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cadastre)의 어원에 관한 연구

        김영학(Kim Young Ha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2 No.2

        지적어원(origins of cadastre)에 대하여 재해석에 직면하고 있는 인식의 전환을 해소하기 위하여 논리적 접근과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지적(cadastre)의 어원을 사전적 의미 및 학자들의 견해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적의 발생설에 입각하여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지적의 어원을 재검토 및 재인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적어원에 관한 시각의 변화 및 접근 틀, 지적어원의 발생론적 검토 및 한계, 지적어원에 대한 새로운 인식 등으로 구분하여 지적어원을 재조명하였다. 연구범위는 지적발생설과 지적어원에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2차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 기초를 정립되었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비교론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 및 내용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지적어원에 대한 시각의 변화와 접근 틀은 시각의 변화, 지적의 발생설과 어원의 관계, 지적어원의 접근 틀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둘째, 지적어원의 발생론적 검토 및 한계는 과세설, 지배설, 그리고 치수설 관점의 지적어원 및 한계 등의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셋째, 지적어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발생론, 논리성, 그리고 거시적 접근을 고려한 지적어원의 인식전환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In order to solve a pending perception change which the origins of cadastre is confronted with, The logical approach and the response is a urgent matter now.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recognize of resonable and desirable origins of cadastre from occurrence theory of cadastre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meaning in the dictionary and the viewpoint of scholars of origins of cadast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origins of cadastre was suggested in the change of perspective, approach framework, review and limitation based on occurrence theory of origins of cadastre and new perspective of origins of cadastre.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into occurrence theory of cadastre and origins of cadastre.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 was established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it, and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ccess are applied jointly as the access way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produced from 3 following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perspective and approach framework of origins of cadastre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change of persp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theory and origins of cadastre, approach framework of origins of cadastre. Second, review and limitation of occurrence theory of origins of cadastre is approached in terms of taxation theory, rule theory, flood theory of origins of cadastre and limitation. Third, new perspective of origins of cadastre is accomplished in terms of occurrence theory, the logic, the change of perspective of origins of cadastre considering macro approach.

      • KCI등재

        어원론 연구에 관한 소고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Etymolog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with reference to Romance Languages. We can see the first relatively detailed discussion of the etymological problems in the Dialog<Kratylos> of Platon in which he showed an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names of human beings, of animals or of things. At that time Etymology was the science of researching <the true meaning>. This kind of tradition for the etymological study was succeeded by the Roman Grammarian Varro through the Grecian Scholars of late Stoa School, above all Chrysipos. In the Medieval epoch the ancient etymological concept was not basically changed . It is not going too far to say that the modern Etymology bega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From about 1900 onward Romance Linguistics became the field in which new methods were adopted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Indo-European studies. For the etymologists of this generation Etymology means no more than the earliest form and meaning of a word, regardless of whether any statements is made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Henceforth, it was governed by new principles. Firstly, the importance of word-blends is recognized with increased awareness. Secondly, Onomatopoeia is reinstated as a reputable source of linguistic creations. Thirdly, the appearance of linguistic geography, which is treated as a universal method for finding out the real truth of word-history, was influential in the research. The notion of Etymology becomes ambiguous: the old type, phonological, so-called <étymologieorigine> contrasts with the modern, semantic, <étymologie-histoire du mot>. In the light of these developments it is clear that today Etymology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embraces two essentially different questions. One is the original form as well a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Indo-European Prototype. The other is its subsequent history down to a point indicated by the documentation of the cognate language concerned. Etymology in the modern sense is biography of the word; its origin would be nothing but a point of departure for further research. Therefore for ideal etymological research we need further examination not only of phonological, semantical but also of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orm in consideration of both sides, namely internal and external facts of language. 성)라는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어원론의 원의는 ‘참된 어의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플 라톤은 일찍이 사물의 명칭과 그 의미의 개연성에 관하여 의문을 제기한 바 있으며, 그 후 어원연구에 관한 관 심은 크리시포스(Chrysippos) 등과 같은 고대 그리스의 후기 스토아학파를 거쳐 고대 로마제국의 학자들에 의 해 계승되어졌다. 고대 로마제국의 라틴어 문법학자였던 바로(Varro)는 어원론을 ‘단어들이 왜 그리고 어디서 온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이 서양에서는 이미 고대 그리스 및 로마시대에 낱말의 기원 에 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 학자들은 어원 분석이나 의미 변화에 있어서 그것을 정확히 규명 하지는 못했다. 중세의 어원론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의 이론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어원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의 연구방법이 확 립되면서 어원연구도 규칙적인 음운변화에 관심을 집중시키게 된다. 19세기 말 의미론이 과학적 학문으로 발전 하기 시작하면서 어원론에도 낱말의 의미를 다시 중요시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지리학 연구에 의해서 크게 확산되었다. 또한 당시의 실증주의적인 학문연구 방법에 입각하여 문헌상의 충분한 증거자료를 제시하는 방법론적인 영향을 받아 어원연구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즉, 전통적 음운 변화 법칙에 입각해서 그 기원 을 찾고자하는 기원 어원론〉에서 의미 변화에 의해서 낱말의 변화 과정을 강조하는 〈낱말의 역사 어원론〉 으로 바뀐 것이다. 20세기 초에는 한 때 어원연구에 있어서 음성적인 면과 의미적인 면이 대립하였으나 1 차 세계 대전 이후 그러한 대립에 관한 무모한 논쟁이 사라졌으며 〈언어 내적〉 사실과 〈언어 외적〉 사실을 고려하여 음운론적, 의미론적 자료뿐만 아니라 형태 통사론적인 면도 엄밀히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다.

