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서남옥 ( Nam-ok Seo ),김영희 ( Yeong-hee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5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세워진 이론적 모형을 통하여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C군과 E군에 소재하고 있는 5개의 공립유치원, 1개의 사립유치원, 1개의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그 곳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463명으로 하였다. 자료는 질문지 조사 방법으로 수집하였고, 유아의 어머니가 작성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제출한 것을 연구자가 회수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2.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처벌반응과 격려반응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처벌반응이 많을수록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격려반응이 많을수록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격려반응은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격려반응이 많을수록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인 긍정감정표출, 부정감정표출, 감정 숨김은 어머니의 처벌반응과 격려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어머니의 긍정감정표출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처벌반응은 적어지고 격려반응이 많아지며, 어머니의 부정감정표출과 감정 숨김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처벌반응은 많아지고, 격려반응은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처벌반응과 격려반응은 어머니의 긍정감정표출, 부정감정표출, 감정 숨김을 매개하여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 중 격려반응만이 어머니의 긍정감정표출, 부정감정표출, 감정 숨김을 매개하여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reaction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3 children (229 boys and 234 girls) aged three to five years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Umsung-gun and Cheongwon- gu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12.0, and path analysis was done using AMOS 7.0.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thers’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e higher the mothers’ dis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higher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hereas the higher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lower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econd,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e higher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higher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dissimulated emotion directly influenced their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mothers’ discouraging response decreased and their encouraging responses increased when they expressed highly positive emotion. Also,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dissimulated emotion led to higher levels of discouraging response and lower levels encouraging response. Fourth, the mother’s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s mediated their positive, negative, and dissimulated emotion, indirectly affecting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owever, only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of the mothers mediated their positive, negative, and dissimulated emotion, indirectly affecting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conclusion, the mothers’ dis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hereas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the biggest effect on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친구의 반응과 분노표현방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나현(Nahyeon Kim),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 및 친구의 반응과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청소년의 분노조절향상과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어머니 및 친구의 적절한 반응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1, 2학년 561명이다. 초기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어머니 및 친구의 반응,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 문제행동 변수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신뢰도 계수 Cronbach’ α 산출, pearson 상관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25.0 버전과 Amos 25.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분노거부 반응, 친구의 분노거부 반응, 분노표출, 어머니의 분노지원 반응, 친구의 분노지원 반응, 분노조절 순으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친구의 분노지원 반응은 분노조절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와 친구의 분노거부 반응은 분노표출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 영향도 미쳤다. 청소년의 분노조절에는 어머니보다 친구의 분노지원 반응이 더 큰 영향을 미쳤고,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직⋅간접의 총효과는 어머니의 분노거부 반응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친구가 분노지원 반응을 함으로써 청소년의 분노 조절을 향상시켜야 하며, 어머니와 친구가 분노거부 반응을 지양함으로써 청소년의 분노표출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s of mothers and friend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the means the adolescents adopt to express anger, and their problematic behaviors. The resulting data is expected to improve anger control and prevent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by suggesting adequate reactions. Methods: A total of 561 young adolescents in 1st and 2nd grades in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problematic behaviors, the reactions of mothers and friends to their anger, and the means of their anger expression were assess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estion modeling(SEM).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Results: First, young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were correlated with in the order of mothers’ anger rejection, friends’ anger rejection, anger out, mothers’ anger support, friends’ anger support, and anger control. Second, the anger support of mothers and friends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problematic behaviors mediated by anger control. In addition, anger rejection of mothers and friends showe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roblematic behaviors mediated by anger out.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mothers and friends need to increase anger support reactions and decrease anger rejection reactions in order to foster young adolescents’ anger control and to reduce anger expressions and problematic behaviors.

      • KCI등재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기질 및 상호작용이 어머니와 만 2세 자녀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고지민 ( Ji Min Ko ),김희진 ( Hee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In this writing, I am analyzing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observe how one reacts to the other`s needs in their interaction, and to study the responsiveness between them and how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oddler` temperature affect their responsiveness is to b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I keep in min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is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in their interaction? 2. How the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 temperature affect a mother` responsiveness? 3. How the mother` perceived power, the mother` temperature and the toddler` temperature affect a toddler` respon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mothers and their two-year-old toddlers in middle class families in seoul.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the criterion of mother`s and child`s responsiveness developed by Gates(2007) and the variables on the component of mother`s perceived power, the mother` and the toddler` temperature were analyzed by. The study generally show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in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oddler, they have an influence on each other. Secondly, as far as the mother` and the toddler` temperature, mother` perceived power commutatively affect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wo-year-old child. That is, mother who recognized that they have the perceived power adequately mediate between two parties and highly responsive to their parties. and mother`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 negative affectivity positively and negatively affect a mother and toddler` responsiveness in the interaction. That is,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ho have less effortful control, mothers who have more effortful control and toddlers who have more negative go a interactive way with the responsiveness between mother and her toddler. 본 연구는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 및 상호작용이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걸음마기(만 2세) 자녀 36명과 그들의 어머니 36명으로 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Gates(2007)의 부모 반응성 범주에 기초한 어머니의 반응성과 자녀의 반응성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행과제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에서의 반응성은 어머니와 자녀 측면에서 모두 분석되었으며,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은 질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 반응성과 자녀 반응성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반응성과 자녀의 반응성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자녀에 관련된 변인들은 상호작용이나 관계에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힘과 통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머니-자녀간 상호작용의 반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 중에서 어머니의 조절능력, 자녀의 부적정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반응성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와 조절능력이 낮은 자녀, 조절능력이 높은 어머니와 부적정서가 높은 자녀인 경우 반응성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와 만 2세 영아의 반응성 및 반응성간의 관계

