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량>을 보는 세 가지 방식

        신원선 ( Won Seon Si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3

        이 논문은 영화 <명량>을 절제와 집중을 통한 주제의 극대화, 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의 충돌, 역사왜곡과 해석의 경계라는 3가지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명량>은 가장 절제된 스토리와 대사를 통해 주제 전달을 명확히 하고 있는 잘 짜여진 구성을 가진 영화이다. <명량>은 영화 전반부 스토리라인의 과감한 삭제를 통해 영화 후반부의 해상 전투씬의 집중도를 배가시킴으로써 영화의 주제를 극대화시킨다. <명량>의 폭발적 인기는 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간의 충돌 양상이 보여준 판타지성에서 기인한다. 명량대첩은 아웃사이더인 이순신과 역시 아웃사이더인 백성들의 수평적 연대를 통해 기득권자인 왜적과 조선의 국가권력을 동시에 패퇴시킨 싸움이다. 결국 이 시대의 관객들이 영화 <명량>을 통해 느낀 카타르시스는 이순신과 백성이라는 아웃사이더가 왜적과 조선이라는 기득권자에게 명량대첩을 통해 통쾌한 복수를 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명량>은 역사왜곡과 해석의 경계 지점에서 해석이라는 부분쪽에 좀 더 기울어져 있는 사극이다. 사극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특정 사건이나 등장인물의 진위 여부가 아닌 역사에 대한 작가의 역사의식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명량>은 화려한 해상 전투씬으로 승부를 건 상업영화 이상의 현 시대의 시대정신을 읽어낸 역사극으로서 의미가 있는 영화이다. This study examined movie <Roaring Currents (Myeong-ryang)> in three viewpoints, which are the maximization of theme through control and concentration, collision between those with vested interests and outsiders, and the borderline between the distortion and interpretation of history. <Roaring Currents> is a movie with an elaborate structure that conveys the theme clearly through highly controlled stories and conversations. By cutting a large chunk from the storyline of the first half, <Roaring Currents> doubles concentration on the scene of naval battle in the second half and, by doing so, maximizes the theme of the movie. The explosive popularity of <Roaring Currents> comes from the fantasy-like characteristic shown by the collision between those with vested interests and outsiders. The Great Battle of Myeongryang defeats both the Japanese invaders and the state power, which are those with vested interests, simultaneously through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outsider Lee Soon-shin and another outsider people. After all, the catharsis that the audience feels from movie <Roaring Currents> is possible because outsiders Lee Soon-shin and the people revenge themselves upon the Japanese invaders and Joseon, those with vested interests, through the Battle of Myeongryang. <Roaring Currents> is a historical drama in that the borderline between the distortion and interpretation of history is inclined slightly more toward interpretation. It is because what is most important in a historical drama is not the truthfulness of specific events or characters but the author’s historical consciousness. In conclusion, <Roaring Currents> is a movie meaningful as a historical drama that read the spirit of the contemporary times rather than as a commercial movie equipped with gorgeous naval battle scenes.

      • KCI등재

        셰익스피어 극에 나타난 아웃사이더와 인사이더로서의 여성

        오수진(Sujin Oh)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5 셰익스피어 비평 Vol.51 No.2

        This essay explores women as outsiders and insiders in Shakespeare’s plays, related to the views of women during the English Renaissance. Were women outsiders or insiders in Shakespeare’s time? In Shakespeare’s plays, a woman can be the kind of outsider that provides a fresh perspective and protests about their exclusion from a male-centered society, or she can be an insider,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Under the strict patriarchal ideology, women were excluded from the universities, the learned professions, the right to choose a marriage partner, and so on. However, owing to Queen Elizabeth’s powerful reign, the emphasis on women education by humanists, and Puritanism, women gradually began to get social approval and enabled them to express their thoughts. Shakespeare must be influenced by the change of Elizabethan age, in describing his woman characters. For example, in The Taming of the Shrew, Katherine becomes an outsider at the beginning by her protest against male dominance, but eventually, she gets a sort of insider status at the end through her public capitulation. In some comedies, women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role of an outsider and insider. In some tragedies, Shakespeare often set women as moral outsiders. In tragic women’s plots, Lady Macbeth is the prime example of woman as a moral outsider. She seems to be a social insider at the beginning, she does not recover the status of social insider and dies alone as a moral outsiders at the end. Shakespeare encourages us to see his women characters as outsiders and insiders in his plays, and gives us a fresh view on his women.

