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압화 조형물 서비스 스케이프 고객의 감정반응에 관한 연구

        신정옥,이진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은 소비자의 환경품질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자연을 소재로 상호 소통하는 공간의 필요성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압화 조형물이 설치된 공간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감정반응, 태도, 추천 의도 관계를 통해 방문객들의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 스케이프 방안제시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압화 조형물이 설치된 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독립변수로는 공간 표현의 서비스 스케이프 요소인 심미성, 주변 요소, 쾌적성, 편의성과 몰입, 상호작용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수로 소비자 감정반응, 태도, 추천 의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고객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심미성(β=373), 주변 요소(β=0.255)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스케이프 하위요인 중 심미성과 주변 요소는 정서적 충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쾌적성, 편의성, 몰입, 상호작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5). 연구결과 고객의 감정반응을 자극함에 있어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 스케이프 중 쾌적성, 편의성이나 몰입, 상호작용등은 서비스 스케이프의 간접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압화 조형물로 인한 주변의 서비스 스케이프 특성을 보여 줄 수 있는 심미성, 주변 요소들은 고객의 감정반응에 직접적인 자극을 일으키는 서비스 스케이프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고객의 감정반응은 긍정적 감정반응일 때 태도, 추천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부정적인 감정반응일 때는 태도, 추천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압화 조형물 설치의 방문 시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 스케이프의 상호작용성인 감정반응의 영향 관계에 실증함으로써 압화 조형물의 실증적 감정반응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Commercial space where flower art sculptures are installed, it is intended to seek a new way for flower art sculptures of visitors in commercial spaces to be presented as service landscapes through consumer emotional responses as servicescapes. For the commercial space where the pressurized sculptures are placed, factors (aesthetics, peripheral factors, comfort, convenience) and social factors (immersion, interaction)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sumer emotional response as a servicescape as a parameter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esthetics (β=373) and peripheral factors (β=0.255) were found to have a relative influence on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mong the sub-factors of servicescape, esthetics and peripher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satisfaction. However, comfort, convenience, immersion, and inter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p>.05). Show that comfort, convenience, immersion, and interaction among the servicescapes of the pressurized sculptures can be seen as indirect factors of the servicescape in stimulating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It was found that the aesthetics and surrounding elements that can show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pressurized sculptures are servicescape factors that directly stimulate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 KCI등재

