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 알코올중독과 무용치료

        이지영 한국중독범죄학회 2012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2 No.2

        알코올 중독 치료에 있어 한 가지 치료모델의 단편성과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 양한 치료모델의 치료방법과 치료기술을 통합주의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알코올 중독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무용/동작치료는 신체의 움직임을 심리치료 적으로 사용하여 개인의 감정과 정신 신체를 통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알코올 중독에 있어 무용/동작 심리치료는 타 심리치료영역과 더불어 신체와 정신 통합의 중 요성이 부각되면서 사회적 인식이 높아져가고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 이 여성 알코올중독에 있어서는 그 기대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무용치료의 효과는 알코올 중독 및 알코올 관련 일탈 등에 있어서 비약물적 치료적 개입 방안으로서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알코올 중독 및 관련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선 알코올에 대해 관대한 사회문화 적 분위기가 변화하여야 한다.

      • 알코올 의존 환자군의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 반응 특성

        박호연,박경 서울여자대학교 2010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0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responsive characteristics that both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group show in the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nd examine what difference in response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group show in the PPAT. For this study, the PPAT was individually performed for patients who were in the J-alcohol special hospital and the W-alcohol special hospital that were located at the In-cheon. Patients who had different mental disorder such as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depression and personality disorder were also included i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UDIT (Alcohol Use Disorder Inventory Test) questionnaire and PPAT were individually performed to the normal. Only data that the AUDIT score does not exceed the alcohol dependence level of 20 point was us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adults whose age was between 19 years and 69 years, and were 200 total persons consisted of 100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of 100 persons. FEATS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was used as a scoring system to analyze formal factors of the picture, and contents of the picture were treated through Contents Scale. The test was scored by 4 art therapists.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scored for 14 FEATS, and chi-square test was scored for 13 questions on the Contents Scale. A Scheffe test was performed to particularly examin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FEATS of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14 FEATS items such as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space, integration, logic, realism, problem solving, developmental level, details of objects & environment, line quality, person, rotation and perseveration. Of them, most highest difference of level appeared from the 13 remaining items except for rotatio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FEATS o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simple alcohol dependence and the patient group with comorbid alcohol dependence but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all 14 item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and the normal group by using the Contents Scal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numbers of the colors used in the whole picture, colors used in the whole picture, person, numbers of the colors used for person, colors used for person, sex, actual energy of person, direction of the face, age, clothes of person, existence or not of the apple tree, trunk of the apple tree, crown of the apple tree, the color of apple tree and detailed description. In conclusion, the PPAT showed the value as a drawing test that can complemen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valuation tools in evaluation of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dependence using the excessive defense mechanism.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이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에서 보이는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그리고 정상군이 PPAT에서 어떠한 반응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천 지역에 소재한 알코올 전문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PPAT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만 19세에서부터 69세사이의 성인 남·여로 알코올 의존 환자 100명,정상인 100명으로 총 200명이다. 그림의 형식적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형식 척도)를 채점의 체계로 사용하였으며 Contents Scale(내용 척도)을 통하여 그림의 내용적인 면을 다루었다. 평정은 총 4명의 미술치료사가 실시하였으며, FEATS 14개는 독립 표본 t-검증을 하였고, Contents Scale 13개의 문항은 각각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정상군 각각의 상대적 차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의 FEATS를 분석한 결과, 색칠정도, 색적절성, 내적 에너지, 공간,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발달단계, 세부묘사, 선의질, 사람, 변환성, 보속성의 총 14가지 FEATS 항목 중 14가지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중 변환성을 제외한 나머지 13개의 항목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알코올 의존 환자군,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에 따라 FEATS를 분석한 결과, 단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공병 알코올 의존 환자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군과 나머지 두 집단 간에서는 14문항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Contents Scale를 통한 알코올 의존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그림 전체에 사용된 색의 수, 그림 전체에 사용된 색, 사람, 사람을 그리는데 사용된 색의 수, 사람을 그리는데 사용된 색, 성별, 사람의 실제적 에너지, 얼굴 방향, 사람의 나이, 옷, 사과나무의 유무, 사과나무의 기둥, 사과나무의 수관, 사과의 색, 세부묘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PAT는 과도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알코올 의존 환자군의 평가에 있어서 기존의 평가 도구들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그리기 검사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위험요인 분석 : 전국적 확률표본을 대상으로 Nationwide Probability Sample Survey

