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지종류가 적색과피 서양배 ‘Kalle’의 과피색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윤경(Yoon-Kyeong Kim),강삼석(Sam-Seok Kang),최장전(Jang-Jeon Choi),박경섭(Kyoung-Sub Park),원경호(Kyeong-Ho Won),이한찬(Han-Chan Lee),한태호(Tae-Ho Han)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1

        본 연구는 적색과피 서양배 ‘Kalle’(Pyrus communis L.) 품종 과피의 해부학적 관찰을 통해, 안토시아닌의 분포위치를 확인하고, 투광량이 다른 봉지를 이용하여 성숙기 과실의 과피색 변화를 구명함으로써 봉지 물성에 따른 착색발현 양상을 밝혀, 보다 안정적인 적색배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적색과피 배와 사과에서는 안토시아닌 층이 표피나 아표피에서 관찰되었으나 황갈색이나 선황색 배에서는 안토시아닌 층이 확인되지 않았다. 암적색으로 전면이 착색된 ‘Kalle’ 의 과피 내 안토시아닌 함량은 29.8mg・100g<sup>-1</sup> FW으로 밝은 적색을 보인 사과 ‘홍로’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사용 봉지의 물리적 특성 중 투광률은 백색봉지에서 42.2%로 사용한 봉지 중 가장 높았고, 봉지 내로 투과되는 650-655nm 파장의 광량도 8.9μmol로 가장 많았다. 봉지 내부의 최고온도는 황색봉지에서 자연조건이나 다른 봉지에 비해 3°C 가량 높게 나타났다. 봉지를 씌운 과실의 과피색과 안토시아닌 함량을 조사한 결과, 봉지를 씌우지 않고 재배한 경우, 적색 발현이 가장 좋았고, 안토시아닌 함량도 가장 높았다. 봉지를 씌운 처리에서는 봉지를 씌우지 않은 처리에 비해 적색 발현이 유의하게 낮아졌는데 봉지 종류간에는 백색봉지가 가장 적색이 많았으며, 이중착색봉지와 황색봉지에서는 적색 발현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chromaticity value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값을 보여 안토시아닌 발현에 따른 과피색 변화를 비교적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는 ‘Kalle’의 안정적인 적색 발현을 위해서는 봉지를 씌우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한국에서는 해충방제를 위해 봉지재배를 하고 있으므로 적색과피 배 재배를 위해서는 과실의 피해는 줄이면서 적색이 균일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봉지제거 시기의 구명 또는 안토시아닌 합성에 유효한 특정 파장의 광 투과율이 높거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는 등 과피착색에 유리한 전용봉지의 개발을 위한 물리성 개선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coloring and to obtain basic results for promoting redness expression in ‘Kalle’ (Pyrus communis L.) pear skin. It was investigated in location of anthocyanin layer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differences in skin color expression of ‘Kalle’ bagged with paper bag which has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 rate and inside temperature. However, there was no anthocyanin layer in the brown skin and golden yellow color, anthocyanin layer was distributed in epidermins or hyperdermis of red skin pear and apple. Dark red colored ‘Kalle’ had more anthocyanin content, 29.8 mg・100 g<sup>-1</sup> FW than light red colored apple ‘Hongro’. Light transmittance rate of physical characteristics used paper bags was the highest in white paper bag, 42.2% and it also had more light quantity, 8.9 μmol than any other tested paper bags in specific wave length 650-655 nm. The maximum temperature of inner bag was higher about 3°C in yellow paper bag. The red coloration and anthocyanin contents in no bagged fruits were higher than in any other bagged fruit. However, red color expression among the bagged fruits was higher in white paper bag than in double layered black paper bag and yellow paper bag. Also, chromaticity value seemd to be a good index to explain variation of fruit skin color, because anthocyanin content and chromaticity value were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desirable to cultivate ‘Kalle’ without bag for stable redness expression but bagging is essential for decreasing damage by insect in Korea. Further examination to find suitable time of removing paperbag for redness expression and decreasing insect damag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paperbag whose transmittance rate is high in specific light wavelength or temperature of inner bags is low.