        압화 접합유리 제품에 사용된 식물소재 및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구본순,신정옥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lant material and expression trend of laminated glass products with pressed flower sold on the Internet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laminated glass products as interior decoration and building materials. From November 2021 to July 2022, 227 products of 19 manufacturers of laminated glass were investigated after searching for ‘laminated glass’ and ‘natural materials’ as keywords on the Internet (Naver, Google), and were limited to products installed in indoor spac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1, 2, 3, 4, 5, 6, and 7 or more plant materials used per laminated glass products were 18.9%, 26.0%, 22.9%, 14.1%, 6.6%, 6.6%, and 5.3%, respectively. A total of 83 kinds of plant materials were used in laminated glass products. Among them, Hydrangea macrophylla, Chrysanthemum paludosum 'Miniature Marguerite', Phyllostachys bambusoides, Rosa hybrida, Gypsophila paniculata, sea grass, Cosmos sulphureus, Allium cepa, Tulipa gesneriana, and skeleton leaf were 7.6%, 5.9%, 5.4%, 5.2%, 4.9%, 4.4%, 3.9%, 3.6%, 3.4%, and 3.2% respectively. H. macrophylla, C, paludosum 'Miniature Marguerite', R. hybrida, C. sulphureus, and T. gesneriana mainly were used flowers, P. bambusoides mainly used stems, and skeleton leaf mainly used leaves. 77.1% of laminated glass products were used only plant materials, and 22.9% were used both plant materials and non-plant (decorative sheets, UV printing, Korean paper, chiffon cloth, non-woven fabric, hemp cloth etc.) material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stallation type of laminated glass, doors, walls, partitions and tables were 83.3%, 8.4%, 5.3%, and 1.3%, respectively. As for the expressive trends of pressed flower, the full design, and space design were 14.1%, and 85.9%, respectively. In the fill design and space design, vertical-parallel was the highest at 43.62%. In the space design, vertical-parallel, vegetative, S-curve, vertical, and complex were 30.84%, 11.01%, 6.61%, 6.17%, 6.17%, respectively. In particular, 19 different types of designs (vegetative, S-curve, vertical, complex, waterfall, wreath, round, crescent, topiary, etc.) were investigated in space design, but tended to focus on vertical related types. Through this study, the number of plant materials used in pressed laminated glass products mainly was 1-4, and H. macrophylla, C. paludosum 'Miniature Marguerite', P. bambusoides, R. hybrida, G. paniculata, sea grass, C. sulphureus, A. cepa, T. gesneriana, and skeleton leaf were frequently u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many laminated glass products with pressed flower were installed in the form of doors in the indoor space, and there were many vertical designs in the expression tendency of pressed flower. It is thought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plant materials and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minated glass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essed flowers in Korea.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서 판매하는 압화 접합유리 제품의 식물소재 및 표현 경향을 조사하여 압화 접합유리 제품이 실내 장식 및 건축재료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21년 11월에서 2022년 7월까지 인터넷(네이버, 구글)에서 키워드로 ‘접합유리’, ‘자연소재’를 검색 후 압화 접합유리 제작업체 19개소의 제품 227점을 조사하였고, 국내실내 공간에 설치한 제품들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압화 접합유리 제품당 사용된 식물소재 1, 2, 3, 4, 5, 6, 7가지 이상은 각각 18.9%, 26.0%, 22.9%, 14.1%, 6.6%, 6.6%, 5.3%로 나타났다. 압화 접합유리 제품에 사용된 식물소재의 종류는 총 83종으로 조사되었고, 그 중 수국, 크리핑데이지 ‘미니어쳐 마거리트’, 왕대, 장미, 숙근안개초, 해초, 노랑코스모스, 양파, 튤립, 망사잎이 각각 7.6%, 5.9%, 5.4%, 5.2%, 4.9%, 4.4%, 3.9%, 3.6%, 3.4%, 3.2%로 나타났다. 수국, 크리핑데이지 ‘미니어쳐 마거리트’, 장미, 노랑코스모스, 튤립는 주로 꽃을, 왕대는 줄기를, 망사잎은 주로 잎으로 사용되었다. 압화 접합유리 제품에서 식물재료만 이용하는 경우는 77.1%, 식물소재와 부재료(데코시트, UV인쇄, 한지, 쉬폰천, 부직포, 삼베 등)를 함께 이용한 경우는 22.9%였다. 압화 접합유리 제품의 설치형태를 조사한 결과, 문, 벽, 파티션, 테이블이 각각 83.3%, 8.4%, 5.3%, 1.3%로 나타났다. 압화의 표현 경향은 접합유리 전체를 압화로 채우는 디자인과 여백 디자인이 각각 14.1%, 85.9%로 나타났다. 채움 디자인과 여백 디자인에서 수직 평행형은 43.62%로 가장 높게 나타냈다. 여백 디자인에서는 수직 평행형, 식생형, S-자형, 수직형, 복합형이 각각 30.84%, 11.01%, 6.61%, 6.17%, 6.17%로 나타났다. 특히 여백 디자인에서는 19종류의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식생형, S-자형, 수직형, 복합형, 폭포형, 리스형, 라운드형, 크리센트형, 토피어리형 등)이 조사되었으나 수직 관련 형태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를통하여 압화 접합유리 제품에서 식물소재의 수는 1~4가지 정도가 주로 사용되었고, 수국, 크리핑데이지 ‘미니어쳐 마거리트’, 왕대, 장미, 숙근안개초, 해초, 노랑코스모스, 양파, 튤립, 망사잎 등에서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실내 공간에서 문의 형태로 많이 설치되었고, 수직형 디자인이 주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압화 발전을 위해 접합유리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식물소재 및 디자인 개발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스케이프로서의 상호작용연구