        조성진,서국희,남정자,서동우,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인구중 '술을 즐겨 마신다'고 응답한 20세 이상의 대상자들에게 CAGE를 적용하고, CAGE 총점이 2점 이상일 때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으로 규정하였다. 이들 알코올의존 고의심군들의 유병률을 산출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음주양태를 알코올 비의존군과 비교분석하고 알코올의존 고 의심군의 위험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을 6대도시, 기타도시. 군 지역으로 층화하여 얻은 110개 기본 표본조사구에서 15∼69세에 해당되는 5,805명중 20세 이상인 5,331명을 선정하였다. 시골지역에서 대상자가 과잉 선정된 것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재 면접대상자인 5.331명에 대하여 지역에 따른 보정을 시행하였다 이들을 비의존군(CAGE<1)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음주양태를 비교하였다. 조사자료 통계는 빈도, 백분율, chi-square test 및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본 조사연구의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음주비율은 33.7%였고, 남녀별 음주비율은 각각 26.3%와 7.40%였다. 전체 알코올의존 고의심군 비율은 10.9%였으며. 남녀별 알코올의존 고의심군 비율은 각각 9.94%와 0.94%였다. 2) 음주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남자에서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이 알코올 비의존군들에 비해서 나이가 더 많고, 학력이 낮으며, 서비스직에 종사하며, 기혼자나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이 많았고, 우울증상을 동반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이 알코을 비의존군보다 학력이 낮고,월평균수입이 작으며 우울증상을 동반한 경우가 많으며, 흡연경험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음주자들의 음주양태를 비교한 결과를 보면, 남자에서 알코올의존 고의심군들은 알코을 비의존군 보다도 음주횟수가 많고, 음주량도 많으며 , 절주를 시도한 경우도 많았고, 또 소주를 선호하였다. 여자의경우, 알코올의존 고의심군들이 알코올 비의존군과 비교하여 음주 횟수가 많았고, 음주량도 유의미하게 많았으며. 지난 1년간 과음 횟수도 많았고, 절주나 금주를 더 많이 시도하였다. 4)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의 다중로짓분석 결과, 남자는 교육년수가 6년 이하이고.우울증상을 동반할 경우,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이 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은 없었으나, 역시 저학력과 우울증상이 높은 위험도를 시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의 유병률은 10.9%이었고, 남녀비율은 10.6대 1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의 위험요인며 우울증상과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인 것을 고려할 때 우울증상의 조기발견과 치료, 저학력자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0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stimate prevalence rates of drinkers, two subtypes of drinkers-drinkers without dependence and drinkers with probable alcohol dependence(AD) using CAGE, and 2) to fed out the correlate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rinking patterns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by comparing those of the drinkers without dependence,3) to analyse risk factors for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Methods : Using data from face-to-face interviews conducted during 1995,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two subtypes of drinkers in a national probability sample of 1,695 drinkers 20 years of age and older, We defined drinkers with CAGE scores 2 and over as drinkers with probable AD, and scores less than 1 as drinkers without dependence. The comparisons of sociodemogaphic characteristics and drinking patterns between two subtypes of drinkers were examined through chi-square test using weighted data. Statisical analysis including multiple logistic recession analysis were done for each sex, respectively.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coefficients estimated, Bonferroni's method was used to compute p value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11ows 1) Prevalence of the drinkers was 33.7% in the total sample. Prevalence rate of male and female drinker were 26.3% and 7.40%, respectively. Prevalence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was 10.9%. for males the prevalence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was 9.99% and for females 0.94%. 2)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between drinkers without dependence and drinkers with probable AD, males drinkers with probable AD were older, less educated, more depressive, married marital status and were more likely to have occupations of service section than male drinkers without dependence. fe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were less educated, more depressive and had less monthly income than drinkers without dependence. 3) As for the drinking patterns, 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drank more frequently, had more drinks, had more trying to quit drinking and preferred Soju. Fe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drank more frequently, had more drinks, were more trying to quit drinking, too. 4) Multiple logistic rec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for male drinkers with probable AD were lower education(≤6 years) and depressive symptoms. For females, depressive symptoms and lower education(≤6 years) were strongly indicative of risk factors though not reach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 Preva1ence of the drinkers with probable AD was 10.9%,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0.6 1, which was lower than previous results. Depressive symptoms and lower education proved to be strong predictors for alcohol dependence. This suggest that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and public education for the lower education group should be important.