        고지민(Ko-ji-mi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 및 반응성간의 관계를 살 펴보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중류층 가정의 걸음마기(만 2세) 자녀 36명과 그들의 어머니 36명으로 총 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수행과제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에서의 반응성을 통합적 방법과 구체 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수행과제별로 어머니의 반응성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 으로 나타났고 하위범주별로 참여성은 높게 나타난 반면에 권위적인 통제/협력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 다. 특히 반응성이 높은 어머니는 영아의 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해주는 횟수가 많았다. 영아 또 한 수행과제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반응성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였고 하위범주별로 참여성은 높 게 나타난 반면에 협력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특히 반응성이 높은 영아는 어머니의 시도에 대해 긍 정적으로 반응해주는 횟수가 많았다. 셋째, 어머니의 반응성과 영아의 반응성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 고 어머니와 영아는 서로간의 생각이나 목표를 조율하면서 양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즉, 어머니와 영아는 서로의 생각과 정서를 함께 공유하면서 서로의 반응성을 촉진시켜주면 긍정적 인 상호작용과 협력적인 관계를 이끌고 영아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observed and analyzed mothers’ and toddlers’ responsiveness in various situations in order to look into their responsive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responsiveness with respect to their interactions. To achieve that goal, this study has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is mothers’ responsiveness in mother-toddler interactions? 2. How is toddlers’ responsiveness in mother-toddler interactions?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toddlers’ responsiveness in mother-toddler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individuals from middle class families living in Seoul, of which 36 were toddlers (2 years old) and the other 36 their mothers. The responsiveness in the interactions occurring in task performances were analyzed in integrative and specific methods on the basis of Gates’ (2007) and Kochanska’s (2002) categories. The results have shown generally similar responsiveness from mothers in each task performance, and it have turned out from the results that participatoriness was high in each subcategory while authoritative control and cooperativeness were low. In particular, those mothers with high responsiveness more frequently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ir toddlers’ attempts. The toddlers also similarly maintained comparatively high levels of responsiveness in each task performance, and showed high participatoriness with each subcategory while showing somewhat low cooperativeness. Especially, those toddlers with high responsiveness more frequently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ir mothers’ attempts. Third, the mothers’ and the toddlers’responsiveness was shown to be closely related, and they bi-directionally had influence while regulating each others’ thoughts and goals. That is to say, we can tell that mothers and toddlers can be led to positive interactions and cooperative relations, and contribute to the latter’s development when they share each other’s ideas and feelings, and their responsiveness is encouraged.

      • KCI등재

        어머니 언어 및 몸짓에 대한 영아의 소통적 반응과 어휘력 간의 관계

        최현희,김명순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서 영아의 소통적 반응의 경향성, 월령에 따른 차이, 영아 어휘력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10~18개월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83쌍이었고, 각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과정의 소통적 반응을 관찰하였으며, MCDI-K 어휘력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아 어휘력을 수집하였다. 영아의 소통적 반응은 어머니의 언어 및 몸짓이 선행하고 3초 이내에 후행하는 영아의 발화와 몸짓을 The Observer XT 13을 통해 코딩한 후 연속적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반응횟수와 반응률을 산출하여 SPSSWIN 21.0으로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는 어머니 주도적 언어보다 영아 지지적 언어에 반응하는 정도가 높았고, 어머니의 몸짓에는 동일한 유형의 몸짓으로 모방하여 반응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영아의 월령이 높아질수록 어머니 언어 및 몸짓에 대한 발화 반응과 몸짓 반응이 증가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영아의 소통적 반응은 어휘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영아 간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영아 의사소통 패턴 및 영아의 소통적 반응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고, 소통적 반응과 어휘력 간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영아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였으며, 관련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과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의 관계 연구