        신정옥,이진호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0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3 No.-

        이 논문은 화예 조형물의 새로운 형식의 모색으로 20세기 과학의 발전과 첨단 매체의 영향으로 대두된, 인간의 의식 확대로 사회적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면서 인간과 자연소재 공간이 서로 상호 소통하는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간에 환경친화적 압화 조형물의 표현 요소를 고객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인테리어 소재로서의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환경친화적 압화조형물의 조형적 표현특성을 도출하고 압화 조형물의 서비스스케이프 공간과 인간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적 분석요소를 참고문헌을 통해 도출한 후 압화 조형물의 설치사례 8곳을 대상으로 서비스스케이프 소재공간에 나타나는 상호관계성의 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경친화적 압화 조형물 공간에서 역동적 조형성, 연속성의 특징이 강조되어 나타났으며, 자연적 모티브 요소에 공감각적 반응이 공간에서의 새로운 경험으로 느끼는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앞으로 상업적 공간은 자연적 요소를 통해서 능동적으로 경험하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사용자에게 일으켜공간과 인간이 서로 공존하는 공간으로서의 차별화된 공간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social paradigm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expansion of human consciousness, which has emerged as the development of 20th century science and the influence of cutting-edge media as the search for new forms of flower art sculptures. Is becom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action relationship of the expression element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ressed sculptures in the space as interior materials in the space where customer service is provided. (Research method) After deriving the formativ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ressed flower sculptures, and deriving interactive analysis elements between the servicescape space and humans of the pressed flower sculptures through references, service the flower sculptures for 8 installation cases The expression patterns of the interrelationships in the space of the landscape of the landscape were analyze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c formation and continuity were emphasized in the environment-friendly pressed sculpture space, and the interaction that the sympathetic reaction to the natural motif element felt as a new experience in space appeared. In the future, commercial spaces can be actively experienced through natural elements, and users can experience active interactions to create differentiated spaces as spaces where humans and humans coexist.

      • KCI등재

        주의력 결핍 아동의 행동변화를 위한 원예·압화 프로그램 구성과 실험설계 연구

        최중옥,김주창 한국특수아동학회 200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원예ㆍ압화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 행동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해 보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실험설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반학급에 재학중인 아동 가운데 DSM-Ⅳ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진단준거, ADHD-SC-4(ADHD Symptom Checklist-4) 범주 A 항목 검사결과 주의력 결핍증후군 심각도 점수(Symptom Severity Scores)에서 주의력 T≥59, 중도이상의 심각도 점수를 나타내는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실험설계는 ABAB 연구설계를 적용한 20회기의 원예ㆍ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가운데 석 달반동안 관찰될 것이다. 그리고 관측행동 자료는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핍행동의 주요 특성인 선택적 주의력의 결핍, 지속적 주의력의 결핍, 주의력 조절능력의 결핍 등을 중심으로 통계적으로 뿐아니라 임상적으로 분석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주요한 기초학습기능인 주의력의 향상을 위하여 원예 및 압화활동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제시한 것으로 현장교사나 부모들의 특수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실행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orticulture & Pressed flower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deficit behavior of ADH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children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hose Symptom Severity Scores are T≥59, that is higher than average,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test of DSM-IV, ADHD-Symptom Checklist 4, Item A, which is a diagnosis standard of attention deficit behavior. Among the 2n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 in Busan, 3 children of ADHD will be observed for three and half months, with 20 times of the Horticulture & Pressed flower Program applied under ABAB design. And the data of observed behavior will be analyzed statistically and clinically on the point of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ADHD children's attention deficit behavior, which are the lacking of selective attention, the lacking of constant attention, and the lacking of attention adjustment ability. The recommendation for further study is as follows; First, A study on the influencing on change of ADHD by developing Horticulture & Pressed flower Program. Second, Not only ABAB research design, but also other research design will be needed to study Horticulture & Pressed flower Program for ADHD. Third, A study on the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for handicapped family.

