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승자 시의 애도 주체와 젠더 정치학

        이광호(Lee, Kwang-Ho)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본 논문은 최승자 초기 시에서의 ‘애도의 주체’를 분석하면서 그 미학적 특이성과 젠더 정치학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최승자의 시는 애도의 주체가 ‘낳은 주체’ 즉 존재를 ‘생성’하고 ‘이행’시키는 존재가 되는 시적인 과정을 드러낸다. ‘너’와 함께 한 시간의 상실 앞에서 시적 주체는 기억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부재’속에 머문다. 기억은 몸에 새겨져 지워질 수 없는 것으로 재구성되고, 기억의 주체는 그 ‘주체화’의 자리에서 내려와 기억에 대해 수동적인 위치에 처하게 된다. 기억의 윤리학은 몸에 새겨진 시간을 ‘기억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서의 ‘이중 애도’의 주체가 된다. 기억의 주체가 ‘낳은 주체’로 전환될 때, 죽어 가는 ‘여성-몸’은 애도의 예외적인 형식을 드러낸다. 죽은 여성의 몸과 ‘사산’된 존재에 대한 애도는, ‘여성-몸’이 만드는 다른 생산의 ‘(불)가능성’으로 전환된다. 애도는 죽음을 넘어서는 ‘여성-몸’의 혁명적인 상상력과 조우한다. ‘낳는 주체’로서의 ‘여성-몸’의 잠재성은, 하나의 존재를 다른 존재로 ‘이행’시키는 것이며, 애도 주체로서의 여성 주체는 통과제의적인 장소가 된다. 최승자의 초기 시의 여성 주체는 시의 언어들 속에서 구성된 애도의 ‘수행자(遂行者)’로서의 시적 주체이다. 이 애도의 주체는 사랑과 기억의 대상을 포기하기를 거부하며, ‘죽은 몸’이 대상을 ‘다시 낳는’ 행위를 통해 대상을 ‘내’ 안에서 재생성한다. ‘낳은 주체’는 모성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여성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낳은 행위’ 자체를 통해 애도의 주체를 재구성한다. 정상적인 애도의 경제학이 애도를 탈정치화한다면,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제도화되고 권력화된 젠더 시스템을 파열시키고 애도를 재정치화 한다. This research aimed at re-contextualizing the problem of the esthetic specialty and gender politics while analyzing "the subject of condolence" in Choi, Seung-Ja"s early poem. Choi, Seung-Ja"s poem reveals the poetic process that becomes a being that "creates" and "transmits" the "born subject", i.e. the existence that the subject of condolence gave birth. At the loss of time with "you", poetic subject remains in "absence" in the method of preserving the memory. Memory is recomposed as something that cannot be erased by being carved in body, and the subject of memory stays in the passive position in memory by descending from the position of that "subjectivation". Ethics of memory becomes the subject of "double condolence" as the being that "cannot but remember" the time carved in body. When the subject of memory is changed to "the subject that gave birth", dying "woman-body" reveals the exceptional form of condolence. Condolences on dead woman"s body and "stillborn" being is changed to "(im)possibility" of another production and revolution that "woman-body" makes. Condolence encounters revolutionary imagination of "woman-body" beyond death. Potential of "woman-body" as "the subject that gives birth" "transmits" an existence to another one, and the woman subject as the subject of condolence becomes the place of passage offer. Woman subject in Choi, Seung-Ja"s early poem is the poetic subject as the "performer (遂行者)’ of condolence composed in poetic languages. Subject of this condolence refuses to give up the object of love and memory, and regenerate the object in "me" through the act of ‘giving birth to the object again’ of ‘dead body’. ‘Birth giving subject’ does not define woman category as the ideology of mother, but recomposes the subject of condolence through ‘birth giving act’ itself. If the economics of normal condolence ex-politicizes condolence,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ruptures institutionalized and authorized gender system and re-politicizes condolence.

