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매원의 진정성이 고객 마음의 빗장을 열수 있는가?: 판매상황에서 판매원의 진정성과 고객의 심리적 저항감의 관계

        김상희 ( Kim Sang Hee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판매상황에서 고객의 심리적 저항감을 감소시킬 수 요소로 판매원의 진정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판매원의 진정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로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판매상황에서 고객이 판매원의 설득을 저항감 없이 수용하도록 만드는 것은 기업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고객관점에서 판매원이 그들과 기업의 이익을 위해 설득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고객으로 하여금 판매원의 설득을 받아들이고 긍정적 반응으로 나아가도록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판매상황에서 판매원의 커뮤니케이션이 판매원에 대한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을 높이고 이러한 진정성이 고객의 심리적 저항감을 감소시켜 판매원의 설득을 수용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에서 신체언어, 공간적 행위, 의사언어는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외형은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이 판매원의 진정성을 신체적 포즈, 적절한 공간, 목소리 톤, 발음 등을 통해 평가하지만 판매원의 외모, 옷차림과 같은 겉모습을 통해 평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이 고객의 심리적 저항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판매상황에서 판매원에 대한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은 판매원의 설득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심리적 저항감은 수용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 저항감이 높아지면 수용의도가 감소하고 반대로 심리적 저항감이 감소하면 수용의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판매상황에서 고객의 수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적 저항감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넷째, 판매상황에서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은 언어 고/비언어 고, 언어 저/비언어 고 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 고/비언어 저, 언어 저/비언어 저 집단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은 언어적, 비어언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객평가가 모두 높을 경우 가장 높지만 비록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객평가가 낮다 하더라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가 높을 경우 지각된 진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판매상황에서 상업적 설득이라는 고객의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고 고객마음의 빗장을 열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의심 많은 고객의 닫혀있는 마음의 문을 열기 위해서는 진심이 필요하며, 이러한 진심이 겉으로 배어나와 고객을 감동시키고 궁극적으로 고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본 연구는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show that a salesperson`s authenticity in a selling situation was a factor that could reduce customers` psychological reactance and conside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s a factor that could improve salespersons` authenticity. From a corporate viewpoint,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customers adopt a salesperson`s persuasion without reactance in a selling situation. This is because customers don`t feel that the salesperson tries to persuade them for the benefit of the company and himself/herself but can naturally adopt the salesperson`s persuasion and make positive reaction. This study aimed to show that a salesperson`s communication in a selling situation could enhance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of the salesperson and that the authenticity could reduce customers` psychological reactance and make them adopt the salesperson`s persuasion. This study pursues four main research objectives. First, it aimed to discuss how salesperson`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ed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Second, it aimed to determine how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affected customers` psychological reactance. While many companies of today try to persuade customers to make purchases, such a persuasion- based strategy can increase customers` psychological reactance. Even if a company has a positive intention, customers can consider it profit-making corporate behavior, causing customers` psychological reactance. In this situation, it is most of all important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can reduce psychological reactance.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authenticity as one of the factors and discuss the fact that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of a salesperson might be a factor that could reduce psychological reactance to persuasion. Third, it intend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reactance on customers` adoption intention. In other words, it tried to determine if reducing psychological reactance through customers` perception of a salesperson`s authenticity in a selling situation could enhance customers` intention to adopt the salesperson`s persuasion. On this basis, it intended to discuss a strategic plan for enhancing the adoption intention of customers in a selling situation. Four, it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salesperson`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n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To do this, subjects were grouped on the basis of a combination of high/low verbal communication and high/low nonverbal communication to determine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authenticity and develop a plan for enhancing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alesperson`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as found to affect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This result implies that salespersons` communication is important factor which can enhance customers` positive responses Second,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reduced their psychological react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of a salesperson in a selling situation may reduce psychological reactance to the salesperson`s persuasion. Third, psychological reactance negatively affected adoption intention: the more psychological reactance, the less adoption intention; the less psychological reactance, the more adoption intention. This result suggests the need to reduce psychological reactance with the objective of enhancing customers` adoption intention in a selling situation. Four,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in a selling situation was higher in high-verbal/high-nonverbal and low-verbal/high-nonverbal groups and was similar between high-verbal/low-nonverbal and low-verbal/low-nonverbal groups.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customers` perceived authenticity is at the highest level when they have a high opinion of bot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ut suggests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since customers` high opin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was found to enhance perceived authenticity although they had a low opinion of verbal communication. These results give strategic implications to reduce customers` negative perception of profit- making persuasion in a selling situation and open their mind. That i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uthenticity to open the closed mind of skeptical customers and indicates that authenticit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give customers good impression and ultimately make them changed.