      • KCI등재

        촉구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민정(Min-Jung Lee),김홍열(Hong-Yul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1

        본 연구는 촉구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2007년 1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압화는 매주 목요일 주 1회, 총 24회, 심기는 매주 금요일 주 1회, 총 20회, 꽃장식은 매주 목요일 주1회, 총 24회, 토피어리는 매주 금요일 주 1회, 총 20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촉구법을 적용한 원예치료를 통하여 지적장애인의 손끝힘, 악력, 손목 힘의 손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손기능 평가 결과 손끝 힘의 경우 압화 프로그램은 오른손(P=0.009), 왼손(P=0.001)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악력의 경우 꽃장식은 오른손(P=0.020), 토피어리는 오른손(P=0.019)에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손목힘의 경우 압화에서 왼손(P=0.041), 심기에서 오른손(P=0.028), 토피어리에서 오른손(P=0.019), 왼손(P=0.003)이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손기능 평가 결과 전반적인 손기능 향상을 가져온 프로그램은 토피어리로 나타났다. 손끝 힘에는 압화, 악력에는 꽃장식, 손목 힘에는 심기 프로그램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촉구법을 적용한 몇 가지 원예프로그램에 따라 손기능, 즉 손끝힘, 악력, 손목 기능 향상에 달리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ying prompt on the hand function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January 2007 to November 2008, flower pressing and flower decoration were carried 24 times every week while planting and topiary were performed 20 times at week intervals. These programs were intended to improve the fingertip power, grip power, writs power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e horticultural therapy which utilized prompt. As for the fingertip power, the flower pressing program resulted in significantly improved power in the left hand (P=0.009) and right hand (P=0.001). As for the grip power, the flower decoration brought about the right hand (P=0.019). In the case of the wrist power, the flower pressing resulted in a significa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ight hand (P=0.020), and the topiary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nt improvement in the left hand (P=0.041), while the planting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ight hand (P=0.028). Meanwhile, the topiary brought abou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ight hand (P=0.019) and left hand (P=0.003). The evaluation results on the hand function indicated that topiary was the program that helped improve overall hand functions. It was found that the flower pressing was highly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ower of fingertip, and the flower decoration was very effective in boosting the grip power. Meanwhile, planting was very effective in building the wrist power. Based on the aforesaid results, it can be found that horticultural programs using prompt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hand functions such as the power of finger tip, grip power, and wrist function.

      • KCI등재후보

        양파 압화와 무기발광시트를 이용한 광 매체 압화 조형물 제작

        신정옥 ( Jung Ok Shin ),김태연 ( Tae Yeon Kim ),조문수 ( Moon Soo Cho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0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16 No.-

        This study describes the method to deign and fabricate lighting pressed flower statue(LPFS) applicable to the indoor and outdoor interior, which use both of onion pressed flower and Electro-Luminescence(EL) sheet. The major contents of the study are 1) the method of dyeing of onion and making a onion pressed flower, 2)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onion pressed flower to fabrication of various pressed flower statue utilizing EL sheet, such as a flat type, a cylinder type, and a curved type, etc. The onion has natu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in the point of pressed flower material, 1) easiness of acquiring compared to other flowers, 2) beautiful and detailed inner structure that allows various art design and implementation when it is dyed with natural dye materials. The lighting source of EL sheet is consuming low power but illuminating bright light, so as to be proper not to affect the life of the flower color, which is a characteristic property of the EL sheet as a state-of-art material for pressed flower statue using light. Combining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a onion and a EL sheet, the transparent light through the onion inner structure gives a beautiful and mysterious atmosphere, hence a high valued pressed flower statue using light is available. The implemented statues of onion pressed flower with light are used as a light decoration or a pressed flower decoration. In this study, we fabricated various types of statue shaped of flat panel, cylinder, and curved type, and investigated the value of the statue as a inner decoration and interiors.