      • KCI등재

        게오르크 하임의 표현주의 산문 「광인」을 통해 본 아웃사이더

        목승숙 ( Mok Seong-sook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5 No.-

        이 논문은 게오르크 하임의 산문 「광인」(1911) 속 아웃사이더의 광기를 추적하며 표현주의 단편에서 광기의 모티브가 점하고 있는 특수한 위상과 의미를 입체적으로 가시화하고, 하임의 작품 속 광기에 시대적 징후의 기록과 시대 비판의 차원을 넘어서는 보다 강도 높은 시대 전복적 의미 또한 부여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표현주의가 등장하던 20세기 초 독일은 세기전환기의 정치적, 사회적 대변혁의 연장선 상에 있었다. 권위적인 빌헬름 시대의 독일은 산업화, 공업화, 대도시화로 인해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모했고, 대도시의 팽창과 그로 인한 대도시 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도시빈민층 형성과 더불어 변화된 환경과 새로운 인지 방식에 적응하지 못하는 시대 전형적 소외계층을 만들어냈다. 20세기 초를 특징 짓는 이러한 소외계층으로는 광인, 죄수, 범죄자, 창녀, 병자 등과 같은 사회적 아웃사이더들이 주였고, 스스로를 또한 사회의 비주류로 인식하던 표현주의 작가 및 예술가들은 동질감을 느끼며 이들에게 주목하였다. 이러한 아웃사이더 군상들 중의 한 유형인 광인은 낭만주의와는 달리 표현주의에서는 특수한 개별자가 아닌 보통 사람들을 대변하는 일반 유형으로서의 대표성을 보여준다. 「광인」의 익명의 주인공은 정신적 훈육 기관인 정신병원에서 출발하여 요란한 소음과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문명화된 대도시의 중심부로 들어서며 이성의 상실과 더불어 자아 상실을 겪게 된다. 이성과 합리성의 법칙에서 벗어나는 예외적 존재, 문명화된 대도시에 편입되지 못하는 부적응자인 광인이 벌이는 엽기적인 살인 행각에는 이성에 기반하는 합리주의, 진보를 내세우는 문명화에 대한 비판이 깔려 있다. 이러한 광인의 강도 높은 광적인 행동에는 시대 비판적 태도를 넘어서서 빌헬름 시대로 상징되는 권위적인 구세계의 전복에 대한 작가의 강력한 염원 또한 투영되어 있다고 보인다. Diese Arbeit beabsichtigt, die Sonderstellung und Bedeutung des Motivs des Wahnsinns im expressionistischen Prosawerk zu visualisieren, den Wahnsinn des Außenseiters in Georg Heyms Erzählung Der Irre verfolgend. Dabei wird versucht aufzuzeigen, dass dem Motiv des Wahnsinns in Heyms Werk eine intensivere subversive Bedeutung zukommt, die über die Aufzeichnung des Zeitsymptoms und die Zeitkritik hinausgeht. Zu Beginn des 20. Jahrhunderts, als der Expressionismus aufkam, wandelte sich Deutschland drastisch durch die Industrialisierung und Metropolisierung. Demzufolge entstand eine typische Randschicht der Zeit, die sich der veränderten Umgebung nicht anpassen konnte. Soziale Außenseiter wie Verrückte, Gefangene, Verbrecher, Prostituierte und Kranke waren Beispiele dieser marginalisierten Klasse, die das frühe 20. Jahrhundert prägte. Der anonyme Protagonist von Der Irre, der aus einer Irrenanstalt entlassen wurde, betritt das Zentrum einer zivilisierten Großstadt und erleidet Selbstverlust. In den brutalen Mordtaten des Irren, der von der Gesetzlichkeit der Vernunft und den gesellschaftlichen Normen abweicht und sich nicht in die Metropole einfügt, steckt die expressionistische Kritik am Rationalismus und an der modernen Zivilisation. Außerdem lässt sich feststellen, dass das zerstörerische Verhalten des Irren den starken revolutionären Wunsch Heyms nach dem Umsturz der autoritären wilhelminischen Gesellschaft widerspiegelt.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의 에세이에 나타난 아웃사이더 예술을 통한 사회 혁명