      • KCI등재

        국어 어원사전의 연구성과

        김무림 국어사학회 2019 국어사연구 Vol.0 No.28

        Finding etymology of some word is a instinctive action of mankind from the beginning. Language is a relation between sound and meaning. Therefore the desire of finding a ultimate meaning is a very interesting and natural work for language. In this thesis I tried to report briefly about Korean etymological dictionaries in contemporary period. There are many dictionaries in Korean etymology. But there are many views in disagreement of etymological interpretation. There are two tendency in the pursuit of etymologe. One is comparative linguistic method, other is a internal method in Korean history. Macroscopic view point the comparative method is not bad. But Korean language is a one of ambiguous languages in genetic relation. At this time the result of Korean etymological dictionaries is reliable for internal Korean historical method. Probably it is difficult to expect some result in comparative method. 본고는 주로 현대에 편찬된 어원사전의 연구성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현대의 어원사전은 근대 및 개화기의 어원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먼저 현대 이전의 어원연구의 성과를 개관하였고, 이후 현대의 어원집 및 어원사전의 성과를 간추렸다. 현대의 어원사전은 일반 국어사전에서 어원 정보를 보이는 것과 어원만을 다른 전문적인 어원사전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전체적인 규범성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어원론이 지양되지만, 후자는 어원론의 심도를 높이면서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견해가 표출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만 비교언어학적인 어원론은 계통론의 미비로 성과를 기약할 수 없다는 것이 한계이다. 어원론은 비판과 수렴이라는 양상 속에서 어원론에 대한 토대가 마련되고 성과가 축적되는 과정을 밟는다. 그러므로 어원론의 속성은 언어에 대한 반성작용(反省作用)이 가장 치열하게 적용되는 분야이다.

      • KCI등재

        요스트 트리어 Jost Trier의 어원론 연구와 그 비판적 수용과 발전

        진정근 ( Jin¸ Jeongku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1 독일언어문학 Vol.- No.93