      • KCI등재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한 과학-예술 융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압화를 이용한 시화 제작

        김희정,김재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of inquiry activities to cultivate students'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in high school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 programs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y, we selected the subject of 'Making illustrated poem Using pressed flower' and developed a science-art convergence STEAM education program for a total of six classes.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three subtopics: knowing school plants, pressing flower drawing, and complete and enjoy illustrated poem. The program was applied to 26 life science club students composed of 1st and 2nd graders of Y High School in Seoul, a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articipating students and fellow science teachers.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ucing interest and cultivating aesthetic emotional capacity.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심미적 감성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탐구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압화를 이용한 시화 제작’을 주제로 선별하고 총 6차시 분량의 과학-예술 융합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은 ‘교정의 식물 알기’, ‘압화 드로잉 하기’, ‘시화 완성하고 감상하기’의 소주제로 구성된다. 서울시 소재 Y고등학교 1, 2학년으로 구성된 생명과학 동아리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과 동료 과학교사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평가를 받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생명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압화와 꽃장식 활동이 요양병원 노인의 생활 만족도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영란,박영훈,이용재,강점순,최영환,허무룡,임기병,김홍렬,손병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3

        본 연구에서는 압화와 꽃장식의 친근한 활동과 다양한 방법의 그룹 활동을 통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대인관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치료 실시장소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소재의 G 요양병원 내의 강당이었다. 실시 기간은 2015년 9월 4일 부터 10월 30일까지 매주 월요일, 금요일 주 2회 총 15회 실행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시간은 10시 30분 부터 11시 20분까지 회당 50분간 진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노인 생활만족도의 원예치료 사전 ‧ 사후 비교 결과, 하위 항목 중 현재생활만족도, 미래생활만족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실험군의 경우, 노인생활만족도의 긍정이 3.5에서 5.1로 향상되었고(p>0.003) 부정은 7.8에서 3.3 으로 감소하여 생활만족도가 고도로 유의하게 개선(p>0.000***)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대인관계 평과 결과, 집단 내 대인관계 면에서 긍정이 3.2에서 4.2로 유의차를 보였고 그 외는 모두 유의차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대인관계척도 평가 결과, 의사 소통의 경우 긍정이 3.8에서 6.2로 증가하 여 유의한 차이(p>0.020)를 나타내었다. 부정은 4.6에서 2.8로 감소하여 0.038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 대인관계에서 긍정은 2.4에서 3.8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부정은 4.8에 서 1.8로 많이 낮아져 대인관계에 유의하게 개선(p>0.001)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압 화와 꽃장식의 협동 프로그램은 요양병원 입소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와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 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at effects familiar activities of pressed flowers and floral decoration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through various group activities have on life satisfac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horticultural therapy had been conducted from 10:30 to 11:20 for 50 minutes per a session, every Monday and Friday for a total of 15 sessions, from 04. 09 to 30. 10 2015, at a hall in G care hospital located at Nakmindong Dongnaegu Pusan Metropolitan City. An analysis of old people's life satisfactions in the control group shows that both present and future life satisfactions among sub-factor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ositive for life satisfactions of ole people increased from 3.5 to 5.1(p>0.003), while the negative for life satisfactions decreased from 7.8 to 3.3, suggesting high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life satisfactions(p>0.000***).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control group was evaluated to show that there i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positive of it increased from 3.2 to 4.2,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sub-factor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evaluated to exhibit that the positive for commun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8 to 6.2(p>0.020), while the negative for i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6 to 2.8(p=0.038). The positive for rout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creased from 2.4 to 3.8, which was not the significant rise, while the negative for i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8 to 1.8, suggesting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improved(p>0.001). From such findings, it was determined that cooperative programs using pressed flowers and floral decoration are effective in enhancing life satisfac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old people admitted to care hospitals.