      • KCI등재

        비체와 우울증의 정치학- 젠더의 관점으로 5․18소설 읽기

        이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여성문학연구 Vol.17 No.-

        So called 'May 18 Novels' describe the May 18 Upspring for Democratization mostly along one of two orientations: aesthetic configuration or calling to testify that disaster. Critics and comments on them are not diffent from such trend. Nevertheless, the ways to deal with feminity don't variy with those orientations. Female characters in those novels are described as powerless victims and/or as figures that only reflect male characters' damages imposed by state. This paper tries to reveal some possibilities of feminity, which is either left out or concealed behind masculinity to remain invisible in those novels. The theories on abject and melancholia can make good framework of reference for such aims of research, with which some salient roles of female characters can be explained across the distinctions of power/'others', active/passive, male/female. Melancholia can construe the subject by merging self to the object that they have been lost, while abject may become one that imperils divisions between subject/object. From this perspective, melancholia and abject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both doubt and negate such boundaries. Woman can get potential power as subject with return of abject and ethics of melancholia, which make the 'others' positive possiblities tochange and transform the subject. In May 18 Novels, such abjects and melancholia appear themselves in genderized form. ꡔBomnal(Spring Days)ꡕ and ꡔKwangya(the Wildness)ꡕ where male chaeracters are narrators, bring to their foci on immortal death. In contrast, ꡔPieora Suseonwha (Blooming Narcissus)ꡕ, ꡔSijuldeul(the Old Days)ꡕ, and ꡔGitbal(the Flag)ꡕ let female characters tell the stories of the living deads(home sacer). 본 논문은 비체와 우울증이론을 원용하여 5․18소설을 해석함으로써 여성주 체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5․18소설은 미적 형상화와 증언의 소명의 식이라는 상반된 노선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여성성에 관한 한 양 경향은 크게 다르지 않다. 5․18소설의 계보에서 여성은 누락되거나 비가시화되는 경향이 강하다. 소설 속의 여성인물은 국가권력의 무력한 피해자이거나 피해자 남성을 반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여 본 연구는 젠더의 관점에 착안하여 피해자화와 타자화로 고착된 여성 의 의미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비체abject와 우울증melancholia 이론은 권력/타자, 능동/수동, 남/녀의 간극을 가로지르는 여성주체의 역할을 설명하는 좋은 준거가 된다. 우울증이 상실한 대상을 합체하여 주체를 구성하는 것이라면, 비체는 주체/대상의 경계를 위협하는 존재이다. 경계에 대한 의심과 부정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상통한다. 비체의 귀환과 우울증의 윤리는 여성들로 하여금 주체의 잠재력을 획득하게 한다. 비체와 우울증을 통과함으로써, 타자가 주체를 바꾸어낼 수 있는 능동적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5․18소설의 경우 비체와 우울증의 양상은 젠더화된 모습으로 드러난다. 남 성인물들이 초점화자로 등장하는 「봄날」, 「광야」는 불멸하는 죽음에 초점을 맞 추고, 여성인물들이 초점화자로 부각되는 「피어라 수선화」, 「시절들」, 「깃발」 등은 소멸하는 삶에 초점을 맞춘다. 정찬의 ꡔ광야ꡕ는 5․18민주화운동의 주체를 남성으로 한정함으로써 어머니 를 제외한 모든 여성들을 비가시화시키는 젠더맹목을 노출시키고, 임철우의 ꡔ봄 날ꡕ은 여성인물이 그 수습을 담당하는 비체로서의 시체를 부각시킴으로써 늘 피해자였던 여성이 치유의 주체로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죽음에 파먹힌 삶, 타자를 합체한 우울은 홍희담의 ꡔ깃발ꡕ이 지니는 힘이 된 다. 소설은 대상의 상실과 합체에서 실천과 투쟁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직선적 으로 제시함으로써 관념적 수준에서나마 나름의 희망을 확보한다. 공선옥의 소설은 이러한 우울증을 윤리와 만나는 지점까지 밀고 나간다. 애 도와 전이로 5․18이 역사화되는 국면의 바깥에서 애도되지 못한 잉여들을 끌 어안는 우울증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이를 통해 슬픔의 위계화를 조장하고 이전의 질서를 정당화하는 애도의 정치에 저항하며 현재를 승인하지 않는 정치적 입지를 확보한다