      •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이론과 성격유형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 청소년기와 알코올중독자가 된 후를 중심으로-

        김종선 ( Jong Sun Kim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4 교회와 사회복지 Vol.25 No.-

        알코올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원인규명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왔다. 그 결과물 가운데 하나가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을 유형화한 것이다. 알코올중독자는 매우 부정적이고, 수동공격적이며, 반사회적인 경향이 강하고, 신경증적이며, 약한 자아와 우울증상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치료와 회복에서 성격별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성격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물인 성격유형화가 알코올중독자가 되는 원인인지, 아니면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 나타나는 결과로써 형성된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유형적 성격은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이전 청소년기와 중독자가 된 이후 성격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성격의 5가지 유형(BIF)에 근거하여 수행했다. 분석결과 알코올중독자의 청소년기와 중독이 된 이후 성격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에는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대체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에는 성격유형 관련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나타났다. As increased awareness of the problem in alcoholism, there has been attempted various efforts to identify the cause of alcoholism for it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ne of results on the attempt is typology of alcoholic personality. It meant that alcoholics have symptoms in very negative, passive, aggressive and antisocial tendencies as well as weak ego, neurotic and depressive characters. Based on these studies, personality type approach has been applied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The researcher, however, raised a doubt about whether the type of personality as the result of personality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is caused to be alcoholic or the type of personality is formed as the result of alcoholic. Since such type of personality may be seen in non-alcoholics. To support this research question, a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between before alcoholics as adolescence and after alcoholics based on 5 types of personality (BIF). It is found that personality was changed between before and after alcoholic upon this study. That is to say that there was not appeared the typical alcoholic personality before becoming alcoholic, and there was type of alcoholic personality after become alcoholic in similar to the personality theory and previous study.

      • KCI등재

        알코올과 인지장애

        조근호,전영민,채숙희,김대진 대한정신약물학회 2009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0 No.1