      • KCI등재

        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민정(Min Jung Lee),김지선(Jiseon Kim),오욱(Wook Oh),장자순(Ja Soon Jang)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6

        본 연구는 세 가지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영천시 J초등학교 내 Wee Class 상담실을 이용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10명에게는 꽃장식, 심기, 압화 등 원예활동을 실시하였고,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10명의 대조군을 두었다. 각 원예활동은 주 1회 총 3회씩 실시되었고, 주의집중력 검사지와 Harris 격자판은 원예활동 실시 1주일 전과 9회기 종료 후 대조군과 실험군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Harris 격자판은 실험군을 대상으로만 매주 원예활동 후 실시하였다. 검사지를 이용한 주의집중력 평가 결과, 원예활동 후 정서적인 문제에서 9.2점, 관리기능상의 문제에서 7.8점, 그리고 전체 점수도 19.0점 감소하여(P < 0.05) 실험군 의 주의집중력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arris 격자판을 이용한 주의집중력 검사 결과, 꽃장식, 심기 및 압화 활동은 실시 전 6.00점에 비해 실시 후 각각 2.22, 2.49, 그리고 2.41점이 높아졌는데(P < 0.05), Harris 격자판 점수의 증가는 주의집중력 향상을 의미한다. 원예활동 실시 후, 꽃장식, 심기 및 압화 활동은 대조군의 7.10점에 비해 각각 1.12, 1.39, 1.31점을 증가시켰다(P < 0.05). 결론적으로 꽃장식, 심기 및 압화 등 실내 원예활동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kind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HAs) on attention concent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We selected 20 students using a Wee Class counseling office at J elementary school in Yeongcheon, and divided them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mposed of ten stud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ree HAs including flower arrangement, planting, and pressed flower. Each HA was composed of three sessions and a session proceeded for a week. For the examinations of attention concentration, two groups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before a week of the first session and at the end of the 9th sessio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using grid by Harris before a week of the first session and at the end of each HA every week.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scores of problem in emotion and problem in controlling, and the total score decreased 9.2, 7.8, and 19.0 points, respectively (P < 0.05), indicating that the attention concent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the measurements using grid by Harris, the flower arrangement, planting, and pressed flower activities increased the scores by 2.22, 2.49, and 2.41 points compared with the pre-HA of 6.00, respectively (P < 0.05), that means the improvements of attention concentration. At the post-HAs, the flower arrangement, planting, and pressed flower activities increased the scores by 1.12, 1.39 and 1.31 poi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7.10, respectively (P < 0.05). In conclusion, the indoor HAs improved the attention and concent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irrespective of kind of activities.

      • KCI등재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정서행동과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민정(Min-Jung Lee),김홍열(Hong-Yul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2

        본 연구는 압화, 심기, 꽃장식, 토피어리 각각의 단일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정서행동과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 1월 4일부터 2008년 11월 28일까지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회기술 측정결과 압화, 심기, 꽃장식, 토피어리 프로그램 집단 모두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간 분석결과 꽃장식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 측정결과 압화, 심기, 토피어리 프로그램 집단은 P<0.01 수준에서. 꽃장식 프로그램 집단은 P<0.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집단 간 분석결과 꽃장식 프로그램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effects of four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pressed flower, planting, flower decoration, and topiary on the emotional behavior and social skill of intellectually-challenged peopl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4th, 2007 to November 28th, 2008. The test results of persons with social skil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at the level of P<0.05 and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flower decoration program has more favorable effects on all groups than the other programs. The emotional behavior test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sed flower, planting and topiary groups, P<0.01 and the flower decoration group, P<0.05. 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flower decoration program had more favorable effects on the groups than the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