      • KCI등재

        ‘젠더번역’ 관점에서의 최윤 소설-최윤, 「회색 눈사람」을 중심으로

        이한나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5

        ‘문화혁명회’라는 반정부 지하운동 단체의 활동을 돕게 된 여대생 강하원이 점차 조직으로부터 거리를 느끼는 과정을 담아낸 최윤의 「회색 눈사람」은 또 다른 여성 인물 김희진이 종내 아사한 시체로 발견되고 마는 것을 더해, 운동과 이념으로부터 ‘소외’당한 이들의 좌절과 고통을 섬세한 문체로 그려낸 소설이자, ‘애도’ 되어야 할 상처 입은 여성들을 앞서 가리키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혁명회의 거점으로서 자리하는 인쇄소의 주인 ‘안’, 그리고 단속이 격해지자 이십여 일간 그녀의 자취방으로 도피해 온 ‘희진’과의 관계 속에서 하원은, 나아가 「회색 눈사람」은 해석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초점을 달리하여 본고에서는 이십 년 전의 자신을 반추하고 있는 화자 강하원의 행적에 새삼 주목해 「회색 눈사람」을 다시 읽는다. 이때 ‘이탈리아 사학가의 독일어본 역사책’ 번역에 매달리나, 매번 반 면을 못 넘기고 지쳐 떨어지는 행동을 반복하는 그녀의 모습이 확인된다. 요컨대 하원이 계속해서 번역을 ‘하는’, 달리 보자면 번역을 끝맺지 못하고 실패에 가깝게 반복하는 상황은 ‘원문의 번역 가능성 여부’를 의심하고 부정하는 실천 행위로서 ‘번역 불가능의 정치학’을 담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젠더번역(gender-translation)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작중 운동 조직 내 사회주의 사상의 핵심을 담은 것으로 묘사되는 저서의 ‘원본성’−‘안’의 인쇄소에서 양산하고자 하는 그것−의 무력함을 지시하는 하원의 모습은 포착된다. 자신의 소설을 역사를 향한 ‘전언(傳言)’으로 상정하는 작가 최윤의 의식과도 맞닿아 있는 이와 같은 관점은, 어째서 현재의 강하원이 다름 아닌 ‘안도감’을 느끼고 있음을 역설하는지 그 해답을 건넨다. Grey Snowman written by Choi Yoon, depicts the process of Kang Ha-won, a female college student who starts to help the activities of an underground anti-government movement group called the Cultural Revolution Association, and gradually feels distanced from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another female character, Kim Hee-jin, is eventually found as a starving corpse, this is a novel that describes the frustration and pain of those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movements and ideologies in a delicate style and also evaluated as a novel that previously indicates the wounded women who should be ‘mourned’. In her relationship with ‘Ahn’, the owner of the printing factory that serves as the base of the Revolutionary Association, and ‘Hee-jin’, who escaped to her room for twenty days due to the intensified crackdown, it can be said Ha-won, and also Gray Snowman have been interpreted. With a different focus, this paper re-reads Gray Snowman, paying renewed attention to the trail of the narrator, Kang Ha-won, who is reflecting on herself in twenty years ago. At this time, we can see that she keeps concentrating on translation of ‘German history book by an Italian historian’, however, she repeats a failure to get through half a page and gets exhausted every time. In short, the situation in which Ha-won continues to try to translate, or in other words, keeps almost being failed to complete the translation, it is a practical act of doubting and denying the ‘possibility of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and embodies the ‘politics of untranslatability’. That is, from the perspetive of gender- translation, it is captured Ha-won’s appearance that indicates the powerlessness of the ‘originality’ of the book, which is described as containing the core of socialist ideology within the movement organization – what ‘Ahn’ is trying to mass-produce in his printing factory. This kind of perspective is also in line with the consciousness of writer Choi Yoon, who regards her novel as a ‘message’ toward history. It also provides an answer to the question why Kang Ha-won in the present emphasizes that she is feeling none other than ‘relief.’