      • KCI등재

        Eine Studie uber die Hermeneutik von F. D. E. Schleiermacher

        Cho, Kyoung Sik 독일언어문학연구회 2002 독일언어문학 Vol.0 No.17

        쉴라이어마허의 해석학은 딜타이나 가다머에 의해서 한쪽 면만이 수용되었다. 그 결과 그의 해석학은 오직 심리적인 해석방식에 주안점이 맞추어져 해석되어 왔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의 해석학이 다루고 있는 바를 사안적으로 다루면서 대체 어떤 체계성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쉴라이어마허가 해석학에 끼친 영향은 무엇보다도 종래까지 철학, 신학, 법학을 위한 보조학문으로 간주되어 왔던 해석학을 독립적인 학문으로 체계적으로 정립한데 있었다. 전통의 해석학에 따르면 이해는 자명한 것이었고 오해나 이해하지 못함은 바로 이해되어야 할 사안 자체에 기인한 것이었던 반면, 쉴라이어마허는 오해가 오히려 자연스러운 사태이고 이해가 극히 힘든 것으로서 온갖 노력을 추구되어야 할 것이라는 데서 일반학으로서 해석학의 틀을 마련한다. 그에 따르면 이해가 극히 힘든 까닭은 바로 소통 파트너가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는데 놓여 있다. 이와 같은 저자의 개체성이 담겨있는 말이나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것의 두 가지 층위에 관계된 해석방식을 필요로 한다. 하나는 언어적 차원에 관한 문법적 해석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언어를 통해 표현된 사고에 관한 심리적인 해석방식이다. 문법적인 해석은 저자가 사용하고 있는 개성적인 언어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그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개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언어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게 된다. 언어로 표현된 개체적인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그의 인생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와 아울로 그가 서있는 역사적인 지평 전체에 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는 충족되기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전체 언어는 개개인의 발화에 의해서 계속 확장되며, 사고 역시 이와 매한가지의 경우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쉴라이어마허는 이 두 가지 방식에 의한 완벽한 이해는 불가능하고, 오직 상대적인 이해만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위의 두 가지 해석방식이 서로 연계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언급한 두 가지 해석 방식을 위해 비교 방식과 심령적 치환 방식이 보조수단으로 기능한다. 비교 방식은 말 그대로 각기 다르게 나타난 언어 대상과 사고 내용의 대상을 비교해봄으로써, 심령적 치환 방식은 해석자가 저자와 동일한 상황이 되어봄으로써 개체적인 것의 파악을 노린다. 그 결과 해석방식으로는 언어적-비교적 해석방식, 언어적-심령적 해석방식, 심리적-비교적 해석방식, 심리적-심령적 방식의 네 가지가 성립한다. 이 네 가지 방식을 통해 이해되는 것들은 모두 부분적인 이해에 머문다. 따라서 말이나 글이 나오게 된 창작의 순간을 재구성, 즉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모든 언어와 모든 사고를 이해해야 하며 - 왜냐하면 이 전제로부터 창작 계기의 이해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 그리고 모든 언어와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로부터 해석학적 순환이 성립하게 된다. 해석학적 순환은 그 논리적 모순성으로 인해 그 자체가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파악되기도 하나, 쉴라이어마허에게 있어서는 바로 이해의 전제조건을 이루게 된다. 해석자가 부분과 전체 사이에서 움직이게 되는 이 해석학적 순환이 커지면 커질수록 그는 보다 객관적인 이해에 도달하게 된다. 그 결과 해석자는 저자가 말을 발화하고 글을 쓴 순간에 그가 의식하고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며 이에 그는 저자보다 그의 말이나 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쉴라이어마허의 해석학에서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가장 첨예하게 후일의 해석학자가 제기하는 문제는 쉴라이어마허의 해석학에서는 해석자의 개성과 그의 역사적인 위치가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철학적 해석학에서 언급되고 각각 독특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테면 하이데거는 해석의 행위를 대상의 인식에 관한 문제로 보지 않고 존재론적인 문제로 파악하여 해석이 의미적인 현존재의 존재방식임을 보여준다. 가다머 역시 해석자의 역사적 지평을 해석 상황안에 고려해 넣어서 해석의 행위를 텍스트와 해석자간의 소통으로 파악한다. 해석은 따라서 역사주의적, 심리주의적 해석학적 순환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객관적 해석을 지향하지 않는다. 해석은 텍스트와 해석자간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해석자의 이해의 지평을 넓혀주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적 해석학은 문예학이라고 하는 틀에서 관찰할 때 그다지 설득력있는 학적 방법론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그것은 끊임없는 개인적인 해석만을 가능하게 하며, 객관적으로 해석의 결과를 논할 수 있는 공통의 기반을 설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쉴라이어마허의 해석학은 비록 역사주의적인 노선을 취하면서 해석자의 지평을 반성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그 결과 역으로 문학적인 토론을 위한 공통의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문예학의 방법론으로서 기여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도형 및 언어과제 수행 시 집중력에 관한 연구