      • 초분광 영상과 색공간 값 기반 고안토시아닌 옥수수 종자 판별에 관한 연구

        김남욱 ( Nam-wook Kim ),이주경 ( Ju Kyong Lee ),모창연 ( Changyeun M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기능성 식품으로써 자색 옥수수 품종에 대한 수요량이 늘어남에 따라, 자색 옥수수의 생산량 및 품질 향상을 위한 품종의 순도 유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종자의 빠르고 정확한 선발이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 초분광 영상 기술 기반의 품종 분류 및 특정 성분의 함량 예측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품종 분류와 성분 함량 예측 중 하나의 기능을 하는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성분 함량 예측을 위해 선행되는 화학적 분석 방법은 종자 샘플의 파괴, 화학적 폐기물 발생, 긴 시간의 소요 등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옥수수 종자의 품종을 분류하고 안토시아닌 함량이 종피의 자색빛과 상관관계를 지닌다는 점을 바탕으로 초분광 영상과 색공간 값을 이용하여 안토시아닌 함량 수준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품종 각 1종, 개량 품종 10종의 자색 옥수수 종자를 품종별 20개씩, 총 240개의 샘플을 사용하였으며, 초분광 영상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1000~1700 nm 영역의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종자의 앞과 뒤, 윗부분을 촬영하였다. 각 ROI의 평균 스펙트럼에 대해 SNV 및 표준화 전처리를 적용하였고 SVM(Support Vector Machine) 모델을 통해 품종 분류 및 안토시아닌과 관련된 색공간 값을 예측하는 파이프라인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옥수수 종자의 품종 분류 및 안토시아닌 함량 수준의 추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모델을 제시함과 동시에 안토시아닌 함량 예측 모델의 효율적인 개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측 모델의 비파괴적인 개발 과정과 분류 및 회귀 모델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모델의 개발을 위한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안토시아닌 함유 과채소류의 생리활성성분 함량과 항산화능 및 저장에 따른 자색당근 추출물 첨가 푸딩의 품질특성 비교

        강선아 ( Suna Kang ),이수현 ( Soo Hyun Lee ),심영남 ( Young Nam Shim ),오민지 ( Min Ji Oh ),이나라 ( Na Ra Lee ),박선민 ( Sunmin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4

        본 연구는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자색당근, 블랙커런트, 아사이베리, 복분자, 블루베리의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였고, 자색당근 농축액의 첨가량을 달리한 푸딩을 제조하여 7일간 푸딩의 품질을 측정하고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리활성 물질인 phenol, carotenoid, flavonoid,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자색당근과 복분자는 폴리페놀을 다른 과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안토시아닌함량은 블루베리,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블랙커런트가 나머지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DPPH와 ABTS로 측정한 항산화능은 복분자와 블랙커랜트가 다른 과일과 채소에 비해 높았고 자색당근과 블루베리가 중간 정도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용이하고 시장성이 좋은 자색당근 추출액을 첨가한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푸딩을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행하고, 7일 동안 저장할 때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색당근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푸딩을 제조하였을 때, pH는 자색당근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당도는 시간이 지나도 24 oBx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자색당근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가 증가하고 갈색도는 감소하였고 물성 검사에서는 경도가 낮고 탄성이 높았던 7.5 % 자색당근 추출액 첨가 푸딩이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완성된 푸딩을 7일간 냉장 보관하여 품질 특성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색도가 감소하였고 갈색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색당근이 산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물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7.5%의 자색당근 추출액을 첨가한 푸딩이 관능적이나 물리적 특성이 적절하였다. 그러나 자색당근추출액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산화 방지를 위해 pH와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푸딩을 제조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black carrot, black currant, acaiberry, black raspberry, and blueberry. We also examined the phys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dding with added black carrot extract following 7 days of storage. Black carrot and black raspberry had the highest total phenols. Blueberry contained the highest anthocyanins and black currant equaled black carrot in carotenoids. Anti-oxidant capacity measured by 1,1-diphenyl-1,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thiazolin- 6-sulfonic acid was highest in black raspberry and black currant followed closely by black carrot. In pudding, redness was increased and blueness decreased by adding black carrot extract, but the trend was partially reversed during 7-day storage due to oxidation of the anthocyanins, which are stable in acid situation. As black carrot extract contents were increased, pH value decreased The pudding`s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optimal with 7.5 % black carrot extract. In conclusion, black carrot is moderately rich in anthocyanins and phenolic compounds. In pudding adding 7.5 % black carrot extract was optimal for organoleptic qualities. However,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methods for protecting anthocyanins from breaking-down during storage of back carrot pudding.