      • KCI등재

        전시체제기 위안(慰安) 문화와 ‘삼천리’ 반도의 일상

        손유경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wartime system in the colonial period transformed Korean people's daily lives. It also demonstrates that Korean people played an active role in both forming and deconstructing Japanese ideology of 'the assimilation of Japan and Korea'. Samcheolee is an essential text that represents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wartime system and the daily lives in Korea. This paper approaches the splendid farewell ceremony as well as the widespread culture of comfort as the barometer for daily lives in the wartime. From this viewpoint, Chapter 2 examines the binary role model of 'Japanese going to the front vs. Korean sending off them'. Some Korean elites and the common people claimed suffrage by critically appropriating the ideology of 'the assimilation of Japan and Korea'. In chapter 3, I describe the ways how people's daily lives in Korea turned into 'the home front' through the organization of consolatory activities. Chapter 3 explores the problem of the Korean subaltern who were excluded from all the activities that could have made them the real member of Japan. Korean subaltern, especially many comfort women, were sent to the battlefield and forced to provide soldiers with comfort, sustaining and reinforcing hegemonic masculinity. Raising the issue of the culture of comfort in the wartime in the colonial period this paper may contribute to initiating further analyses of the masculine fantasy of woman as provider of sexual comfort, a fantasy that has persisted even after wartime. 이 글은 일제 말 전시체제기 『삼천리』를 중심으로 총동원 체제가 조선 민중의 일상에 기입되는 방식과 그것에 수반되는 크고 작은 균열의 지점들을 고찰한 논문이다. 『삼천리』는 일상을 총후로 재조직하는 제국의 메커니즘과 제국의 총동원령에 대한 조선 민중의 대응 양상, 그리고 총후 국민으로 호명되지 못한 다양한 하위 주체들의 존재 방식을 입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종합 잡지이다. 본 논문은 전시체제기 『삼천리』에 나타난 출정 군인 환송 행사와 대대적인 위안 문화를 이 시기 일상의 바로미터로 파악하고 전쟁이 일상에 야기한 이별과 상실의 문제에 착목하였다. 중일전쟁 이후의 『삼천리』가 보여주는 전시기 조선 민중의 일상은 남은 자와 떠나는 자를 감격의 망탈리테로 묶는 열렬한 환송 행사와, 남겨진 자들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취해지는 빈틈없는 애도, 위문, 위안 활동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관점에서 2장에서는 전장과 일상을 가로지르는 조선인 환송/일본군 출정이라는 이분법적 역할 모델이 내선일체라는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강화, 유지할 뿐 아니라 동시에 이를 탈구축하는 계기로 작용했다는 점을 밝혔다. 내선일체 이데올로기를 적극 전유한 조선의 일부 엘리트와 자발적 협력 주체로서 행위성을 획득한 조선 민중은 참정권을 요구함으로써 내선일체 이데올로기를 궁지로 몰아넣게 된다. 3장에서는 조직적인 애도와 위문 활동을 통해 조선 민중의 일상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총후로 재조직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아울러 총후 부인으로 호명되지 못한 조선의 하위 주체, 특히 혈기왕성한 청년-국민-병사를 위안하도록 요구받은 반도의 젊은 여성들이 군사주의에 입각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쟁에 동원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전시기의 전쟁과 일상에 편재한 출정/환송, 전투/위안이라는 젠더화된 역할 모델이 이후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접대와 위안에 대한 남성적 판타지를 강력히 구축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성찰적으로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위안을 일상화한 일제 말 전시체제가 우리에게 남긴 유산은 군국주의로부터 일상을 지키는 문화 예술적 실천 방안이 아니라 일상 자체를 군사적 질서에 입각해 재조직하는 젠더화된 위안 문화였던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소설에 나타난 부재의 기억에 대한 상상력

        신성환 ( Sung Hwan Shin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 Vol.0 No.58

        This study exploresthe way which Korean novels remember Sewolho catastrophe. This disaster has left deep scars to the survivors, bereaved families, officials as well as most of the Korean who witnessed the sinking of the Sewolho in real time and it’s still ongoing tragedy. This painful accident definitely exposed problems in our society. The society and people try their best to not forgetting the Sewolho catastrophe and keep looking many other ways to remem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ough the sociocultural mechanism of ‘memory’ in the perspective of Sewolho catastrophe,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current Korean society, and to go looking for the solution with the human empathy ability as the center.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Sewolho catastrophe as a motif or a subject matter in a Korean novels. This study is focused on four novels published recently. These novels aims to rethink and redefine the serious question of Korean society sinking with the Sewolho by taking ‘memory and oblivion’ into literary consideration. Sewolho catastrophe as a subject matter present profound cognitive issues of mourning and memory in recent years. These novels have adopted various types and forms of memory-related approach. Korean society need art of memory against forgetting after the Sewolho catastrophe. Literature today is after all an endless antagonism and discontented negotiation between the standard edition of public record accredited from the above and the renewed edition of resistant anti-memory.