        강훈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뇌파측정 장치로 집중력을 실증적으로 진단하여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수행하였다. 중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설문지로 측정하여 그 하위요인을 높은집단 과 낮은집단으로 분류한 다음, 뇌파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형 및 언어과제 수행 시의 뇌파 분석을 통해 집중력의 차 이를 비교함으로써 심리적 안녕감과 집중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심 리적 안녕감, 뇌파를 주제로 문헌분석을 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뇌파를 측정하여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연구와 실험을 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의 측정도구는 하태민(2009)의 박사학위 눈문에서 청소년용으로 수정하고 이의 타당성을 검 증한 것으로 이 연구에서 확보한 Cronbach's α값은 .733~.892로 양호하였다. 뇌파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헤어밴드형 2채 널 뇌파 측정장치인 BTS-2000(Laxtha Inc, Korea)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소프트웨어는 TeleScan ver.3(LAXTHA Inc., Korea)이며 Power Spectrum을 분석 시행하여 각 세부리듬 영역별 파워값을 추출하였다. 이 자료에서 얻어진 자료들은 통계 분석 프로 그램인 SPSS 18.0K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 하였다.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 점수를 바탕으로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으로 분 류하고, 뇌파 집중지표를 분석하고 8개 하위요인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도형과제 수행시와 언어과제 수행시의 집중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 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도형과제를 수행할 때,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집중력이 높고, 언어과제를 수행할 때는, 심리적 안녕감과 집중력과는 차이가 없다는 결과로부터, 학교교육과정이 좌뇌 우세형인 언어과제 중심이므로 언어과제를 수행할 때 상대적으로 익숙해 진 학습된 결과로서 집중에 소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집단의 경우, 도형과제를 수행할 때가 언어과제 수행시에 비해 높은 집중력을 발휘하지만 낮은집단은 도형과제나 언어과 제를 수행시 선택적 집중을 하지 않는다는 결과로부터, 심리적 안녕감이 집중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Problematic behavior occurs due to seriousness of juvenile emotional problem and this influences the study result and again it relates to negative emotion forming vicious cycle. Meanwhile,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basic material of teaching and learning by diagnosing concentration empirically using brain wave measuring equipment accord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 since the concept of emotional well-being and its research was expanded and measuring concentration became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brain wave. It i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ncentra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concentration through analysing brain wave when performing figures and language assignment using brain wave measuring system after classifying sub-factors into high group and low group measuring questionnair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50 subj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books dealing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rain wave were analyze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rain wave were measured and survey and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The measuring tools for psychological well being is verified its validity modifying for juveniles from the dissertation of Ha, Taemin (2009) and the Cronbach's α conceived from this study was .733~.892, which was fine. In order to measure brain wave activity, hair band style 2 channel brain wave measuring equipment BTS-2000(Laxtha Inc, Korea) was used and the analysis software was TeleScan ver.3(LAXTHA Inc., Korea) and the power value was extracted according to each detail rhythm area analysing Power Spectrum. The data gained from this study was computer processed using SPSS 18.0K, the statistic analysis program. High group and low group were classified based on scores of sub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brain wave concentration indicator was analyzed and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 wa