        김지숙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유아어머니와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6세의 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0쌍으로 총 60명이었다.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장애유아의 정서표현은 담임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결과] 첫째, 장애유아어머니는 부정적 표현보다 긍정적 표현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아의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표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나, 부정적 정서가 중요하고, 자녀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정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유아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하여 비지지적 반응보다 지지적 반응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넷째, 장애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서는 지지적 반응 중 정서중심반응과 감정표현격려반응이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 있음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자녀의 정서표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유아어머니에게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their mothers' the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s were relat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ir young disabled children. [Method] There were a total of 60 children, 30 pairs of mothers, and 3 to 6-year-ol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mothers, an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by the teach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d positive express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egative express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erms of negative emotions,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negative emotions but they recognized that negative emotions were important, and they recognized negative emotions as emotions that their children naturally experience. Also,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 supportive response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on-supportive responses. Thir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Fourth, in the supportive responses of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emotion-centered response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encouragement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hat can guide the use of suitable coping methods for deal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신채영,유순화,윤경미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86 students sampled from 3 universities in B city.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matern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o analyze the dat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s test were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pportive maternal respon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nonsupportive maternal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lso,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supportive maternal response on interpersonal problems. Otherwis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nonsupportive maternal response on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대인관계문제, 정서표현양가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표현양가성이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B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412명이 참여하였으며, 이중 386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정서표현양가성,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대인관계문제,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즉,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은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즉,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유아의 정서 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와의 관계

        송영혜,김은경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유아의 정서적 능력은 또래 유능성,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유아기의 사회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6세 유아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통해 자신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사에게는 유아의 정서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동기에 과잉보호 또는 거부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은 적게 사용하고 회피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가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는 낮았다. 또한, 어머니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거부당한 경험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통제적인 반응태도와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통제적인 반응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와 상관이 있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인식능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부모로부터 과잉보호 받았던 경험과 상관이 높은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는 아동기에 거부당한 경험과 상관이 높았다. 요약하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상관이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은 자녀의 정서능력과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머니에게 바람직한 정서조절양식 및 수용적인 정서반응태도를 교육해야하고,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s were 137 preschoolers`(65boys, 72girls, aged 5-6) mothers and teachers. Emotional ability was measured by their teacher.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by mother. The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used much more active-regulation way, thei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better. Second, the more permissive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bette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 the more overprotected and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lower level of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The more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more compulsive attitude toward child`s expressiveness Forth, mother`s attitude toward thei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had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ermissive attitude towards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should be developed, counselling o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hould be done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implicated father`s role in parenting.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강선주,임선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3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emotional control and to find out it’s relationship with gender difference among variables. To this end, data from 307 mothers of children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J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multi-group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ffects the child's emotional control capacity. Secondly,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were found to have mediated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emotional control capacity. Thirdly, child's gender differences were shown, a boy-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 did not affect his negative emotional control capacity whereas a girl-mother's reaction did affect the child's capac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 to her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ut it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know that the effect of a mother’s reaction on the child’s emotional control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도 지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유아 30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비지지적인 반응이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여아는 어머니가 비지지적인 반응을 보일시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함을 보여주고,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어머니 반응, 유아 내적 표상과 억제성향, 정서조절이 유아의 신체적․관계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민성혜 한국인간발달학회 2009 人間發達硏究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머니 요인으로는 유아 공격성에 대한 어머니 반응, 그리고 유아 개인 요인으로는 유아 내적 표상과 억제 성향, 정서조절을 선정하여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경로가 공격성의 유형 즉 신체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2개 기관을 임의 선정하고 그 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56명(만 4세 30명, 만5세 26명; 남아 32명, 여아 24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 반응은 Werner, Senich와 Przepsyszny(2006)가 개발한 도구로, 유아의 공격적 행동은 Crick, Casas와 Mosher(1997)의 Preschool Social Behavior Scale-Teacher Form(PSBS)로, 유아의 내적 표상은 Bretherton, Oppenheim, Buchsbaum, Emde와 MacArthur Narrative Group(1990)이 개발하고 Bretherton과 Oppenheim(2003)이 수정한 이야기 완성과제(MacArthur Story Stem Battery: MSSB)로, 억제 성향은 박성연(1998)의 교사용 억제질문지로, 그리고 유아의 자기정서 조절 능력은 이병래(1997)가 제작한 정서 지능 척도 중 자기 조절에 해당되는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Amos 6.0을 사용하여 SEM으로 자료 분석 하였다. 측정결과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에 따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영향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영향이 나타났다. 공통점은 첫째, 유아 공격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 반응 중 대화반응이 억제성향과 정서조절을 통해 관계적, 신체적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둘째, 유아 공격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 반응 중 종결 반응은 관계적, 신체적 공격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었으며, 차별점은 첫째, 관계적 공격성의 경우 어머니 반응 중 권고가 오히려 관계적 공격성 수준을 높이는 반면, 신체적 공격성의 경우 어머니 반응 중 힘 발휘가 오히려 신체적 공격성 수준을 높인다는 것이었고, 둘째, 유아 내적 표상은 어머니 반응이 관계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를 가지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는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