        이순구(Soonku Lee)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3

        이 논문에서는 1920년대 이후에 발표된 울프의 몇몇 에세이 분석을 통해 여성과 노동자 계급 등 사회의 아웃사이더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려 했고 사회혁명의 수단으로 이들에 의한 독서와 글쓰기를 강조했던 그녀의 급진주의자적인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에세이에서 울프는 계급 간 구분이 허물어져 가는 민주주의 시대에 그러나 여전히 계급의 감옥에 갇혀있는 영국사회와 문단을 향해 과연 미래의 민주적인 시대의 올바른 문학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녀는 중산층 출신의 남성 작가들에 의한 문학은 사회혁명의 활력을 상실한지 오래 되었으며 이제는 교육받지 못한 사회적 타자들인 여성과 근로자들이 주체가 되는 예술만이 사회를 구제할 수 있다며 그들에 의한 적극적인 문학적 행위가 전제될 때에야 비로소 미래의 계급 없는 평등사회에 대한 갈망이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울프의 급진주의자적 시각을 1920년대 이후에 써진 그녀의 몇몇 에세이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examining the radical aspects of Virginia Woolf, who sought to identify with social outsiders such as women and the working class and stressed their reading and writing as a means of social revolution, by analyzing several of her essays published in and after the 1920s. In these essays, she posed the question of what the correct image or stance of literature ought to be in the democratic era of the future to British society and literary circles, which still were locked in the prison of class in an age of democracy, when distinctions among classes were crumbling. Stating that literature created by male writers from the middle class had lost the energy of social revolution long before and that, now, only art where women and laborers, uneducated social others, were the subjects could save society, Woolf argued that the fervent wish for the classless, equal society of the future could be finally realized only when these outsiders’ active, literary acts were presupposed.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amine such a radical perspective on Woolf’s part by analyzing several of her essays written in and after the 1920s.

      • KCI등재

        손상기 작품에 나타난 실존적 의미의 치유성

        김연재,김미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1

        This study explored the life of the painter Sangki Son who died at the age of 39 and the healing aspects of the existential meaning in his representative paintings. Son, born in Yeosu, a coastal city, was physically handicapped and weak in his childhood, which was traumatic to him. This trauma led him to an outsider's life. He regarded himself as an isolated outsider in existential danger. His literary philosophy and visual writing cast a harsh criticism on himself and the realit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meanings found in his works and the influences of his ideas and attitudes on his works, based on Colin Wilson's outsider theory and Victor E. Frankl's logotherapy. His self-image and view of life were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paintings such as <Trees that don't grow>, <Flowers that never wither>, and <City of construction>. These works were not only an artistic achievement showing the sublimation of the tensions and neurosis in real life but also a case showing the subconscious healing effects of art therapy. The act of painting was his own way of surviving in itself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something. Healing took place as he expressed his true inner self in the paintings. Through the analysis of Son's life and works, this study shed light on his way of curing the hurt inner self and expressing the shadows and anima in him to reach his true self, and on the strong and unique existential meaning of art as therapy expressed in his works. 본 연구는 39세의 나이로 요절한 화가 손상기의 삶과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해 실존적 의미로서 그의 작품에 드러나는 치유성을 살펴보았다. 여수에서 태어나 신체적 핸디캡과 병약한 육체가 어린 시절부터 트라우마로 작용하여 아웃사이더적 삶의 행로를 걸어가게 되었고, 실존적 위기와 고립의 아웃사이더로서 자신과 현실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냉철한 직관으로 일관된 그의 문학적 사고와 시각적 글쓰기가 콜린 윌슨의 아웃사이더 이론과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적 관점을 바탕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끼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의 작품을 통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라지 않는 나무>나 <시들지 않는 꽃>, <공작도시>시리즈는 그 자신의 자아상과 인생관을 반복적으로 대변해 주는 소재로 그림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현실의 갈등과 긴장 및 노이로제를 해소하고 승화시켰는데, 이는 미술사적 과업의 성취를 넘어서 다분히 미술치료의 효과를 무의식적으로 체험해 낸 사례가 되었다. 그에게 있어서 그림 작업은 그 어떤 것의 대안이 아니라 그것 자체로 유일한 그만의 생존방식이었기 때문에 모든 진실한 내면이 담겨 있는 치유의 장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상기의 삶과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상처 입은 내면을 어루만지는 그만의 방식과 자신 안에 있는 그림자와 아니마를 의식하고 표현함으로써 참된 자기에로 나아가게 하는 미술작업이 갖는 독특하고 강렬한 실존적 의미인 치료로서의 미술(art as therapy)을 그의 작품에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아웃사이더 미술가들 - 다양체의 한국 문화 경계 짓기 -