      • KCI등재

        블루베리 추출물의 모발 염색 및 견뢰도 연구

        서은성,박철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7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atural hair dyeing using anthocyanin pigments from blueberries. Methods: The hair dyeing and color change of blueberry extracts were measured 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anthocyanin by varying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pH. Several mordants were used, and the mordanting effects and colorfastness wer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rdanting method and mordant concentration. Results: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anthocyanin in the blueberry extracts was 520 nm. As the dyeing temperature and dyeing time increased, the dye uptake (K/S) increased and lightness (L*) decreased; the K/S were in the 21.639–58.968 range. The most effective condition for hair dyeing using anthocyanin pigments was 40°C for 40 min. Anthocyanin pigment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pH, and K/S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It was found that the redness (a*) increased in acid and the yellowness (b*) increased in alkali. Based on the K/S value only, pre-mordanting was effective for FeSO 4, MgSO4, MnSO4, CuSO4, CH3COOH, Co(NO3)2, CaCO3, and Na2CO3, and post-mordanting was effective for AlK(SO4)2. The changes of K/S values at mordant concentrations were 69.665 for 1% FeSO 4 and 59.515 for 5% and 15% CuSO4. AlK(SO4)2 and Co(NO3)2 showed high K/S changes of 66.555 and 63.127 at 20%, respectively.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was decreased with repeated shampooing. The K/S was in the 46.333–21.098 range, and the K/S difference was 16.911 after washing. Conclusion: Extracts from blueberries may be useful to be used as a hair dye. 목적: 본 연구는 블루베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 염색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블루베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최대흡수파장에서 염색 온도, 염색 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몇 가지 매염제를 사용하여 매염 방법 및 매염제 농도에 따른 매염 효과와 세정 견뢰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블루베리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최대흡수파장은 520 nm로 나타났다. 모발 염색시 염색 온도와 염색 시간이 증가할수록 염착도(K/S) 가 증가하고, 명도(L*)가 감소하였다. 이때 염착도는 21.639 –58.968였다. 염착도 차가 크면서, 안토시아닌의 고유한 색상을 반영하는 적색도(a*)가 큰 염색 온도 40℃, 염색 시간 40 min을 블루베리 추출물의 표준 염색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안토시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산성에서는 적색도가 증가하고, 알칼리에서는 황색도(b*)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염색시 매염 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에 따른 염착량 변화는, 매염제 중 FeSO4, MgSO4, MnSO4, CuSO4, CH3COOH, Co(NO3)2, CaCO3, Na2CO3는 선매염, AlK(SO4)2은 후매염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매염제 농도에 따른 염착도 변화는 FeSO4는 1%에서 69.665, CuSO4는5, 15%에서 59.515, AlK(SO4)2와 Co(NO3)2는 20%에서 각각 66.555와 63.1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컬러 전용 샴푸제를 사용하여 0 –20회 반복 세정시 염착량은 46.333 –21.098로 세정 후 염착량 차는 평균 16.911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블루베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 다색성 염료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발효 자색고구마 추출 천연색소(anthocyanine)에 의한 시력보호 효과