        Despite epidemiological studies reporting no negative effects of mild to moderate alcohol drinking on cognitive functioning, a recent well-controlled study showed that chronic mild drinking diminished the volume of the brain and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that worsened as a function of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Anim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neural cell damage follows chronic alcohol intake and withdrawal. In addition, acute excessive alcohol intake has been shown to result in temporary impairment of memory, and chronic alcohol drinking is often related to neuronal damage and cognitive disorders. Even though a diverse spectrum of cognitive disorders can develop after sustained alcohol drinking, no definite diagnostic criteria existed before those proposed by Oslin;the availability of these criteria will provide more structured clinical and academic approaches to alcohol- related cognitive decline, including dementia. In general, diminished cognitive functioning has been related to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with cognitive functioning gradually recovering over time. With the excep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thiamine in Wernicke-Korsakoff syndrome, only supportive pharmacotherapies have been provided for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cognitive disorders. However, experimental trials with rivastigmine or donepezil have been conducted for special populations with persistent cognitive impairments, and these studies reported favorable outcomes. We administered memantine for alcohol-related dementia and observed improvements in verbal memory and scores on the mini-mental status exam. We anticipate that novel and appropriate therapeutic agents for various conditions in this domain will be developed based on systematic diagnostic criteria and the accumulation of neurobiological evidence about alcohol-related cognitive decline. 알코올을 섭취하면 에탄올은 뇌 세포의 생존과 유지 및 사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여러 역학 연구에서 소량의 알코올 섭취가 인지기능의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가 있지만, 소량의 음주도 뇌의 용적을 감소시키며, 음주량에 따라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해 진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되기도 하였다. 동물실험의 결과에서도 지속적인 음주 및 금단으로 인한 뇌 세포의 손상은 다양한 방식으로 증명되고 있다. 실제 임상적으로도 급성적인 과량의 알코올 섭취는 blackout을 비롯한 급성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하고, 만성적인 섭취와 그에 따른 금단은 에탄올에 의한 뇌 세포의 손상 및 인지기능의 저하를 야기한다. 다양한 수준의 인지기능 저하가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 이후에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진단 기준이 부족한 상황에서 Oslin 등3)이 제시한 알코올 관련 치매의 증상 수준에 따른 단계별 진단기준은, 향후 보다 체계적으로 알코올 관련 인지장애 및 치매에 관해 접근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였다. 알코올과 관련된 인지기능의 저하는 흔히 금주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에서 thiamine을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알코올 유발성 인지장애에서 대중적인 치료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알코올 관련 인지장애 중 일부는 그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기도 하였다. 시험적인 투여였지만, rivastigmine, donepezil과 같은 약물이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을 비롯하여 알코올과 관련된 인지기능 저하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례보고가 이루어진 바 있다. 또한 NMDA 수용체 길항제이며 중등도 이상의 치매 환자에게 사용되는 memantine을 알코올 유도성 치매 환자들에게 투여한 최근 저자들의 연구 결과, memantine에 의한 언어 기억 및 간이 정신 상태 검사의 호전을 관찰한 바 있었다. 이에 조만간 체계적인 진단기준과 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준의 알코올 인지장애에 적절한 치료 약물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이론과 성격유형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 청소년기와 알코올중독자가 된 후를 중심으로-

        김종선 교회사회사업학회 2014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25

        알코올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원인규명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왔다. 그 결과물 가운데 하나가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을 유형화한 것이다. 알코올중독자는 매우 부정적이고, 수동 공격적이며, 반사회적인 경향이 강하고, 신경증적이며, 약한 자아와 우울증상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치료와 회복에서 성격별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성격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물인 성격유형화가 알코올중독자가 되는 원인인지, 아니면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 나타나는 결과로써 형성된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유형적 성격은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을 뒷받침하기 위해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이전 청소년기와 중독자가 된 이후 성격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성격의 5가지 유형(BIF)에 근거하여 수행했다. 분석결과 알코올중독자의 청소년기와 중독이 된 이후 성격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가 되기 전에는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대체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알코올중독자가 된 이후에는 성격유형 관련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알코올중독자의 성격유형이 나타났다.

      • KCI등재

        알코올의존자의 초기 도움요청에서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김혜련(Kim, Hae Ryun),류지수(Ryu, Ji Su)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1