        박정애 ( Park Jeongae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이 글에서는 각기 다른 세 가지 양태를 띤 한국 미술가들의 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묘사하고 해석하였다. 첫 번째 양태는 국제적 무대에서 활동하기 위해 성인이 되어 한국을 떠난 미술가들로 확인된다. 이들은 뉴욕 미술계라는 타자의 강요에 의해 자신들의 한국적 문화를 재발견하고 있다. 그들이 재발견한 한국성은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유래한 소재를 새로운 현대 미술의 언어로 배치되면서 현대성을 획득한 것이다. 두 번째 양태의 미술가들은 어린 나이에 부모를 따라 한국을 떠난 경우이다. 이러한 두 번째 양태의 미술가들에게 한국에서의 어린 시절의 기억은 혼종적인 작품을 만들게 하는 강도를 지속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세 번째 양태는 한국의 영토 밖에서 태어난 미술가들이다. 이러한 양태의 미술가의 한국적 정체성이 특징은 지형적이라기보다는 문화적이다. 이들 세 가지 양태의 미술가들은 그들이 구사하는 한국어의 사용 능력의 차이에 따라 구분이 가능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언어의 차이는 존재가 하나로 남아 있는 반면에 무수히 많은 존재자들이 존재의 형식적 또는 양태적 구분이라는 들뢰즈의 존재의 일의성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들은 한국인의 유목적 분배로서의 복수적 양태들로 해석된다. 이들 한국 미술가들은 다른 문화와의 연결접속을 통해 한국 문화의 경계 짓기를 수행하는 아웃사이더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양체로서의 한국의 국가적 정체성은 동시에 역사와 전통과 관계하면서 시간을 두고 끊임없이 변화한다. This article describes and interprets three different modes of Korean artists’ identities in order to reveal the complex process through which Korean identity is constructed.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first mode of artist as one who left Korea as an adult to act on an international art world. The artist’s Koreanness was one rediscovered by dialectical play with the Other. The Korean nature that rediscovered acquired contemporaneity because the artist used subject matter derived from childhood experiences into a new language of contemporary art. The second mode of artist left Korea at a young age due to parents emigrating to other countries. For this second type of artist, the memories of childhood in Korea have the function of sustaining the intensity to make hybrid artworks. The third mode are the artists born outside the territory of Korea. This artist’s Korean identity is culturally, rather than geometrically and politically rel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modes is confirmed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speak Korean language. Because the numerical distinction between beings is a modal, not a real distinction, the three modes of artists are the plural modes of being as the nomadic distributions of Koreans. These Korean artists function as outsiders who carry out the bordering of Korean culture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cultures. It is a position in relation to a multiplicity. In this way, Korea's national identity as a multiplicity is constantly changing over time while simultaneously relating to history and tradition.