        서은선,유근창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y effect on vision protecting or decreasing VDT syndrome of extracted anthocyanine from fermented purple sweet potato and blueberry. Methods: Subjects were aged 19-20years old who do not have ophthalmic and systemic diseases and over −4.00 D of refraction error. 40 mg of extracted anthocyanine from fermented purple sweet potato, from blueberry, and control group, placebo were dosed at separate try. After 2 hours later, subjects were directed perform visual display terminal (VDT) work for 2 hours. Objective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before dosing anthocyanine and after VDT work for 2 hours. Degree of head ache, eye pain and strain and subjective symptoms of neck, shoulder and waist was also examined through interviews by dividing its degree into severe, moderate, slight or none. Results: After 2 hours VDT work, vision protection effect in terms of refractive error for dominant eye was decreased by 0.031±0.21 D in the group of extracted anthocyanine from fermented purple sweet potato, 0.006±0.32 D in the group of extracted anthocyanine from blueberry.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ly myopic progression in the placebo group by 0.144±0.28 D (t=2.27, p=0.03).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extracted anthocyanine from fermented purple sweet potato inhibits increase of refraction anomalies of dominant eye rather than non-dominant eye after VDT work. 목적: 발효자색고구마와 블루베리(blueberry)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의 시력보호 및 VDT 증후군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방법: 실험은 안과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고, 굴절이상이 −4.00 D 이상인 19~21세 남·여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0 mg의 발효자색고구마 및 블루베리 추출 안토시아닌과 대조군으로 위약을 각각 복용,2시간 후에 근업(VDT)을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시력검사는 안토시아닌을 복용하기 전과 2시간 근업 후 각각 타각적 굴절검사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근업 2시간 후 VDT 증후군으로 두통, 안통 및 안정피로, 목, 어깨, 허리 등의자각증상의 정도를 심함, 보통, 약간, 없음 등으로 구분하여 문진하였다. 결과: 2시간동안 VDT 작업 후 시력보호 효과는 우위안에 대한 굴절 값은 발효 자색고구마 추출 안토시아닌에서는 0.031±0.21 D, 블루베리 추출 안토시아닌에서는 0.006±0.32 D 만큼 근시도가 감소하였고, 위약에서는 0.144±0.28 D(t=2.27, p=0.03) 만큼 유의하게 근시도가증가하였다. 결론: 발효자색고구마 추출 안토시아닌이 근업 후 굴절이상 값의 증가를 억제하고, 비우위안보다 우위안에서 시력을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안토시아닌 유도체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이철재,최정원,장운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Anthocyanin derivatives are an important of natural compounds responsible for the red, purple and blue colors in a large number of plants. This molecules are polymethoxy-derivatives of 2-phenylbenzopyrylium salts. Despite the beneficial properties of anthocyanins,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ng or treating various diseases depends on bioavail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nthocyanin derivatives, we investigat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derivatives by calculating the total energy, bandgap, net charge of anthocyanin derivatives using HyperChem8.0's PM3 method. 안토시아닌 유도체는 다수의 식물에서 적색, 보라색 및 청색을 나타내는 천연 화합물의 중요한 성분이다. 안토시아닌분자는 2-페닐 벤조피릴리움 염의 폴리메톡시 유도체이다. 안토시아닌의 유익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는 생체 이용률에 달려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안토시안 유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HyperChem8.0의 PM3 방법을 이용하여 안토시아닌 유도체의 총 에너지, 밴드갭, 정전포텐셜, 알짜 전하량을 계산하여 유도체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 KCI등재

        안토시아닌 유무에 근거한 천연화장품의 소재로서 식용식물 추출물의 유용성 평가

        김성희,이은희,박두현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6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4 No.4