        본 연구는 알코올의존자의 도움요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인 요인과 음주 관련 특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별 차이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알코올상담센터와 알코올의존자 사회복귀시설, 거주시설, 알코올 병동, 정신과 병원 등의 58개 기관으로부터 수거된 설문지 중 처음으로 음주 문제로 도움을 요청한 알코올의존자 153(102명의 남성 알코올의존자, 51명의 여성 알코올의존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 차이를 보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남성 알코올의존자의 도움요청 지연기간이 여성 알코올의존자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2) 여성 알고올의존자는 남성 알코올의존자에 비해 우울과 인생의 무의미함을 현재 문제로 보고 하였으며, (3) 남성 알코올의존자는 여성 알코올의존자에 비해 성생활 문제, 재정적 문제, 실업 등을 현재 문제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 차이를 고려한 알코올의존자를 위한 서비스로 여성 알코올의존자에 대한 집중적인 초기 서비스의 제공, 여성 알코올의존자 개입 시 음주 문제 이전에 `우울`, `인생의 무의미함`에 초점을 둔 서비스의 제공, 남성 알코올의존자 개입 시 과도한 음주로 인한 문제인 `성생활 문제`, `실업`, `재정적 문제` 등의 이슈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였다. 또한 서비스 제공에서 가족력과 배우자의 음주 문제인식 등을 포함할 것을 강조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gender types of alcohol dependents differentiate the alcohol-related characteristics and factors that influence help-seeking for drinking problems. The participants of interest were narrowed down to alcohol dependents who have never attended the clinic before. The sample of 153 participants (102 male and 51 female participants) was collected with support of 58 institutions such as alcohol counselling centers,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and residential centers for alcoholics, alcohol hospitals and mental hospital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1) male participants tended to take longer delay of help-seeking for drinking problems than female participants, (2) female participants reported depression and meaninglessness of life as their current problems more than male participants, (3) male participants reported troubles in sexual activities, finance and employment as their current problems more than female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services for alcohol dependent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Intensive service for female alcohol dependents in their early stage, service focusing on depression and meaninglessness of life for female alcohol dependents, and service considering sexual activity problems, financial and employment problems for male alcohol dependents were suggested. Also we emphasized to include family history of the alcohol dependents and screening of drinking problems of the spouse in the service.

      • KCI등재

        알코올성 장애의 횡문화적 연구 : 한국인, 연변조선족, 연변한족을 중심으로

        윤현의,권정화,최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연구 목적 : 한국인, 연변조선족, 연변한족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양상, 음주허용도와, 음주행동에 대한 불쾌감 인식역치를 비교하여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밝혀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질문지와 개인면담을 통하여 60명의 한국인, 100명의 연변조선족, 98명의 연변한족 알코올남용 및 알코올의존 입원환자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 1) 한국인 알코올중독자군은 나이가 가장 많았고, 저학력의 노동직으로 불안정한 결혼상태인 반면, 연변한족이 가장 어렸고, 연변조선족과 연변한족은 고학력으로 사무직에 안정된 결혼상태였다. 2) 한국인 알코올중독자군은 단기폭음을 하였고, 반면 연변조선족은 가장 장기간동안 소량씩 음주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연변한족은 중간양상을 보였다. 한국인은 과음 후 금주하기까지 기간이 오래 걸리나, 연변조선족과 연변한족은 과음을 시작하면서 곧바로 금주노력을 시작하였다. 3) 남성에 대한 음주허용도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여성에 대한 음주허용도는 한국인 알코올중독자군이 연변한족에 비하여 허용적이었으나, 한국인과 연변한족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음주허용도를 연령별로 보면 한국인 연변조선족, 연변한족 알코올중독자군 모두 장년층, 노년층, 청년층, 미성년층의 순서로 유의하게 허용적이었다. 6) 음주허용도를 성별로 보면 한국인, 연변조선족, 연변한족 알코올중독자군 모두 여자보다는 남자에 대해 유의하게 허용적이었다. 7) 음주자에 대한 불쾌감 인식 역치는 한국인, 연변조선족, 연변한족의 순서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한국인 알코올중독자군은 음주량, 음주허용도, 불쾌감 인식역치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연변한족 알코올중독자군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연변한족 알코올중독자군은 음주에 대한 사회적 규준면에서는 한국인과 유사하나, 음주양상은 연변한족의 양상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한국인과 연변한족 알코올중독자간의 평균 음주량, 음주허용도, 및 음주행동에 대한 불쾌감 인식역치에서의 차이는 음주에 대한 사회 문화적 영향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Objectives : In order to examine the sociocu1tural effects of drinking, the authors compared drinking patterns, acceptance levels toward drinking, and the threshold of permission towards drinking behavior in Korean, Yanbian Korean-Chinese, and Yanbian Chinese alcoholics. Methods : 60 Korean, 100 Korean-Chinese, 98 Chinese male alcoholic inpatient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sults: 1) Korean alcoholics were found to be older, less educated, in blue collar occupations, and least stable in their marital state. In comparison, Korean-Chinese and Chinese alcoholics were highly educated, in white collar occupations, and most stable in their marital state with Chinese alcoholics being the youngest. 2) The average amount of daily alcohol consumption and shortest duration was greatest among Korean, then Chinese, fo11owed by Korean-Chinese alcoholics. It took a longer time for Korean alcoholics to try to quit drinking after the initiation of heavy drinking than it did for Korean-Chinese or Chinese alcoholics. 3) In acceptance levels toward male drink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4) In acceptance levels toward female drinking, Koreans were more permissive than Chines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Korean-Chinese toward female drinking. 5) In acceptance levels toward drinking by age, all the groups were most permissive toward 40 year old male and female, fo11owed by 60 year old male and female, young male and female, and least permissive toward boy and girl. 6) In acceptance levels toward drinking by gender, all the groups were more permissive toward males drinking than females drinking. 7) Korean alcoholics had the highest threshold of displeasure for drinking behavior fo11owed by Korean-Chinese and then Chinese alcoholics. Conclusion : Korean alcoholics had higher levels in all categories, namely in alcohol consumption, acceptance levels toward drinking, and threshold of displeasure for drinking behavior than other groups. The Chinese alcoholics contrarily had lower levels in all categories than ethers. It is the results of the Korean-Chinese alcoholics that draw the conclusion that despite having similarities to that of the Korean alcoholics in terms of sociological norms toward drinking, their drinking pattern reflects that of the Chinese alcoholics. Thus the differences in averag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acceptance levels toward drinking, and threshold of displeasure for drinking behavi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alcoholics suggest that there are sociocultural effects of drinking.