      • KCI등재

        權韠과 許筠의 交遊와 그 當代的 意味

        김창호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association between Kwon Pil (1569-1612) and Heo Gyun (1569-1618) and its historical meanings. The two persons have drawn people’s attention as critics and poets representing the mid Chosun Dynasty. Their similar position as outsiders induced them to have free and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to share the thematic dimension with each other to some degree. Through the two persons and people who associated with them, we can identify the pattern of outside beings engendered through various paths different from the past. In addition, through literary association, they played the role of a meaningful critic to each other. We can see that they pinpointed the merits of each other’s poems and formalized them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oetry, and showed continuous interest in each other’s works through creation and criticism. Another characteristic to be mentioned is that they were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anthologies and the writing of forewords for each other with some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tradition of each other’s family.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of literary trends in the late Ming Dynasty, which is one of keywords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ose days, we can find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difference in accepting literary trends from the Ming Dynasty can be an important clue for explaining phenomena in the literary circle in those days. That is, the literary circle of Chosun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did not accept widely the writings of the earlier seven masters and later seven masters of the Ming Dynasty, or accepted them selectively. This needs to be explained further through close examination of their works during this period, and making topographical maps according to the grouping of literati. 본고는 權韠과 許筠의 교유 양상과 그 當代的 意味를 검토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先親 간의 교분에서 시작된 이들의 교유는 이후 인간적인 情誼를 나누는 사귐으로 이어져 갔다. 두 사람이 활동하던 조선 중기는 鮮初 이래 누적되어온 정치 사회적 모순이 급격하게 露呈되고 있던 시기다. 이들은 스스로 規範體系로부터 일탈하거나 규범체계의 부적응이 이전의 일탈지향을 강화시켰다는 경로상의 차이는 있지만, 둘 다 당대 主流로부터 일정하게 벗어나 있는 아웃사이더였다. 이 같은 지점에서 이들은 재야의 자유로운 공기를 호흡했으며 또 정치 현실을 바라보는 객관적 거리를 확보했다. 권필이 西人 人士의 의식을 견지하며 서인이 배척된 混濁한 세계에 맞서려 한 데 비해, 허균은 보다 자유롭고 진전된 의식 아래 모순을 야기하는 사회 구조가 변혁된 세계의 모습을 전망했다. 역사 인식의 면에서 당대의 첨단에 있던 두 사람의 接點과 그 差別的 面貌라 할 수 있는데 권필 시의 풍자정신, 허균 시의 사실적 묘사와 몇 편의 논설에 드러나는 민중에 대한 시선은 이러한 각각의 인식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적 교유에 대해 살펴보면, 두 사람은 서로 창작자와 비평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상대 집안의 문집 간행, 서문 제작, 작품 선별 및 비평 등의 작업에도 밀접하게 관여했다. 다양한 문학적 교유는 이들을 정점으로 한 濟濟多士의 활동과 함께 穆陵盛世의 일면을 대변한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이들의 교유는 선조 중후반~광해군기에 盛唐詩가 창작과 비평의 기준으로 인식되어 가던 詩壇의 흐름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권필은 시 창작의 주안점이 妙解를 透得하는 데에 있었으며, 허균 역시 권필의 시는 學力의 확충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닌, 妙悟를 透得한 경지의 시, 즉 盛唐詩의 정신을 제대로 구현한 것으로 보았다. 한편 이 무렵은 明末 文壇의 영향이 가시화되던 때다. 그런데 受容의 문제에 있어 둘 사이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허균은 前後七子의 거의 모든 著作을 섭렵했고 또 재편집하는 데에 열중했다. 반면에 권필의 문집에는 명말 문단의 동향과 관련된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권필이 전란 중 明軍 장교와 교유한 사실이나 전후칠자를 비의한 허균의 「前五子詩」, 「後五子詩」에 대한 評語를 남긴 것을 볼 때, 명말 문단의 동향을 몰랐던 것 같지는 않다. 차후 정밀한 접근이 요구되는 문제이나 절친한 교유 인물 사이에 이 같은 차이가 있음을 볼 때, 16세기 말~17세기 초의 朝鮮文壇에는 전후칠자의 저작이 그간 알려진 것과 다르게 選擇的으로 수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이 시기 작품 자체의 면밀한 분석과 수용과 관련한 文人群 설정에 따른 地形圖 작성과 함께 해명될 부분이다.