        Purpos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sefulness of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some edible plants as material for natural cosmetics. Methods: River peach leaves, persimmon leaves, green tea leaves, black beans, black rice, and eggplants were dried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then they were selected, crushed and separated using a 50 mesh sieve. 10 g of the powder was suspended in 10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extracted for 48 h at 4℃ to be used as a sample for chem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Results: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green tea extracts were 9.73 g/100 g and 1.28 g/100 g, respectively, which were about 3–6 and 2–9 times, respectively, higher than others. Anthocyanin contents of black rice peel were approximately 0.053 g/100 g, which were about 2–3 times higher than other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40 mg/100 mL) were 59.5% and 69.7%, respectively, which were about 3–66 times and 3–30 times, respectively, higher than others.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black rice peel and eggplant peel extracts (2 g/100 mL) were 58.9% and 56.4%, respectively, which were about 2–32 times and 2–31 times, respectively, higher than others.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eggplant peel extracts (2 g/100 mL) was 22.5%, which was about 2–3 times higher than others.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persimmon and green tea extracts (2 g/100 mL) were 58.8% and 42.7%, respectively, which were about 2–3 times and 1.5–2 times, respectively, higher than other. Conclusion: Selection and combination of plants extracts with useful functions for beauty in company with anthocyanin and anti-oxidant may be required when usefulness of plant extracts as the material for natural cosmetics were evalua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토시아닌의 유무에 따른 특정 식용식물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콜라게나제, 엘라스타제, 티로시나제의 억제활성을 비교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개복숭아잎, 감잎, 녹차잎, 검정콩, 흑미, 가지를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하였으며, 미세분말을 얻기 위하여 파쇄한 후 50 메쉬의 체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재료분말 10 g을 100 mL의 증류수에 현탁하여 4℃에서 48 h 동안 추출하였고 화학 및 생화학적 분석을 위한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결과: 녹차잎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9.73 g/100 g과 1.28 g/100 g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각각 약 3–6배, 2–9배 높았으며 흑미 껍질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0.053 g/100 g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약 2–3배 높았다. DPPH와 ABTS 소거활성을 기준으로 측정한 녹차잎 추출물(40 mg/100 mL)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약 59.5%와 69.7%로 다른 재료의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인 활성이 각각 3–66배, 3–30배 높았다. 흑미 껍질 추출물과 가지 껍질 추출물(2 g/100 mL)의 콜라게나제 억제활성은 각각 약 58.9%와 56.4%로 다른 재료의 추출물에 비해 약 2–32배, 2–31배 높았다. 가지 껍질 추출물(2 g/100 mL)의 엘라스타제 억제활성은 약 22.5%로 다른 재료에 비해 2–3배 활성이 높았다. 감잎과 녹차잎 추출물(2 g/100 mL)의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은 약 58.8%와 42.7%로 다른 재료에 비해 각각 약 2–3배, 1.5–2배 높았다. 결론: 천연 화장품의 재료로서 식물 추출물의 가치를 평가할 때 안토시아닌과 항산화 효과는 물론 미용을 위해 유용한 기능성을 기준으로 재료를 선별하고 조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에서 재배한 분화 심비디움의 부위별 총 산화방지능 분석

        양해조(Haejo Yang),김영준(Young-Jun Kim),신영재(Youngjae Shin) 한국원예학회 2017 원예과학기술지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충남 공주에서 재배된 심비디움 3품종(SP211, ER827, FX750)을 수확하여 부위별(꽃, 잎, 위구경)로 분리한 후 산화방지물질(총 안토시아닌, 총 플라보노이드, 총 페놀화합물)과 총 산화방지능을 분석하였다. 총 페놀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산화방지능은 심비디움 3품종 모두 꽃, 위구경보다 잎이 높았다. 꽃 추출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 측정 결과는 ‘ER827’ 품종이 ‘SP211’, ‘FX750’ 품종에 비해 유의차 있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다른 부위의 추출물보다 ‘ER827’ 품종의 잎 추출물과 ‘SP211’ 품종의 잎 추출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꽃 추출물 중에서는 ‘ER827’ 품종이 ‘SP211’ 품종과 ‘FX750’ 품종에 비해 유의차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부위별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부위의 추출물보다 잎 추출물의 함량이 유의차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부위별 추출물의 총 산화방지능은 세 품종 모두 다른 부위보다 잎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화 심비디움 3품종의 총 페놀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안토시아닌과 총 산화방지능 간의 상관관계는 높았으며, 총 안토시아닌과 총 플라보노이드 간에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분화 심비디움은 산화방지물질과 총 산화방지능을 포함하고 있어 추후 건강 지향적 식품 및 기능성 향장품의 원료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Three cultivars of potted Cymbidium spp. (‘SP211’, ‘ER827’, and ‘FX750’) harvested from Gongju in Chungnam of Korea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amples from these cultivars were separated into different organs (flower, leaf, and pseudobulb) and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their activities were analyzed. The total flavonoids,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se potted Cymbidium spp. cultivars were higher in the leaf extracts than flower and pseudobulb extracts. The total anthocyanin concentration in the flower extra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R827’ than ‘SP211’ and ‘FX750’ (p < 0.05). The total flavonoid concentration in leaf extrac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lower and pseudobulb extracts in all cultivars, especially ‘ER827’ and ‘SP211’ (p < 0.05). Among the flower extracts, the total flavonoid concentration in ‘ER82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measured in ‘SP211’ and ‘FX750’ (p < 0.05). The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show similar patterns to that of the flavonoid concentration, and the antioxidant concentrations in leaf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organs tested in all cultivars (p < 0.05).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in leaf extracts was measured usin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method and were higher in leaf extracts than in other plant orga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cultivars. The total anthocyanin,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anthocyanin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also strong (r = 0.826). Our results indicate that potted Cymbidium spp. produces active antioxidant compounds that could be a good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 KCI등재