      • KCI등재후보

        아동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심리적 학습환경으로서의 교사 언어 탐색

        김선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심리적 학습환경으로서의 교사 언어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헌 연구와 서울의 한 초등학교 담임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는 질책하는 언어, 칭찬하는 언어, 격려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칭찬하는 언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은 교사의 언어 사용에 따라 다른 발달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격려하는 언어가 아동들에게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적 학습환경으로서의 교사 언어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교사의 격려하는 언어가 아동들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통합적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위한 심리적 학습환경으로서의 교사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of teacher\ s language for child\ s integrated development. Today, elementary education becam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hil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is very complex. So, it needed to integrated development of child. For this,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are more important. The best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s teacher\ s language. Because when the children interact with teacher, their motivation would grow. Praise recognizes the actor. Praise language is only needed by a very few children in order to stimulate them into right behaviour. But encouragement acknowledge the act. Encouragement language stimulates the effort and fastens attention upon one\ s capacity to join humanity, and also to become aware of interior strength and ability to cope. Encouragement language give positive effects to all children. In conclusion, encouragement language is for integrated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국어 전이 예측 가능성 연구 - 베트남어 ‘ăn’과 한국어 ‘먹다’를 중심으로 -

        남미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국어 전이 가능성을 예측 하는 데에 있다. 모국어 전이 연구는 전통적으로 대조분석을 토대로 하고 있는데 대조분석 가설은 두 언어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학습자가 오류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언어 간 차이에 집중 하였고 유사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점이 적었다. 학습자는 목표 언어를 발화할 때 자연스럽게 자신의 모국어와의 유사점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또한 언어의 전이는 통사적, 형태적 차이나 유사점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의미적 유사성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다. Kellerman(1979)은 기존 대조분석 가설이 형태 구조적 차이점에 의한 학습자 언어 전이 현상에 주목한 것과 달리 심리유형론적 관점에서 모국어와 목표어 간의 심리적 언어 거리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Kellerman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베트남어 ‘ăn’의 심리적 거리를 분석하고 한국어 ‘먹다’로의 전이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동사 ‘먹다’는 세계 모든 언어에 존재하는 기본 어휘로서 비핵심 의미로 갈수록 다양한 의미 기능을 가지면서 실제 표현 양상에도 언어별로 많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먹다’가 가진 다양한 의미들에 대해 해당 언어의 모국어 화자 내에 의미 공간(Semantic space)을 분석하고 모국어 어휘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목표 언어로 전이가 이루어지는지 한국어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모국어의 전이는 긍정적인 면이든 부정적인 면이든 학습자의 목표어 학습에 많은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그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다면 좀 더 효과적인 한국어 교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7-2, 29-46. This study applies contrastive analysis in order to predict the L1 transferability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Contrastive analysis focuses on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to better help learners to avoid mistakes when speaking a target language due to relying on similarities with their native language. Language transfer may reflect syntactic or morphological differences or similarities, as well as semantic similarities. Kellerman (1979) focused on the linguistic distance between the nativ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from a psycho-morphological perspective, whereas recent contrastive analysis has focused on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differences. This study follows Kellerman in analyz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Vietnamese ăn from and its transfer to Korean ‘eat’. Transfer of learners’ native language,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can significantly affect their learning of the target language. A discussion of the findings is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future research possibilitie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Yonsei University)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의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래화(Kang, Lae-Hwa),남진열(Nam, Chin-Yeol),고관우(Ko, Kwan-W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7