      • KCI등재후보

        홍길주의 실험적 글쓰기

        최식(Choi 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본고는 19세기의 대표적인 경화세족·문한세가라는 주류에 속하면서도 기존의 아성과 권위에 도전하고 비판하는 아웃사이더에 가까운 인물이었던 홍길주의 실험적 글쓰기를 추적한 것이다.<BR>  그는 장자의 내용을 패러디한 일종의 유희문자에서 상대주의적 인식론을 발전시켜 眞知와 眞覺을 설파한 것에 이르기까지 편폭이 다양하다. 이는 항해가 장자의 매력에 얼마나 심취하고 탐독했는가를 말해주며, 나아가 그의 문학이 장자와 깊이 맞닿아있음을 보여준다. 18세기 박지원이 장자의 상대주의적 인식론을 토대로 우주담론을 펼쳐 중국중심의 세계관과 지구 중심의 세계관을 부정했다면, 항해는 박지원의 우주담론을 토대로 지식과 능력의 절대성을 부정하고 상대적인 관점으로 바라볼 것을 요구한다.<BR>  또한 그는 우리말과 글의 가치를 발견하여 18세기 박지원의 ‘조선풍’과 정약용의 ‘조선시 선언’ 등 실학파 문인들의 학문적 성과를 계승하는 한편, 한 걸음 더 나아가 순환적 세계관을 설명하거나 중국 음과 우리나라 음의 차이를 정치하게 분석하고 고증하기에 이른다. 그는『雅言覺非』를 무조건 비판하기 보다 그 잘못을 고증하고 자신의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하기도 한다.<BR>  그는 "문장은 다만 독서에 있지 않고 독서는 다만 책 속에 있지 않다."고 하면서, 천지간의 항상 살아있어 죽지 않는 문자를 읽어내는 것이 곧 독서며, 천지간의 항상 살아있어 죽지 않는 문자를 표현한 것이 바로 문장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四書 가운데『대학』의 구성과 체제를 연상시키는『皐津經傳』은 단순한 여행기에 불과한 내용임에도 과감히 경전이라 명명한다. 이는 천지간에 항상 살아있어 죽지 않은 문자를 표현한 것이 大文字이자『고진경전』이라는 그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다. 또한「冊睡鄕侯九錫」은 詔令文에 해당하는 冊文으로, 上帝가 제후를 책봉하면서 9가지 은전을 하사한다는 내용을 교묘하게 패러디하여 기존의 권위적 글쓰기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BR>  이러한 그의 글쓰기는 문장중원론으로 대변되는 문장론과 관련이 깊다. 그는「釋夢」에서 나의 문장이 문장의 중원이라 단언하고, 나아가 문장의 지극함을 문장의 중원으로 정의한다. 문장의 지극함은 淫書와 稗說로 하여금 모두 詩禮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벌레소리·귀신소리·괴이한 木石·아득하고 괴이하며 그윽하고 은밀하여 끝내 따져 물을 수 없는 것으로 하여금 서로 이끌고 와서 조문하고 그 추악함을 감추고 그 능한 것을 바치게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문장의 중원에 해당하며 항해 자신의 문장이 된다는 논리이다.   This script was to trace back to experimental writing of Gil-Joo Hong, who was close to an outsider that had challenged to and criticized existing stronghold and authority at that time even though he belonged to mainstream of representative gyeong-hwa-sae-jok·moon-han-sae-ga in the 19th century.<BR>  His coverage of literature had varied significantly from a type of fun letters that was made in parody of Jang-ja to confutation of Jin-ji and Jin-gak by developing relativistic recognition theory. Ji Won Park refused the world view centered on the world or the world centered on China through based upon Woo-jo-dam-ron Jang-ja"s relativistic recognition theory in the 18th century, while Hang-hae requested relativistic viewpoint while refusing absoluteness of knowledge and capacity based upon Ji Won Park"s Woo-jo-dam-ron.<BR>  In addition, he found out the value of Korean language and writing and succeeded to academic achievement of the literati of shil-hak faction such as Ji-Won Park"s "Joseon-poong" and Yak-Yong Jeong"s "jo-seon-shi-seon-oun" in the 18th century. On the other hand he further explained cycling world view and critically analyzed and historicall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pronunciation and Korean pronunciation. He didn"t blindly criticized Ah-eon-gak-bi, instead he historically investigated its fault and proposed his own individual viewpoint about it.<BR>  He named Go-jin Sutras as the Sutras even though Go-jin Sutras reminding us of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Great Learning among the Four Books was nothing but a simple traveling memorandum. It was a sort of his clear intention that Go-jin Sutras was to represent all-living and never-dying letters in the world, that is, Great Letters. In addition,「chaek-soo-hyang-hoo-goo-seok」is a type of chaekmoon belonging to jo-ryeong-moon, which posed a great challenge to authoritative writing style at the time by making refined parody of the act that the Supreme grants 9 silver coins to feudal lords when appointing them.<BR>  This type of his writing is closely related to writing theory centered upon moon-jang-joong-won-ron. He affirmatively declared that my writing was the center of writings in「seok-mong」, further, he defined that the extreme delicacy of writing is a center of writing. That"s the logic why he insisted his writing had been the center of writings and Hang-hae"s writings should be the center of them.