        요스트 트리어는 우리에게는 대부분 낱말밭 연구자로만 알려져 있다. 트리어가 자신의 연구 생애의 마지막 30여년을 어원론 연구에 몰두했다는 사실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트리어의 연구 분야는 수호성인연구, 가옥연구, 낱말밭연구, 어원론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들 분야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나 자세히 고구하면 어휘연구라는 큰 틀에서 서로 발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리어의 어원론 연구는 ‘Lehm’, ‘Holz’ 등에 대한 어원 탐색과 같은 익숙하지 않은 주제였다. 주제가 낯설다는 것 외에 트리어의 어원론 연구는 지칭 대상에 대한 철저한 탐구와 선사시대 문화에 대한 재구성이 특징이다. 그리고 사물에 대한 명명은 일차적으로 인간의 노동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그의 확고한 신념이었다. 인공물은 물론 자연물에 대한 명명도 이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트리어의 판단이었다. 헤르버만은 트리어의 어원론 연구 결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켰다. 먼저 통시적으로만 이루어졌던 어원 연구를 공시적 어원론으로 전환시켰다. 어원론을 언어사용자의 공시적 언어능력에 기반한 어원 탐구로 정립한 것이다. 또한 트리어 당시까지만 해도 어원의 추적이 대부분 책상 위에서 이루어지는 추측의 결과였는데, 트리어는 이른바 에르골로기의 원리로써 어원론에 대한 학문적 초석을 놓으려고 시도했다. 헤르버만은 이러한 시도를 더욱 정밀하게 심화시켜 어원론을 명명의 근거를 밝히려는 명명원리의 체계로 승화시켜 그 학문적 성격을 크게 강화시켰다. 여러 분야의 어휘를 분석해서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 독일어에서는 18개의 명명원리가 규명되었다. Jost Trier ist in Korea meist nur als Wortfeldtheoretiker bekannt. Es ist wenig beachtet worden, dass Trier die letzten 30 Jahre seiner wissenschaftlichen Laufbahn der etymologischen Forschung gewidmet hat. Triers Forschungsbereiche können in Patrozinienforschung, Wortfeldfor- schung, Hausforschung und Etymologie unterteilt werden. Obwohl diese vier Felder nicht miteinander verwandt zu sein scheinen, kann man bei genauerer Betrachtung erkennen, dass sie im breiteren Rahmen der Wortschatzforschung miteinander verbunden sind. Trier hat sich bei der etymologischen Forschung mit unbekannten Themen wie „Lehm” und „Holz” etc. beschäftigt. Neben diesen ungewohnten Themen zeichnet sich seine Forschung durch eine gründliche Untersuchung der Bezeichnungsobjekte und durch die Rekonstruktion der prähistorischen Kultur aus. Es war seine feste Überzeugung, dass die Benennungen von Dingen primär von menschlicher Arbeit bestimmt werden. Nach Trier gilt das nicht nur für Artefakte, sondern auch für Naturdinge. Herbermann hat die etymologischen Arbeitsergebnisse von Trier kritisch aufgenommen und weiterentwickelt. Zunächst wird die diachron durchgeführte Etymologie in eine synchrone umgewandelt. Etymologie wird von Herbermann als ein Fach etabliert, das auf der synchronen Sprachfähigkeit der normalen Muttersprachler basiert. Nach Trier war die Etymologie das Ergebnis von Vermutungen auf dem Schreibtisch. Er versuchte, mit dem sogenannten ergologischen Prinzip eine wissenschaftliche Grundlage für die Etymologie zu legen. Herbermann entwickelte diese Versuche weiter, etablierte die Etymologie als eine Disziplin, die die Gründe der Benennungen aufzeigt, und bestärkte ihren wissenschaftlichen Charakter. Im Deutschen werden etwa 18 Benennungsprinzipien identifiziert, die bisher durch die Wortschatzanalyse in verschiedenen Bereichen aufgedeckt werden.