      • KCI등재후보

        논문 : 주디스 버틀러의 인종의 젠더 계보학과 타자의 정치 윤리학: 넬라 라슨의 『패싱』과 레비나스의 "얼굴"

        조현준 ( Hyun June Ch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인문학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가 전기의 젠더 계보학에서 후기의 정치 윤리학으로 관점을 전환하면서, 인종과 젠더의 주제와 타자와 주체의 불확실성이라는 주제를 어떻게 연결하고 또 심화시키고 있는지 그 연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또한 후기의 정치윤리학의 중심이 되는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의 윤리학을 살펴보고 이것이 전기의 젠더 계보학과 연결되는 접접을 모색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전기의 버틀러가 인종이나 섹슈얼리티라는 주제의 계보학적 성찰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후기의 버틀러는 인간됨, 인간의 살 가능성, 삶을 삶으로 살게 하는 것, 애도 능력 등을 중심 주제로 다루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넬라 라슨의 『패싱』에 나타난 버틀러의 인종과 젠더 문제를 `퀴어`와 `패싱`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패싱이라는 인종적 외양과 본질의 경계 넘기는 퀴어라는 동성애와 이성애의 경계 넘기와 맞닿아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레비나스의 윤리학이 후기 버틀러의 타자, 주권, 민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했다. 타자에게 기대어 타자의 관계를 통해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주체의 근본적 취약성과 본질적 의존성을 중심으로 논의코자 했으며, 주체가 근본적으로 타자에 기대어 있다면 주체의 삶이 얼마나 취약하고 불확실한 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가지는 윤리적 가능성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전기 버틀러의 인종과 젠더의 논의는 후기에 이르러 더 폭넓은 현실정치의 윤리적 소명을 요청하고 있다. 이런 논의는 이론적이고 추상적이던 전기의 논의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세계에 대한 인식으로 일상화되고 확대되면서 주체안의 타자를 껴안는 폭넓은 윤리의 문제로 나갈 수 있다고 평가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binding point of the early gender genealogy and the later political ethics in Judith Butler`s queer theory. Also it tries to research Butler`s creative reading of Emmanuel Levinas based on the ethics of Other in the form of the `Face`, the central philosophical theme in The Precarious Life. Earlier Butler focused on race and gender in each individual,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assing and queering represented in the characters of Nella Larsen`s Passing, but later she tends to emphasize a dyadic relation, the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subject`s fundamental vulnerability and the substantial dependence on others. To demonstrate the connection and deviation between the earlier gender genealogy and later political ethics, I suggest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ange of the subject aspect from individual `I` to dyadic "we", from passing and queering to the face of the Other and the ambivalent paradox of sovereignty and state. First, the interrelation between racial `passing` and sexual `queering` is examined in terms of linguisitic ambivalence and significative ambiguity in Passing. Second, to develop Butler`s extended interests in the real life, the influence of Levinas` ethics on social identities `we` instead of `I` is researched as a possibility of improvisation practice transforming and displacing norms within constraints in terms of Other, the sovereignty, and the state. `The ethics of Other` can result from the grievability, which is the ability of impressionability, the affect related to the subject`s vulnerability, and also close relational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s after 9/11; sovereignty is a complex effect on the human right and a historically contextual product by a particular power regime, not the universal condition of paradoxical laws; the double significance of nation is divided into the internal private psychic state and the external public national apparatus. The demand of ethical vocation and responsibility in her later political ethics can expand the theoretical textual criticism to practical real politics. And `we` instead of `I` as indeterminate identities can result in the open future embracing others in one`s identity and violationality in the given norms by impressionality. Not being me is the condition of my identity and that`s the importance of interdependency in `the ethics of Other` in Butler`s later political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