 효과성 검증, 사례 탐구, 목회·선교와 연계한 고찰, 대상별 기독교사회복지 또는 교회 사회복지 방안 등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채호(Lee Chae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동향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변인들과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에 등록된 학술지(등재지, 등재후보지)와 석⋅박사학위논문 으로 게재된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시기별 동향, 연구변인별 동향 및 연구유형 동향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연구시기별 동향에서는 2005년 1편으로 시작하 여 2013년 14편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변인별 동향에서는 개인변인은 18가지(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등), 환경변인은 6가지(직무환경, 원장 리더십, 조직문화 등)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유형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양적연구 중에서 관계연구를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료분석방법의 경향에서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is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theses about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80 volumes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 articles were selected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thesis. analysis was for year, content, research method and date analysis by SPSS program.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hanges by the year were that the numbers of qualitative researches increased from 1 volumes in 2005 to 14 volumes in 2013. second, the greatest quantity of research contents was individual variable(Job satisfaction, Job stress, teacher efficacy, burnout, exhaustion, resilience, etc.). third, the most quantity of research method was correlation research in quantity research. lastly, the greatest quantity of data analysis was correlation and regression.

      • KCI등재

        국내 경영컨설팅분야 학술연구의 동향분석 및 연구방안 제언

        김상표,변충규,하환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경영컨설팅분야의 학술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200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경영컨설팅분야 연구 편이다. 분석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관련 논문들의 전반적 연구현황을 정리했다. 둘째, 관련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으로 실증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컨설팅 연구가 증가추세에서 최근 관련 연구들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연구방법을 살 펴본 결과, 실증분석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컨설팅 성과측정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컨설팅분야 학술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고, 경영컨설팅과 관련된 향후 연구 방향을 제 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search trends and present future research plans by analyzing domestic research in the field of management consulting.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research section of management consulting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2004 to 2019. The analysis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the overall research status of related papers is summarized. Second, the research trends of related papers are summarized. Third, the flow of research was reviewed mainly on empirical research papers as an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research consulting has been on the rise, related studies have been decreasing recentl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method, survey research was the majori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consulting performance measurement factors were tak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in management consulting was analyz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management consultingwere suggested.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정민영(Jung, Minyoung),조영종(Cho, Young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계에서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점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총 84편으로, 1차~3차 검증 절차를 통해 선정되었다. 결과 도출을 위해 김선은(2019)과 하혁, 박대원(2020)의 연구방법론을 참고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Excel 이다. 분석준거는 양적 변화 동향,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대상 동향이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중기~후기 구간에 발행된 논문이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교육과정 분석이었다. 셋째,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된 연구물이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연구논문의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였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은 심층적이고 다방면에 걸쳐 시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 극복을 위해서 연구자료를 더욱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e research tren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esearch trend. Methods This study, 84 papers were selected. Study method is research trend analyze method. Specifically, first, trends of quantitative. Second, trends of major area and topics. Third, trend of research method. Fourth, trend of research subject. Results This study results.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earch is steadily increase, and more than half of theses are publishehd in the mid-late period.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and topics was curriculum analyze.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69 papers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documents centerd on curriculum, textbooks, and research papers. Conclus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in a more in-depth and multi-faceted manner.

      • KCI등재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경은 ( Kyung Eun Kim ),정지현 ( Ji Hyun J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ㆍ종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교사학습공동체의 연구방향, 나아가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제와 실천의 개선에 필요한 방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수록된 논문과 석ㆍ박사학위논문으로 총 46편의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논문들이다. 논문들은 연도별 연구동향, 연구 방법적 연구동향(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주제별 동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10년 이후 논문수가 증가하면서 현재까지 유아교사학습공동체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적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유형으로는 질적연구가 많았다. 자료의 수집은 질적자료 수집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현직교사교육관련 주제를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의 논의 및 시사점에 대한 동향분석결과, 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원장의 리더쉽 강화와 행정적 지원 및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artic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fforts on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y.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provides some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professiona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ty-six articles o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selected academic journals that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or were nominated for registration with it. The articl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year, research methods(subject, type of research,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and research topics.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rends by year, the number of the articles started to increase in 2010, and steady research efforts have since been direct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date. Second, concerning trends in research methods, early childhood teacher in many. In regard to the type of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was dominant. In terms of data gathering, multiple measurement method made use of two or more methods to collect data. As data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prevalent. Third, in relation to trends research topics, case studies teach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laces were most common.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 동향 분석