        머루(Vitis coignetiae)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염색 특성

        최윤영,박철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6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anthocyanin pigments from wild grapes. Methods: Anthocyanin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bsorbency of anthocyanin in wild grapes at 540 nm. Color chang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changes in temperature, time, and pH by color measurement. Results: The most effective conditions for hair dyeing using anthocyanin pigments was at 25℃ for 40 min. Unmordanted hair increased the dye intake (K/S) with increased dyeing temperature, and hair color changed from dark to bright red. Anthocyanin pigment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pH, and dye intake decreased with increased pH. Higher acidity generally led to a stronger reddish tint, while higher alkalinity led to a decrease in red coloration and a stronger yellow tint. When dyeing hair, pre-, simultaneous-, and post-mordanting should b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dants themselves (dye intake, lightless, chroma, and color). Based on K/S only, pre-mordanting was effective for FeSO4, MgSO4, Na2CO3, MnSO4, and Co(NO3)2; simultaneous mordanting was effective for CuSO4, CH3COOH, and CaCO3; and post-mordanting was effective for AlK(SO4)2. The rate of colorfastness decreased with repeated shampooing. Conclusion: Extracts from wild grapes may be useful as a hair dye. 목적: 본 연구는 머루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토시아닌의 최대흡수파장인 540 nm에서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몇 가지 매염제를 사용하여 매염방법에 따른 매염효과와 세정견뢰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모발 염색 시 염색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고, 머루 추출물은 염색온도 25℃,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적당하였다. 안토시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산성에서는 a* 값이 증가하고, 알칼리성에서는 b*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염색 시 매염방법(선매염, 동시매염, 후매염)은 매염제의 특성(염착량, 명도, 채도, 색상)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염착량(K/S)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선매염은 FeSO4, MgSO4, Na2CO3, MnSO4, Co(NO3)2에, 동시매염은 CuSO4, CH3COOH, CaCO3에, 후매염은 AlK(SO4)2에 효과적이었다. 컬러 전용 삼푸제를사용하여 20회 반복 세정 시 염착량 차는 평균 22.272 감소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머루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매염제 사용시 다양한 색상 구현 및 염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천연 다색성 염료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ts Made with Molecular Press Dehydrated Purple Sweet Potatoes during Storage

        조만재,김현정,Cho, Man Jae,Kim, Hyun Jung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6

        목적: 본 연구에서는 탈수방법 중 분자압축탈수법을 이용하여 탈수한 자색고구마로 제조한 타르트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자색고구마타르트의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총페놀함량, 안토시아닌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색도 및 관능평가를 45일 동안 실시하였다. 결과: 탈수제인 말토덱스트린 20%, 40%, 60%, 80%로 분자압축탈수 후 제조한 자색고구마타르트 크러스트의 수분함량은 45일 저장 후 8.47%, 7.95%, 6.96%, 6.24%로 분자압축탈수하지 않은 자색고구마로 제조한 타르트 크러스트의 수분함량인 11.99%에 비하여 낮았다 (p<0.05). 하지만 총페놀함량, 안토시아닌 함량과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분자압축탈수한 자색고구마타르트가 그렇지 않은 타르트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결론: 분자압축탈수 후 제조한 자색고구마타르트는 수분함량을 효율적으로 낮춰주어 저장 동안 타르트 크러스트의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총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색도 및 관능평가 결과가 감소하였다. Purpose: Molecular press dehydration is one of the dehydr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ts made with dehydrated purple sweet potatoes during the storage period. Metho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tart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total phenolics, anthocyanin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for 45 days of storage. Results: Moisture content of tart crust made with molecular press dehydration treated purple sweet potatoes with concentrations of 20%, 40%, 60%, and 80% maltodextrin as a dehydrating agent for 45 days was 8.47%, 7.95%, 6.96%, and 6.24% respectively; however, the moisture content of non-treated tart crust was 11.99% (p<0.05). Total phenolics, anthocyanin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ehydrated purple sweet potato tarts were lowered than those of non-treated tart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arts made with molecular press dehydrated purple sweet potatoes had effectively controlled moisture content and water activity during storage although total phenolics, anthocyanin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lor, and sensory evaluation were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