        본 연구는 제주지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민간기관 종사자 86명, 공공기관 종사자 81명 등 16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언어폭력 피해경험은 동료, 상사, 클라이언트 중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피해경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심리적 소진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비인간화의 경우 성별, 기관유형, 클라이언트 언어폭력이, 정서고갈의 경우 학력, 클라이언트 언어폭력이, 그리고 개인 성취감결여의 경우 기관유형, 상사언어폭력, 클라이언트 언어폭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폭력 피해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관유형, 상사 언어폭력, 클라이언트 언어폭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언어폭력 대응과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감소에 대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Jeju. The analysis data was received from the samples of 167 responde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selected from private and public social welfare agency. The data was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damage showed the highest experience from clients among colleagues, bosses, and clients. Second,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on the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case of dehumanization, gender, institutional type, and client verbal violence, In the case of emotional depletion, academic background, client verbal violence, and In the case of lack of self-fulfillment, institutional type, boss verbal violence, and client verbal violence were found to affect. Third, the turnover intention was influenced by institutional type, boss verbal violence, and client verbal violence. we proposed practical measures to cope with verbal violence.

      • KCI등재후보

        대화로 풀어가는 인성교육의 가능성

        김선혜 한국인격교육학회 2013 인격교육 Vol.7 No.3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of Saramdaum Education through convers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explored materials by analyzing the negative language and positive language in the classroom contex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essage is better than the You-message. The former promotes self-respect, motivation and trust. Otherwise, the latter aggravates a sense of frustration, distrust. Second, Do-message is better than the Be-message. The former focused on the behavior itself; however, the latter puts the guilt onto the behavior. Third, encouragement language is better than the praise language. The praise language gives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to students. But it recognizes the actor. Encouragement language of teacher provides good development for students. This language also gives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to students. It stimulates the effort and fastens attention upon one’s capacity to join humanity, and also to become aware of interior strength and ability to cope.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강조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방향을 언어를 통한 대화에서 찾아보고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즉, 이 연구는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꾀하기 위한 방법을 언어를 통한 인성교육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실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부정적 언어와 긍정적 언어로 나누어 각각의 언어가 대화 속에서 드러나는 심리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자는 인성교육을 위한 대화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언어는 학생들의 낮은 학습동기와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언어는 높은 학습동기와 긍정적 정서를 발달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You-message보다는 I-message를, Be-message보다는 Do-message를, 칭찬하는 언어보다는 격려하는 언어 등을 사용할 때 학생들의 언어가 긍정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긍정적 언어를 사용할 때 학생들의 자존감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 표현과 행동 방식을 보여 긍정적인 인지 발달 및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써 교실상황에서 교사의 긍정적 언어 사용에 의한 대화기법이 학생들의 인성을 긍정적으로 발달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 슐라이어마허에 있어서 보편적 해석학의 언어문제