      • KCI등재

        권필(權필)과 허균(許筠)의 교유(交遊)와 그 당대적(當代的) 의미(意味)

        금창호 ( Chang Ho Kim )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본고는 權?과 許筠의 교유 양상과 그 當代的 意味를 검토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先親 간의 교분에서 시작된 이들의 교유는 이후 인간적인 情誼를 나누는 사귐으로 이어져 갔다. 두 사람이 활동하던 조선 중기는 鮮初 이래 누적되어온 정치 사회적 모순이 급격하게 露呈되고 있던 시기다. 이들은 스스로 規範體系로부터 일탈하거나 규범체계의 부적응이 이전의 일탈지향을 강화시켰다는 경로상의 차이는 있지만, 둘 다 당대 主流로부터 일정하게 벗어나 있는 아웃사이더였다. 이 같은 지점에서 이들은 재야의 자유로운 공기를 호흡했으며 또 정치 현실을 바라보는 객관적 거리를 확보했다. 권필이 西人 人士의 의식을 견지하며 서인이 배척된 混濁한 세계에 맞서려 한 데 비해, 허균은 보다 자유롭고 진전된 의식 아래 모순을 야기하는 사회 구조가 변혁된 세계의 모습을 전망했다. 역사 인식의 면에서 당대의 첨단에 있던 두 사람의 接點과 그 差別的 面貌라 할 수 있는데 권필 시의 풍자정신, 허균 시의 사실적 묘사와 몇 편의 논설에 드러나는 민중에 대한 시선은 이러한 각각의 인식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적 교유에 대해 살펴보면, 두 사람은 서로 창작자와 비평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상대 집안의 문집 간행, 서문 제작, 작품 선별 및 비평 등의 작업에도 밀접하게 관여했다. 다양한 문학적 교유는 이들을 정점으로 한 濟濟多士의 활동과 함께 穆陵盛世의 일면을 대변한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이들의 교유는 선조 중후반~광해군기에 盛唐詩가 창작과 비평의 기준으로 인식되어 가던 詩壇의 흐름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권필은 시 창작의 주안점이 妙解를 透得하는 데에 있었으며, 허균 역시 권필의 시는 學力의 확충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닌, 妙悟를 透得한 경지의 시, 즉 盛唐詩의 정신을 제대로 구현한 것으로 보았다. 한편 이 무렵은 明末 文壇의 영향이 가시화되던 때다. 그런데 受容의 문제에 있어 둘 사이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허균은 前後七子의 거의 모든 著作을 섭렵했고 또 재편집하는 데에 열중했다. 반면에 권필의 문집에는 명말 문단의 동향과 관련된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권필이 전란 중 明軍 장교와 교유한 사실이나 전후칠자를 비의한 허균의 「前五子詩」, 「後五子詩」에 대한 評語를 남긴 것을 볼 때, 명말 문단의 동향을 몰랐던 것 같지는 않다. 차후 정밀한 접근이 요구되는 문제이나 절친한 교유 인물 사이에 이 같은 차이가 있음을 볼 때, 16세기 말~17세기 초의 朝鮮文壇에는 전후칠자의 저작이 그간 알려진 것과 다르게 選擇的으로 수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이 시기 작품 자체의 면밀한 분석과 수용과 관련한 文人群 설정에 따른 地形圖 작성과 함께 해명될 부분이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association between Kwon Pil (1569-1612) and Heo Gyun (1569-1618) and its historical meanings. The two persons have drawn people`s attention as critics and poets representing the mid Chosun Dynasty. Their similar position as outsiders induced them to have free and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to share the thematic dimension with each other to some degree. Through the two persons and people who associated with them, we can identify the pattern of outside beings engendered through various paths different from the past. In addition, through literary association, they played the role of a meaningful critic to each other. We can see that they pinpointed the merits of each other`s poems and formalized them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oetry, and showed continuous interest in each other`s works through creation and criticism. Another characteristic to be mentioned is that they were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anthologies and the writing of forewords for each other with some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tradition of each other`s family.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of literary trends in the late Ming Dynasty, which is one of keywords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ose days, we can find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difference in accepting literary trends from the Ming Dynasty can be an important clue for explaining phenomena in the literary circle in those days. That is, the literary circle of Chosun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did not accept widely the writings of the earlier seven masters and later seven masters of the Ming Dynasty, or accepted them selectively. This needs to be explained further through close examination of their works during this period, and making topographical maps according to the grouping of literati.