      • KCI등재

        알코올 의존환자에서 갈근이 알코올 갈망과 대뇌 국소혈류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철중,김명정,김성곤,김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5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갈근이 알코올 갈망을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고 알코올 갈망에 관여하는 대뇌부위가 전두엽-시상-선조체-측좌핵을 포함하는 회로라는 학설이 있다. 저자는, 갈근이 이러한 부위의 혈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알코올 의존으로 입원하여 급성중독과 금단증상에서 회복된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 제 1일에 알코올 갈망, 불안 및 기분을 측정한 후 단일광자광출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하여 양측 미상핵 두부, 양측 시상 및 양측 안와전두엽의 국소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제 3일에 소량의 알코올음료를 마시게 한 후에 제 1일의 실험을 반복하였다. 제4일부터 제13일까지 건조 갈근과립 12gram을 1일 2회 분복시키고 제11일과 제13일에 각기 제1일과 제3일의 실험을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갈근 투여 전에는 음주 전에 비해서 음주 후에 알코올 갈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때 우측 미상핵의 두부에서 혈류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음주하지 않은 상태에서 갈근 투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갈근 투여 후에는 알코올 갈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때에 우측 미상핵의 두부와 좌측 안와전두엽에서 유의한 혈류량의 증가를 보였다. 3) 음주한 상태에서, 갈근 투여 전과 후를 비교하면, 갈근 투여 후에는 양측 미상핵 두부와 양측 시상에서 유의한 혈류량의 감소를 보였다. 4) 갈근 투여 후에는 음주 전에 비해서 음주 후에 알코올 갈망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며, 양측 미상핵 두부의 혈류량은 감소하였다. 저자는 이러한 결과에서, 갈근이 알코올 의존환자에서 기초 음주 욕구를 감소시키고 음주 후에 유발되는 알코올 갈망의 증가를 차단하며 이러한 음주욕구의 변화와 변연계선조체 특히 미상핵의 국소 혈류량의 변화 사이에 의미있는 연관성이 존재할 것으로 시사한다. In light of recent reports of the effectiveness of Radix puerariae in the alcoholics and recent formulation of a hypothesis that craving for alcohol in the alcohol-dependent individual is mediated by a limbic circuit involving the fronto-thalamic and fronto-striatoaccumbal region, the authors studied the effect of Radix puerariae on craving for alcohol and cerebral blood flow(rCBF) of these regions. The subjects were hospitalized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recovered from acute intoxication and withdrawal symptoms. On the first day of experiment, rCBF in the areas of caudate nuclei, thalamus and orbitofrontal cortices was measured by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On the third day, the same procedure was repeated after intake of a small priming dose of alcohol. Radix puerariae in dose of 12gm/day for 10 days was given from fourth day of experiment to the thirteenth day and on the eleventh and thirteenth days, the measurements of rCBF were repeated in the same method as in the first and third day, respectively. Immediately before measurements of the rCBF in each experiment, craving for alcohol was measured by means of Visual Analogue S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efore the treatment of radix puerariae, the alcohol-dependent patients developed a significant alcohol-induced alcohol craving and a concomitant increase of rCBF in the right head of caudate nucleus. 2) Radix puerariae significantly lowered alcohol craving and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in the right head of caudate nucleus and the left orbitofrontal cortex in alcohol-free, basal condition. 3) After the treatment of radix puerariae, the rCBF after alcohol intake in bilateral caudate nuclei and bilateral hemithalam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4) Radix puerariae did not induce post-alcohol craving for alcohol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ost-alcohol rCBF in bilateral caudate nuclei.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adix puerariae decreases basal alcohol craving in the alcohol-dependent patients, and further that there may exist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se changes of alcohol craving and concomitant changes of rCBF in the limbic striatim, especially caudate nucleus.