        박진철(Park Ji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의 분석은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의 관련 연구 쟁점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성을 모색하고 연구 영역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된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과 주요 학술지 게재 논문 257편을 2019년 1월부터 3개월 간 검색한 후 연구물의 시기별, 유형별(학위논문, 학술지),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 및 절차를 기술하고 기술의 발달과 학습 형식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용어를 정리하였다. 멀티미디어의 활용 연구는 시기별로 2000년대 초반에는 연구물의 수가 많지 않았으나 2010년부터 급격히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에 기인한 것으로 기술적 환경이 조성과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의 등장과도 무관하지 않다. 유형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대부분이 학술지와 석사 학위 논문에 치우쳐 유형별 편중성이 심각했다. 학술지의 경우 한국어교육 관련 대표 학술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타 학술지의 경우 교육학, 교육공학, 멀티미디어학, 컴퓨터・정보통신공학 등으로 다양했는데 이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관련 연구가 세부 주제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범주에 속하는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기능적 측면에서의 연구 동향은 학습자 중심의 자가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 고 다음은 교사 중심 수업에서 시청각 자료로서의 도구적 활용 방안 연구 순이었다. 한국어교육 측면에서 연구 동향은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적용 및 활용을 다룬 ‘교수법 일반’으로 분류될 수 있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과정 개발 및 분석 연구, 교수 자료 개발 연구 등의 순이었다. 또한 교육 내용에 대한 분류는 언어 기능 교육 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언어 지식 교육 연구가 그뒤를 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rends in multimedia utilization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since 2000. Thi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will allow us to look at related research issues in multi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lore future directions and discuss areas of research. To this end, we examined 257 master s and doctorate paper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and 257 papers published since 2000 when multimedia-related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research trends by timing, type (degree paper, academic journal), and subject. First, the analysis objects and procedures for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the newly emerged terms were put together as the technology developed and the learning style changed.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did not have much research in the early 2000s, but it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10. This is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and is also related to the creation of a technical environ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In the research trends by type, most of the studies subject to analysis were biased towards academic journals and master s thesis, which led to serious bias by type. However,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journals wa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ne or more categories of multimedia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hose related to education, multimedia, computer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engineering. First of all, research trends in functional aspects led to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learner-oriented self-learning, followed by the research on tooling utilization as audiovisual material in teacher-centered classe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rends were most frequently classified as professional law general, which deals with the education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multimedia, followed by research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nalysis and research on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In addition,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was the largest study of multimedia utilization for language functional education, followed by language knowledge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 대상 예술치료 연구 동향 : 최근 10년을 중심으로

        송수경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4년 4월 말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10편 및 학위논문 18편을 대상으로 하여 중․고 청소년 대상 예술치료 연구 총 28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적 기법을 적용한 예술치료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향후 후속연구 제시와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동향분석 선행연구와 분석 자료를 토대로 분석틀을 구성하였으며, SPSS 12.0으로 빈도분석 하였다. 첫째, 연구에 사용한 예술치료 용어, 둘째, 연도별 논문 발표 편수 및 연도별 연구자 전공, 셋째, 연구대상에서 연령, 성별, 문제유형, 실험집단원 수, 넷째, 연구내용에서 연구에 적용한 단일 치료기법 수 및 종류, 청소년기 특성 종속변인, 다섯째, 연구방법에서 연구유형, 연구설계, 회기별 치료시간, 주기, 프로그램 회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관한 결과를 토대로 이 분야의 연구 발전을 위해 향후 한국에서 예술심리치료 용어 정리, 이 분야의 청소년 대상 연구의 양적 확대, 그리고 연구방법 및 다양한 대상의 연구 확대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와 의의를 밝혔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on art therapy targeting the youth in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subject,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10 pieces and 18 pieces domestic dissertation thesis from 2003 until the end of April, 2014.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grop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apers on art therapy for Youth applying integrated techniques, to present subsequent stud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help balanced development. The framework of the data The framework was composed of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12.0.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riteria were evaluated. First, the term of art therapy used in research. seco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by year and the major of researchers. third, age, gender, type of problem of subjects,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group. forth, the number and type of a single treatment applied to the study in the study content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adolescent characteristics. fifth, the type of research methods, study design, treatment time per session, period, and the number of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

        조보람(Bo ram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추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5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이루어졌고 국내 학술 논문 57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내용, 관련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연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4년제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자료수집방법별 동향은 질문지법의 활용이 높았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관련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에서 독립변인으로는 교육프로그램, 학업적자기효능감, 전공선택동기, 대학생활적응이 활용되었고 매개변인으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활용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대학생활적응이 주로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학교생활적응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iversity freshman adaptation to school lif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22 to August 2022, and 57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rends in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research related to college freshman adaptation to school lif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9. Second, as for the trends by study subject,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freshmen at four-year colleges. Third, in the trend by research type,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most. Fourth, the use of questionnaire method was high in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showed the highest at 64.9%. Sixth, in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education program, academic self-efficacy,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As a dependent variable, college life adaptation was mainly us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ool life adaptation of college freshmen and suggest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school life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