      • KCI등재

        바라밀다(PĀRAMITĀ)의 형태론적 어원 분석들과 그 실제적 가능성에 대하여

        전순환(Jeon, Soon-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7 No.2

        P?RAMIT?의 형태론적 어원과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합성어적 분석과 단일어적 분석, 두 부류의 유형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분석들만이 존재할 뿐, 각각의 분석이 맞는지 틀리는지의 논의가 전혀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 모든 분석이 나름대로 가능하다거나 특정 분석이 무비판적으로 그대로 수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한 논의의 필요성이 부각되지 않은 이유는, 형태론적으로 볼 때 그 유래가 각기 다르지만, 이 단어의 의미가 ‘도피안’과 ‘완성의 상태, 완전성’으로 집약되고, 어떠한 의미가 취해지든 불교적 문맥에 부합한다는 학계의 전반적인 생각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에 들어서 일본의 학계가 P?RAMIT?의 어원 분석에 큰 관심을 기울이는 분위기이지만, 그 초점은 언어 내적 측면에서의 형태 어원 분석이 아닌 언어 외적인 측면, 즉 불전의 해석을 통한 의미적 어원 분석에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단어의 의미가 언어 외적 측면에서 조망되는 것도 큰 의미가 있지만, 언어학적 어원론에서 바라보는 단어의 의미는 일차적으로 문제의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들의 의미의 합, 즉 단어 내적인 측면에서 결정되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형태론적 어원에 중심을 두고 한편으로P?RAMIT?의 합성어적분석P?RAM=IT?)과 단일어적 분석(P?RAMI-T?)에서 드러나는 문제점과 불충분함을 바로 잡고 보완하며 다른 , 한편으로 산스끄리뜨의 단어형성 과정을 통해 P?RAMIT?에 대해 실제적 가능성을 지닌 최적의 형태론적 어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AMIT? 는 토대가 되는 형태소가 무엇인지 정확히 가려내기 어려운 불투명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어인 까닭에, 몇 가지의 가능성들만 주어질 뿐 완전한 어원 분석이 사실상 미지의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학적 측면에서의 어원론의 과제는 바로 그러한 가능성들을 다양한 언어 현상들에 토대하여 검토하고,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교정하며, 한 단계 더 나아가 실제적 어원의 가능성을 제시해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P?RAMIT?의 어원과 관련하여 크게 합성어적 관점과 단일어적 관점으로 나뉘어져 있는 분석들을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측면에서 면밀히 검토하였고, 이 분석들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제기해 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단일어적 분석이 한층 더 높은 개연성을 갖고 있으며, P?RAMIT?가 para-(형용사 ‘높은’) ⇒ para-ma- (최상급, 형용사 ‘가장 높은, 최상의’) ⇒ p?ra-m?- [p?ra-ma∼?-] (dev?-곡용의 접미사, 최상급, 여성, 형용사 ‘가장 높은, 최상의’) ⇒ *p?ra-m?-t?-(추상명사 접미사 여성 ‘최상의 상태, 완전성’) ⇒ p?ra-mi-t?- (이화 또는 동화 ‘최상의 상태, 완전성’) ⇒ p?rami- (역형성, 최상급, 형용사 남성?중성? ‘가장 높은, 최상의’)와 같은 단어형성 과정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There are traditionally suggested two kind of etymological analyses of the word P?RAMIT?. that is one of the important terms in the Prajnn?.p?.rami?.-S?.tras. The two have basically different point of view about it’s origin, the one regarding it as compound(P?RAM=IT? and the other as simple word(P?RAMI-T?. As a result, for the meaning of the term, the former defines as ‘reaching (I-T? to the opposite shore (P?RAM)’, and the latter as ‘perfect-ness, perfection (P?RAMI-T?)’. Still today, however, under the circumstances being no critical arguments about logicality and validity of them, this paper aims firstly at suggesting, solving and revising their serious internal problems which occur in the process of word-formation especi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ound. It aims also secondly at presenting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optimal realistic possibility of etymology of P?RAMIT?from the point of view of simple word. Morpheme structure of P?RAMIT?meaning ‘perfection’ is ?wp?a-ma∼i-t??w, and linguistic processes which should be involved in this structure for this paper are not only superlative, v?ddhi, dev?declension, abstractness as known, and analogy like dissimilation and back-formation as unknown. The processing of word-formation this paper try to prove is as follows : para-(BASE, adjective ‘high’) ⇒ para-ma- (SUPERLATIVE, adjective ‘highest’) ⇒ p?am? [p?a-ma∼? SUFFIX OF DEV?DECLENSION & VRI- DDHI, adjective feminine ‘highest’] ⇒ *p?am?t? [ABSTRACTNESS SUFFIX, noun feminine ‘highest-ness, perfection, complete-ness’] ⇒ p?ami-t? [DISSIMILATION & ASSIMILATION noun feminine ‘highest-ness, perfection, complete-ness’] ⇒ p?ami- [BACK-FORM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원의 유형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김용현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원 유형 분류와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어원의 개념과 어원을 활용한 교육의 의의를 정리하고 어원을 유형별, 주제별로 제시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과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어원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한국의 언어 문화와 한국인의 사고를 이해할 수 있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어원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어원의 활용, 지명의 어원 활용, 공통 주제별 어원의 활용, 동일한 구조의 의미 관계를 가진 어원의 활용, 사전에 등재된 신조어 어원의 활용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그 의미와 활용 방안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use of etymolog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first organized the concept of etymology and the significance of etymology using etymology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and presented etymologies by type to explore ways to use th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possibilities.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etymology is that it can understand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thinking, induce learners' interest and interest, and improve Korean vocabulary skills. In order to utilize etymolog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use of etymology by geographical name, the use of etymology by common theme, the use of etymology with the same structure, and the use of newly registered etymology were also presented.