        양해림(Yang Hae-Ri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6 No.-

        슐라이어마허의 보편적 해석학은 다소 상이한 문법적 해석과 심리적 해석의 방식으로 구분된다. 문법적 해석은 언어로부터 나온 기술이기에 언어의 도움을 받아 말의 규정된 의미를 발견한다. 즉 문법적 해석학은 텍스트 혹은 담화의 규정된 의미에 대한 해석 가능성을 언어로부터 찾는다. 그래서 특정한 언어의 의미를 일반적인 의미지평으로 구성한다. 심리적 혹은 기술적 해석학에서 前者(심리적 해석)는 오히려 전체적 삶의 계기로부터 나오는 사상이다. 後者(기술적 해석)는 사상들의 계열이 전개되어 나오는 일정한 사유나 서술의 의도로 환원된다. 다시 말해 문법적 해석은 각각 개별적인 언어형식들로부터 그리고 언어가 가진 정신적 내용의 전체적 구조로부터 작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반해 심리적 해석은 작자의 창조적 생산성과 관계를 맺으며 사상과 형상들을 결합하고 산출해 내는 근원적인 심적 과정을 생생하게 밝혀 보고자 한다. 따라서 슐라이어마허는 문법적 해석을 객관적 해석이라 부르고 심리적 해석을 주관적 해석이라 일컫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문법적 해석과 심리적 해석이 상대적으로 서로 전제하고 있다는 것은 상호 보완한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상대적인 보완을 통해 이해는 완전성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이중성은 문법적, 심리학적 이해 방식의 완전한 균형으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이러한 상호작용에 의해 문법적, 심리적 해석의 필연성을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필자는 슐라이어마허의 보편적 해석학에서 드러난 문법적 해석과 심리적 해석에 대해 언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과 공격성의 이중 매개효과

        황혜정,이은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agement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s and mothers and cyber-verbal viol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436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neither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nor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directly influenced cyber-verbal violence, but it was found that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affected cyber-verbal violence by increasing moral disengagement and also agg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s moral disengagement and again increases aggression, thereby indirectly increasing cyber-verbal violence through a dual mediation process. Third, when controlling each other,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influence cyber-verbal violence, while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influenced cyber-verbal violence, indicating that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was more influentia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과 공격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학생 43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의 심리적 통제와 모의 심리적 통제 모두 사이버 언어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도덕적 이탈을 높이고, 또한 공격성을 높여 간접적으로 사이버 언어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도덕적 이탈을 높이고 이는 다시 공격성을 높여 이중적 매개과정을 거쳐 간접적으로 사이버 언어폭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와 모 각 상대방을 통제했을 때 부의 심리적 통제는 사이버 언어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모의 심리적 통제는 사이버 언어폭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모의 심리적 통제가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임민숙(Min-Suk Im),박경희(Kyung-Hee Park),최은경(Eun-Kyung Choi),김원순(Won-Soon Kim),최은정(Eun-J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수준 높은 간호 지식과 탁월한 업무수행능력이 요구된다. 특히 업무 특성상 여러 전문적 종사자들, 환자·보호자들과 상호작용 속에서 다른 어떤 직종보다 언어폭력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언어폭력은 환자 간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스트레스 또한 높으며 간호업무성과와도 관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간호업무성과와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 과 정도를 분석한 결과 언어폭력 경험과 간호업무성과(r=-.099, p=.146)는 관계가 없었고, 언어폭력 경험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r=.234,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r=-.254, p<.001)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일반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언어폭력 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고, 간호업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It is required for nurses to have a high quality nursing knowledge and an excellent nursing performance ability to provide high quality nursing. It is natural for nurses to be exposed on verbal abuse due to the relations among various expert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Verbal abus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has affect on not only takig care of patients but also nursing performance. Nurses exposed by verbal abuse tended to respond negatively and undergo a lot of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 among nurses verbal abuse, psychosocial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This study shows that verbal abuse was not related to nursing performance(r=-.099, p=.146). The performance of nurse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verbal abuse and psychosocial stress(r=.234,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r=-.254, p<.001). It is requested for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ogram reducing psychosocial stress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