      • KCI등재

        여성 지식인의 외부자 되기와 그 임계(臨界) : 손장순 작품을 중심으로

        김우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7 No.-

        In this paper, it looks to be a writer called attention to yichaeroun pace Sohn Jang-Soon(손장순) in the literature section of the "Park Chung-hee era“. Works published in the 1960-1970 Korean Sohn Jang-Soon 『한국인』(1966), a high resolution 『세화의 城』(1971), including the 「우울한 파리」(1976), contained two years overseas stay experience Journey to Paris in 1974, Travel travels, prose etc. this will be the subject of discussion. Sonjangsun this period is noted by the intellectuals suffer from conflicts between the outsider and society in Korea juryucheung're shaping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is period South Korea. Especially interesting in that it maintained a critical eye to work in a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are bypassing the Park Chung Hee era contemporaries in mind that experiences abroad are highly educated intellectuals, including women abroad figures. 본고는 ‘박정희 시대’의 문학장 안에서 손장순이라는 작가가 보이는 이채로운 행보에 주목하고자 한다. 1960-1970년대에 발표된 손장순의 작품 『한국인』(1966), 『세화의 城』(1971), 「우울한 빠리」(1976)를 비롯하여 1974년 해외 기행과 파리 체류 경험이 담긴, 여행 기행문, 산문 등이 본고에서 논의되는 대상 작품들이다. 통속소설과 세태소설로 저평가 되었던 이들 작품들은 사실 산업화 이전의 한국사회의 일면들을 묘파해내고 있어 주목된다. 이 시기 손장순은 한국 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일 수밖에 없으나 사회 주류층으로의 편입을 갈망하는 지식인들을 통해 이 시기 한국사회의 가능성과 한계를 폭넓게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여성인물들을 포함한 작품 속 상당수의 인물들이 고등교육을 받은 지식인이자 유학 등 해외 체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대 박정희 시대를 우회하는 비판적 시선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작품 속에서 고평되는 인물들은 특히 당대의 ‘속물’ 되기에 맞서 ‘교양’을 견지하려는 것으로 형상화되는데 외양과 내면 모두를 갖추고 외부자적 시선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댄디’의 개념을 참고해 볼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