      • KCI등재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의 활용에 대한 연구

        이래호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tymolog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suggest the scope of etymology in vocabulary education, and to look at the significance of using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Using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education to help understanding by explaining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vocabulary and education of only the meaning of component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words.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even types: unproductive affixes, morphological changes, fossils, deletion and addition of korean phonemes, homonyms⋅blended words⋅acronyms, idioms and proverbs. It is also meaningful that using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can easi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form of Korean languag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vocabulary structure, develop vocabulary learning ability, create motivation for vocabulary and identify ethnic thinking and culture. Education that utilizes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is recommended to be used in advanced level, and should be targeted at correct etymology in education, and etymological information should be used as a tool to embody teaching purposes.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어원 교육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하며, 어휘 교육에서 어원이 활용될 수 있는 범위를 제시하고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 활용의 의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어원 정보를 활용한 어휘 교육은 어휘의 형태와 의미의 역 사적 변화를 설명하여 이해를 돕는 좁은 의미의 어원 정보를 활용한 어휘 교육과 어휘의 구조 분석을 통한 구성요소의 의미만을 교육하는 넓은 의미의 어원 정보를 활용한 어휘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어원 교육의 대상을 비생산적인 접사, 어형 변화형, 화석형, 음운 첨가 및 음운 탈락형, 동형이의어, 혼종어⋅혼성어⋅두자어, 관용어구⋅속담 등 7개 유형으로 나누어 몇 가지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 활용은 어휘 구조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의미와 형태를 쉽게 이해하고 어휘 습득 능력을 키워 주며, 어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민족적 사고와 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를 활용하는 교육은 고급 단계에서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교육 시 정확한 어원을 대상으로 해야 하며, 어원은 교육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되어야 한다.