      • KCI등재후보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이 경험한 가족탄력성 경험사례 연구 -정서적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신미영 ( Shin Mi-young ),이미나 ( Lee Mi-na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1

        알코올중독자 가족은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불안, 걱정, 우울, 분노, 수치심 등이 중요 스트레스의 원인이다. 본 연구대상은 알코올 중독자의 배우자로 총 4명이다. 연구대상자의 심층면담으로는 개인상담 5회기와 집단상담 3회기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알코올중독자는 가족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지지를 받고자 하였다. 첫째, 알코올중독문제 외에도 다른 관심과 사랑을 받고 싶어하였다. 둘째, 자녀들의 지지를 통해 절주하려는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연령, 건강, 체력 등의 요소가 절주 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넷째, 배우자의 태도와 경제성이 절주와 관련성이 높았다. 다섯째, 배우자의 잔소리는 절주하려는 태도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알코올중독자의 배우자는 음주요인과 음주문제에 집착하거나 죄책감을 갖기보다는 자신의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배우자는 알코올중독에 관련된 정보와 인식개선을 통해 알코올중독 문제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즉,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관심과 사랑, 전문적인 치료방법으로 접근했을 때 알코올에 의존하기보다는 알코올중독에서 해방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며 가족 모두가 정서적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Families of alcoholics are exposed t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ress. In particular, anxiety, worry, depression, anger, and shame are major causes of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 alcoholic spouses. As for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udy subjects, a total of 8 sessions were conducted: 5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nd 3 group counseling sessions. First, besides the problem of alcoholism, they wanted to receive other’s attention and love. Second, the attitude to sobriety was high through the support of their children. Third, factors such as ag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of alcoholics became factors that allowed them to refrain from drinking alcohol. Fourth, the spouse's attitude and economic feasibility were highly related to sobriety. Fifth, the nagging of the spouse did not help the attitude of sobriety. Therefore, the spouse of an alcoholics should seek ways to overcome and cope with their own stress, rather than obsessing over drinking factors and drinking problems or feeling guilty. In addition, the spouse will be able to help the alcoholism problem by improving awareness and information related to alcoholism. In other words, when apporached with the care and love of the alcoholics‘ family and a professional treatment method, there will be an effect of liberation from alcoholism rather than dependence on alcohol, and the whole family will be able to prevent emotional s 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