      • 루마니아어의 신체관련 어휘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이문수(Lee, Mun Suh)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루마니아의 언어학자 치학(A. de Cihac)은 그의 어원사전(I. 1870,II. 1879)에서 조사대상어휘 총 5,765개 중에서 라틴어원의 어휘가20%, 슬라브어원의 어휘가 40%, 터키어원이 20%이며 나머지 20%는 그리스어원이나 헝가리어원 또는 알바니아어원 등이 차지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루마니아의 언어학자 마크레아(D. Macrea)는 그의 최근 저서(1982)에서 1930년대에 출판된 칸드레아의 어원사전과 1950년대에 출판된 루마니아어원사전 상의 통계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치학의 어원사전의 통계수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마크레아에 의하여 제시된 통계자료들을 비교하여 분석해보면 루마니아어가 언어계보적인 관점에서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루마니아어에 존재하고 있는 라틴어원의 비율이 여전히 낮은 편이라는 점이다. 루마니아의 언어학자 그라우르(A. Graur)는 그의 저서(1967)의 서론에서 모든 현상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언어에서도 일시적인 것들과 지속적인 것들 사이나 또는 표면적인 것들과 필수적인 것들 사이에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언어의 특성을 관찰하고자 할 경우에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어휘보다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주장이다. 본고에서는 일리에스쿠 (M. Iliescu)의 루마니아어의 기본어휘 및 부쿠레슈티대학교 부설 언어 연구소 팀의 살라(M. Sala) 등에 의한 로망스어의 대표어휘 중 루마니아어의 대표어휘를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인간의 신체와 관련된 어휘중에서 주요 부위에 해당하는 50개 어휘를 선별하여 그 어원 및 사용빈도나 다의성 그리고 파생력 등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루마니아어의 신체관련 어휘의 약 85%가 라틴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관련 어휘의 85% 정도가 루마니아어의 기본어휘 범위에 속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신체관련 어휘가 그 언어의 정통성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Cihahc’s 「Etymological Dictioary of Romanian Language」published in 1870’s estimated that of the surveyed 5,765 Romanian vocabulary about 20% was of Latin origin, 40% of Slavonic origin, 20% of Turkish origin and the remaining 20% of Neogreek, Hungarian and Albanian origin. A Romanian scholar, D. Macrea(1982) asserted that almost 40% of Romanian vocabulary was made up of French elements, i. e. of Romance factors showing that Cihac’s statistics were superficial and far from the fact. But as the ratio of the Latin origin of Romanian vocabulary concerned, it does not change things very much, because the number of Latin words estimated by Macrea does not exceed 30% of the Romanian vocabulary. Romanian linguist A. Graur(1967) asserted published book that in languages, as in all phenomena, distinction must be made between ephemeral and lasting elements and between superficial and essential facts. According to Graur, in the Romanian language there are some words which were not used about ten or twenty years ago and one can't be sure that these words would still be in use in ten or twenty years from now on. Conversely, there are many words which are preserved for hundreds or thousands of years. This means that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a certain hierarchy may be established among the vocabulary. In order to characterize a language, one must rely much more on its stable elements than on the ephemeral words. M. Iliescu pointed out 3,209 words as the basic Romanian vocabulary using word frequency on the field of administration, press, science and literature etc. Marius Sala, coordinator of the Institute of linguistics at the Bucharest University, published 「Vocabularul reprezentativ al Limbii Române」in 1988, in which Sala and her colleague showed 2,581 representative Romanian words. They classified these words into several categories with three criteria, namely the criterion of frequency, the criterion of polysemy and the criterion of derivation. Romanian scholar S. Puşcariu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body part expressions like cap ‘head’, faţă ‘face’ etc. in any language and confirmed after making inquiries into the etymology of the 100 physical words of the Romanian language as well as French and Italian languages that all of these three languages have approximately 90% words of Latin origin.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basic and representative vocabulary of the Romanian language, especially to study the etymology of the selected 50 physical words. 37 Of the 50 words belong to the so called representative vocabulary and 43 words belong to Iliescu’s 3,209 basic vocabulary, which means that 86% of 50 physical words are the basic vocabulary in the Romanian language. Meanwhile as a result of the etymological research on the 50 physical words, 44 are of Latin and Romance origin, 2 of Slavonic origin(obraz, gât), 2 of unknown(ceafă, burtă), 1 of Substratum(buză) and 1 borrowed from Hungarian(labă), which means that 88% of the 50 physical words are of Latin or Romance origin. Hence, more than 85% of the 50 physical words of the Romanian language show Latin or Romance origin and about the same ratio of the 50 physical words belongs to the basic vocabulary of the Romanian language. These statistics should show the true character of the Romanian vocaburary.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원의 유형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김용현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1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use of etymolog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first organized the concept of etymology and the significance of etymology using etymology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and presented etymologies by type to explore ways to use th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possibilities.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etymology is that it can understand Korean language culture and Korean thinking, induce learners' interest and interest, and improve Korean vocabulary skills. In order to utilize etymolog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use of etymology by geographical name, the use of etymology by common theme, the use of etymology with the same structure, and the use of newly registered etymology were also presented.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원 유형 분류와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의 어원의 개념과 어원을 활용한 교육의 의의를 정리하고 어원을 유형별, 주제별로 제시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과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어원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한국의 언어 문화와 한국인의 사고를 이해할 수 있고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한국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어원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어원의 활용, 지명의 어원 활용, 공통 주제별 어원의 활용, 동일한 구조의 의미 관계를 가진 어원의 활용, 사전에 등재된 신조어 어원의 활용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그 의미와 활용 방안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어원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앚/앛"계열 어휘의 어원 연구를 중심으로-

        안찬원 ( Chan Won A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8 No.-

        이 글은 단어의 어원을 밝힌 선행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국어 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에게 친근하면서 학자들간에 이견이 비교적 적은 ‘앚/앛’ 계열 어휘 어원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교육적 목적에 따라 재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어원 연구의 교육적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어 어원을 밝힌 연구 결과물은 다의어의 의미 확장은 물론, 어원핵이나 단어간의 의미 관계를 이용하여 의미 연결망을 활성화함으로써 어휘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방언 교육과 외래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태도 교육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민간어원에 의해 잘못된 해석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모색해 보았다. 어원 교육은 어휘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학생의 어휘력 신장에도움을 줄 수 있다. 어원 교육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어휘교육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suggests some ideas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etymology by us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Etymological findings is applicable to vocabulary education. They help in Polysemy learning by tracing lexical extended meaning. Vocabulary education using etymon is to give help to activate semantic network. In addition, it can be utilized in education of dialect and foreign language. Etymology education is try to generate excitement about the words. As a result, educational application of etymology I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 positive attitude, as well as expand vocabulary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